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951B1 - 광학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광학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951B1
KR100406951B1 KR10-2001-0079996A KR20010079996A KR100406951B1 KR 100406951 B1 KR100406951 B1 KR 100406951B1 KR 20010079996 A KR20010079996 A KR 20010079996A KR 100406951 B1 KR100406951 B1 KR 100406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abinet
vibration absorbing
optical system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699A (ko
Inventor
간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9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951B1/ko
Priority to US10/216,184 priority patent/US6623128B2/en
Publication of KR20030049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2Soundproof bod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광학계 고정장치는 케이싱을 구성하는 캐비넷을 갖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케비넷에 설치되고 화상을 형성하고 확대하여 투사하는 광학계를 탑재하는 브라켓; 브라켓의 일측부와 캐비넷의 대응부분 중 한 곳에 형성된 돌출부, 브라켓의 일측부와 캐비넷의 대응부분 중 다른 한 곳에 형성된 돌출부 수용부, 및 돌출부와 돌출부 수용부사이에 배치되어 캐비넷으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는 제 1 진동 흡수부재를 갖는 제 1 체결부; 및 브라켓의 타측부와 브라켓의 대응 부분사이에 개재되어 캐비넷으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는 제 2 진동 흡수부재, 및 일부는 캐비넷의 타측부와 직접적으로 고정되고 다른 일부는 제 2 진동 흡수부재와 접촉하여 제 2 진동 흡수부재를 브라켓 쪽으로 압착하는 중간 고정부재를 갖는 제 2 체결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계 고정장치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운반 또는 이동시 제 1 및 제 2 체결부에 의해 광학계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을 뿐 아니라 스피커의 음량을 높일 경우 발생하는 캐비넷의 진동을 제 1 및 제 2 진동 흡수부재가 모두 흡수함으로, 대화면 및 고음질을 요구하는 프로젝션 장치에서 음량의 차이로 인한 화면 떨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광학계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an optic system}
본 발명은 프로젝션 텔레비젼과 같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광학계의 떨림 및 그로 인한 화면 떨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피커의 음량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광학계를 고정 지지해 주는 캐비넷으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게 한 광학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션 텔레비젼과 같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표시소자 등을 사용하여 영상을 발생시키고, 이 영상을 투사렌즈를 통해 확대시켜 대형 스크린에 투사하는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써,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형 화면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날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프로젝션 텔레비젼은 광원에서 발생된 광 빔을 액정표시 소자를 통해 선택적으로 투과하여 화상을 발생시키고 이 화상을 투사렌즈를 통해 확대하여 투사하도록 케이싱(10) 하부의 캐비넷(20)에 설치된 광학계(30), 광학계(30)에서 확대된 화상을 전면으로 반사하도록케이싱(10)의 배면 상부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장착된 반사경(40), 및 반사경(40)에서 반사된 화상을 투과 또는 결상시키도록 케이싱(10)의 상부 전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스크린(5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부품 중 광학계(30)는 화상을 형성하고 확대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핵심 구성부분으로, 작은 위치변동에 의해서도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화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광학계(30)는 텔레비젼의 운반 또는 이동시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광학계 고정장치(60)에 의해 케이싱을 구성하는 캐비넷(20)에 확고하게 고정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계 고정장치(60)는 일측 하부에서 수평으로 돌출된 돌출 걸이부(64)와 타측부에서 하부로 돌출된 고정단(66)을 갖는 광학계 지지 브라켓(62), 지지 브라켓(62)의 돌출 걸이부(64)를 수용하도록 돌출 걸이부(64)에 대응하는 캐비넷(20)의 부분에 형성된 수용홈(22), 및 지지 브라켓(62)의 고정단(66)을 캐비넷(20)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68)로 구성된다. 지지 브라켓(60)의 상부에는 광학계(30), 즉 램프, 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에 의해 각각의 고유컬러인 레드(RED), 그린(GREEN), 불루(BLUE)를 반사시키는 음극선관 미러, 각 음극선관 미러에서 투사되는 컬러의 조합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맺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및 LCD 패널에 맺힌 상을 확대시키는 투사 렌즈로 구성되는 본체부(32)와, 본체부(32)의 램프, LCD 패널 등을 제어하는 회로기판(34)과, 회로기판(34)에 전원을 공급하는 트랜스 포머와 같은 전원 공급부(36)가 나사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광학계 고정장치(60)는 광학계(30)를 탑재한 지지 브라켓(62)이 돌출 걸이부(64)에 의해 캐비넷(20)의 수용홈(22)에 1차 체결된 후 나사(68)에 의해 캐비넷(20)에 2차 고정됨으로, 광학계(30)는 운반 또는 이동시에도 위치가 가변되지 않고 확실하게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광학계 고정장치(30)는 스피커(70)가 캐비넷(2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피커(70)의 음량을 높일 경우 스피커(70)의 진동에 의해 캐비넷(20)과 함께 그곳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62)이 떨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지지 브라켓(62)이 스피커(70)의 진동에 의해 떨릴 경우, 화상을 형성하고 확대하여 투사하는 광학계(30)가 떨리게 되고, 그에 따라 광학계(30)에서부터 반사경(40)으로 투사되어 스크린(50)을 통해 결상 또는 투과되는 화상이 떨리게 된다. 따라서, 결국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화면 전체가 떨리게 됨으로, 사용자는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의 음량에 제약을 받게되고, 그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운반 또는 이동시 광학계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을 뿐 아니라 대화면 및 고음질을 요구하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음량의 차이로 인한 화면 떨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광학계 고정장치를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일치하는 광학계 고정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광학계 고정장치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싱 20, 120: 캐비넷
22: 수용홈 30, 130: 광학계
32, 132: 본체부 34, 134: 회로기판
36, 136: 전원 공급부 40: 반사경
50: 스크린 60, 100: 광학계 고정장치
62, 110: 브라켓 64: 돌출 걸이부
70, 170: 스피커 112: 지지판
114, 116: 단부벽 115, 140: 진동 흡수체결부
117, 117', 118: 수용홀 122: 바닥
123, 123': 돌출부 124, 124', 145: 진동 흡수부재
126, 126': 고정 브라켓 128, 128: 탄성 지지부재
142: 중간 고정부재 143, 143': 고정돌기
144, 144': 기준 돌출부 150, 150': 고정부
152, 152': 고정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싱을 구성하는 캐비넷, 케비넷에 설치되고 화상을 형성하고 확대하여 투사하는 광학계, 및 광학계를 탑재하는 브라켓을 구비한 광학계를 캐비넷에 고정하기 위한 광학계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광학계 고정장치는 브라켓의 일측부와 대응하는 캐비넷의 부분 중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 브라켓의 일측부와 대응하는 캐비넷의 부분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돌출부를 수용하는 돌출부 수용부, 및 돌출부와 돌출부 수용부사이에 배치되어 캐비넷으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는 제 1 진동 흡수 부재를 갖는 제 1 진동 흡수체결부; 및 브라켓의 타측부와 대응하는 캐비넷의 부분사이에 개재되어 캐비넷으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는 제 2 진동 흡수부재를 갖는 브라켓의 타측부를 대응하는 캐비넷의 부분에 체결하기 위한 제 2 진동흡수 체결부를 포함하는 광학계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 2 진동흡수 체결부는, 일부는 고정부에 의해 대응하는 캐비넷의 부분과 직접적으로 고정되고 다른 일부는 제 2 진동 흡수부재와 접촉하여 제 2 진동 흡수부재를 브라켓의 타측부 쪽으로 압착하는 중간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 1 진동 흡수체결부는 브라켓의 일측부와 대응하는 캐비넷의 부분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진동 흡수부재는 돌출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반원구형 고무튜브로 구성되고, 제 2 진동 흡수부재는 브라켓과 중간 고정부재사이의 접촉부에서 브라켓의 타측부에 부착된 고무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고정부는 나사 또는 리벳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고정부재는 브라켓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도록 중간 고정부재가 제 2 진동흡수 부재를 브라켓 쪽으로 압착할 때 브라켓의 타측부에 부착된 제 2 진동 흡수부재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기 위한 최소한 한개 이상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중간 고정부재는 조립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조립기준부를 포함한다. 조립기준부는 브라켓의 타측부와 접촉하는 중간 고정부재의 부분에 형성된 기준 돌출부, 및 기준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기준 돌출부에 대응하는 브라켓의 타측부의 부분에 형성된 기준 돌출부 수용부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일치하는 광학계 고정장치를 첨부도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프로젝션 텔레비젼으로, 화상을 발생하고 이 화상을 투사렌즈를 포함하는 본체부(132)를 통해 확대하여 투사하도록 케이싱(도시하지 않음) 하부에 위치한 캐비넷(120)에 설치된 광학계(130), 광학계(130)에 인접하게 캐비넷(120)에 설치된 다수개의 스피커(170), 광학계(130)에서 확대된 화상을 전면으로 반사하는 반사경(도시하지 않음), 및 반사경에서 반사된 화상을 투과 또는 결상시키는 스크린(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광학계(130)는 텔레비젼의 운반 또는 이동시 위치가 가변되지 않고 스피커(170)의 출력이 높아지더라도 진동을 발생하지 않도록 본 발명의 광학계 고정장치(100)에 의해 캐비넷(120)에 고정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일치하는 광학계 고정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광학계 고정장치(100)는 케비넷(120)에 설치되고 화상을 형성하고 확대하여 투사하는 광학계(130)를 탑재하는 지지 브라켓(110), 브라켓(110)의 일측 단부벽(114)을 캐비넷(120)의 수직 측벽(121)의 대응 부분에 소켓식으로 결합 지지하기 위한 제 1 진동 흡수체결부(115, 도 3), 및 브라켓(110)의 타측 단부벽(116)을 캐비넷(120)의 바닥(122)의 대응 부분에 고정하기 위한 제 2 진동 흡수 체결부(140)로 구성된다.
지지 브라켓(110)상에는 장방형 형태의 지지판(112). 및 지지판(112)의 가장자리에서부터 하부쪽으로 연장된 측단부벽들(114, 116)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판(112)의 상부에는 광학계(130)를 구성하는 본체부(132), 회로기판(134), 및 전원 공급부(136)가 나사 등에 의해 탑재되어 있다.
제 1 진동 흡수체결부(115)는 캐비넷(120)의 수직 측벽(121)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 1 및 제 2 원통형 돌출부(123, 123'), 제 1 및 제 2 원통형 돌출부(123, 123')를 수용하도록 브라켓(110)의 일측 단부벽(114)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돌출부 수용홀(118), 및 각각 제 1 및 제 2 돌출부(123, 123')와 제 1 및 제 2 돌출부 수용홀(118)사이에 배치되어 캐비넷(120)의 수직 측벽(121)에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제 1 및 제 2 돌출부(123, 123')와 제 1 및 제 2 돌출부 수용홀(118)의 접촉을 완충시켜 주는 두개의 제 1 진동흡수 부재(124, 124')를 구비한다. 제 1 진동 흡수부재(124, 124')는 각각 제 1 및 제 2 돌출부(123, 123')를감싸도록 형성되고 일단부가 반원구형 형상을 갖는 고무튜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진동 흡수체결부(115)는 브라켓(110)의 일측 단부벽(114)과 캐비넷(120)의 수직 측벽(121)의 대응부분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지지부재(128, 128')를 포함한다. 탄성 지지부재(128, 128')는 캐비넷(120)의 수직 측벽(121)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돌출부(123, 123') 아래 및 위쪽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탄성 지지부재(128, 128')는 브라켓(110)의 일측 단부벽(114)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돌출부(123, 123')가 원통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제 1 및 제 2 돌출부 수용홀(118)이 홀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제 1 및 제 2 돌출부(123, 123')가 판형태를 갖도록 구성되고 제 1 및 제 2 돌출부 수용홀(118)이 상응하는 홈 형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제 1 및 제 2 돌출부(123, 123')와 제 1 및 제 2 돌출부 수용홀(118)의 위치 역시 캐비넷(120)의 수직 측벽(121)과 브라켓(112)의 일측 단부벽(114)에 각각 형성하는 대신, 이와 반대로 브라켓(112)의 일측 단부벽(114)과 캐비넷(120)의 수직 측벽(121)에 각각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 2 진동 흡수체결부(140)는 캐비넷(120)의 바닥(122)에서 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브라켓(112)의 타측 단부벽(116)에 형성된 제 2 진동 흡수 부재(145), 일부는 캐비넷(120)과 직접적으로 고정되고 다른 일부는 제 2 진동 흡수부재(145)와 접촉하여 제 2 진동 흡수부재(145)를 브라켓(110) 쪽으로 압착하는 중간 고정부재(142), 및 중간 고정부재(142)를 중간 고정부재(142)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고정 홀(152, 152')을 통하여 캐비넷(120)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고정 브라켓(126, 126')에 고정하는 나사 또는 리벳과 같은 제 1 및 제 2 고정부(150, 150')를 포함한다.
제 2 진동 흡수부재(145)는 중간 고정부재(142)와 브라켓(110)사이에서 브라켓(110)의 타측 단부벽(116)의 표면 또는 수용홈(도시하지 않음)에 접착된 장방형 고무판으로 구성된다.
중간 고정부재(142)는 브라켓(110)의 타측 단부벽(116)에 부착된 제 2 진동 흡수부재(145)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고정돌기(143, 143')를 포함하는 장방형 판으로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고정돌기(143, 143')는 중간 고정부재(142)가 제 1 및 제 2 고정부(150, 150')에 의해 바닥(122)의 제 1 및 제 2 고정 브라켓(126, 126')에 고정되어 제 2 진동 흡수부재(145)를 브라켓(110)의 타측 단부벽(116) 쪽으로 압착할 때, 제 2 진동 흡수부재(145)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여 운반 또는 이동시 및 스피커(170)의 진동으로 인한 캐비넷(120)의 진동시 브라켓(110)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중간 고정부재(142)는 조립시 기준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조립기준부를 포함한다. 조립기준부는 브라켓(110)의 타측 단부벽(116)과 접촉하는 중간 고정부재(142)의 하부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기준 돌출부(144, 144'), 및 제 1 및 제 2 기준 돌출부(144, 144')를 수용하도록 제 1 및 제 2 기준 돌출부(144, 144')에 대응하는 브라켓(110)의 타측 단부벽(116)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기준 돌출부 수용홀(117, 117')로 이루어 진다. 제 1 및 제 2 기준 돌출부 수용홀(117, 117')은 중간 고정부재(142)가 제 1 및 제 2 고정 브라켓(126, 126')에 고정되었을 때 제 1 및 제 2 기준 돌출부(144, 144')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제 1 및 제 2 기준 돌출부(144, 144') 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계 고정장치(100)는 광학계(130)를 탑재한 브라켓(110)을 캐비넷(120)에 고정할 때, 브라켓(110)의 측단부벽들(114, 116)이 각각 제 1 및 제 2 돌출부와 돌출부 수용홀(123, 123'; 118), 및 중간 고정부재(142)와 제 1 및 제 2 고정돌기(143,143')에 의해 캐비넷(120)의 수직 측벽(121) 및 바닥(122)에 확고하게 고정될 뿐 아니라, 캐비넷(120)의 수직 측벽(121) 및 바닥(122)에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제 1 및 제 2 진동 흡수부재(124, 124'; 145)를 통해 완전히 흡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스피커(170)의 출력을 높이더라도 음량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스피커(170)와 캐비넷(120)의 진동은 대부분 제 1 및 제 2 진동 흡수부재(124, 124'; 145)에 의해 흡수되어 광학계(130) 쪽으로는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광학계 고정장치(100)의 조립과정을 도 2 및 도 3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광학계(130)를 탑재한 브라켓(110)은 일측 단부벽(114)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돌출부 수용홀(118)이 캐비넷(120)의 수직 측벽(121)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돌출부(123, 123')와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그 다음, 제 1 및 제 2 돌출부(123,123')에는 제 1 진동 흡수부재(124, 124')가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브라켓(110)은 제 1 및 제 2 돌출부(123, 123')가 제 1 및 제 2 돌출부 수용홀(118)에 삽입되도록 밀려지고, 이에 따라 일측 단부벽(114)이 캐비넷(120)의 수직 측벽(121)의 탄성 지지부재(128)와 접촉하도록 위치 된다.
그 후, 중간 고정부재(145)는 제 1 및 제 2 기준 돌출부(144, 144')가 각각 제 1 및 제 2 기준 돌출부 수용홀(117, 117')에 삽입되도록 하여 조립위치가 포지셔닝(positioning)된다. 이 때, 중간 고정부재(145)의 하단부는 캐비넷(120)의 바닥(122)의 제 1 및 제 2 고정 브라켓(126, 126')에 얹히도록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고정돌기(143, 143')는 제 2 진동 흡수부재(145)와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 다음, 중간 고정부재(145)는 나사와 같은 제 1 및 제 2 고정부(150, 150')에 의해 중간 고정부재(145)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고정홀(152, 152')를 통해 제 1 및 제 2 고정 브라켓(126, 126')에 고정된다. 이 때, 제 1 및 제 2 고정돌기(143, 143')는 브라켓(110)의 타측 단부벽(116)에 부착된 제 2 진동 흡수부재(145)를 압착함으로써 브라켓(110)의 위치가 가변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계 고정장치(100)는 종래의 고정장치(10) 보다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간단히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계 고정장치는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운반 또는 이동시 광학계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도록 할 뿐 아니라 대화면 및 고음질을 요구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젼에서 음량의 차이로 인한 화면 떨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케이싱을 구성하는 캐비넷, 상기 케비넷에 설치되고 화상을 형성하고 확대하여 투사하는 광학계, 및 상기 광학계를 탑재하는 브라켓을 구비한 광학계를 캐비넷에 고정하기 위한 광학계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 고정장치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부와 대응하는 상기 캐비넷의 부분 중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일측부와 상기 대응하는 캐비넷의 상기 부분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돌출부 수용부,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수용부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넷으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는 제 1 진동흡수 부재를 갖는 제 1 진동흡수 체결부; 및
    상기 브라켓의 타측부와 대응하는 캐비넷의 부분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캐비넷으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는 제 2 진동 흡수부재를 갖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타측부를 상기 대응하는 캐비넷의 상기 부분에 체결하기 위한 제 2 진동흡수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진동흡수 체결부는, 일부는 고정부에 의해 상기 대응하는 캐비넷의 상기 부분과 직접적으로 고정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진동흡수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제 2 진동 흡수부재를 상기 브라켓의 상기 타측부쪽으로 압착하는 중간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흡수 체결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일측부와 상기 대응하는 캐비넷의 상기 부분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고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흡수 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일단부가 반구형인 고무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진동흡수 부재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중간 고정부재사이의 접촉부에서 상기 브라켓의 상기 타측부에 부착된 고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고정장치.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고정부재는 상기 브라켓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도록 상기 중간 고정부재가 상기 제 2 진동흡수 부재를 상기 브라켓 쪽으로 압착할 때 상기 브라켓의 상기 타측부에 부착된 상기 제 2 진동 흡수부재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기 위한 최소한 한개 이상의 고정돌기를 구비한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고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고정부재는 조립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조립기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고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기준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타측부와 접촉하는 상기 중간 고정부재의 부분에 형성된 기준 돌출부; 및
    상기 기준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기준 돌출부에 대응하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타측부의 부분에 형성된 기준 돌출부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고정장치.
KR10-2001-0079996A 2001-12-17 2001-12-17 광학계 고정장치 KR100406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996A KR100406951B1 (ko) 2001-12-17 2001-12-17 광학계 고정장치
US10/216,184 US6623128B2 (en) 2001-12-17 2002-08-12 Apparatus for fixing an optica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996A KR100406951B1 (ko) 2001-12-17 2001-12-17 광학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699A KR20030049699A (ko) 2003-06-25
KR100406951B1 true KR100406951B1 (ko) 2003-11-28

Family

ID=19717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996A KR100406951B1 (ko) 2001-12-17 2001-12-17 광학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623128B2 (ko)
KR (1) KR100406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534B1 (ko) * 2002-01-09 2004-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투사렌즈 유닛
US6961165B2 (en) * 2002-12-24 2005-11-01 Seiko Epson Corporation Optical modulation device holding body, optical device, and projector
US7114810B2 (en) * 2004-06-25 2006-10-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media display device
JP2007272071A (ja) * 2006-03-31 2007-10-18 Sony Corp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70273844A1 (en) * 2006-05-25 2007-11-29 Clark Stephan R Support for a cantilevered lens assembly
TW200928554A (en) * 2007-12-20 2009-07-01 Delta Electronics Inc Optical engine structure, rear projection apparatus, and front projection apparatus
WO2017013794A1 (ja) * 2015-07-23 2017-01-2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投射型映像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投射レンズの防振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9339A (ja) * 1997-05-22 1998-12-04 Canon Inc 光偏向走査装置
JPH1184531A (ja) * 1998-06-29 1999-03-26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
JP2000238326A (ja) * 1999-02-24 2000-09-05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の騒音防止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4157A (en) * 1973-08-15 1979-11-13 Panavision, Incorporated Quiet motion picture camera
US5037195A (en) * 1987-12-21 1991-08-06 Clairmont Camera, Inc. Sound-damping lens adapter for a motion-picture camer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9339A (ja) * 1997-05-22 1998-12-04 Canon Inc 光偏向走査装置
JPH1184531A (ja) * 1998-06-29 1999-03-26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
JP2000238326A (ja) * 1999-02-24 2000-09-05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の騒音防止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12416A1 (en) 2003-06-19
KR20030049699A (ko) 2003-06-25
US6623128B2 (en) 200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0759B2 (en) Display apparatus
JP4901648B2 (ja) 投写型表示装置用のスタンド
JP4428434B2 (ja) 光学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US6851810B2 (en) Rear projector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US20060227514A1 (en)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assembly for an optical projection system
US20070064171A1 (en) Backlight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backlight device
KR100424763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스크린 고정장치
KR100406951B1 (ko) 광학계 고정장치
JP2006325010A (ja) スピーカ保持具及び電気機器
US7304690B2 (en) Optical engine of a projection television
KR100361177B1 (ko) 액정 프로젝터
US7077527B2 (en) Rear-projection type imaging device
KR100465306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구조 및 구조의 형성 방법
JP2006195224A (ja) 液晶テレビジョン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7850324B2 (en) Backlight chassis, a backlight unit, and a display device
JP2005352332A (ja) 薄型表示装置
JP2012128055A (ja) プロジェクター用支持具
KR100422698B1 (ko) 미러 고정 장치
JP2006211396A (ja) 画像表示装置
JP2005173424A (ja) プロジェクタ装置および大型映像装置
JP2002199307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装置
JP2004205667A (ja) プロジェクタ
JP2004272091A (ja) プロジェクタ
JP2006211388A (ja) 画像表示装置
JP2010175930A (ja) プロジェク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