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0736B1 - 사출금형의 보스부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의 보스부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0736B1
KR100410736B1 KR10-2000-0073524A KR20000073524A KR100410736B1 KR 100410736 B1 KR100410736 B1 KR 100410736B1 KR 20000073524 A KR20000073524 A KR 20000073524A KR 100410736 B1 KR100410736 B1 KR 100410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core
guide surface
roller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015A (ko
Inventor
정규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3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0736B1/ko
Publication of KR20020044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0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0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금형의 경사코어에 가이드면을 형성하고, 수직코어에는 이 가이드면을 따라서 회전운동하는 롤러 및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롤러를 따라 하강하면서 보스부와 분리되는 보스 분리코어를 설치한 사출금형의 보스부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스부(100)의 성형을 위한 수직코어(110)와, 상기 수직코어(110)의 저부에 배치되면서 좌우 슬라이드 가능한 경사코어(140)와, 상기 수직코어(110) 및 경사코어(140)를 상승시켜주는 밀판(130)을 포함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수직코어(110)의 저면과 밀착되는 경사코어(140)의 윗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면(10)과, 상기 가이드면(10)과 대향으로 수직코어(110)에 구비된 실린더(11)와, 중간에는 보스부 성형을 위한 핀(120)과 그 둘레의 보스 분리코어(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12)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11)의 내벽을 따라 상하로 미끄럼 이동하는 보스 분리코어 조립체(13)와, 롤러축(14)에 의해서 상기 보스 분리코어 조립체(13)의 베이스부(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면(10)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롤러(16)와, 상기 베이스부(15)와 접촉되어 보스 분리코어 조립체(13)의 하강이동을 제지하는 스토퍼(1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출금형의 보스부 분리장치{DEVICE FOR RELEASING BOSS FROM MOLD}
본 발명은 사출금형의 보스부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금형의 경사코어에 가이드면을 형성하고, 수직코어에는 이 가이드면을 따라서 회전운동하는 롤러 및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롤러를 따라 하강하면서 보스부와 분리되는 보스 분리코어를 설치한 사출금형의 보스부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자동차 범퍼 등을 만드는 경우, 보스부를 이젝팅 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로봇척(robot chuck)을 이용한 강제 취출방법과, 슬리브 부시를 이용한 이젝팅 방법 및 2단 이젝팅을 이용한 강제 취출방법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의 보스부를 이젝팅하는 방법 중에서 로봇척을 이용하여 강제 취출하는 방법을 보여준다.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수직으로 작동하는 코어 위에 보스 형상이 존재하는 제품(예를 들면, 프론트 범퍼 커버)을 사출하는 금형을 보여준다.도 1a는 제품의 성형이 완료된 후 캐비티와 이형되어 이젝팅되기 전의 상태이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때의 보스부(100)의 내경과 외경은 수직코어(110)상의 핀(120)에 의해 구속되어 있다.도 1b는 밀판(130)의 작동에 의해 수직코어(110) 및 경사코어(140)가 상승하여 제품(150)이 이젝팅된 상태이며, 계속해서 도 1c와 같이 좌우 슬라이드 가능한 경사코어(14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로봇척(160)에 의해 제품(150)이 취출되기 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도 1d와 같이 로봇척(160)에 의해 제품(150)의 취출이 이루어진다.
또, 슬리브 부시를 이용한 이젝팅 방법의 경우에는 보스가 가동형판(메인 코어)에 위치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끝단이 보스 내경과 같은 형상의 보스 핀을 고정 설치판에 조립한 다음, 슬리브 부시를 이용하여 제품 및 보스부를 이젝팅하는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2단 이젝팅을 이용한 강제 취출방법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밀판의 작동과 함께 수직코어와 2단 이젝팅 블록이 동시에 전진하다가 회전로드가 스토퍼에 의해 회전하면서 2단 이젝팅 블록을 밀어주어 수직코어 위의 보스를 강제로 이젝팅 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종래의 사출금형의 보스부 분리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로봇척에 의한 강제 취출방법에서는 보스의 내, 외경이 구속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로봇척을 제품표면에 흡착하여 공기압으로 당기는 방식의 경우에는 취출도중에 제품이 로봇척으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있으며, 로봇척이 갈고리 타입인 경우에는 보스부에서 강제 취출되어 제품이 찢어져 불량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슬리브 부시를 이용한 이젝팅 방법에서는 슬리브 부시가 밀판에 고정되어 이젝팅하므로, 밀판에 고정되어 있는 수직코어를 지닌 경우에는 보스부가 이젝팅되지 않으므로 적용할 수가 없다.
셋째, 2단 이젝팅 방법은 적용을 위한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여 좁은 공간에서 이용하기가 어렵고 부품수가 많아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며, 강제취출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다.
그밖에도, 핀으로 보스형상이 처리되어 있는 경우, 가스빼기가 잘 되지 않아 미성형이 발생되는 경우, 성형조건의 관리가 어렵게 된다. 또한, 강제 취출시의 충격으로 보스부 제품표면에 함몰부가 발생되어 외관불량으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제 취출 도중에 제품이 로봇척에서 떨어지거나 보스부 물림에 의해 제품이 찢어지는 현상을 없애 성형업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출금형의 보스부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1d는 종래의 로봇척을 이용한 보스부 이젝팅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a의 "A" 부위 확대도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척을 이용한 부스부 이젝팅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스부 분리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 3b의 "B" 부위 확대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스부 분리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보여주는 도 3c의 "C" 부위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이드면 12 : 실린더
12 : 스프링 13 : 보스 분리코어 조립체
14 : 롤러축 15 : 베이스부
16 : 롤러 17 : 스토퍼
18 : 보스 분리코어
100 : 보스부 110 : 수직코어
120 : 핀 130 : 밀판140 : 경사코어 150 : 제품160 : 로봇척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출금형의 보스부 분리장치는 보스부의 성형을 위한 수직코어와, 상기 수직코어의 저부에 배치되면서 좌우 슬라이드 가능한 경사코어와, 상기 수직코어 및 경사코어를 상승시켜주는 밀판을 포함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수직코어의 저면과 밀착되는 경사코어의 윗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면과, 상기 가이드면과 대향으로 수직코어에 구비된 실린더와, 중간에는 보스부 성형을 위한 핀과 그 둘레의 보스 분리코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내벽을 따라 상하로 미끄럼 이동하는 보스 분리코어 조립체와, 롤러축에 의해서 상기 보스 분리코어 조립체의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면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롤러와, 상기 베이스부와 접촉되어 보스 분리코어 조립체의 하강이동을 제지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3a 내지 도 3d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보스부 분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a 내지 도 1d와 도 2에 도시한 구성요소와 동일부분은 동일번호로 표시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척을 이용한 보스부 이젝팅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스부 분리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 3b의 "B" 부위 확대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스부 분리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보여주는 도 3c의 "C" 부위 확대도이다.
먼저,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스부 분리장치는 수직코어(110)의 저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사코어(140)의 상부에는 보스부 분리장치의 작동을 가능케 하는 가이드면(10)이 형성되어 있다.이러한 보스부 분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면, 수직코어(110)에 구비된 실린더(11)와, 이 실린더(11)의 내벽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보스 분리코어 조립체(13)와, 이 보스 분리코어 조립체(13)의 베이스부(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16) 및 베이스부(15)와 접촉되어 보스 분리코어 조립체(13)의 하강이동을 제지하는 스토퍼(1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수직코어(110)에 구비된 실린더(11)는 가이드면(10)과 대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스프링(12)이 장착되어 있어서 보스 분리코어 조립체(13)를 항상 하방으로 가압한다.가이드면(10)의 초기 진입부 및 중간부분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끝부분은 상기 롤러(16)의 회전이동을 제지할 수 있도록 진입부 보다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스프링(12)의 상단은 실린더(11)의 상부 내벽에 접촉되어 있으며, 하단은 보스 분리코어 조립체(13)의 베이스부(15)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베이스부(15)의 상부 중앙에는 핀(120)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핀(120)의 둘레에 보스 분리코어(18)가 형성되어 있다.또한, 베이스부(15)의 하부 중앙에는 롤러축(14)에 의해서 롤러(16)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이젝팅 이전에 베이스부(15)는 스토퍼(17)로부터 소정의 간격(L1)을 두고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밀판(130)의 작동과 함께 경사코어(140)와 수직코어(110)가 상승하면서 제품(150)을 이젝팅시키게 되고(도 3b), 계속해서 경사코어(140)가 좌측으로 이동되면(도 3c), 이때 보스 분리코어 조립체(13)의 베이스부(15)는 스프링(12)에 의해서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천천히 하강하게 되며, 롤러축(14)에 의해서 베이스부(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롤러(16)는 경사코어(140)의 가이드면(11)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베이스부(15)가 하강하면서 스토퍼(17)와 접촉되어 이동이 제지되면, 보스 분리코어 조립체(13)의 하강운동은 정지되며, 롤러(16)는 가이드면(11)의 끝부분에 위치하게 된다.이때, 제품(150)의 보스부(100)와 보스 분리코어 조립체(13)의 상단은 베이스부(15)가 하강한 만큼의 간격(L2)을 두고 이격되어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젝팅 전에는 보스부(100)의 내경과 외경이 핀(120)과 보스 분리코어(18)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밀판(130)에 의해서 이젝팅된 후에는 본 발명의 보스부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스부(100)로부터 핀(120)과 보스 분리코어(18)가 분리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금형의 경사코어에 가이드면을 형성하고, 수직코어에는 이 가이드면을 따라서 회전운동하는 롤러 및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롤러를 따라 하강하면서 보스부와 분리되는 보스 분리코어를 설치하여, 밀판이 이젝팅됨에 따라서 보스부가 분리되도록 하여 제품의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강제 취출 도중에 제품이 로봇척에서 떨어지거나 보스부 물림에 의해 제품이 찢어지는 현상을 없애 성형업체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Claims (3)

  1. 보스부(100)의 성형을 위한 수직코어(110)와, 상기 수직코어(110)의 저부에 배치되면서 좌우 슬라이드 가능한 경사코어(140)와, 상기 수직코어(110) 및 경사코어(140)를 상승시켜주는 밀판(130)을 포함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수직코어(110)의 저면과 밀착되는 경사코어(140)의 윗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면(10)과,
    상기 가이드면(10)과 대향으로 수직코어(110)에 구비된 실린더(11)와,
    중간에는 보스부 성형을 위한 핀(120)과 그 둘레의 보스 분리코어(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12)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11)의 내벽을 따라 상하로 미끄럼 이동하는 보스 분리코어 조립체(13)와,
    롤러축(14)에 의해서 상기 보스 분리코어 조립체(13)의 베이스부(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면(10)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롤러(16)와,
    상기 베이스부(15)와 접촉되어 보스 분리코어 조립체(13)의 하강이동을 제지하는 스토퍼(1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보스부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10)의 초기 진입부 및 중간부분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끝부분은 롤러(16)의 회전이동을 제지할 수 있도록 진입부 보다 급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보스부 분리장치.
  3. 삭제
KR10-2000-0073524A 2000-12-05 2000-12-05 사출금형의 보스부 분리장치 KR100410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524A KR100410736B1 (ko) 2000-12-05 2000-12-05 사출금형의 보스부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524A KR100410736B1 (ko) 2000-12-05 2000-12-05 사출금형의 보스부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015A KR20020044015A (ko) 2002-06-14
KR100410736B1 true KR100410736B1 (ko) 2003-12-18

Family

ID=2767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524A KR100410736B1 (ko) 2000-12-05 2000-12-05 사출금형의 보스부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07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8820U (ko) * 1986-02-05 1987-08-14
JPS6372021U (ko) * 1986-10-31 1988-05-14
KR880006129A (ko) * 1986-11-06 1988-07-21 에스. 르 바그레즈 고용량 유리판 철면형 굽힘장치 및 방법
JPH01209119A (ja) * 1988-02-18 1989-08-22 Fujitsu Ltd モールド成形用金型
JPH0740123U (ja) * 1993-12-28 1995-07-18 三洋電機株式会社 射出成形金型
JPH0976301A (ja) * 1995-09-14 1997-03-25 Mitsubishi Rayon Co Ltd 樹脂成形用金型装置及び成形方法並びに成形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8820U (ko) * 1986-02-05 1987-08-14
JPS6372021U (ko) * 1986-10-31 1988-05-14
KR880006129A (ko) * 1986-11-06 1988-07-21 에스. 르 바그레즈 고용량 유리판 철면형 굽힘장치 및 방법
JPH01209119A (ja) * 1988-02-18 1989-08-22 Fujitsu Ltd モールド成形用金型
JPH0740123U (ja) * 1993-12-28 1995-07-18 三洋電機株式会社 射出成形金型
JPH0976301A (ja) * 1995-09-14 1997-03-25 Mitsubishi Rayon Co Ltd 樹脂成形用金型装置及び成形方法並びに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015A (ko) 200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01595A (ja) 粉末材料から環状物品を形成する装置
KR100410736B1 (ko) 사출금형의 보스부 분리장치
US6527535B1 (en) Manual die set for pressing explosive powder into hollow cylindrical pellets
JP3081428B2 (ja) ベントプラグ
CN107225737B (zh) 注塑模具的顶出机构
US63462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jecting molded articles
KR20050017224A (ko) 플라스틱 사출 금형 장치의 제품 취출 구조
KR200436694Y1 (ko) 스웨징장치
JP3101571B2 (ja) 射出成形用金型装置
CN216828575U (zh) 发动机配件专用压铸设备的滑动支撑机构
KR200384159Y1 (ko) 사출물의 취출불량 방지기능이 구비된 금형장치
CN216031928U (zh) 一种汽车中央通道骨架脱模机构
US6508297B1 (en) Mote moulding machine
CN214448063U (zh) 翻盖类产品模内合盖模具
CN109177298B (zh) 粉末压制成形机的脱模机构
CN216267323U (zh) 采用pcr料生产的键帽模具顶出系统
JPH09239740A (ja) アンダーカット部のある成形品の金型装置
CN216831826U (zh) 一种定模装置
CN213947262U (zh) 复合翻盖类产品模内合盖注塑模具
KR20230055058A (ko) 제품성형이 용이한 용기캡 성형장치
KR860002407Y1 (ko) 사출금형의 2단 취출장치
KR200151275Y1 (ko) 프레스금형의 제품취출장치
JPH0623726A (ja) 蟻溝付タイルの成型装置
KR100215241B1 (ko) 다이케스팅 금형의 공기 배출장치
KR100530271B1 (ko) 하형의 상하이동이 가능한 압축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