KR100410922B1 -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0922B1
KR100410922B1 KR10-2000-0073980A KR20000073980A KR100410922B1 KR 100410922 B1 KR100410922 B1 KR 100410922B1 KR 20000073980 A KR20000073980 A KR 20000073980A KR 100410922 B1 KR100410922 B1 KR 100410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member
rear door
hinge assembly
pivotal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784A (ko
Inventor
오종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3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0922B1/ko
Publication of KR2002004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0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0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two parallel pins and one arm
    • E05D3/125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two parallel pins and one arm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05D3/127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two parallel pins and one arm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for vehicl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05Y2900/532Back doors or end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 도어를 센터 필라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는 일단은 센터 필라에 피봇 결합되고 타단은 도어의 전측에 피봇 결합되는 제 1 링크 부재와, 일단은 센터 필라의 제 1 링크 부재의 일단 후측에 피봇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타단 후측에 피봇 결합되며, 제 1 및 제 2 링크 부재는 서로 다른 수평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링크 부재의 길이가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Hinge assembly for a rear door in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어 도어를 센터 필라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탑승객이 자동차에 타고 내릴 수 있도록 자동차의 실내를 개폐하는 도어는,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에 의해 차체에 결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리어 도어의 힌지(1)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1)는 일측이 센터 필라(2)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도어(3)의 전측단에 형성된 연결 브라켓(3a)에 피봇 결합되도록 도어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 힌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된다. 참고로, 도면에서 참조 부호 4는 프론트 도어이다.
이러한 힌지(1)에 의해 차체(3)에 결합되는 도어(2)는 힌지(1)와 연결 브라켓(3a)의 결합축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것에 의해 개폐되며, 그 각도는 통상 70∼75°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힌지에 의하면 도어의 개방각이 통상 70∼75°로 제한되며, 이는 도어가 개방될 때, 도 2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전측 플랜지가 차체의 센터 필라에 간섭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어 도어를 열고 자동차 실내의 리어 시트 측에 큰 물건을 싣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어의 전측 플랜지를 짧게할 경우에는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 사이의 간격이 너무 벌어져 외관상 좋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지 않으면서도 리어 도어의 개방각을 크게 할 수 있는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의 단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제 1 링크 부재 12 : 제 2 링크 부재
13 : 리어 도어 14 : 센터 필라
15 : 프론트 필라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는 일단은 센터 필라에 피봇 결합되고 타단은 도어의 전측에 피봇 결합되는 제 1 링크 부재와, 일단은 센터 필라의 제 1 링크 부재의 일단 후측에 피봇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타단 후측에 피봇 결합되며, 제 1 및 제 2 링크 부재는 서로 다른 수평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링크 부재의 길이가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링크 부재는 한 쌍이 각각 도어 및 센터 필라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링크 부재는 한 쌍의 제 1 링크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는 한 쌍의 제 1 링크 부재(11)와 제 2 링크 부재(12)를 포함한다.
제 1 링크 부재(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3)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제 2 링크 부재(12)는 제 1 링크 부재들(11) 사이, 즉 도어(13)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링크 부재(11)는 그 일단이 핀 등을 사용하여 중심축 주위에서 서로 선회할 수 있는 구조의 힌지 조인트(14a)를 중심으로 차체의 센터 필라(14)에 피봇 결합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타단은 핀 등을 사용하여 중심축 주위에서 서로 선회할 수 있는 구조의 힌지 조인트(13a)를 중심으로 도어(13)의 전측에 피봇 결합되어 있다. 제 2 링크 부재(12) 역시 일단이 핀 등을 사용하여 중심축 주위에서 서로 선회할 수 있는 구조의 힌지 조인트(14a′)를 중심으로 차체의 센터 필라(14)에 피봇 결합되고, 타단이 핀 등을 사용하여 중심축 주위에서 서로 선회할 수 있는 구조의 힌지 조인트(13a′)를 중심으로 도어(13)의 전측에 피봇 결합되지만, 그 결합 위치가 제 1 링크 부재(11)의 결합 위치보다 약간 후방이며, 그 길이는 제 1 링크 부재(11)에 비해 조금 더 길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링크 부재(11, 12)는 그 양단이 모두 피봇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링크 부재(11, 12)의 길이의 비와 그 이격 거리에 따라 도어(13)의 개방각이 결정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링크 부재(11, 12)의 길이의 비와 그 이격 거리를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에 의해 도 4b와 같이 도어(13)의 개방각이 대략 90°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서 참조 부호 15는 프론트 도어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는 한 쌍의 링크 부재에 의해 리어 도어가 차체의 센터 필라에 결합되므로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 사이의 간격을 넓히지 않고도 리어 도어의 개방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리어 도어를 열고 자동차 시트의 리어 시트측에 큰 물건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리어 도어를 차체의 센터 필러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센터 필라에 피봇 결합되고 타단은 도어의 전측에 피봇 결합되는 제 1 링크 부재와, 일단은 센터 필라의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일단 후측에 피봇 결합되고 타단은 도어의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타단 후측에 피봇 결합되는 제 2 링크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부재는 서로 다른 수평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링크 부재의 길이가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 부재는 한 쌍이 각각 상기 도어 및 센터 필라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링크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 1 링크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
KR10-2000-0073980A 2000-12-06 2000-12-06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 KR100410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980A KR100410922B1 (ko) 2000-12-06 2000-12-06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980A KR100410922B1 (ko) 2000-12-06 2000-12-06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784A KR20020044784A (ko) 2002-06-19
KR100410922B1 true KR100410922B1 (ko) 2003-12-18

Family

ID=2768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980A KR100410922B1 (ko) 2000-12-06 2000-12-06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092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784A (ko) 200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7094A (ko) 자동차 도어용 피봇 메카니즘
JP3531138B2 (ja) 窓障子用ステ−
US20090167053A1 (en) Tailgate spoiler with integrated rotating hinge cover
CA2265957A1 (en) Hood hinge mechanism
JP2002544056A5 (ko)
US20030116988A1 (en) Vehicle interior panel having compartment and swing door
KR100410922B1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힌지 조립체
KR20020040354A (ko)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
KR100200287B1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
KR200143354Y1 (ko) 자동차의 2단링크형 본네트 힌지
KR20040090609A (ko) 경사구조가 적용된 도어 힌지조립체
KR100381305B1 (ko) 버스의 폴딩 도어의 도어 브라켓
US6935676B2 (en) Vehicle with door capable of swinging horizontally
JPH0349027Y2 (ko)
JP3925221B2 (ja) トランクリッド開閉装置
EP0911477B1 (fr) Huisserie de porte, fenêtre ou analogue, à articulation cachée
KR100370836B1 (ko) 게이트와 플로워 블랭크 공간 커버링 장치
JPH06191797A (ja) 産業車両のルーフ構造
KR100187175B1 (ko) 자동차용 콘솔 팔걸이의 힌지
JPH0415902Y2 (ko)
JPH0574932U (ja) ドアの取付構造
KR0130674Y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암 구조
JP2544359Y2 (ja) ドアの取付構造
KR100508265B1 (ko) 자동차용 트윈 스윙 테일 게이트 체커
KR100892475B1 (ko) 차량용 테일 게이트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