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639B1 - 의약품 분말 및 과립의 대용량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의약품 분말 및 과립의 대용량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639B1
KR100405639B1 KR10-2001-0042676A KR20010042676A KR100405639B1 KR 100405639 B1 KR100405639 B1 KR 100405639B1 KR 20010042676 A KR20010042676 A KR 20010042676A KR 100405639 B1 KR100405639 B1 KR 100405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filter
powder
containe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3890A (ko
Inventor
한진택
김순식
임종진
Original Assignee
임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진 filed Critical 임종진
Priority to KR10-2001-0042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639B1/ko
Publication of KR20020083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0Devices for separating the materials from propellan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4Gas su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36Arrangemen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2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external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91Pump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약품 제조과정 중, 의약품의 분말 또는 과립과 같은 대용량의 이송물을 이송하는 공정에서 미세분진을 효과적으로 포집하기 위하여 포집부와 여과부를 구비하여 분말 또는 과립의 이송공정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한 의약품 분말 및 과립의 대용량 이송장치로서, 그 구성은 분말 또는 과립(이송물)을 저장하는 원료통(10)과, 이송물(100)과 공기를 분리하는 리시버(40)를 포함하는 혼합기 버셀(2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의약품 이송물 대용량 이송장치에 있어서, 진공호스(32)를 통하여 상기 혼합기 버셀(20) 측과 연결되어 상기 리시버(40)에서 미처 분리하지 못한 이송물(100)을 싸이클론 집진방식으로 포집하기 위한 포집 유니트(50)와, 상기 포집 유니트(50)에 다른 호스(7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잔여 분진을 제거하는 필터(62)를 내장한 필터통(63) 및 진공발생원인 블로어(92)를 구비하는 여과 유니트(60)로 구성되고, 상기 포집 유니트(50)는 원추형 본체(52)가 다수개의 지지다리(53)에 의하여 지면에 지지되고, 상기 본체(52)의 상부에 여과 유니트(60)와 연결되는 뚜껑체(54), 분말 회수를 위한 수집통(67) 및 회수통(80)이 설치되어 이루며, 상기 여과 유니트(60)는, 전체 부품을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90)과, 상기 필터통(63) 상측에 공기 흡입관(65a)을 가지는 덮개체(65)가 배치되어 진공호스(69)에 연결되고, 상기 덮개체(65) 상면에 필터(62)에 부착한 분진을 강제로 털어주기 위하여 필터(62)에 충격을 주는 핸들(66)이 부착되며, 상기 필터통(63)의 하부에는 원활하게 회수통(80) 내로 잔여 분말을 안내하기 위한 원추형(상광하협)의 수집통(67) 및 잔여물 포집을 위한 포집통(68)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존의 이송물 이송장치에서 포집 유니트와 여과 유니트를 별도의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1차 및 2차에 걸치는 분진 제거기능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대용량의 분말 및/또는 과립 상의 의약품을 효과적으로 원하는 위치로 이송하여 분진에 의한 작업장 내의 오염과 의약품 상호 간의 교차오염을 방지하여 제품 순도를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부분적 자동화에 의한 인건비 절감을 통한 코스트 다운 및 생산성 향상을 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약품 분말 및 과립의 대용량 이송장치{Transfer Appratus in Large for Powder and Granule of Pharmacdeuticals}
본 고안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의약품 제조과정 중, 이송물을 이송하는 공정에서 미세분진을 효과적으로 포집하기 위하여 포집부와 여과부를 구비하여 분말 및 과립 의약품의 이송공정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한 의약품 이송물의 대용량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품은 정제, 캅셀제, 과립제, 산제, 환제 등과 같이 내복용 고형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들 의약품의 제조공정 중에 혼합이나 저장을 하기 위하여 대용량의 분말 또는 과립 상태의 물질을 다른 공정으로 이송시켜야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이송 과정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여 행하였으므로, 분진발생으로 인하여, 약품 상호간의 교차오염이 발생하여 제품의 순도를 떨어뜨리고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 이러한 이송과정 중의 문제는, 작업자에 의한 오염과 약품 분말을 작업자 자신이 흡입하게 됨으로써 홀몬제나 항생제 등 약리활성이 강한 성분들에 의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심하게 해치고 이송작업에 적잖은 인원투입과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최근 들어 이와 같은 문제를 다소 해소하기 위하여 진공을 이용한 이송기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진공발생장치로 유입되는 미세분말을 효과적으로차단하지 못하여 작업 중에 진공도의 저하나 진공발생장치의 고장으로 작업이 중단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따라서, 이송작업이 수시로 중단됨에 따라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이송장치를 더블콘 혼합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10은 분말(이송물)을 저장하는 원료통, 20은 이송물(100)과 공기를 분리하는 리시버(40)를 포함하는 혼합기 버셀, 30은 진공을 발생하는 진공발생원으로서의 진공발생기이다.
상기 원료통(10)과 버셀(20) 및 진공발생원으로서의 진공발생기(30)는 각각 이송호스(14), 진공호스(32)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송호스(14)의 끝단에는 이송물(100)과 공기를 혼입하기 위한 흡입관(12)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리시버(40)의 상세구조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리시버(4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42는 상기 진공호스(32)를 받아들여 이송물(100)을 거르는 필터이다. 상기 이송호스(14)는 상기 버셀(20)의 공간에 직결되고 필터(42)를 통하지 않고 있다.
상기 필터(42)는 혼합기 버셀(20) 내부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진공발생기(30) 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을 이용한 이송물 이송장치는, 상기 진공발생기(30)를 작동하면 진공호스(32)에 진공 흡입력이 발생하고 혼합기 버셀(20) 내부가 감압되어 대기압 이하의 진공도가 된다. 이때 흡입관(12)은 상기 원료통(10) 내의 이송물(100)에 접촉한 상태이므로 이송물(100)이 흡입되어 이송호스(14)를 타고 혼합기 버셀(20) 측으로 흡입 이송된다.
흡입 이송되는 이송물(100)과 공기는 리시버(40)에서 분리된다. 즉, 상기 이송호스(14)의 말단이 리시버(40) 내부에서 아랫방향을 향하고 있고, 필터(42) 내의 진공호스(32)가 적정한 압으로 부압을 걸고 있으므로, 이송물(100)은 리시버(40) 내에서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어 버셀(20) 아래 쪽으로 쌓여 저장되고 공기만이 필터(42)에서 필터링되어 진공호스(32)를 통하여 진공발생기(30)로 들어간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의약품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혼합기 버셀(20) 측으로 분말을 이송하는 작업을 마칠 때까지 진공발생기(30)의 진공흡입력은 저하되지 않아야 한다. 이것은 필터의 표면적과 관련되는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필터는 공기 중에 함유된 분진을 여과하여 포집하는 것으로, 섬유 사이에 공간이 있어 필터링 초기에는 공기 중의 분진이 그 사이를 통과하지만, 작업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틈새에 분진이 메워져서 부착층을 형성한다. 이후 포집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착층의 퇴적두께는 점점 크게 되어 틈새를 거의 메꾸어 버리게 된다.
이것은 진공발생기(30) 측에서 최초로 세팅한 압력으로 분진을 흡입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리시버(40)나 혼합기 버셀(20) 내부를 적정한 진공도로 감압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적정한 진공흡입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하여는 분진 부착층을 제거해야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작업을 중단해야 한다.
한편, 혼합기 버셀(20)에 이송물(100)이 가득차면 어차피 작업을 중단해야 하는데, 이 시기에 새로운 필터(42)를 교환할 수 있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이는 이송물(100)의 저장 높이(102)가 있어 교환작업을 위한 공간 협소로 인하여 현실성이 없다. 또 이러한 교환 방식은 리시버(40)를 제거하고 혼합기 버셀(20)의 뚜껑을 여닫는 과정에서 필터(42)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이 비산되어 작업자나 주위 환경에 악영향(상호 오염)을 미치는 점 등이 제기되어 이 역시도 실현 가능성은 낮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대용량의 이송물이라면 더더욱 심각하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문제를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의약품 제조과정 중, 이송물을 이송하는 공정에서 미세분진을 효과적으로 포집하기 위하여 포집부와 여과부를 구비하여 내용량의 분말 또는 과립 이송공정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한 의약품 이송물의 대용량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이송장치를 더블콘 혼합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리시버(4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의약품 이송물의 이송장치의 개념을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의 의약품 이송물의 이송장치에 원료 공급장치를 부착한 경우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의 의약품 이송물의 이송장치의 요부인 포집유니트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의약품 이송물의 이송장치의 요부인 여과 유니트를 나타낸 전체 외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의약품 이송물의 이송장치의 요부인 여과 유니트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료통 12 : 흡입관
14 : 이송호스 16 : 원료 공급탱크
20 : 혼합기 버셀 26 : 레버
30 : 진공발생기 32 : 진공호스
40 : 리시버 42 : 필터
50 : 포집 유니트 52 : 원추형 본체
52b,54b : 클램프 52a,54a : 연결구
53 : 지지다리 54 : 뚜껑체
55 : 연결관 56 : 클램프
60 : 여과 유니트 62 : 필터
63 : 필터통 64 : 지지체
65 : 덮개체 65a : 공기 흡입관
66 : 핸들 67 : 수집 안내관
67a : 부착편 68 : 포집통
69 : 진공호스 70 : 호스
80 : 회수통 82 : 뚜껑
90 : 프레임 92a : 볼트
92 : 블로어 94 : 케이스
100 : 이송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의약품 이송물의 대용량 이송장치는,
분말 또는 과립(이송물)을 저장하는 원료통과, 이송물과 공기를 분리하는 리시버를 포함하는 혼합기 버셀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의약품 이송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진공호스를 통하여 상기 혼합기 버셀 측과 연결되어 상기 리시버에서 미처분리하지 못한 이송물을 싸이클론 집진방식으로 포집하기 위한 포집 유니트와,
상기 포집 유니트에 다른 호스를 통하여 연결되어 잔여 분진을 제거하는 필터를 내장한 필터통 및 진공발생원인 블로어를 구비하는 여과 유니트로 구성되고,
상기 포집 유니트는 원추형 본체가 다수개의 지지다리에 의하여 지면에 지지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여과 유니트와 연결되는 뚜껑체, 분말 회수를 위한 수집통 및 회수통이 설치되어 이루며,
상기 여과 유니트는, 전체 부품을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필터통 상측에 공기 흡입관을 가지는 덮개체가 배치되어 진공호스에 연결되고, 상기 덮개체 상면에 필터에 부착한 분진을 강제로 털어주기 위하여 필터에 충격을 주는 핸들이 부착되며,
상기 필터통의 하부에는 원활하게 회수통 내로 잔여 분말을 안내하기 위한 원추형(상광하협)의 수집통 및 잔여물 포집을 위한 포집통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원료통에 원료가 소분되어 있는 경우,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원료통 측에 원료 공급탱크를 부가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존의 이송물 이송장치에 포집 유니트와 여과 유니트를 별도의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1차 및 2차에 걸친 분진 제거기능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대용량의 분말 및 과립 상의 의약품을 효과적으로 원하는 위치로 이송하여 분진에 의한 작업장 내의 오염과 의약품 상호 간의 교차오염을 방지하여 제품 순도를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부분적 자동화에 의한 인건비 절감을 통한 코스트 다운 및 생산성 향상을 꾀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의약품 이송물의 대용량 이송장치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의약품 이송물의 이송장치의 개념을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의 의약품 이송물의 이송장치에 원료 공급장치를 부착한 경우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의 의약품 이송물의 이송장치의 요부인 포집유니트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의약품 이송물의 이송장치의 요부인 여과 유니트를 나타낸 전체 외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의약품 이송물의 이송장치의 요부인 여과 유니트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50은 포집 유니트, 60은 여과 유니트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포집 유니트(50)는 상기 진공호스(32)에 연결되고 여과 유니트(60)는 상기 포집 유니트(50)에 다른 호스(70)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포집 유니트(50)는, 원추형 본체(52)가 다수개의 지지다리(53)에 의하여 지면에 지지된다. 상기 본체(52)의 상부에는 여과 유니트(60)와 연결되는 뚜껑체(54)가 설치된다. 부호 26은 상기 혼합기 버셀(20) 하부에 장착되어 포집된 이송물(100)을 하방으로 떨어뜨릴 때에 혼합기 버셀(20)을 개방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레버, 52a,54a는 상기 진공호스(32) 및 호스(70)를 본체(52)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 52b,54b는 클램프이다.
이 포집 유니트(50)는 이른바 사이클론 집진장치(cyclone precipitator)의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이것은 원통 속이 회전류에 의하여 내부 기체를 원주방향으로 운동하게 하는 것으로 원심력에 의하여 기체 중에 포함된 분진 등을 분리하며 보통 8∼40㎛의 더스트에 유리하다.
상기 원추형 본체(52)의 하부에는 원료를 회수하기 위한 뚜껑(82)을 구비한 회수통(80)이 배치된다. 부호 55는 상기 본체(52)와 회수통(8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 56은 이들 연결 시에 사용되는 클램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여과 유니트(6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여과 유니트(60)는 전체 부품을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90) 내에 진공발생원으로서의 블로어(92), 다수개의 필터(62)를 내장한 필터통(63)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필터(62)는 별모양으로 방사상으로 갈라진 틀체 형태의 지지체(64)에 의하여 필터통(63) 내의 각각의 구멍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 여과 유니트(60)는 상기 필터통(63) 상측에 공기 흡입관(65a)을 가지는 덮개체(65)가 배치되어 진공호스(69)에 연결되고, 상기 덮개체(65) 상면에 필터(62)에 부착한 분진을 강제로 털어 주기 위하여 필터(62)에 충격을 주는핸들(66)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필터통(63)의 하부에는 원활하게 회수통(80) 내로 잔여 분말을 안내하기 위한 원추형(상광하협)의 수집 안내관(67)이 설치되고, 이 수집 안내관(67)의 하부에 잔여물 포집을 위한 포집통(68)이 설치된다.
부호 67a는 상기 수집통(67)을 프레임(90)에 고정하기 위한 부착편, 92a는 상기 블로어(92)를 프레임(90)에 고정할 때에 사용되는 볼트, 94는 상기 프레임(90)의 외측에 씌워지는 케이스이다.
이렇게 구성된 포집 유니트(50)와 여과 유니트(60)를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리시버(40) 및 혼합기 버셀(20)에 진공호스(32)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설치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료가 소분되어 있는 경우,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원료통(10)에 원료 공급탱크(16)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의약품 이송물의 대용량 이송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진공발생장치인 블로어(92)를 동작시키면 혼합기 버셀(20) 내부가 감압되어 진공흡입력이 발생한다. 이때 원료통(10) 내에 있던 분말 상태의 이송물(100)이 흡입관(12)을 통하여 공기와 함께 흡입되어 이송호스(14)를 따라 리시버(40) 내로 이송된다. 그리고 분말 이송물(100)은 혼합기 버셀(20) 내부에 남고 공기는 일부 분진과 함께 진공호스(32)를 통하여 싸이클론 포집장치인 포집 유니트(50)로 유입된다. 이 포집 유니트(50) 내에서 약간의 분진을 포함한 공기는 3∼5회 선회하는 사이에 입자는 원심력에 의하여 포집유니트(50)의 벽면에 쏠리면서 포집된다. 이러한 싸이클론 방식의 포집 유니트(50)에서 분진의 대부분이 포집되고 하부 회수통(80) 내로 쌓이고 이를 회수하여 의약품을 제조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포집 유니트(50)에서 미처 다 회수하지 못한 잔여 분진은 다음 단계인 여과 유니트(60)에서 걸러지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한 구조로 된 여과 유니트(60)에서는 다수개의 필터(62)를 내장한 필터통(63)에서 극히 미세한 잔여 분진을 필터링하고 공기만이 진공호스(69)를 통하여 블로어(92)로 흡입된다.
필터(62)에 의하여 걸러지는 분진이나 미세 의약품 입자는 상기 필터통(63)의 하부의 회수통(80) 내로 모여져서 재활용되는 것이고 필터(62) 자체에 부착되는 잔여물은 상기 덮개체(65) 상면에 부착된 핸들(66)을 강제로 작동하여 털어주면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의약품 이송물의 대용량 이송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이송물 이송장치에서 포집 유니트와 여과 유니트를 별도의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1차 및 2차에 걸린 완벽한 분진 제거기능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대용량의 분말 또는 과립 상의 의약품을 효과적으로 원하는 위치로 이송하여 분진에 의한 작업장 내의 오염과 의약품 상호 간의 교차오염을 방지하여 제품 순도를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부분적 자동화에 의한 인건비 절감을 통한 코스트 다운 및 생산성 향상을 꾀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분말 또는 과립(이송물)을 저장하는 원료통(10)과, 이송물(100)과 공기를 분리하는 리시버(40)를 포함하는 혼합기 버셀(2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의약품 대용량 이송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진공호스(32)를 통하여 상기 혼합기 버셀(20) 측과 연결되어 상기 리시버(40)에서 미처 분리하지 못한 이송물(100)을 싸이클론 집진방식으로 포집하기 위한 포집 유니트(50)와,
    상기 포집 유니트(50)에 다른 호스(7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잔여 분진을 제거하는 필터(62)를 내장한 필터통(63) 및 진공발생원인 블로어(92)를 구비하는 여과 유니트(60)로 구성되고,
    상기 포집 유니트(50)는 원추형 본체(52)가 다수개의 지지다리(53)에 의하여 지면에 지지되고, 상기 본체(52)의 상부에 여과 유니트(60)와 연결되는 뚜껑체 (54), 분말 회수를 위한 수집통(67) 및 회수통(80)이 설치되어 이루며,
    상기 여과 유니트(60)는, 전체 부품을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90)과, 상기 필터통(63) 상측에 공기 흡입관(65a)을 가지는 덮개체(65)가 배치되어 진공호스(69)에 연결되고, 상기 덮개체(65) 상면에 필터(62)에 부착한 분진을 강제로 털어주기 위하여 필터(62)에 충격을 주는 핸들(66)이 부착되며,
    상기 필터통(63)의 하부에는 원활하게 회수통(80) 내로 잔여 분말을 안내하기 위한 원추형(상광하협)의 수집통(67) 및 잔여물 포집을 위한 포집통(68)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이송물 대용량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통(10)에 원료가 소분되어 있는 경우,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원료통(10) 측에 원료 공급탱크(16)를 부가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이송물 대용량 이송장치.
KR10-2001-0042676A 2001-07-16 2001-07-16 의약품 분말 및 과립의 대용량 이송장치 KR100405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676A KR100405639B1 (ko) 2001-07-16 2001-07-16 의약품 분말 및 과립의 대용량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676A KR100405639B1 (ko) 2001-07-16 2001-07-16 의약품 분말 및 과립의 대용량 이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237U Division KR200239915Y1 (ko) 2001-04-27 2001-04-27 의약품 분말 및 과립의 대용량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890A KR20020083890A (ko) 2002-11-04
KR100405639B1 true KR100405639B1 (ko) 2003-11-14

Family

ID=2771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676A KR100405639B1 (ko) 2001-07-16 2001-07-16 의약품 분말 및 과립의 대용량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085B1 (ko) 2017-08-07 2017-11-14 신우식품 주식회사 혼합 분말 제조용 원료 공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912B1 (ko) * 2006-04-19 2007-05-16 한국생산성본부 진공호퍼를 이용한 분체 원료 이송장치
KR100860618B1 (ko) * 2007-09-11 2008-09-29 케이이테크놀리지 (주) 우레탄 포집 장치
KR100942638B1 (ko) * 2007-12-18 2010-02-17 케이제이아이 공업주식회사 수액패치 분말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30962B1 (ko) * 2019-03-02 2019-10-10 조형권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
KR102030961B1 (ko) * 2019-03-02 2019-10-11 조형권 미분원료 공급장치
KR102135532B1 (ko) * 2019-09-11 2020-07-17 조형권 작업효율이 향상된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518A (ko) * 1993-06-29 1995-01-03 남명우 진공식 분체 충전 장치
KR19990018211U (ko) * 1997-11-08 1999-06-05 서홍원 분말가루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518A (ko) * 1993-06-29 1995-01-03 남명우 진공식 분체 충전 장치
KR19990018211U (ko) * 1997-11-08 1999-06-05 서홍원 분말가루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085B1 (ko) 2017-08-07 2017-11-14 신우식품 주식회사 혼합 분말 제조용 원료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890A (ko) 200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1052B (zh) 用于分配固体物质的设备和方法
ES2147999T5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transportar neumaticamente materias pulverulentas.
US6582489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particle transfer in multi-stage particle separators
EP2157018B1 (en)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with cleaning device
AU2009253899B2 (en) A conveyor for transporting powder, and a method for conveying powder
KR100405639B1 (ko) 의약품 분말 및 과립의 대용량 이송장치
JPH0316822Y2 (ko)
KR200239915Y1 (ko) 의약품 분말 및 과립의 대용량 이송장치
US8181679B2 (en) Apparatus for filling bags
EP2011576B1 (en) Supply for dry particulate material
JPS59149148A (ja) 粉体回収装置
KR200225935Y1 (ko) 식품 또는 의약품의 분말 또는 과립 이송장치
JP2003327328A (ja) バッチ式吸引式空気輸送装置
JPH053202Y2 (ko)
US6868876B2 (en) Device for bagging bulk material
KR100405637B1 (ko) 식품 또는 의약품의 분말 또는 과립 이송장치
CN214326590U (zh) 一种多物料兼容投料站
CN110182431A (zh) 一种无粉化粉末状物质开包进料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521966B1 (ko) 호퍼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배출관을 구비한 약제 포장 장치
CN206624062U (zh) 一种自动包装机
JPH0532166Y2 (ko)
JPH0747372Y2 (ja) 捕集器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0621529Y2 (ja) 分級装置
RU24114U1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рбционной нейтрализации газов
JP2001219019A (ja) 粉粒体分離機及び粉粒体輸送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