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831B1 - 시계용 문자판 및 시계 - Google Patents

시계용 문자판 및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831B1
KR100407831B1 KR10-2000-0066629A KR20000066629A KR100407831B1 KR 100407831 B1 KR100407831 B1 KR 100407831B1 KR 20000066629 A KR20000066629 A KR 20000066629A KR 100407831 B1 KR100407831 B1 KR 100407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light
layer
surface treatment
light transmis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581A (ko
Inventor
아마노마사오
미나미순지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954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0855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95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49189A/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1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12Selection of materials for dials or graduations mark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30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 G04B19/32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by luminescent substan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시계 등의 시계에 이용되는 발광기능을 구비한 시계용 문자판 및 이 시계용 문자판을 구비한 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장식용의 관통구멍(13)이 설치된 장식부재(10)와, 이 장식부재(10)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부재(11)를 구비하고, 장식부재(10)의 상면에 장식층의 제 1 표면처리층(14)을 설치하고, 발광부재(11)의 상면에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제 2 표면처리층(15)을 설치했으며, 따라서 발광부재(11)를 점등시키면 이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그 상면의 제 2 표면처리층(15)을 투과하여 장식부재(10)의 관통구멍(13)을 지나고, 이 관통구멍(13)에 대응하는 장식부재(10)의 상면측을 부분적으로 조명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장식부재(10)의 제 1 표면처리층(14)에 의한 장식효과와, 이 장식부재(10)의 관통구멍(13)에 대응하는 발광부재(11)의 제 2 표면처리층(15)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며, 그 양자에 의하여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계용 문자판 및 시계{DIAL FOR TIMEPIECE AND TIMEPIECE}
본 발명은 손목시계 등의 시계에 이용되는 발광기능을 구비한 시계용 문자판 및 이 시계용 문자판을 구비한 시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손목시계의 시계용 문자판에 있어서는 EL소자(일렉트로루미네센스소자)로 이루어지는 발광부재를 구비하고, 이 발광부재를 발광시킴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시계용 문자판으로서,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5, 838, 640호, 제 5, 930, 204호, 제 5, 880, 796호, 제 6, 020, 943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종류의 시계용 문자판으로서는, 예를 들면 발광부재의 윗쪽에 광투과성 부재를 설치한 구조의 것, 또는 발광부재의 윗쪽에 장식용의 관통구멍이 설치된 장식부재를 설치한 구조의 것이 있다.
그러나 전자의 시계용 문자판에서는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광투과성 부재를 투과하고, 이 투과한 빛으로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측 전체를 조명할 뿐이며, 또 후자의 시계용 문자판에서는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장식부재에 설치된 장식용의 관통구멍을 투과하고, 이 투과한 빛으로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장식부재의 상면측을 부분적으로 조명할 뿐으로, 어느 쪽의 시계용 문자판에 있어서도 충분한 장식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불합리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다채로운 장식효과가 얻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는 후술하는 각 실시형태의 항에서 설명되는 각 요소에 붙여져 있는 도면의 참조번호 등을 괄호와 함께 붙인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식용의 관통구멍(13)이 설치된 장식부재(10)와, 이 장식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부재(11)를 구비하고, 이 발광부재의 상면에 표면처리층(제 2 표면처리층(1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4)이다.
이 발명에 따르면, 발광부재의 점등시에 장식부재의 관통부재의 관통구멍을 투과한 빛이 그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장식부재의 상면측을 부분적으로 조명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장식부재에 의한 장식효과와, 이 장식부재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발광부재의 표면처리층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고, 그 양자에 의하여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식용의 관통구멍(13)이 설치된 장식부재(10)와, 이 장식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광투과성 부재(21)와, 이 광투과성 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부재(11)를 구비하고, 상기 광투과성 부재의 상하면 및 상기 발광부재의 상면 중 적어도 일면에 표면처리층(제 3 표면처리층(22), 제 4 표면처리층(23), 제 2 표면처리층(1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20)이다.
이 발명에 따르면, 발광부재의 점등시에 장식부재의 관통구멍을 투과한 빛이 그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장식부재의 상면측을 부분적으로 조명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장식부재에 의한 장식효과와, 이 장식부재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광투과성 부재의 상하면 또는 발광부재의 상면의 적어도 일면에 설치된 표면처리층에 의한 장식효과에 의해 입체적인 장식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처리층(제 2 표면처리층(16), 제 3 표면처리층(22), 제 4 표면처리층(23))이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층이고, 표면처리층을 장식부재(10)와 동색계로 함으로써 발광부재(11)의 비점등시에 장식부재의 관통구멍(13)이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처리층(제 3 표면처리층(39))이 표면을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요철층인 것에 의해 발광부재(11)의 비점등시에 장식부재의 관통구멍(13)이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1∼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투과성 부재(37)의 상면에 표면을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요철층의 표면처리층(제 3 표면처리층(39))이 설치되고, 광투과성 부재의 하면에 표면을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요철층, 또는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표면처리층(제 4 표면처리층(40))이 설치되며, 발광부재(11)의 상면에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표면처리층(제 2 표면처리층(41))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발광부재의 점등시와 비점등시에서 다른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6∼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투과성 부재(37)의 상면에 표면을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요철층의 표면처리층(제 3 표면처리층(39))이 설치되고, 광투과성 부재의 하면에 표면을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요철층, 또는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비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표면처리층(제 4 표면처리층(46))이 설치되며, 발광부재(11)의 상면에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비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표면처리층(제 2 표면처리층(47))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비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표면처리층이 모양, 도형, 그림 등이면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과 똑같이 발광부재의 점등시와 비점등시에서 다른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식부재(10)의 상면에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층의 표면처리층(제 1 표면처리층(14))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 표면처리층에 의해서도 장식효과가 얻어져서 더한층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식용의 관통구멍(13)이 설치된 장식부재(10)와, 이 장식부재의 상기 관통구멍내에 설치된 광투과성 부재(31)와, 이 광투과성 부재 및 상기 장식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부재(11)를 구비하고, 상기 장식부재의 상면 및 상기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표면처리층(제 1 표면처리층(3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30)이다.
이 발명에 따르면, 발광부재의 점등시에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장식부재의 관통구멍내에 설치된 광투과성 부재 및 그 상면에 설치된 광투과성의 표면처리층을 투과하고, 이 투과한 빛이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장식부재의 상면측을 부분적으로 조명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장식부재의 상면 및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 설치된 표면처리층에 의해 발광부재의 점등시와 비점등시에서 다른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르면,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식용의 관통구멍(13)이 설치된 장식부재(10)와, 이 장식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유색의 광투과성 부재(26)와, 이 광투과성 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부재(1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25)이다.
이 발명에 따르면, 발광부재의 점등시에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유색의 광투과성 부재를 투과하고, 이 광투과성 부재를 투과한 유색의 빛이 장식부재의 관통구멍을 지나며, 이 빛이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장식부재의 상면측을 부분적으로 조명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장식부재에 의한 장식효과와, 이 장식부재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유색의 광투과성 부재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고, 그 양자에 의하여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 따르면, 도 21∼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부재(11)와, 이 발광부재의 상층에 설치되는 광투과성 부재(51)를 구비하고, 상기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 전기주조가공에 의해 광투과성을 갖는 표면처리층(53)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50)이다.
이 발명에 따르면,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광투과성 부재 및 그 상면의 표면처리층을 투과하여 윗쪽으로 출사되기 때문에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측을 조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 전기주조가공에 의한 표면처리층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처리층의 요철모양에 의한 표현이 풍부해지고, 이에 따라서 여러 가지 빛의 확산상태, 또는 여러 가지 빛의 반사상태가 얻어지며, 이에 따라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24∼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재의 상층에 상기 광투과성 부재(56, 61, 66, 71, 76)와 금속부재(58, 63, 67, 73, 78, 82)가 그 양자의 상면을 노출시킨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과 똑같이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광투과성 부재 및 그 상면의 표면처리층을 투과하여 윗쪽으로 출사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의 표면처리층에 의해 장식적인 표현이 풍부해지는 외에 금속부재에 의해 금속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고급감이 더해지고, 이에 따라 광투과성 부재의 표면처리층과 금속부재의 양자의 장식효과에 의해 더욱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광투과성 부재가 무색투명, 또는 유색의 반투명한 재료, 또는 분말을 함유한 광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광투과성 부재에 의해서도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에 의해서도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표면처리층(86, 91)이 다른 복수의 전기주조모양부(제 1 전기주조모양부(87, 92) 및 제 2 전기주조모양부(88, 93)), 또는 경면부(94)를 혼재시킨 구조인 것에 의해 표면처리층의 요철모양에 의한 표현이 더욱 풍부해지고, 더한층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더욱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 또는하면에 광투과성을 갖는 금속층(96, 101)이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 금속층에 의해서도 금속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고급감이 더해지고, 이에 의해서도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9∼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금속층(96, 101, 127)의 상측 또는 하측에 장식층(106, 121, 126)이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 장식층에 의해서도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더욱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39∼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식층(106)이 금속층(96)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으면 발광부재의 비점등시에 장식층이 금속층에 의하여 감추어지는데, 발광부재의 점등시에 장식층이 떠오르기 때문에 점등시와 비점등시에서 다른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한층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더욱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6 및 도 4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에 광투과성을 갖는 금속층(131)과 장식층(132)이 부분적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표면처리층에 의한 장식효과 외에 금속층과 장식층의 양자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이에 의해서도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장식층이 부분적으로 투과율이 다른 구조인 것에 의해 발광부재의 점등시와 비점등시에서 장식층에 의한 다른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이에 의해서도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똑같이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발광부재가 발광하는 빛의 강도를 조절 가능한 구조인 것에 의해 발광부재의 점등시에 있어서의 빛의 강도를 조절하여 장식층에 의한 장식적인 표현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서도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측면에 따르면, 도 48 및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부재(142)와, 이 발광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광투과성 부재(144)와, 이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 설치된 광투과성을 갖는 컬러층(145)과, 상기 발광부재에 대향하는 상기 광투과성 부재의 하면에 설치된 광투과성을 갖는 박막금속층(14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140)이다.
이 발명에 따르면,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광투과성을 갖는 박막금속층, 광투과성 부재 및 컬러층을 투과하고, 이 컬러층을 투과한 유색의 빛에 의해 컬러층의 상면측을 조명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컬러층을 투과한 유색의 빛에 의한 장식효과와, 박막금속층에 의한 금속의 장식효과가 얻어지고, 그 양자에 의하여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시계용 문자판(150)은 도 50∼도 5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광투과성 부재(144)의 상하면 중 적어도 한쪽면의 전역 또는 일부에 요철부(151)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을 요철부에 의하여 확산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장식효과가 얻어진다.
시계용 문자판(160)은 도 56∼도 5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요철부가 인쇄층(161)인 것에 의해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요철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저가격의 것을 얻을 수 있다.
시계용 문자판(155)은 도 5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컬러층(145)에 장식부(156)가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 장식부에 의해서도 장식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시계용 문자판(155)은 도 5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광투과성 부재(144)의 하면에 장식부(156)가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장식부를 덮어서 상기 박막금속층(146)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박막금속층상의 장식부에 의해서도 장식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시계용 문자판(140, 150, 155, 160)은 도 49∼도 5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박막금속층(146)의 하면에 투명한 보호막(147)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박막금속층을 얇게 형성해도 이 박막금속층을 보호막에 의하여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측면에 따르면, 도 1∼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용 문자판(4, 50, 140, 150, 155, 160)을 시계케이스(손목시계케이스(1))내에 배치하는 동시에, 이 시계케이스내에 배치된 시계용 문자판의 상부위치에 시계유리(2)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손목시계)이다.
이 발명에 따르면, 시계용 문자판을 시계케이스내에 배치해도 시계용 문자판의 상부위치에 배치된 시계유리를 통하여 시계용 문자판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이 시계용 문자판에 의해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시계용 문자판에 의해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1 실시형태의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시계용 문자판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화살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3의 시계용 문자판을 분해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5의 시계용 문자판을 분해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8은 도 7의 시계용 문자판을 분해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광부재의 점등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B-B화살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광부재의 비점등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C-C화살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시계용 문자판을 분해한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광투과성 부재의 하면에 설치된 제 4 표면처리층 및 발광부재의 상면에 설치된 제 2 표면처리층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도 11의 시계용 문자판을 점등시킨 상태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광부재의 비점등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D-D화살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시계용 문자판을 분해한 단면도.
도 19는 도 17의 광투과성 부재의 하면에 설치된 제 4 표면처리층 및 발광부재의 상면에 설치된 제 2 표면처리층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 20은 도 16의 시계용 문자판을 점등시킨 상태의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7 실시형태의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시계용 문자판의 평면도.
도 23은 도 22의 E-E화살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8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5는 도 24의 F-F화살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26은 제 8 실시형태의 시계용 문자판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7은 도 26의 G-G화살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9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9는 도 28의 H-H화살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30은 제 9 실시형태의 시계용 문자판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1은 도 30의 I-I화살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0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3은 도 32의 J-J화살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34는 제 10 실시형태의 시계용 문자판의 변형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1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2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3 실시형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38은 제 13 실시형태의 시계용 문자판의 변형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4 실시형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40은 제 14 실시형태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41은 제 14 실시형태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5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3은 도 42의 K-K화살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6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5는 도 44의 L-L화살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46은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7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7은 도 46의 M-M화살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48은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18 실시형태의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49는 도 48의 시계용 문자판의 장식부재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50은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9 실시형태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51은 제 19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52는 제 19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53은 제 19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54는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20 실시형태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55는 제 20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56은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21 실시형태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57은 제 2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58은 제 2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59는 제 2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60은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22 실시형태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61은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23 실시형태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62는 제 23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63은 제 23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64는 제 23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65는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24 실시형태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66은 제 24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67은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25 실시형태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68은 제 25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69는 제 25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70은 제 25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손목시계케이스 2: 시계유리
3: 패킹
4, 25, 30, 35, 45, 50,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05, 125,
130, 140, 150, 155, 160, 165, 170, 175, 180: 시계용 문자판
5: 시계모듈 7: 안덮개
10, 143: 장식부재 11, 142: 발광부재
12, 15, 27, 38, 52: 지침축구멍
13, 36, 81: 관통구멍 14, 32: 제 1 표면처리층
16, 41, 47: 제 2 표면처리층
21, 26, 31, 37, 51, 56, 61, 66, 71, 76, 144: 광투과성 부재
22, 39: 제 3 표면처리층 23, 40, 46: 제 4 표면처리층
57, 62, 77: 오목부
58, 63, 67, 73, 78, 82: 금속부재
72: 끼워맞춤구멍 87, 92: 제 1 전기주조모양부
88, 93: 제 2 전기주조모양부 94: 경면부
96, 101, 127, 131: 금속층 106, 121, 126, 132: 장식층
141: 금속판 145: 컬러층
146: 박막금속층 147: 보호막
151, 171: 요철부 161, 181: 인쇄층
166: 광투과성 컬러부재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 1∼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손목시계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이다. 이 손목시계는 손목시계케이스(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손목시계케이스(1)의 상부에는 시계유리(2)가 패킹(3)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손목시계케이스(1)의 내부에는 시계용 문자판(4)과 시계모듈(5)이 중간테두리(6)에 부착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또 손목시계케이스(1)의 하면에는 안덮개(7)가 방수링(8)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시계모듈(5)은 아날로그기능과 디지털기능 중 적어도 아날로그기능을 구비하고, 시계용 문자판(4)의 윗쪽을 지침(도시하지 않음)이 운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손목시계케이스(1)의 내주면에는 중간테두리(6)를 감추어서 시계용 문자판(4)의 외주부의 상면에 맞닿는 간막이부(9)가 내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시계용 문자판(4)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는 장식부재(10)와, 이 장식부재(10)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부재(11)를 구비한 2층구조이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모듈(5)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장식부재(1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원형상의 평판이며, 그 중심부에는 시계모듈(5)의 지침축(도시하지 않음)이 삽입하는 지침축구멍(12)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장식부재(10)에는 지침축구멍(12)을 중심으로 하는 복수의 동심원을 따라서 복수의 장식용의 관통구멍(13)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관통구멍(13)은 중심부로부터 외주부를 향함에 따라서 점차 길이가 길어지는 슬릿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모양을 표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장식부재(10)의 상면에는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층의 제 1 표면처리층(14)이 설치되어 있다.
발광부재(11)는 EL소자 등의 발광소자로 이루어지는 평면발광체이며, 시계모듈(5)의 전극(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발광부재(11)의 중심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침축구멍(15)이 장식부재(10)의 지침축구멍(12)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발광부재(11)의 상면에는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층의 제 2 표면처리층(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 표면처리층(16)은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이며, 장식부재(10)의 상면에 설치된 제 1 표면처리층(14)과 다른 색계이어도 좋지만, 제 1 표면처리층(14)과 동색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손목시계의 시계용 문자판(4)에서는 장식부재(10)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부재(11)가 점등하면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그 상면에 설치된 제 2 표면처리층(16)을 투과하여 장식부재(10)의 관통구멍(13)을 지나고, 이 관통구멍(13)에 대응하는 장식부재(10)의 상면측을 부분적으로 조명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계유리(2)를 통하여 시각을 알 수 있다.
또 이 시계용 문자판(4)에서는 발광부재(11)의 점등시와 비점등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장식부재(10)의 상면에 설치된 제 1 표면처리층(14)에 의한 장식효과와, 이 장식부재(10)의 관통구멍(13)에 대응하는 발광부재(11)의 상면에 설치된 제 2 표면처리층(16)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그 양자에 의해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장식부재(10)의 제 1 표면처리층(14)과 발광부재(11)의 제 2 표면처리층(16)이 동색계이면 발광부재(11)의 비점등시에 장식부재(10)의 관통구멍(13)의 존재가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손목시계에 따르면, 시계용 문자판(4)을 시계케이스(1)내에 배치하는 동시에, 이 시계케이스(1)내에 배치된 시계용 문자판(4)의 상부위치에 시계유리(2)를 배치해도 시계유리(2)를 통하여 시계용 문자판(4)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이 시계용 문자판(4)에 의해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시계용 문자판(4)에 의해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도 4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20)은 장식부재(10)와 발광부재(11)의 사이에 광투과성 부재(21)를 설치한 3층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광투과성 부재(21)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는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층의 제 3 표면처리층(22)이 설치되어 있다. 또이 광투과성 부재(21)의 하면에도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층의 제 4 표면처리층(2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3, 제 4 표면처리층(22, 23)은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이며, 장식부재(10)의 제 1 표면처리층(14) 및 발광부재(11)의 제 2 표면처리층(16)과 다른 색계이어도 좋지만, 동색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광투과성 부재(21)의 중심부에는 지침축구멍(24)이 장식부재(10) 및 발광부재(11)의 각 지침축구멍(12, 15)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20)에서는 최하층의 발광부재(11)가 점등하면, 이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그 상면의 제 2 표면처리층(16) 및 광투과성 부재(21)의 하면의 제 4 표면처리층(23)을 투과하여 광투과성 부재(21)에 입사하고, 이 입사한 빛이 광투과성 부재(21)의 상면의 제 3 표면처리층(22)을 투과하며, 이 투과한 빛이 장식부재(10)의 관통구멍(13)을 지나고, 이 관통구멍(13)에 대응하는 장식부재(10)의 상면측을 부분적으로 조명하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다.
또 이 시계용 문자판(20)에서는 장식부재(10)의 제 1 표면처리층(14)에 의한 장식효과와, 장식부재(10)의 관통구멍(13)에 대응하는 광투과성 부재(21)의 제 3, 제 4 표면처리층(22, 23)에 의한 장식효과와, 발광부재(11)의 제 2 표면처리층(16)에 의해 입체적인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실시형태보다도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더한층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광투과성 부재(21)의 제 3, 제 4 표면처리층(22, 23) 및 장식부재(10)의 제 1 표면처리층(14)이 발광부재(11)의 제 2 표면처리층(16)과 동색계이면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발광부재(11)의 비점등시에 장식부재(10)의 관통구멍(13)의 존재가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광투과성 부재(21)의 상면에 제 3 표면처리층(22)을 설치하고, 또 광투과성 부재(21)의 하면에 제 4 표면처리층(23)을 설치하며, 또한 발광부재(11)의 상면에 제 2 표면처리층(16)을 설치한 구조인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투과성 부재(21)의 상하면 및 발광부재(11)의 상면 중 적어도 이들 일면만에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표면처리층을 설치한 구조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제 2 실시형태와 대략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어진 제 2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25)은 발광부재(11)의 상면에 제 2 표면처리층(16)을 설치하지 않고, 이 발광부재(11)와 장식부재(10)의 사이에 유색의 광투과성 부재(26)를 설치한 3층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2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광투과성 부재(26)는 유색의 반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평판이며, 그 상하면에 표면처리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광투과성 부재(26)는 그 반투명한 재료의 색이 장식부재(10)의 상면에 설치된 제 1 표면처리층(14)과 다른 색계이어도 좋지만, 동색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광투과성부재(26)의 중심부에도 지침축구멍(27)이 장식부재(10) 및 발광부재(11)의 각 지침축구멍(12, 15)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25)에서는 최하층의 발광부재(11)가 점등하면, 이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유색의 광투과성 부재(26)를 투과할 때, 이 유색의 광투과성 부재(26)에 의해 소정의 색의 빛(즉 소정파장의 빛)이 투과하고, 이 투과한 빛에 의해 장식부재(10)의 관통구멍(13)에 대응하는 장식부재(10)의 상면측을 조명하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장식부재(10)의 제 1 표면처리층(14)에 의한 장식효과와 유색의 광투과성 부재(26)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유색의 광투과성 부재(26)의 상하면에 표면처리층을 설치하지 않고, 또한 발광부재(11)의 상면에도 표면처리층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계용 문자판(25)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 유색의 광투과성 부재(26)가 장식부재(10)의 제 1 표면처리층(14)과 동색계이면 제 1, 제 2 실시형태와 똑같이 발광부재(11)의 비점등시에 장식부재(10)의 관통구멍(13)의 존재가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는 장식부재(10)의 상면에 제 1 표면처리층(14)을 설치했는데, 반드시 제 1 표면처리층(14)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발광부재(11)의 상면에 제 2 표면처리층(16)을 설치한 구조인데, 반드시 제 2 표면처리층(16)을 설치할 필요는 없고 유색의 광투과성 부재(26)를 이용하면 표면처리층을 전혀 설치하지 않는 구조이어도 좋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도 1∼도 4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30)은 장식부재(10)의 관통구멍(13)내에 광투과성 부재(31)를 설치한 2층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장식부재(10)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원형상의 평판이며, 그 중심부에는 지침축구멍(12)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장식부재(10)에는 지침축구멍(12)을 중심으로 하는 복수의 동심원을 따라서 복수의 장식용의 관통구멍(13)이 중심부로부터 외주부를 향함에 따라서 길어지는 슬릿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장식용의 관통구멍(13)내에는 광투과성 부재(31)가 장식부재(10)의 상하면과 대략 면일치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장식부재(10)의 상면 및 광투과성 부재(31)의 상면에는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제 1 표면처리층(3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장식부재(10)의 하측에 배치되는 발광부재(11)의 상면에는 표면처리층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30)에서는 발광부재(11)가 점등하면, 이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장식부재(10)의 관통구멍(13)내에 설치된 광투과성 부재(31) 및 그 상면에 설치된 제 1 표면처리층(32)을 투과하고, 이 투과한 빛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13)에 대응하는 장식부재(10)의 상면측을 밝게조명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다.
또 이 시계용 문자판(30)에서는 장식부재(10)의 상면 및 광투과성 부재(31)의 상면에 설치된 제 1 표면처리층(32)에 의해 발광부재(11)의 비점등시에 장식부재(10)의 관통구멍(13)을 감출 수 있고, 발광부재(11)의 점등시에는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제 1 표면처리층(32)을 투과하기 때문에 발광부재(11)의 점등시와 비점등시에서 다른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발광부재(11)의 상면에 표면처리층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부재(11)의 상면에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표면처리층을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표면처리층은 제 1 표면처리층(32)과 동색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해도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1∼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1∼도 4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35)은 장식부재(10)에 다수의 관통구멍(36)을 설치하고, 이 장식부재(10)와 발광부재(11)의 사이에 광투과성 부재(37)를 설치한 3층구조이고, 이들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장식부재(10)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원형상의 평판이고, 그 중심부에는 지침축구멍(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침축구멍(12)을 제외한 부분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직경의 관통구멍(36)이 종횡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장식부재(10)의 상면에는 표면처리층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광투과성 부재(37)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부에는 지침축구멍(38)이 장식부재(10)와 발광부재(11)의 각 지침축구멍(12, 15)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광투과성 부재(37)의 상면에는 표면을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불투명유리상의 요철층의 제 3 표면처리층(39)이 설치되어 있으며, 광투과성 부재(37)의 하면에는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제 4 표면처리층(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4 표면처리층(40)은 모양이나 도형 또는 그림 등이며,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G자형상의 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발광부재(11)의 상면에는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제 2 표면처리층(4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 표면처리층(41)은 광투과성 부재(37)의 제 4 표면처리층(40)에 대응하는 G자형상의 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표면처리층(41)과 광투과성 부재(37)의 제 4 표면처리층(40)은 동색계이고, 장식부재(10)와는 다른 색계이어도 좋고, 또 동색계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35)에서는 최하층의 발광부재(11)가 점등하면, 이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광투과성 부재(37)에 직접 또는 발광부재(11)의 제 2 표면처리층(41) 및 광투과성 부재(37)의 제 4 표면처리층(40)을 투과하여 입사하고, 이 입사한 빛이 광투과성 부재(37)의 상면에 설치된 불투명유리상의 요철층의제 3 표면처리층(39)을 투과할 때, 이 제 3 표면처리층(39)에 의해 빛이 확산되고, 이 확산된 빛이 장식부재(10)의 관통구멍(36)으로부터 외부로 확산되기 때문에 관통구멍(36)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장식부재(10)의 상면측을 밝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재(11)의 비점등시에는 광투과성 부재(37)의 상면에 설치된 불투명유리상의 요철층의 제 3 표면처리층(39)에 의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투과성 부재(37)의 제 4 표면처리층(40) 및 발광부재(11)의 제 2 표면처리층(41)의 각 G자형상의 도형이 나타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발광부재(11)의 점등시에는 발광부재(11)의 제 2 표면처리층(41) 및 광투과성 부재(37)의 제 4 표면처리층(40)을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투과하기 때문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자형상의 도형을 관통구멍(36)에 의한 도트모양으로 그 주위보다도 조금 어두운 상태로 표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발광부재(11)의 점등시와 비점등시에서 다른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실시형태에서는 광투과성 부재(37)의 상면에 불투명유리상의 요철층의 제 3 표면처리층(39)을 설치하고 광투과성 부재(37)의 하면에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제 4 표면처리층(40)을 설치한 구조인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투과성 부재(37)의 하면에 불투명유리상의 요철층의 제 4 표면처리층을 설치한 구조이어도 좋고, 또 광투과성 부재(37)의 상면에는 제 3 표면처리층(39)을 설치하지 않는 구조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광투과성 부재(37)의 하면에 설치된불투명유리상의 요철층의 제 4 표면처리층과 발광부재(11)의 상면에 설치된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제 2 표면처리층(41)에 의해 제 5 실시형태와 대략 똑같은 작용효과를 갖는다.
(제 6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6∼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6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11∼도 15에 나타내어진 제 5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45)은 광투과성 부재(37)의 하면에 비광투과성인 장식층의 제 4 표면처리층(46)을 설치하고 발광부재(11)의 상면에도 비광투과성인 장식층의 제 2 표면처리층(47)을 설치한 구조이고, 이들 이외는 제 5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광투과성 부재(37)의 상면에는 표면을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불투명유리상의 요철층의 제 3 표면처리층(39)이 설치되어 있으며, 광투과성 부재(37)의 하면에는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비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제 4 표면처리층(4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4 표면처리층(46)은 모양이나 도형 또는 그림 등이며,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G자형상의 도형을 제외하고 이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G자형상의 도형부분이 공백부(46a)에 형성되어 있다. 또 발광부재(11)의 상면에는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비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제 2 표면처리층(4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 표면처리층(47)은 광투과성 부재(37)의 제 4 표면처리층(46)에 대응하는 G자형상의 도형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고, 이에 따라 G자형상의 도형부분이 공백부(47a)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식부재(10)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투과성 부재(37)의 제 4 표면처리층(46)의 G자형상의 도형에 대응하는 부분보다도 조금 넓은 영역에 소직경의 관통구멍(36)이 종횡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45)에서는 최하층의 발광부재(11)가 점등하면, 이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그 상면의 제 2 표면처리층(47)의 공백부(47a) 및 광투과성 부재(37)의 하면의 제 4 표면처리층(46)의 공백부(46a)를 투과하여 광투과성 부재(37)에 입사하고, 이 입사한 빛이 광투과성 부재(37)의 상면에 설치된 불투명유리상의 요철층의 제 3 표면처리층(39)을 투과할 때, 이 제 3 표면처리층(39)에 의해 확산되고, 이 확산된 빛이 장식부재(10)의 관통구멍(36)으로부터 외부로 확산되기 때문에 관통구멍(36)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장식부재(10)의 상면측을 밝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재(11)의 비점등시에는 광투과성 부재(37)의 상면에 설치된 불투명유리상의 요철층의 제 3 표면처리층(39)에 의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투과성 부재(37)의 제 4 표면처리층(46) 및 발광부재(11)의 제 2 표면처리층(47)의 각 G자형상의 도형이 나타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발광부재(11)의 점등시에는 발광부재(11)의 제 2 표면처리층(47)의 공백부(47a) 및 광투과성 부재(37)의 하면의 제 4 표면처리층(46)의 공백부(46a)를 빛이 투과하기 때문에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공백부(46a, 47a)에 대응하는 G자형상의 도형을 관통구멍(36)에 의한 도트모양으로 그 주위보다도 밝게 표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발광부재(11)의 점등시와 비점등시에서 다른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 실시형태에서는 광투과성 부재(37)의 상면에 불투명유리상의 요철층의 제 3 표면처리층(39)을 설치하고 광투과성 부재(37)의 하면에 비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제 4 표면처리층(46)을 설치한 구조인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투과성 부재(37)의 하면에 불투명유리상의 요철층의 제 4 표면처리층을 설치한 구조이어도 좋고, 또 광투과성 부재(37)의 상면에 제 3 표면처리층(39)을 설치하지 않는 구조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광투과성 부재(37)의 하면에 설치된 불투명유리상의 요철층의 제 4 표면처리층과 발광부재(11)의 상면에 설치된 비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제 2 표면처리층(47)에 의해 제 6 실시형태와 대략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제 7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1∼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7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1∼도 4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손목시계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손목시계케이스(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손목시계케이스(1)의 상부에는 시계유리(2)가 패킹(3)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손목시계케이스(1)의 내부에는 시계용 문자판(50)과 시계모듈(5)이 중간테두리(6)에 부착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또 손목시계케이스(1)의 하면에는 안덮개(7)가 방수링(8)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시계모듈(5)은 아날로그기능과 디지털기능 중 적어도 아날로그기능을 구비하고, 시계용 문자판(50)의 윗쪽을 지침(도시하지 않음)이 운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계용 문자판(50)은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층의 발광부재(11)와, 이 발광부재(11)의 상층에 배치된 광투과성 부재(51)를 구비한 2층구조이고,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유리(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시계모듈(5)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발광부재(11)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EL소자 등의 발광소자로 이루어지는 평면발광체이며, 시계모듈(5)의 전극(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발광부재(11)의 중심부에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모듈(5)의 지침축(도시하지 않음)이 삽입하는 지침축구멍(15)이 설치되어 있다.
광투과성 부재(51)는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원형상의 평판이며, 그 중심부에는 지침축구멍(52)이 발광부재(11)의 지침축구멍(15)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에는 전기주조가공에 의해 광투과성을 갖는 표면처리층(53)이 설치되어 있다. 전기주조가공이란 전기도금과 같은 조작으로 전기분해에 의해 모형과 같은 형상치수의 금속제품을 얻는 방법으로, 모형의 위에 금속을 전계에 의하여 필요한 두께로 입힌 후 모형으로부터 박리하면 모형의 형상 및 요철이 충실하게 반전한 전기주조품을 얻는 가공방법을 말한다. 이 경우 전착금속에는 동, 니켈, 크롬 및 그들의 합금이 이용되고 있다. 이 전기주조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표면처리층(53)은 요철형상의모양이고 빛이 투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손목시계의 시계용 문자판(50)에서는 발광부재(11)가 점등하면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그 상면에 설치된 광투과성 부재(51) 및 그 상면의 표면처리층(53)을 투과하여 윗쪽으로 출사되기 때문에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측을 조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다.
또 이 시계용 문자판(50)에서는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에 전기주조가공에 의한 표면처리층(53)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처리층(53)의 요철모양의 표현이 풍부해지고, 이 표면처리층(53)의 요철모양에 따라서 발광부재(11)의 점등시에 여러 가지 빛의 확산상태를 얻을 수 있으며, 또 발광부재(11)의 비점등시에 여러 가지 빛의 반사상태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손목시계에 따르면, 시계용 문자판(50)을 시계케이스(1)내에 배치하는 동시에, 이 시계케이스(1)내에 배치된 시계용 문자판(50)의 상부위치에 시계유리(2)를 배치해도 시계유리(2)를 통하여 시계용 문자판(50)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이 시계용 문자판(50)에 의해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시계용 문자판(50)에 의해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8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8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21∼도 23에 나타내어진 제 7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55)은 광투과성 부재(56)에 오목부(57)를 설치하고, 이 오목부(57)내에 금속부재(58)를 설치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7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광투과성 부재(56)는 발광부재(11)와 대략 같은 크기의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심부에는 제 7 실시형태와 똑같이 지침축구멍(5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침축구멍(52)을 포함하는 중앙부분을 제외한 외주부에는 오목부(57)가 링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앙부분의 상면에는 제 7 실시형태와 똑같이 전기주조가공에 의해 광투과성을 갖는 표면처리층(59)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부재(58)는 그 중앙부분에 끼워맞춤구멍(58a)이 형성된 링상의 원형판이며, 이 끼워맞춤구멍(58a)이 광투과성 부재(56)의 중앙부분에 끼워맞추어진 상태로 광투과성 부재(56)의 외주부의 오목부(57)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금속부재(58)의 상면과 광투과성 부재(56)의 표면처리층(59)은 대략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55)에서는 광투과성 부재(56)의 중앙부분의 표면처리층(59)이 윗쪽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부재(11)가 점등하면 그 빛이 광투과성 부재(56)의 중앙부분의 표면처리층(59)을 투과하여 윗쪽으로 출사되기 때문에 광투과성 부재(56)의 중앙부분의 상면측도 밝게 조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주부측에 배치된 금속부재(58)의 상면측을 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다.
또 이 시계용 문자판(55)에서는 광투과성 부재(56)의 중앙부분의 표면처리층(59)과 금속부재(58)의 상면이 윗쪽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윗쪽으로노출된 표면처리층(59)에 의해 제 7 실시형태와 똑같이 장식적인 표현이 풍부해지는 외에 금속부재(58)에 의해 금속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고급감이 더해지고, 광투과성 부재(56)의 표면처리층(59)과 금속부재(58)의 상면의 양자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더욱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8 실시형태에서는 광투과성 부재(56)의 외주부에 오목부(57)를 링상으로 설치하고, 이 오목부(57)내에 링상의 금속부재(58)를 배치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이 변형예의 시계용 문자판(60)은 광투과성 부재(61)의 중심부에 설치된 지침축구멍(52)을 포함하는 광투과성 부재(61)의 중앙부분에 원형상의 오목부(62)를 설치하고, 이 오목부(62)내에 원형상의 금속부재(63)를 배치하며, 광투과성 부재(61)의 중앙부분을 제외한 외주부의 상면에 전기주조가공에 의해 광투과성을 갖는 표면처리층(64)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금속부재(63)의 상면과 광투과성 부재(61)의 표면처리층(64)은 대략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금속부재(63)의 중심부에는 지침축구멍(63a)이 광투과성 부재(61)의 지침축구멍(52)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60)에서는 광투과성 부재(61)의 외주부의 표면처리층(64)으로부터 발광부재(11)의 빛이 투과하여 윗쪽으로 출사하기 때문에 광투과성 부재(61)의 외주부의 상면측을 발게 조명할 수 있는 동시에 광투과성 부재(61)의 중앙부분에 배치된 금속부재(63)의 상면측을 밝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광투과성 부재(61)의 외주부의 표면처리층(64)과 금속부재(63)의 상면의 양자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제 8 실시형태와 똑같이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9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9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21∼도 23에 나타내어진 제 7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65)은 발광부재(11)의 상면에 광투과성 부재(66)와 금속부재(67)를 나열하여 설치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7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광투과성 부재(66)는 발광부재(11)의 지침축구멍(15)을 포함하는 중앙부분에 대응하는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심부에는 지침축구멍(5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침축구멍(52)을 제외한 광투과성 부재(66)의 상면에는 전기주조가공에 의해 광투과성을 갖는 표면처리층(68)이 설치되어 있다. 금속부재(67)는 광투과성 부재(66)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링상의 원판이고, 그 두께가 광투과성 부재(66)와 대략 같은 두께로 형성되며, 또한 외경이 발광부재(11)의 외경과 대략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금속부재(67)의 상면과 광투과성 부재(66)의 표면처리층(68)은 대략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65)에 있어서도 제 8 실시형태와 똑같이 중앙부분에 배치된 광투과성 부재(66)의 표면처리층(68)이 윗쪽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발광부재(11)가 점등하면 그 빛이 광투과성 부재(660의 표면처리층(68)을 투과하여 윗쪽으로 출사되므로 중앙부분에 배치된 광투과성 부재(66)의 상면측을 밝게 조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주부측에 배치된 금속부재(67)의 상면측도 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다.
또 이 시계용 문자판(65)에서는 광투과성 부재(66)의 표면처리층(68)과 금속부재(67)의 상면이 윗쪽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윗쪽으로 노출된 표면처리층(68)에 의해 장식적인 표현이 풍부해지는 외에 제 8 실시형태와 똑같이 금속부재(67)에 의해 금속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고급감이 더해지고, 그 양자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9 실시형태에서는 광투과성 부재(66)의 외주측에 링상의 금속부재(67)를 배치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이 변형예의 시계용 문자판(70)은 광투과성 부재(71)의 중앙부분에 원형상의 끼워맞춤구멍(72)을 설치하고, 이 끼워맞춤구멍(72)내에 원형상의 금속부재(73)를 배치하며, 광투과성 부재(71)의 상면에 전기주조가공에 의해 광투과성을 갖는 표면처리층(74)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금속부재(73)의 상면과 광투과성 부재(66)의 표면처리층(74)은 대략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 금속부재(73)의 중심부에는 지침축구멍(73a)이 발광부재(11)의 지침축구멍(15)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70)에서는 발광부재(11)의 빛이 외주부측에 배치된광투과성 부재(71)의 표면처리층(74)을 투과하여 윗쪽으로 출사하기 때문에 광투과성 부재(71)의 상면측을 밝게 조명할 수 있는 동시에 광투과성 부재(71)의 중앙부분에 배치된 금속부재(73)의 상면측도 밝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광투과성 부재(71)의 표면처리층(74)과 금속부재(73)의 상면의 양자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제 8 실시형태의 변형예와 똑같이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0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0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21∼도 23에 나타내어진 제 7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75)은 광투과성 부재(76)의 복수부분에 오목부(77)를 설치하고, 이들 각 오목부(77)내에 금속부재(78)를 각각 설치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7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광투과성 부재(76)는 발광부재(11)와 대략 같은 크기의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심부에는 지침축구멍(5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침축구멍(52)을 제외한 광투과성 부재(76)의 복수부분(도 32에서는 4군데)에는 소원형상의 오목부(7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 오목부(77) 및 지침축구멍(52)을 제외한 광투과성 부재(76)의 상면에는 전기주조가공에 의해 광투과성을 갖는 표면처리층(79)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부재(78)는 각 오목부(77)와 같은 크기의 소원판이며, 각각각 오목부(77)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금속부재(78)의 상면과 광투과성 부재(76)의 표면처리층(79)은 대략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75)에서는 광투과성 부재(76)의 상면에 설치된 표면처리층(79)이 윗쪽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부재(11)의 빛이 광투과성 부재(76)의 표면처리층(79)을 투과하여 윗쪽으로 출사되기 때문에 광투과성 부재(76)의 상면측을 밝게 조명할 수 있는 동시에 광투과성 부재(76)의 각 오목부(77)내에 배치된 각 금속부재(78)의 상면측도 밝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다.
또 이 시계용 문자판(75)에서는 광투과성 부재(76)의 표면처리층(79)과 복수부분에 배치된 각 금속부재(78)의 상면이 윗쪽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윗쪽으로 노출된 표면처리층(79)에 의해 장식적인 표현이 풍부해지는 외에 각 금속부재(78)에 의해 금속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고급감이 더해지고, 그 양자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더욱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0 실시형태에서는 광투과성 부재(76)의 복수부분에 오목부(77)를 설치하고, 이들 각 오목부(77)내에 금속부재(78)를 각각 배치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34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이 시계용 문자판(80)은 광투과성 부재(76)의 복수부분에 관통구멍(81)을 설치하고, 이들 각 관통구멍(81)내에 광투과성 부재(76)와 대략 같은 두께의 원형상의 금속부재(82)를 배치하며, 광투과성 부재(76)의 상면에 전기주조가공에 의해 광투과성을 갖는 표면처리층(79)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80)에서는 광투과성 부재(76)의 표면처리층(79)과 복수부분의 각 금속부재(82)의 상면이 대략 같은 높이에서 윗쪽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제 10 실시형태와 똑같이 광투과성 부재(76)의 상면측을 밝게 조명할 수 있는 동시에 복수부분의 금속부재(82)의 상면측도 밝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고, 또 제 10 실시형태와 똑같이 광투과성 부재(76)의 표면처리층(74)과 금속부재(82)의 상면의 양자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1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3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21∼도 23에 나타내어진 제 7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85)은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에 다른 모양이 혼재한 표면처리층(86)을 설치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7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표면처리층(86)은 광투과성을 갖는 것이며,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에 전기주조가공에 의해 제 1 전기주조모양부(87)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제 1 전기주조모양부(87)내의 복수부분에 모양이 다른 복수의 제 2 전기주조모양부(88)를 부분적으로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85)에서는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의 표면처리층(86)을 투과하기 때문에 그 상면측을 밝게 조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표면처리층(86)이 제 1 전기주조모양부(87)와 제 2 전기주조모양부(88)를 혼재시킨 구조이기 때문에 제 1, 제 2 전기주조모양부(87, 88)에 의해 장식적인 표현이 더한층 풍부해지고, 이 때문에 제 7 실시형태보다도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더욱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표면처리층(86)은 제 8∼제 10 실시형태 및 그 각 변형예에서 서술한 각 표면처리층(59, 64, 68, 74, 79)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 1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21∼도 23에 나타내어진 제 7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90)은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에 다른 모양이 혼재한 표면처리층(91)을 설치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7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표면처리층(91)은 광투과성을 갖는 것이며,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에 전기주조가공에 의해 다른 모양의 제 1, 제 2 전기주조모양부(92, 93)를 동심원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제 1, 제 2 전기주조모양부(92, 93)의 사이에 경면부(94)를 동심원상으로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90)에서는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의 표면처리층(91)을 투과하기 때문에 그 상면측을 밝게 조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표면처리층(91)이 제 1, 제 2 전기주조모양부(92, 93) 및 경면부(94)를 동심원상으로 혼재시킨 구조이기 때문에 제 11 실시형태보다도 제 1, 제 2 전기주조모양부(92, 93) 및 경면부(94)에 의해 장식적인 표현이 더욱 풍부해지고, 이 때문에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더욱 풍부해져서 더한층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표면처리층(91)에 있어서도, 제 8∼제 10 실시형태 및 그 각 변형예에서 서술한 각 표면처리층(59, 64, 68, 74, 79)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 1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3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21∼도 23에 나타내어진 제 7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95)은 광투과성 부재(51)의 하면에 광투과성을 갖는 금속층(96)을 설치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7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금속층(96)은 알루미늄, 금, 은, 크롬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광투과성 부재(51)의 하면에 증착에 의해 두께가 200Å∼500Å 정도로 얇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빛을 투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에는 전기주조가공에 의해 광투과성을 갖는 표면처리층(53)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95)에서는 발광부재(11)가 점등하면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금속층(96)을 투과하고, 이 투과한 빛이 그 상면의 광투과성 부재(51) 및 그 표면처리층(53)을 투과하여 윗쪽으로 출사되기 때문에 제 7 실시형태와 똑같이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측을 조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다.
또 이 시계용 문자판(95)에서는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에 전기주조가공에 의한 표면처리층(53)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표면처리층(53)에 의해 제 7 실시형태와 똑같이 장식적인 표현이 풍부해지는 외에, 특히 발광부재(11)의 비점등시에는 금속층(96)에 의한 금속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고급감이 가해지는 동시에 점등시와 비점등시에서 다른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제 7 실시형태보다도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3 실시형태에서는 광투과성 부재(51)의 하면에 금속층(96)을 설치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38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시계용 문자판(100)과 같이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 즉 표면처리층(53)의 상면에 광투과성을 갖는 금속층(101)을 설치한 구조이어도 좋다. 이 금속층(101)은 제 13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인데,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의 표면처리층(53)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표면처리층(53)과 같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100)에서도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광투과성 부재(51)의 표면처리층(53)을 투과하고, 이 투과한 빛이 다시 금속층(101)을 투과하여 윗쪽으로 출사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금속층(101)이 표면처리층(53)과 같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금속층(101)에 의해서도 장식적인 표현이 풍부해지는 외에 비점등시에 금속층(101)에 의해 금속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고급감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점등시와 비점등시에서 다른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제 13 실시형태와 똑같이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3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37에 나타내어진 제 13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105)은 광투과성 부재(51)의 하면에 설치된 광투과성을 갖는 금속층(96)의 하면에 장식층(106)을 설치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13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장식층(106)은 금속층(96)의 하면에 인쇄에 의해 형성된 모양이나 도형, 또는 그림 등이며, 광투과성을 갖는 것이어도 좋고, 또 광투과성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좋다. 이 장식층(106)은 광투과성을 갖는 경우는 금속층(96)과 다른 유색의 빛을 투과하는 유색층에 형성되고, 또 광투과성을 갖지 않는 경우는 그 모양이나 도형, 또는 그림 등에 따른 틈(도시하지 않음)을 빛이 투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에는 전기주조가공에 의한 광투과성을 갖는 표면처리층(53)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105)에서는 장식층(106)이 광투과성을 갖는 경우에는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장식층(106)을 투과하고, 이 투과한 빛이금속층(96), 광투과성 부재(51) 및 그 표면처리층(53)을 투과하여 윗쪽으로 출사되며, 또 장식층(106)이 광투과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장식층(106)의 모양이나 도형, 또는 그림 등에 따른 틈을 투과하고, 이 투과한 빛이 금속층(96), 광투과성 부재(51) 및 그 표면처리층(53)을 투과하여 윗쪽으로 출사되기 때문에 어느 쪽의 경우에도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측을 조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다.
또 이 시계용 문자판(105)에서는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에 전기주조가공에 의한 표면처리층(53)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표면처리층(53)에 의해 장식적인 표현이 풍부해지는 외에, 특히 발광부재(11)의 점등시에는 장식층(106)의 모양이나 도형, 또는 그림 등이 떠올라 보이기 때문에 이 장식층(106)에 의해서도 장식효과가 얻어지고, 발광부재(11)의 비점등시에는 금속층(96)에 의해 장식층(106)이 감추어지며, 이 금속층(106)에 의한 금속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고급감을 얻을 수 있으며, 이 때문에 표면처리층(53), 금속층(96) 및 장식층(106)의 3자에 의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더욱 풍부해져서 더한층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4 실시형태에서는 광투과성 부재(51)의 하면에 금속층(96)을 설치한 구조인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40 또는 도 41에 각각 나타내는 구조이어도 좋다.
즉 도 40에 나타내어진 제 14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인 시계용 문자판(110)은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 즉 표면처리층(53)의 상면에 광투과성을 갖는 금속층(96)을 설치하고, 광투과성부재(51)의 하면에 장식층(106)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비점등시에 장식층(106)이 떠올라 보이기 때문에 제 14 실시형태와 똑같이 표면처리층(53), 금속층(96) 및 장식층(106)의 3자에 의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41에 나타내어진 제 14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인 시계용 문자판(111)은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 즉 표면처리층(53)의 상면에 장식층(106)을 설치하고, 이 장식층(106)의 상면에 광투과성을 갖는 금속층(96)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비점등시에 장식층(106)이 떠올라 보이기 때문에 제 14 실시형태와 똑같이 표면처리층(53), 금속층(96) 및 장식층(106)의 3자에 의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5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5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38에 나타내어진 제 13 실시형태의 변형예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120)은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에 광투과성을 갖는 금속층(101)을 설치하고, 이 금속층(101)의 상면에 시자(時字) 등의 장식층(121)을 설치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13 실시형태의 변형예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장식층(121)은 금속층(101)의 상면에 인쇄에 의해 형성된 막대형상의 시자이며, 1시∼12시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장식층(121)은 제 14 실시형태와 똑같이 금속층(101)과 다른 유색의 빛을 투과하는 것이어도 좋고, 또 광투과성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도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에는 전기주조가공에 의해 광투과성을 갖는 표면처리층(53)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120)에서는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광투과성 부재(51) 및 그 표면처리층(53)을 투과하고, 이 투과한 빛이 다시 금속층(101)을 투과하여 윗쪽으로 출사될 때 장식층(121)이 광투과성을 갖고 있어도, 또 광투과성을 갖고 있지 않아도 시자 등의 장식층(121)을 떠오르게 하여 조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정확히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비점등시에 금속층(101)에 의해 금속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고급감을 얻을 수 있는 외에, 이 금속층(101)이 표면처리층(53)과 같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층(101)에 의해 장식적인 표현이 풍부해지고, 이에 따라 표면처리층(53), 금속층(101), 장식층(121)의 3자에 의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6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44 및 도 4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6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21∼도 23에 나타내어진 제 7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125)은 광투과성 부재(51)의 표면처리층(53)의 상면에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126)을 설치하고, 이 장식층(126)의 상면에 시자 등의 금속층(127)을 설치한 구조이며, 이 이외는 제 7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장식층(126)은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 즉 표면처리층(53)의 상면에 인쇄에 의해 형성된 광투과성을 갖는 것으로, 무색투명이어도 좋지만, 금속층(127)과 다른 유색의 반투명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금속층(127)은 제 13 실시형태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고, 장식층(121)의 상면에 증착에 의해 빛을 투과하는 정도의 두께(예를 들면 200Å∼500Å 정도)로 형성된 막대형상의 시자이며, 1시∼12시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125)에서는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광투과성 부재(51) 및 그 표면처리층(53)을 투과하고, 이 투과한 빛이 다시 장식층(126)을 투과하여 윗쪽으로 출사할 때 그 출사광의 일부가 금속층(127)을 투과하는데, 이 투과하는 빛이 장식층(126)과 다른 유색의 빛이기 때문에 장식층(126)을 투과한 빛 속에 시자인 금속층(127)을 떠오르게 하여 조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정확히 시각을 알 수 있다. 또 발광부재(11)의 비점등시에는 금속층(127)에 의해 금속감이 있는 시자가 얻어지고, 이에 따라 고급감이 있는 것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표면처리층(53), 금속층(127), 장식층(126)의 3자에 의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7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46 및 도 4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7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21∼도 22에 나타내어진 제 7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130)은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에 설치된 표면처리층(53)상에 광투과성을 갖는 금속층(131)과 장식층(132)을 나란히 설치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7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금속층(131)은 제 13 실시형태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고, 광투과성 부재(51)의 상면, 즉 표면처리층(53)상에 증착에 의해 광투과 가능한 200Å∼500Å 정도의 두께로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빛이 투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장식층(132)은 인쇄에 의해 형성된 막대형상의 시자이고 금속층(13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장식층(132)도 금속층(96)과 다른 유색의 빛을 투과하는 것이어도 좋고, 또 광투과성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130)에 따르면, 발광부재(11)로부터의 빛이 광투과성 부재(51) 및 그 표면처리층(53)을 투과하면, 그 투과한 빛의 일부가 금속층(131)을 투과하여 윗쪽으로 출사하기 때문에 장식층(132)이 빛을 투과해도, 또 투과하지 않아도 장식층(132)을 떠오르게 하여 조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정확히 시각을 알 수 있다. 또 발광부재(11)의 비점등시에는 금속층(131)에 의해 금속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고급감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표면처리층(53), 금속층(131), 장식층(132)의 3자에 의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서도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5∼제 17 실시형태에서는 장식층 또는 금속층을 막대형상의시자에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라비아문자, 또는 기호나 도형, 또는 모양 등의 형상의 시자이어도 좋다.
또 상기 제 14∼제 17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장식층을 모두 같은 투과율로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장식층을 부분적으로 투과율이 다르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발광부재(11)의 점등시와 비점등시에서 장식층이 다른 모양을 표현하기 때문에 더한층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더욱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발광부재(11)를 그 빛의 강도가 조절 가능한 구조로 하면 빛의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모양 등의 장식적인 표현을 다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한층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더욱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 7∼제 17 실시형태 및 그 각 변형예에서는 광투과성 부재를 투명한 재료로 구성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색의 반투명한 재료, 또는 분말을 함유한 재료 등으로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발광재료(11)로부터의 빛을 유색의 빛으로 바꾸거나, 또는 투과율을 바꿀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 1∼제 17 실시형태 및 그 각 변형예에서는 아날로그기능을 갖는 손목시계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디지털기능, 또는 그 양자의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에 적용할 수 있는 외에, 손목시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탁상시계, 자명종, 여행용 시계, 벽시계 등의 시계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제 18 실시형태)
이하 도 48 및 도 4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18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도 48은 손목시계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단면도이다. 이 손목시계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손목시계케이스(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손목시계케이스(1)의 상부에는 시계유리(2)가 패킹(3)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손목시계케이스(1)의 내부에는 시계용 문자판(140)과 시계모듈(5)이 수납되어 있다. 또 손목시계케이스(1)의 하면에는 안덮개(7)가 방수링(8)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시계모듈(5)은 아날로그기능과 디지털기능 중 적어도 아날로그기능을 갖는 아날로그무브먼트(5a)를 구비하고, 이 아날로그무브먼트(5a)의 지침축(5b)이 시계용 문자판(140)의 중심부에 설치된 관통구멍(140a)을 통하여 윗쪽으로 돌출하고, 이 돌출한 지침축(5b)의 상단부에 시침, 분침, 초침 등의 지침(5c)이 부착되며, 이들 지침(5c)이 시계용 문자판(140)의 윗쪽을 운침하는 구조이다.
시계용 문자판(140)은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으로부터 차례로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판(141)과, 이 금속판(141)의 상면에 배치된 발광부재(142)와, 이 발광부재(142)의 상측에 배치된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부재(143)를 구비하고, 이들이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시계모듈(5)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발광부재(142)는 EL소자 등의 발광소자로 이루어지는 평면발광체이며, 시계모듈(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점등시에 발광하며, 그 일부의 빛이 하측의 금속판(141)에서 반사됨으로써 발광한 빛을 모두 윗쪽으로 출사한다.
장식부재(143)는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크릴 등의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투과성 부재(144)와, 이 광투과성 부재(144)의 상면에 설치된 광투과성을 갖는 컬러층(145)과, 광투과성 부재(144)의 하면에 설치된 박막금속층(146)과, 이 박막금속층(146)의 하면에 설치된 투명한 보호막(147)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이 발광부재(142)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컬러층(145)은 소정파장의 빛, 즉 유색의 빛을 투과하는 필터이며, 인쇄나 도장, 또는 증착 등에 의해 광투과성 부재(144)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 박막금속층(146)은 막두께가 1㎛∼5㎛ 정도이고, 인쇄나 도장, 또는 증착 등에 의해 형성되며, 미소한 구멍이 다수 설치되고, 이에 따라 광투과성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손목시계의 시계용 문자판(140)에서는 발광부재(142)가 점등하여 발광하면 그 빛이 발광부재(142)의 윗쪽으로 출사되고, 이 출사된 빛이 투명한 보호막(147), 박막금속층(146), 광투과성 부재(144) 및 컬러층(145)을 차례로 투과하고, 컬러층(145)에서 선택된 유색의 빛에 의해 컬러층(145)의 상면측을 조명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계유리(2)를 통하여 시각을 알 수 있다.
또 이 시계용 문자판(140)에 따르면, 발광부재(142)의 점등시 또는 비점등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컬러층(145)에서 선택된 유색의 빛에 의한 장식효과와 박막금속층(146)에 의한 금속의 장식효과가 얻어지고, 그 양자에 의해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박막금속층(146)의 하면에는 투명한 보호막(147)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박막금속층(146)을 얇게 형성해도, 이 박막금속층(146)을 보호막(147)으로 확실하고, 또한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손목시계에 따르면, 시계용 문자판(140)을 손목시계케이스내에 배치하는 동시에, 이 손목시계케이스(1)내에 배치된 시계용 문자판(140)의 상부위치에 시계유리(2)를 배치해도 시계유리(2)를 통하여 시계용 문자판(140)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이 시계용 문자판(140)에 의해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시계용 문자판(140)에 의해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9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5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19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48 및 도 49에 나타내어진 제 18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150)은 광투과성 부재(144)의 하면에 요철부(151)를 형성하고, 이 요철부(151)의 하면에 박막금속층(146) 및 투명한 보호막(147)을 설치한 구조이며, 이 이외는 제 18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요철부(151)는 호닝가공이나 헤어라인가공에 의해 방사상 모양, 동심원상 모양, 격자상 모양 등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박막금속층(146)은 요철부(151)와 같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박막금속층(146)의 하면의 보호막(147)은 그 상면이 요철형상을 이루고, 하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150)에 따르면, 제 18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광투과성 부재(144)의 하면에 요철부(15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부재(142)로부터의 빛을 요철부(151)의 방사상 모양, 동심원상 모양, 격자상 모양 등의 모양에 따라서 확산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제 18 실시형태보다도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9 실시형태에서는 광투과성 부재(144)의 하면에 요철부(151)를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51∼도 53에 각각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부(151)를 형성한 구조이어도 좋다.
즉 도 51에 나타내어진 시계용 문자판(150)의 제 1 변형예는 광투과성 부재(144)의 상면 전역에 요철부(151)를 형성하고, 이 요철부(151)의 상면에 컬러층(145)을 설치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제 19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또 도 52에 나타내어진 시계용 문자판(150)의 제 2 변형예는 광투과성 부재(144)의 상하양면의 전역에 각각 요철부(151)를 형성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구조로 하면 광투과성 부재(144)의 상하양면에 형성된 각 요철부(151)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제 19 실시형태보다도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53에 나타내어진 시계용 문자판(150)의 제 3 변형예는 광투과성 부재(144)의 상하양면에 각각 요철부(151)를 부분적으로 형성한 구조이다. 이 경우 광투과성 부재(144)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부(151)와 광투과성 부재(144)의 하면에 형성된 요철부(151)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엇갈리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광투과성 부재(144)의 상하양면에 형성된 각 요철부(151)에 의해 각각 독립된 장식효과가 얻어지고, 이에 따라 더한층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0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5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20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50에 나타내어진 제 19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155)은 광투과성 부재(144)의 하면에 형성된 요철부(151)의 하면에 장식부(156)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장식부(156)를 덮어서 박막금속층(146)을 설치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19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장식부(156)는 시자 등의 기호나 도형, 마크 등이며, 광투과성을 갖는 재료, 또는 광투과성을 갖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요철부(151)의 하면의 소정부분에 인쇄나 도장(클리어도장) 등으로 부분적으로 설치되며, 그 하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박막금속층(146)은 요철부(151)에 대응하는 부분이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장식부(156)에 대응하는 부분이 평탄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155)에 따르면, 제 19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요철부(151)의 하면에 장식부(156)를 설치했기 때문에, 이 장식부(156)에 의해서도 장식효과를 부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더한층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0 실시형태에서는 광투과성 부재(144)의 하면에 형성된 요철부(151)에 장식부(156)를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55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컬러층(145)의 상면의 소정부분에 장식부(156)를 부분적으로 설치한 구조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제 20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장식부(156)가 떠올라 보이기 때문에 더한층 장식성이 높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컬러층(145)은 도 55에 나타내는 평탄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 도 51∼도 5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투과성 부재(144)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부(151)에 따른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21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5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2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48 및 도 49에 나타내어진 제 18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160)은 광투과성 부재(144)의 하면에 인쇄층(161)을 설치하고, 이 인쇄층(161)의 하면에 박막금속층(146) 및 투명한 보호막(147)을 설치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18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인쇄층(161)은 광투과성 부재(144)의 하면에 단면반원호상의 볼록부를 다수 인쇄나 도장 등으로 설치함으로써 전체가 요철형상을 이루고, 또한 방사상 모양, 동심원상 모양, 격자상 모양 등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박막금속층(146)은 인쇄층(161)과 같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박막금속층(146)의 하면의 투명한 보호막(147)은 그 상면이 요철형상을 이루고, 하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160)에 따르면, 제 18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광투과성 부재(144)의 하면에 요철형상의 인쇄층(161)을 설치했기 때문에 발광부재(142)로부터의 빛을 인쇄층(161)의 요철형상에 따라서 확산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제 18 실시형태보다도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인쇄층(161)은 인쇄나 도장 등에 의해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가격의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1 실시형태에서는 광투과성 부재(144)의 하면에 요철형상의 인쇄층(161)을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57∼도 59에 각각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층(161)을 설치한 구조이어도 좋다.
즉 도 57에 나타내어진 시계용 문자판(160)의 제 1 변형예는 광투과성 부재(144)의 상면 전역에 요철형상의 인쇄층(161)을 설치하고, 이 인쇄층(161)의 상면에 컬러층(145)을 설치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제 21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또 도 58에 나타내어진 시계용 문자판(160)의 제 2 변형예는 광투과성 부재(144)의 상하양면의 전역에 각각 인쇄층(161)을 설치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하면 광투과성 부재(144)의 상하양면에 설치된 각 인쇄층(161)의 요철형상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제 21 실시형태보다도 다채로운 장식효과를얻을 수 있다.
또한 도 59에 나타내어진 시계용 문자판(160)의 제 3 변형예는 광투과성 부재(144)의 상하양면에 각각 인쇄층(161)을 부분적으로 설치한 구조이다. 이 경우 광투과성 부재(144)의 상면에 설치된 인쇄층(161)과 광투과성 부재(144)의 하면에 설치된 인쇄층(161)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엇갈리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광투과성 부재(144)의 상하양면에 설치된 각 인쇄층(161)의 요철형상에 의해 각각 독립된 장식효과가 얻어져서 더한층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6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2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48 및 도 49에 나타내어진 제 18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165)은 발광부재(142)의 상측에 광투과성 컬러부재(166)를 배치하고, 이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하면에 박막금속층(146) 및 투명한 보호막(147)을 적층시킨 구조이며, 이 이외는 제 18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광투과성 컬러부재(166)는 유색의 반투명한 재료, 또는 유색의 분말을 함유한 반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소정파장의 빛, 즉 유색의 빛을 투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165)에 따르면, 발광부재(142)가 점등하여 발광하면 그 빛이 발광부재(142)의 윗쪽으로 출사되고, 투명한 보호막(147), 박막금속층(146) 및 광투과성 컬러부재(166)를 차례로 투과하며,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에서 선택된 유색의 빛에 의해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상면측을 조명하기 때문에 제 18 실시형태와 똑같이 어두운 곳에서도 시계유리(2)를 통하여 시각을 알 수 있다.
또 이 시계용 문자판(165)에서는 발광부재(142)의 점등시 또는 비점등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에서 선택된 유색의 빛에 의한 장식효과와 박막금속층(146)에 의한 금속의 장식효과가 얻어지고, 그 양자에 의해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시계용 문자판(165)은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하면에 박막금속층(146) 및 보호막(147)을 적층시키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제 18 실시형태보다도 전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제 2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6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2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60에 나타내어진 제 22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170)은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하면에 요철부(171)를 형성하고, 이 요철부(171)의 하면에 박막금속층(146) 및 투명한 보호막(147)을 설치한 구조이며, 이 이외는 제 22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요철부(171)는 호닝가공이나 헤어라인가공에 의해 방사상 모양, 동심원상 모양, 격자상 모양 등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박막금속층(146)은 요철부(171)와 같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박막금속층(146)의 하면의 보호막(147)은 그 상면이 요철형상을 이루고, 하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170)에 따르면, 제 22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하면에 요철부(17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부재(142)로부터의 빛을 요철부(171)의 방사상 모양, 동심원상 모양, 격자상 모양 등의 모양에 따라서 확산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제 22 실시형태보다도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3 실시형태에서는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하면에 요철부(171)를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62∼도 64에 각각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부(171)를 형성한 구조이어도 좋다.
즉 도 62에 나타내어진 시계용 문자판(170)의 제 1 변형예는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상면 전역에 요철부(171)를 형성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제 23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또 도 63에 나타내어진 시계용 문자판(170)의 제 2 변형예는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상하양면의 전역에 각각 요철부(171)를 형성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하면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상하양면에 형성된 각 요철부(171)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제 23 실시형태보다도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64에 나타내어진 시계용 문자판(170)의 제 3 변형예는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상하양면에 각각 요철부(171)를 부분적으로 형성한 구조이다. 이 경우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부(171)와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하면에 형성된 요철부(171)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엇갈리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상하양면에 형성된 각 요철부(171)에 의해 각각 독립된 장식효과가 얻어지고, 이에 따라 더한층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6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2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61에 나타내어진 제 23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175)은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하면에 형성된 요철부(171)의 하면에 장식부(176)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장식부(176)를 덮어서 박막금속층(146)을 설치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23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장식부(176)는 시자 등의 기호나 도형, 마크 등이며, 광투과성을 갖는 재료, 또는 광투과성을 갖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요철부(171)의 하면의 소정부분에 인쇄나 도장(클리어도장) 등으로 부분적으로 설치되며, 그 하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박막금속층(146)은 요철부(171)에 대응하는 부분이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장식부(176)에 대응하는 부분이 평탄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175)에 따르면, 제 23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요철부(171)의 하면에 장식부(176)를 설치했기 때문에, 이 장식부(176)에 의해서도 장식효과를 부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더한층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4 실시형태에서는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하면에 형성된 요철부(171)의 하면에 장식부(176)를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66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상면의 소정부분에 장식부(176)를 부분적으로 설치한 구조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제 24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장식부(176)가 떠올라 보이기 때문에 더한층 장식성이 높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광투과성 컬러부재(166)는 도 66에 나타내는 평탄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 도 62∼도 6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부(171)에 따른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25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6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의 제 25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60에 나타내어진 제 22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시계용 문자판(180)은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하면에 인쇄층(181)을 설치하고, 이 인쇄층(181)의 하면에 박막금속층(146) 및 투명한 보호막(147)을 설치한 구조이며, 이 이외는 제 22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인쇄층(181)은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하면에 단면반원호상의 볼록부를 다수 인쇄나 도장 등으로 설치함으로써 전체가 요철형상을 이루고, 또한 방사상 모양, 동심원상 모양, 격자상 모양 등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박막금속층(146)은 인쇄층(181)과 같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박막금속층(146)의 하면의 투명한 보호막(147)은 그 상면이 요철형상을 이루고, 하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계용 문자판(180)에 따르면, 제 22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하면에 요철형상의 인쇄층(181)을 설치했기 때문에 발광부재(142)로부터의 빛을 인쇄층(181)의 요철형상에 따라서 확산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제 22 실시형태보다도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인쇄층(181)은 인쇄나 도장 등에 의해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가격의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5 실시형태에서는 광투과성 부재(166)의 하면에 요철형상의 인쇄층(181)을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68∼도 70에 각각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층(181)을 설치한 구조이어도 좋다.
즉 도 68에 나타내어진 시계용 문자판(180)의 제 1 변형예는 광투과성 부재(166)의 상면 전역에 요철형상의 인쇄층(181)을 설치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제 25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또 도 69에 나타내어진 시계용 문자판(180)의 제 2 변형예는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상하양면의 전역에 각각 인쇄층(181)을 설치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구조로 하면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상하양면에 설치된 각 인쇄층(181)의 요철형상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제 25 실시형태보다도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70에 나타내어진 시계용 문자판(180)의 제 3 변형예는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상하양면에 각각 인쇄층(181)을 부분적으로 설치한 구조이다. 이 경우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상면에 설치된 인쇄층(181)과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하면에 설치된 인쇄층(181)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엇갈리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광투과성 컬러부재(166)의 상하양면에 설치된 각 인쇄층(181)의 요철형상에 의해 각각 독립된 장식효과가 얻어져서 더한층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제 25 실시형태 및 그 각 변형예에서는 아날로그기능을 갖는 손목시계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디지털기능, 또는 그 양자의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에도 적용할 수 있는 외에, 손목시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탁상시계, 자명종, 여행용 시계, 벽시계 등의 시계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장식용의 관통구멍이 설치된 장식부재와, 이 장식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부재를 구비하고, 이 발광부재의 상면에 표면처리층을 설치함으로써 발광부재의 점등시에 장식부재의 관통구멍을 투과한 빛이, 그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장식부재의 상면측을 부분적으로 조명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장식부재에 의한 장식효과와, 이 장식부재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발광부재의 표면처리층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고, 그 양자에 의하여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에 따르면, 장식용의 관통구멍이 설치된 장식부재와, 이 장식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광투과성 부재와, 이 광투과성 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부재를 구비하고, 이 광투과성 부재의 상하면 및 발광부재의 상면 중 적어도 일면에 표면처리층을 설치함으로써 발광부재의 점등시에 장식부재의 관통구멍을 투과한 빛이, 그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장식부재의 상면측을 부분적으로 조명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장식부재에 의한 장식효과와, 이 장식부재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광투과성 부재의 상하면, 또는 발광부재의 상면의 적어도 일면에 설치된 표면처리층에 의한 장식효과에 의해 입체적인 장식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표면처리층이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층이면 표면처리층을 장식부재와 동색계로 함으로써 발광부재의 비점등시에 장식부재의 관통구멍이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표면처리층이 표면을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요철층이면 발광부재의 점등시에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을 장식부재의 관통구멍으로부터 외부로 확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통구멍의 외주측을 밝게 할 수 있다.
또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 표면을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요철층의 표면처리층을 설치하고, 광투과성 부재의 하면에 표면을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요철층의 표면처리층, 또는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투과성을 갖는 표면처리층을 설치하고, 발광부재의 상면에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투과성을 갖는 표면처리층을 설치함으로써 발광부재의 점등시와 비점등시에서 다른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 표면을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요철층의 표면처리층을 설치하고, 광투과성 부재의 하면에 표면을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요철층의 표면처리층, 또는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비광투과성을 갖는 표면처리층을 설치하며, 발광부재의 상면에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비광투과성을 갖는 표면처리층을 설치함으로써 상기와 똑같이 발광부재의 점등시와 비점등시에서 다른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장식부재의 상면에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층의 표면처리층을 설치하면, 이 표면처리층에 의해서도 장식효과가 얻어져서 더한층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에 따르면, 장식용의 관통구멍이 설치된 장식부재와, 이 장식부재의 관통구멍내에 설치된 광투과성 부재와, 이 광투과성 부재 및 장식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부재를 구비하고, 장식부재의 상면 및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표면처리층을 설치함으로써 발광부재의 점등시에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장식부재의 관통구멍내에 설치된 광투과성 부재 및 그 상면에 설치된 광투과성을 갖는 표면처리층을 투과하고, 이 투과한 빛이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장식부재의 상면측을 부분적으로 조명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장식부재의 상면 및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 설치된 표면처리층에 의해 발광부재의 점등시와 비점등시에서 다른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에 따르면, 장식용의 관통구멍이 설치된 장식부재와, 이 장식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유색의 광투과성 부재와, 이 광투과성 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발광부재의 점등시에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유색의 광투과성 부재를 지나고, 이 광투과성 부재를 투과한 유색의 빛이 장식부재의 관통구멍을 투과하며, 이 투과한 빛이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장식부재의 상면측을 부분적으로 조명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장식부재에 의한 장식효과와, 이 장식부재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유색의 광투과성 부재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고, 그 양자에 의하여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에 따르면, 발광부재의 상층에 설치된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 전기주조가공에 의해 광투과성을 갖는 표면처리층을 설치했기 때문에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광투과성 부재 및 그 상면의 표면처리층을 투과하여 윗쪽으로 출사되고, 이에 따라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측을 조명할 수 있어서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 전기주조가공에 의한 표면처리층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처리층의 요철모양에 의한 표현이 풍부해지고, 이에 따라서 여러 가지 빛의 확산상태, 또는 여러 가지 빛의 반사상태가 얻어지며, 이에 따라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재의 상층에 광투과성 부재와 금속부재가 그 양자의 상면을 노출시킨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과 똑같이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광투과성 부재 및 그 상면의 표면처리층을 투과하여 윗쪽으로 출사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의 표면처리층에 의해 장식적인 표현이 풍부해지는 외에 금속부재에 의해 금속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고급감이 더해지고, 이에 따라 광투과성 부재의 표면처리층과 금속부재의 양자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더욱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광투과성 부재가 무색투명, 또는 유색의 반투명한 재료, 또는 분말을 함유한 광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면 광투과성 부재에 의해서도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표면처리층이, 다른 복수의 전기주조모양부, 또는 경면부를 혼재시킨 구조이면 표면처리층의 요철모양에 의한 표현이 더욱 풍부해지고, 더한층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더욱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광투과성을 갖는 금속층이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금속층에 의해서도 금속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고급감이 더해지며, 이에 의해서도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수 있다.
또 금속층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장식층이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장식층에 의해서도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더욱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장식층이 금속층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으면 발광부재의 비점등시에 장식층이 금속층에 의하여 감추어지는데, 발광부재의 점등시에 장식층이 떠오르기 때문에 점등시와 비점등시에서 다른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한층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더욱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 광투과성을 갖는 금속층과 장식층이 부분적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면 표면처리층에 의한 장식효과 외에 금속층과 장식층의 양자에 의한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이에 의해서도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장식층이 부분적으로 투과율이 다른 구조이면 발광부재의 점등시와 비점등시에서 장식층에 의한 다른 장식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이에 의해서도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재가 발광하는 빛의 강도를 조절 가능한 구조이면 발광부재의 점등시에 있어서의 빛의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장식층에 의한 장식적인 표현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서도 장식적인 베리에이션이 풍부해져서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시계용 문자판에 따르면, 발광부재와, 이 발광부재의 상측에배치되는 광투과성 부재와, 이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 설치된 광투과성을 갖는 컬러층과, 광투과성 부재의 하면에 설치된 광투과성을 갖는 박막금속층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이 광투과성을 갖는 박막금속층, 광투과성 부재 및 컬러층을 투과하고, 이 컬러층을 투과한 유색의 빛에 의해 컬러층의 상면측을 조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컬러층을 투과한 유색의 빛에 의한 장식효과와 박막금속층에 의한 금속의 장식효과가 얻어지고, 그 양자에 의하여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광투과성 부재의 상하면 중 적어도 한쪽 면의 전역 또는 일부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을 요철부에 의하여 확산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장식효과가 얻어진다. 또 요철부가 인쇄층인 것에 의해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요철부를 형성할 수 있어서 저가격의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컬러층에 장식부가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 장식부에 의해서도 장식효과를 부가할 수 있으며, 또 광투과성 부재의 하면에 장식부가 부분적으로 설치되고, 또한 이 장식부를 덮어서 박막금속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박막금속층상의 장식부에 의해서도 장식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또 박막금속층의 하면에 투명한 보호막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박막금속층을 얇게 형성해도, 이 박막금속층을 보호막에 의하여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시계에 따르면, 시계용 문자판을 시계케이스내에 배치하는 동시에, 이 시계케이스내에 배치된 시계용 문자판의 상부위치에 시계유리를 배치한 것에 의해 시계용 문자판을 시계케이스내에 배치해도 시계용 문자판의 상부위치에배치된 시계유리를 통하여 시계용 문자판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이 시계용 문자판에 의해 어두운 곳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시계용 문자판에 의해 다채로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5)

  1. 장식용의 관통구멍이 설치된 장식부재와, 이 장식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장식부재의 상면에는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층의 표면처리층이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재의 상면에 표면처리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층은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층은 표면을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요철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5. 장식용의 관통구멍이 설치된 장식부재와, 이 장식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광투과성 부재와, 이 광투과성 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는 표면을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요철층의 상기 표면처리층이 설치되고, 상기 광투과성 부재의 하면에는 표면을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요철층, 또는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상기 표면처리층이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재의 상면에는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상기 표면처리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6. 장식용의 관통구멍이 설치된 장식부재와, 이 장식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광투과성 부재와, 이 광투과성 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는 표면을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요철층의 상기 표면처리층이 설치되고, 상기 광투과성 부재의 하면에는 표면을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요철층, 또는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비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상기 표면처리층이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재의 상면에는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비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상기 표면처리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7. 삭제
  8. 장식용의 관통구멍이 설치된 장식부재와, 이 장식부재의 상기 관통구멍내에 설치된 광투과성 부재와, 이 광투과성 부재 및 상기 장식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장식부재의 상면 및 상기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 도포, 인쇄, 증착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투과성을 갖는 장식층의 표면처리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9. 장식용의 관통구멍이 설치된 장식부재와, 이 장식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유색의 광투과성 부재와, 이 광투과성 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10. 발광부재와, 이 발광부재의 상층에 설치되는 광투과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 전기주조가공에 의해 광투과성을 갖는 표면처리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의 상층에는 상기 광투과성 부재와 금속부재가 그 양자의 상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부재는 무색투명 또는 유색의 반투명한 재료, 또는 분말을 함유한 광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층은 다른 복수의 전기주조모양부 또는 경면부가 혼재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광투과성을 갖는 금속층이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장식층이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는 광투과성을 갖는 금속층과 장식층이 부분적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은 부분적으로 투과율이 다른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발광하는 빛의 강도가 조절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19. 발광부재와, 이 발광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광투과성 부재와, 이 광투과성 부재의 상면에 설치된 광투과성을 갖는 컬러층과, 상기 발광부재에 대향하는 상기 광투과성 부재의 하면에 설치된 광투과성을 갖는 박막금속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부재의 상하면 중 적어도 한쪽 면의 전역 또는 일부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인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층에는 장식부가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부재의 하면에는 장식부가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장식부를 덮어서 상기 박막금속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금속층의 하면에는 투명한 보호막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용 문자판.
  25. 장식용의 관통구멍이 설치된 장식부재와, 이 장식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발광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재의 상면에 표면처리층을 설치한 시계용 문자판을 시계케이스내에 배치하는 동시에, 이 시계케이스내에 배치된 시계용 문자판의 상부위치에 시계유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KR10-2000-0066629A 1999-11-12 2000-11-10 시계용 문자판 및 시계 KR100407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186099 1999-11-12
JP1999-321860 1999-11-12
JP1999-370891 1999-12-27
JP37089199 1999-12-27
JP2000295488A JP2002108554A (ja) 2000-09-28 2000-09-28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
JP2000295499A JP2001249189A (ja) 1999-11-12 2000-09-28 時計用文字板および時計
JP2000295499 2000-09-28
JP2000-295488 2000-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581A KR20010051581A (ko) 2001-06-25
KR100407831B1 true KR100407831B1 (ko) 2003-12-01

Family

ID=3752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629A KR100407831B1 (ko) 1999-11-12 2000-11-10 시계용 문자판 및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8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117A (ko) * 1994-10-27 1996-05-22 야마무라 가쯔미 전기발광식 표시장치 및 전기발광식 표시장치를 사용한 발광 문자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117A (ko) * 1994-10-27 1996-05-22 야마무라 가쯔미 전기발광식 표시장치 및 전기발광식 표시장치를 사용한 발광 문자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581A (ko) 200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64021B (zh) 仪表用显示板及仪表用显示板的制造方法
JP3611965B2 (ja) 時計用文字板
KR20070086405A (ko) 둘 이상의 그룹의 인터레이스 광학 추출기가 제공되는 광학도파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632840B (zh) 可变的钟表构件
US6512721B1 (en) Luminous Dial for timepiece
JP3743885B2 (ja) 表示部材、時計および電子機器
TW486612B (en) Dial for timepie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imepiece
CN110632839A (zh) 可变钟表构件
JP3203279U (ja) 時計
US7499380B2 (en) Dial
JPH0743477A (ja) 時計用夜光文字板構造
KR100407831B1 (ko) 시계용 문자판 및 시계
JPH10206560A (ja) 化粧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化粧部材を用いた時 計装置
JPH1026670A (ja)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を備えた時計
JP2001099952A (ja) 時計用文字板および時計
JP2002098776A (ja) 時計用文字板および時計
JP2002357673A (ja) 表示部材、これを用いた時計用文字板および電子機器
JP3853626B2 (ja) 光透過型金属調表示板の製造方法
JPH07287541A (ja) 夜光塗料付き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685435B2 (ja) 太陽電池付時計
US20220390898A1 (en) Timepiece with localised illumination
JP2001099951A (ja) 時計用文字板および時計
KR0127779Y1 (ko) 장식용 테두리를 부착한 손목시계
CN206270669U (zh) 手表
JP2006275703A (ja) 時計文字板、時計装置及び時計文字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