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532B1 - 작업효율이 향상된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작업효율이 향상된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532B1
KR102135532B1 KR1020190113121A KR20190113121A KR102135532B1 KR 102135532 B1 KR102135532 B1 KR 102135532B1 KR 1020190113121 A KR1020190113121 A KR 1020190113121A KR 20190113121 A KR20190113121 A KR 20190113121A KR 102135532 B1 KR102135532 B1 KR 102135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unit
transfer
fine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권
조인식
Original Assignee
조형권
조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권, 조인식 filed Critical 조형권
Priority to KR1020190113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15/023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2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B01D46/001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F15/02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cuum, under pressure in a closed receptacle or circuit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4Gas su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91Pumping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분원료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미분원료를 혼합하여 저장하기 위한 혼합부, 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한 링블로워, 상기 링블로워에 의해 진공 발생 시, 내부에서 싸이클론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저장부의 미분원료를 임시저장하여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기 위한 원료 이송부, 상기 원료 이송부를 통과한 공기에서 미분원료를 회수하여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기 위한 원료 회수부, 상기 원료 이송부에 구비되어 상기 링블러워에 의해 이송되는 미분원료가 충돌되어 분리시키기 위한 원료분리수단, 및 상기 링블로워, 원료 이송부, 원료 회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량 저장된 미분원료를 혼합부로 용이하게 이송시키되, 미분원료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미세먼지를 필터링하여 주변환경 오염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고, 미분원료 덩어리를 이송 중 분리시킬 수 있어 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효율이 향상된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Fine material supply device capable of separating raw material lumps having improved working efficiency}
본 발명은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흡입력을 이용하여 미분원료를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혼합부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어 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송시 발생되는 분진 및 미세먼지를 처리할 수 있어 오염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는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퍼로더는 주로 작은 입자를 갖는 재료를 이송시키기 위해 사용되는것으로, 사출공장이나 곡식창고, 의약품공장 등에서 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 실시 예로, 사출공장에서 사용될 경우, 흡입팬의 흡입력으로서 저장통에 담겨져 있는 합성수지 원료를 흡입공기와 함께 흡입하고, 그 내부의 흡입경로 상에 설치된 필터로서 흡입공기와 합성수지 원료를 분리시켜서, 흡입공기는 외부로 배출하고 합성수지 원료는 사출기에 설치된 호퍼에 공급하여 주도록 설치 사용되어 왔다.
종래 호퍼로다는 공개특허 제10-2005-0063256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흡입공기와 합성수지 원료를 흡입하여서 분리하고, 분리된 합성수지 원료를 사출기용 호퍼에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호퍼로다는 흡입된 원료가 필터에 직접 걸려짐에 따라, 필터를 막아 필터를 정비 후, 다시 사용함을 반복하여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원료를 용이하게 이송시킴은 물론, 정비작업 간격을 증가시켜 원료 이송에 따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미분원료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미분원료를 혼합하여 저장하기 위한 혼합부, 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한 링블로워, 상기 링블로워에 의해 진공 발생 시, 내부에서 싸이클론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저장부의 미분원료를 임시저장하여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기 위한 원료 이송부, 상기 원료 이송부를 통과한 공기에서 미분원료를 회수하여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기 위한 원료 회수부, 상기 원료 이송부에 구비되어 상기 링블러워에 의해 이송되는 미분원료가 충돌되어 분리시키기 위한 원료분리수단, 및 상기 링블로워, 원료 이송부, 원료 회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다량 저장된 미분원료를 혼합부로 용이하게 이송시키되, 미분원료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미세먼지를 필터링하여 주변환경 오염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고, 미분원료 덩어리를 이송 중 분리시킬 수 있어 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미분원료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미분원료를 혼합하여 저장하기 위한 혼합부, 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한 링블로워, 상기 링블로워에 의해 진공 발생 시, 내부에서 싸이클론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저장부의 미분원료를 임시저장하여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기 위한 원료 이송부, 상기 원료 이송부를 통과한 공기에서 미분원료를 회수하여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기 위한 원료 회수부, 상기 원료 이송부에 구비되어 상기 링블러워에 의해 이송되는 미분원료가 충돌되어 분리시키기 위한 원료분리수단, 및 상기 링블로워, 원료 이송부, 원료 회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료 이송부는, 내부에 이송공간부를 갖는 이송탱크, 유연성을 갖고, 일단부가 상기 저장부에 위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이송탱크에 위치되는 이송흡입관, 유연성을 갖고, 상기 이송공간부의 공기와 미분원료를 상기 원료 회수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이송연결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이송공간부를 개폐하여 임시저장된 미분원료를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기 위한 이송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흡입관의 타단부는 상기 이송공간부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흡입된 미분원료가 이송공간부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되어 싸이클론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흡입관은 두 개 이상의 이송흡입단위관으로 분리되며, 상기 원료분리수단은, 상기 분리된 이송흡입관과 연통되기 위한 분리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원료분리하우징,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이송흡입단위관의 각 단부를 상기 원료분리하우징에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원료분리고정부, 장력을 갖고, 상기 원료분리하우징의 분리공간부에 복수 개 구비되어 이송되는 미분원료가 충돌되어 덩어리형태를 분리시키기 위한 원료분리와이어, 및 상기 원료분리하우징과 각 원료분리고정부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원료분리밀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료분리고정부는, 상기 해당 이송흡입단위관의 단부가 감기기 위한 제1원료분리고정블럭, 상기 이송흡입단위관이 감겨진 제1원료분리고정블럭과 결합되며, 상기 원료분리하우징의 해당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제2원료분리고정블럭, 및 상기 제1원료분리고정블럭과 제2원료분리고정블럭을 결합시켜 감겨진 상기 이송흡입단위관의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흡입관고정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고정수단은, 상기 제1원료분리고정블럭에 형성되되, 상기 제2원료분리고정블럭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제1흡입관고정홈, 상기 제1흡입관고정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원료분리고정블럭에 돌출형성되는 제1흡입관고정돌기, 상기 제2원료분리고정블럭에 형성되되, 상기 제1흡입관고정돌기보다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원료분리고정블럭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제2흡입관고정홈, 및 상기 제2흡입관고정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원료분리고정블럭에 돌출형성되는 제2흡입관고정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흡입관고정돌기의 최외측부위를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1흡입관고정돌기의 최외측부위는 상기 제2흡입관고정홈의 최내측부위보다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흡입관고정돌기의 최내측부위가 걸려 수직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원료분리하우징의 분리공간부 내주면은, 이송되는 미분원료의 이송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돌출가이드,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돌출가이드는, 상기 원료분리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원료분리와이어가 설치되며, 일단부에서 중간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되고, 중간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료분리와이어는, 복수 개 구비되되, 수직방향으로 각각 다른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분리공간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일정 각도 또는 상호 다른 각도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료분리와이어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와이어장력유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원료분리와이어의 일단부는 상기 원료분리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원료분리하우징에 관통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장력유지부는, 상기 원료분리와이어의 타단부를 당겨 장력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원료 이송부는, 상기 이송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원료 회수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이송되는 미분원료 중 일부를 걸러 상기 이송공간부에 임시저장시키기 위한 이송필터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필터부는, 상기 이송연결관의 일단부가 내부에 유동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중앙부가 통공되어 상기 이송탱크에 구비되는 이송필터프레임, 상기 이송연결관의 일단부를 덮도록 상기 이송필터프레임에 구비되는 이송필터망, 상단부 외측으로 복수의 이송필터날개를 갖고, 상기 이송필터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송필터날개부, 상기 이송필터날개부의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되어 이송필터날개부가 이송필터프레임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송필터롤러, 상기 이송필터프레임과 이송필터날개 사이에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이송필터롤러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이송필터블럭, 상기 각 이송필터블럭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송필터망을 타격하기 위한 이송필터타격봉, 및 상기 이송필터롤러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된 해당 이송필터블럭과 이송필터타격봉을 하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이송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블로워에 의해 공기가 흡입될경우, 상기 이송필터날개부가 회전되어 복수의 이송필터롤러가 이송필터프레임을 따라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송필터블럭과 이송필터타격봉을 순차적으로 상측으로 이동시키며, 상측으로 이동된 이송필터타격봉은 상기 이송가압부의 탄발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송필터망을 타격하여 걸려진 미분원료를 떨어트린다.
또한, 상기 원료 회수부는, 상기 이송연결관을 통해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미분원료가 회수되기 위한 회수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회수탱크, 상기 회수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링블로워로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이송되는 미분원료를 필터링하기 위한 백필터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백필터부의 내부에서 펄스를 발생시켜 필터링된 미분원료를 분리시키기 위한 자바라펄스부, 유연성을 갖고, 일단부가 상기 회수탱크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링블로워에 연결되는 회수배출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회수공간부를 개폐하여 회수된 미분원료를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기 위한 회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자바라펄수부는 상기 링블로워의 작동이 멈춘 상태에서 펄스를 발생시켜 상기 백필터부에 필터링된 미분원료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상기 백필터부는 상기 회수공간부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회수탱크의 상단 중앙부에 위치되고, 상기 회수배출관의 일단부는, 상기 백필터부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링블로워는, 내부에 회전공간부를 갖는 블로워몸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날개를 갖고, 상기 회전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블로워날개부, 상기 블로워날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블로워구동모터, 및 상기 회전공간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워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블로워날개부에 의해 공기가 상기 회수배출관을 통해 상기 회전공간부로 유입된 후, 상기 토출관으로 토출됨에 따라, 상기 저장부의 미분원료를 상기 혼합부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상기 링블로워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블로워필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블로워필터부는, 상기 토출관에 구비되어 토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시킨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필터부는, 상기 토출관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1차 필터링하기 위한 헤파필터, 및 상기 헤파필터를 통해 1차 필터링된 공기를 2차 필터링하기 위한 활성탄필터,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에 의하면, 다량 저장된 미분원료를 혼합부로 용이하게 이송시키되, 미분원료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미세먼지를 필터링하여 주변환경 오염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고, 미분원료 덩어리를 이송 중 분리시킬 수 있어 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원료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 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료분리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분리수단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분리수단에 돌출가이드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료분리수단에 와이어장력유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필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료 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링블로워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원료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 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료분리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분리수단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분리수단에 돌출가이드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료분리수단에 와이어장력유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필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료 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링블로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10)는 저장부(100)와 혼합부(200), 링블로워(300), 원료 이송부(400), 원료 회수부(500), 원료분리수단(7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저장부(100)는 혼합부(200)로 공급되기 위한 미분원료가 저장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혼합부(200)는 저장부(100)의 미분원료를 혼합하여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부(100)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 저장부(100)는 구입한 미분원료를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바닥 또는 지하에 구비되고, 혼합부(200)는 하단부가 지상에서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링블로워(300)는 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원료 이송부(400)는 링블로워(300)에 의해 진공 발생 시, 내부에서 싸이클론현상이 발생되어 저장부(100)의 미분원료를 임시저장하여 혼합부(200)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원료 회수부(500)는 원료 이송부(400)를 통과한 공기에서 미분원료를 회수하여 혼합부(200)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원료분리수단(700)은 원료 이송부(400)에 구비되어 링블러워(300)에 의해 이송되는 미분원료가 충돌되어 분리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어부(600)는 링블로워(300), 원료 이송부(400), 원료 회수부(500)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미분원료 공급장치(10)에 의하면, 저장부(100)의 미분원료를 높은 위치에 구비된 혼합부(200)로 용이하게 이송시키되,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함은 물론, 초미세먼지까지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링블로워(300)에서 토출되는 공기에서 초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어 혼합부(200)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원료 이송부(4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탱크(410)와 이송흡입관(420), 이송연결관(440) 및 이송밸브(450)를 포함한다.
이송탱크(410)는 내부에 이송공간부(4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송흡입관(420)은 유연성을 갖고, 일단부가 저장부(100)에 위치되며, 타단부는 이송탱크(410)에 위치된다.
이송연결관(440)은 유연성을 갖고, 이송공간부(412)의 공기와 미분원료를 원료 회수부(500)를 연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이송밸브(450)는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되며, 이송공간부(412)를 개폐하여 임시저장된 미분원료를 혼합부(200)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이송흡입관(420)의 타단부는 이송공간부(412)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흡입된 미분원료가 이송공간부(412)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되어 싸이클론을 형성한다.
이에, 흡입된 공기와 미분원료는 이송공간부(412)에서 와류를 형성하여 이동 중 미분원료의 일부가 떨어져 이송공간부(412)에 쌓인다.
나머지 미분원료는 공기와 함께 이송연결관(440)으로 흡입되어 원료 회수부(500)로 이송된다.
여기서, 이송연결관(440)은 이송탱크(410)의 상단 중앙부에 연결되고, 이송필터부(430)은 이송연결관(440)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에, 공기와 함께 이송되는 미분원료가 충돌하여 걸러짐에 따라, 이송공간부(412)에 저장되는 량이 증가된다.
그리고 원료 이송부(400)는 이송필터부(430)를 더 포함한다.
이 이송필터부(430)는 이송탱크(410)에 구비되어 원료 회수부(500)로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이송되는 미분원료 중 일부를 걸러 이송공간부(412)에 임시저장시킨다.
이러한 이송필터부(430)는 일정 크기의 다공이 형성된 이송필터망으로 이송공간부(412)로 유입되어 원료 회수부(500)로 이송되는 미분원료를 걸러 떨어트림에 따라 이송공간부(412)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원료분리수단(70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분리하우징(710)과 원료분리고정부(720), 원료분리와이어(730) 및 원료분리밀폐부(740)를 포함한다.
이에 앞서, 이송흡입관(420)은 두 개 이상의 이송흡입단위관(420a, 420b)으로 분리된다.
물론, 이 이송흡입관(420)은 하나의 관이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여러 개의 이송흡입관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먼저, 원료분리하우징(710)은 분리된 이송흡입관(420)과 연통되기 위한 분리공간부(712)가 내부에 형성된다.
원료분리고정부(720)는 인접한 두 개의 이송흡입단위관(420a, 420b)의 각 단부를 원료분리하우징(710)에 각각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원료분리와이어(730)는 장력을 갖고, 원료분리하우징(710)의 분리공간부(712)에 복수 개 구비되어 이송되는 미분원료가 충돌되어 덩어리형태를 분리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원료분리밀폐부(740)는 원료분리하우징(710)과 각 원료분리고정부(720)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한, 원료분리고정부(72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원료분리고정블럭(722)과 제2원료분리고정블럭(724) 및 흡입관고정수단(726)을 포함한다.
제1원료분리고정블럭(722)은 해당 이송흡입단위관(420a, 420b)의 단부가 감기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원료분리고정블럭(724)은 이송흡입단위관(420a, 420b)이 감겨진 제1원료분리고정블럭(722)과 결합되며, 원료분리하우징(710)의 해당 단부에 나사결합된다.
흡입관고정수단(726)은 제1원료분리고정블럭(722)과 제2원료분리고정블럭(724)을 결합시켜 감겨진 이송흡입단위관(420a, 420b)의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흡입관고정수단(726)은 제1흡입관고정홈(7262)과 제1흡입관고정돌기(7264), 제2흡입관고정홈(7266) 및 제2흡입관고정돌기(7268)를 포함한다.
제1흡입관고정홈(7262)은 제1원료분리고정블럭(722)에 형성되되, 제2원료분리고정블럭(724)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제1흡입관고정돌기(7264)는 제1흡입관고정홈(7262)에 대응되도록 제2원료분리고정블럭(724)에 돌출형성된다.
제2흡입관고정홈(7266)은 제2원료분리고정블럭(724)에 형성되되, 제1흡입관고정돌기(7264)보다 외측에 형성되며, 제1원료분리고정블럭(722)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개방된다.
또한 제2흡입관고정돌기(7268)는 제2흡입관고정홈(7266)에 대응되도록 제1원료분리고정블럭(722)에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제1흡입관고정돌기(7264)의 최외측부위를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1흡입관고정돌기(7264)의 최외측부위는 제2흡입관고정홈(7266)의 최내측부위보다 외측에 위치되어 제2흡입관고정돌기(7268)의 최내측부위가 걸려 수직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원료분리밀폐부(740)는 제1원료분리밀폐부(742)와 제2원료분리밀폐부(744)를 포함한다.
제1원료분리밀폐부(742)는 원료분리하우징(710)과 각 원료분리고정부(720)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원료분리밀폐부(744)는 원료분리하우징(710)과 각 원료분리고정부(720) 사이를 밀폐시키되, 제1원료분리밀폐부(742)보다 외측에 구비되어 제1원료분리밀폐부(742)와 함께 밀폐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각 원료분리밀폐부(742, 744)는 원료분리밀폐홈(7422, 7442)과 원료분리밀폐링(7424, 7444)을 포함한다.
원료분리밀폐홈(7422, 7442)은 원료분리하우징(710)과 원료분리고정부(7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해당 원료분리밀폐링(7424, 7444)이 원료분리하우징(710)과 각 원료분리고정부(720) 사이 경계면에서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분리하우징(710)은 돌출가이드(714)를 더 포함한다.
이 돌출가이드(714)는 원료분리하우징(710)의 분리공간부(712)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송되는 미분원료의 이송속도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돌출가이드(714)는 원료분리하우징(7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원료분리와이어(730)가 설치되며, 일단부에서 중간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되고, 중간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이송속도가 증가된 미분원료가 각 원료분리와이어(730)와 충돌하여 원료 덩어리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료분리와이어(730)는 복수 개 구비되되, 수직방향으로 각각 다른 위치에 구비되며, 분리공간부(71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일정 각도 또는 상호 다른 각도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분리와이어(730)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와이어장력유지부(750)를 더 포함한다.
원료분리와이어(730)의 일단부는 원료분리하우징(71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원료분리하우징에 관통설치되며, 와이어장력유지부(750)는 원료분리와이어(730)의 타단부를 당겨 장력을 유지한다.
이 와이어장력유지부(750)는 각 원료분리와이어(730)의 장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봉에 해당 원료분리와이어(730)의 타단부가 권취되어 장력이 조절된다.
물론, 각 원료분리와이어(730)는 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력센서(미 도시)를 갖고, 이 장력센서의 측정 신호를 제어부(600)가 수신하여 해당 모터를 자동으로 구동시킨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이송필터부(430)는 이송필터프레임(431)과 이송필터망(432), 이송필터날개부(433), 이송필터롤러(434), 이송필터블럭(435), 이송필터타격봉(436) 및 이송가압부(437)를 포함한다.
이송필터프레임(431)은 이송연결관(440)의 일단부가 내부에 유동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중앙부가 통공되어 이송탱크(410)에 구비된다.
그리고 이송필터망(432)은 이송연결관(440)의 일단부를 덮도록 이송필터프레임(431)에 구비된다.
이송필터날개부(433)는 상단부 외측으로 복수의 이송필터날개(433a)를 갖고, 이송필터프레임(4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이송필터롤러(434)는 이송필터날개부(433)의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되어 이송필터날개부(433)가 이송필터프레임(431)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송필터블럭(435)은 이송필터프레임(431)과 이송필터날개(433a) 사이에 복수 개 구비되어 이송필터롤러(434)에 의해 상하 이동된다.
그리고 이송필터타격봉(436)은 각 이송필터블럭(435)에 돌출 형성되어 이송필터망(432)을 타격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송가압부(437)는 이송필터롤러(434)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된 해당 이송필터블럭(435)과 해당 이송필터타격봉(436)을 하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이송필터부(43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링블로워(300)에 의해 공기가 흡입될 경우, 이송필터날개부(433)가 회전되어 복수의 이송필터롤러(434)가 이송필터프레임(431)을 따라 회전된다.
이에, 각 이송필터롤러(434)가 복수의 이송필터블럭(435)과 이송필터타격봉(436)을 순차적으로 상측으로 이동시키되, 해당 이송필터롤러(434)를 지난 이송필터블럭(435)과 이송필터타격봉(436)은 이송가압부(437)의 탄발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시켜 이송필터망(432)을 타격하여 걸려진 미분원료를 떨어트린다.
다시 말해, 이송필터롤러(434)에 의해 이송필터블럭(435)과 이송필터타격봉(436)이 상측으로 이동될 경우, 이송가압부(437)는 압축시키며, 이송필터롤러(434)가 지날 경우, 이송필터블럭(435)과 이송필터타격봉(436)이 이송가압부(437)의 탄발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시켜 이송필터망(432)을 타격하는 것이다.
이에, 복수의 이송필터타격봉(436)이 이송필터망(432)을 해당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타격하여 걸러진 미분원료를 분리시킴에 따라, 이송필터망(432)의 청소가 이루어져 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송필터부(430)는 미분원료의 이송시 함께 동작하거나 이송작업을 중단시킨 상태에서 이송필터부(43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미분원료 이송을 중단시킨 상태에서 작동시킬 경우, 링블러워(300)와 별도의 흡입라인(미 도시)을 통해 작동되도록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됨이 당연하다.
한편, 이송필터부(430)는 기체과급펌프(438)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링블러워(300)의 흡입공기가 아닌 기체과급펌프(438)에 의해 과급되는 공기에 의해 이송필터날개부(433)와 이송필터롤러(434)가 회전되며, 과급된 공기는 이송연결관(440)으로 이동된다.
이에, 기체과급펌프(438)는 링블러워(300)와 동시에 작동되도록 제어되어 미분원료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원료 회수부(50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수탱크(510)와 백필터부(520), 자바라펄스부(530), 회수배출관(540) 및 회수밸브(550)를 포함한다.
회수탱크(510)는 이송연결관(440)을 통해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미분원료가 회수되기 위한 회수공간부(512)가 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백필터부(520)는 회수탱크(510)에 구비되어 링블로워(300)로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이송되는 미분원료를 필터링하기 위해 구비된다.
자바라펄스부(530)는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되며, 백필터부(520)의 내부에서 펄스를 발생시켜 필터링된 미분원료를 분리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회수배출관(540)은 유연성을 갖고, 일단부가 회수탱크(510)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링블러워(300)에 연결된다.
회수밸브(550)는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되며, 회수공간부(512)를 개폐하여 회수된 미분원료를 혼합부(200)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백필터부(520)는 회수공간부(512)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회수탱크(510)의 상단 중앙부에 위치되고, 회수배출관(540)의 일단부는 백필터부(52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자바라펄스부(530)는 링블로워(300)의 작동이 멈춘 상태에서 펄스를 발생시켜 백필터부(520)에 필터링된 미분원료를 분리시킨다.
이에, 백필터부(520)에 필터링된 미분원료를 회수공간부(512)로 떨어트려 저장시키며, 회수밸브(550)에 의해 회수공간부(512)가 개방되어 미분원료를 혼합부(2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링블로워(300)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로워몸체(310)와 블로워날개부(320), 블로워구동모터(330) 및 토출관(340)을 포함한다.
블로워몸체(310)는 내부에 회전공간부(312)가 형성된다.
또한 블로워날개부(320)는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날개(322)를 갖고, 회전공간부(31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블로워구동모터(330)는 블로워날개부(32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토출관(340)은 회전공간부(312)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링블로워(3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블로워구동모터(330)에 의해 회전되는 블로워날개부(320)에 의해 공기가 회수배출관(540)을 통해 회전공간부(312)로 유입된 후, 토출관(340)으로 토출됨에 따라, 저장부(100)의 미분원료를 혼합부(200)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링블로워(300)에는 블로워필터부(350)가 더 포함된다.
이 블로워필터부(350)는 링블로워(30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블로워필터부(350)는 토출관(340)에 구비되어 토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시킨다.
블로워필터부(350)는 헤파필터(352)와 활성탄필터(354)를 포함한다.
헤파필터(352)는 토출관(340)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1차 필터링하기 위해 구비되고, 활성탄필터(354)는 헤파필터(352)를 통해 1차 필터링된 공기를 2차 필터링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여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다.
10 : 미분원료 공급장치 100 : 저장부
200 : 혼합부 300 : 링블로워
310 : 블로워몸체 320 : 블로워날개부
330 : 블로워구동모터 340 : 토출관
350 : 블로워필터부 400 : 원료 이송부
410 : 이송탱크 420 : 이송흡입관
430 : 이송필터부 440 : 이송연결관
450 : 이송밸브 500 : 원료 회수부
510 : 회수탱크 520 : 백필터부
530 : 자바라펄스부 540 : 회수배출관
550 : 회수밸브 600 : 제어부
700 : 원료분리수단 710 : 원료분리하우징
720 : 원료분리고정부 730 : 원료분리와이어
740 : 원료분리밀폐부

Claims (3)

  1. 미분원료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미분원료를 혼합하여 저장하기 위한 혼합부;
    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한 링블로워;
    상기 링블로워에 의해 진공 발생 시, 내부에서 싸이클론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저장부의 미분원료를 임시저장하여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기 위한 원료 이송부;
    상기 원료 이송부를 통과한 공기에서 미분원료를 회수하여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기 위한 원료 회수부;
    상기 원료 이송부에 구비되어 상기 링블로워에 의해 이송되는 미분원료가 충돌되어 분리시키기 위한 원료분리수단; 및
    상기 링블로워, 원료 이송부, 원료 회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 이송부는,
    내부에 이송공간부를 갖는 이송탱크;
    유연성을 갖고, 일단부가 상기 저장부에 위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이송탱크에 위치되는 이송흡입관;
    유연성을 갖고, 상기 이송공간부의 공기와 미분원료를 상기 원료 회수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이송연결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이송공간부를 개폐하여 임시저장된 미분원료를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기 위한 이송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흡입관의 타단부는 상기 이송공간부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흡입된 미분원료가 이송공간부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되어 싸이클론을 형성하고,
    상기 이송흡입관은 두 개 이상의 이송흡입단위관으로 분리되며,
    상기 원료분리수단은,
    상기 분리된 이송흡입관과 연통되기 위한 분리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원료분리하우징;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이송흡입단위관의 각 단부를 상기 원료분리하우징에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원료분리고정부;
    장력을 갖고, 상기 원료분리하우징의 분리공간부에 복수 개 구비되어 이송되는 미분원료가 충돌되어 덩어리형태를 분리시키기 위한 원료분리와이어; 및
    상기 원료분리하우징과 각 원료분리고정부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원료분리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료분리고정부는,
    상기 해당 이송흡입단위관의 단부가 감기기 위한 제1원료분리고정블럭;
    상기 이송흡입단위관이 감겨진 제1원료분리고정블럭과 결합되며, 상기 원료분리하우징의 해당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제2원료분리고정블럭; 및
    상기 제1원료분리고정블럭과 제2원료분리고정블럭을 결합시켜 감겨진 상기 이송흡입단위관의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흡입관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원료분리하우징의 분리공간부 내주면은,
    이송되는 미분원료의 이송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돌출가이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고정수단은,
    상기 제1원료분리고정블럭에 형성되되, 상기 제2원료분리고정블럭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제1흡입관고정홈;
    상기 제1흡입관고정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원료분리고정블럭에 돌출형성되는 제1흡입관고정돌기;
    상기 제2원료분리고정블럭에 형성되되, 상기 제1흡입관고정돌기보다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원료분리고정블럭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제2흡입관고정홈; 및
    상기 제2흡입관고정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원료분리고정블럭에 돌출형성되는 제2흡입관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분리와이어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와이어장력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
KR1020190113121A 2019-09-11 2019-09-11 작업효율이 향상된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 KR102135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121A KR102135532B1 (ko) 2019-09-11 2019-09-11 작업효율이 향상된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121A KR102135532B1 (ko) 2019-09-11 2019-09-11 작업효율이 향상된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450A Division KR102030962B1 (ko) 2019-03-02 2019-03-02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532B1 true KR102135532B1 (ko) 2020-07-17

Family

ID=7183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121A KR102135532B1 (ko) 2019-09-11 2019-09-11 작업효율이 향상된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5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2620A (ja) * 1996-08-09 1998-02-24 Takahisa Sekiguchi 集塵装置
KR20020083890A (ko) * 2001-07-16 2002-11-04 임종진 의약품 분말 및 과립의 대용량 이송장치
KR20130017599A (ko) * 2011-08-11 2013-02-20 삼성전기주식회사 원료 이송 장치
JP2018140322A (ja) * 2017-02-24 2018-09-13 株式会社カワタ 気流分離部、混合槽、輸送混合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2620A (ja) * 1996-08-09 1998-02-24 Takahisa Sekiguchi 集塵装置
KR20020083890A (ko) * 2001-07-16 2002-11-04 임종진 의약품 분말 및 과립의 대용량 이송장치
KR20130017599A (ko) * 2011-08-11 2013-02-20 삼성전기주식회사 원료 이송 장치
JP2018140322A (ja) * 2017-02-24 2018-09-13 株式会社カワタ 気流分離部、混合槽、輸送混合機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565366U (zh) 清理筛
CN201249088Y (zh) 一种高性能密集型气力输送机
US3236565A (en) Dustless pneumatic conveyor and process
CN104210852B (zh) 间排型连续式真空上料机
US3030153A (en) Pneumatic conveyor system
CN104176503B (zh) 连排型连续式真空上料机
TWI752352B (zh) 用於散裝材料除塵的設備和方法
US10227185B2 (en) Grain conveying apparatus using air
CN203294801U (zh) 间排型连续式真空上料机
US7234493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dusty powdery grain-like or granular conveyed material out of a storage receptacle and into a working or transfer receptacle or a similar accomodating space
CN102126617B (zh) 一种气力输送机
CN105752689A (zh) 一种粉状物料输送装置
CN107572270A (zh) 一种高浓度压送连续散装系统
KR102135532B1 (ko) 작업효율이 향상된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
KR102030962B1 (ko) 원료 덩어리 분리가 가능한 미분원료 공급장치
CN205312288U (zh) 物料运输装置和包括其的物料粉碎系统
CN204996717U (zh) 一种标签纸与聚酯瓶片的分离装置
CN209451547U (zh) 一种二次除尘的粉尘分离装置
CN110216004A (zh) 一种矿渣无尘环保分析制砂制粉装置
KR102030961B1 (ko) 미분원료 공급장치
CN103386353A (zh) 粘性物料气流粉碎及其粉尘收集装置
CN202642838U (zh) 一种气力输送机
CN107413509A (zh) 一种除草剂粉剂立式磨机
CN208994019U (zh) 电子级粉体材料的贮料及分装系统
CN207209421U (zh) 一种颗粒物料气动上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