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555B1 - 차량의 테일게이트 팝업스프링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테일게이트 팝업스프링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555B1
KR100405555B1 KR10-2001-0043362A KR20010043362A KR100405555B1 KR 100405555 B1 KR100405555 B1 KR 100405555B1 KR 20010043362 A KR20010043362 A KR 20010043362A KR 100405555 B1 KR100405555 B1 KR 100405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late
pop
adjustment
tail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305A (ko
Inventor
조종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555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5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05Y2900/532Back doors or end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46Tail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후방에 설치되는 테일게이트를 개방할 때 사용되는 팝업스프링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스트라이커플레이트와 스프링플레이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플레이트와, 상기 조절플레이트에 수직하게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 및 스프링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된 조절나사부로 이루어진 스프링어저스터와; 상기 조절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에 형성된 나사체결구와; 상기 조절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플레이트를 상기 조절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마운팅너트와; 상기 조절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와 조절나사부의 나사결합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의 테일게이트 팝업스프링 설치구조를 제공하여,
팝업스프링의 장기간 사용으로 내구가 진행된 경우에도 별도로 팝업스프링을 교환하지 않고 간단한 조절작업에 의해 필요로 하는 팝업스프링의 탄성력을 확보하여 원활한 테일게이트 개방조작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테일게이트 팝업스프링 설치구조{A INSTALLATION STRUCTURE OF POP-UP SPRING FOR TAIL-GATE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후방에 설치되는 테일게이트를 개방할 때 사용되는 팝업스프링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팝업스프링이 작용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증가하고 있는 RV(recreational vehicle)차량에는 대부분 차량의 후방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테일게이트를 마련하여 편의성을 증대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테일게이트 장착 차량에서 흔히 일어나는 일로서, 테일게이트를 개방할 때, 원활한 팝업(POP-UP)동작이 일어나지 않아 조작성이 불량한 경우가 있는데, 이는 테일게이트를 개방하는 데에 사용되는 테일게이트 팝업스프링이 그 스프링력이 저하되어 일어나는 일로서 특히 저온에서 그 조작성은 더욱 불량해진다.
즉,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테일게이트 팝업스프링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바, 스트라이커(100)가 설치되어 있는 스트라이커플레이트(102)의 일측에 마련된 스프링플레이트고정구멍(104)에 스프링플레이트(106)가 볼트(108)를 통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플레이트(106)에 형성된 스프링가이드구멍(110)을 통해 스프링가이드(112)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가이드(112)의 외측에 팝업스프링(114)이 위치되며, 이들 팝업스프링(114)과 스프링가이드(112)의 상측에는 고무캡(116)이 이들을 연결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가이드(112)의 하측은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102)에 형성된 연통구멍을 통과한 상태로 상기 팝업스프링(114)이 신축할 때 필요한 작동스트로크를 확보하면서 팝업스프링(114)의 좌굴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팝업스프링(114)의 내구가 진행되어 그 제공하는 탄성력이 감소되고, 상기 고무캡(116)의 열화 등으로 인해 테일게이트의 개방에 필요한 충분한 힘을 원활히 발휘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결국 테일게이트의 개방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팝업스프링의 장기간 사용으로 내구가 진행된 경우에도 별도로 팝업스프링을 교환하지 않고 간단한 조절작업에 의해 필요로 하는 팝업스프링의 탄성력을 확보하여 원활한 테일게이트 개방조작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팝업스프링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팝업스프링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팝업스프링 설치부위에 대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팝업스프링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조절플레이트 3: 조절나사부
5: 스프링어저스터 7: 나사체결구
9: 고정너트 11: 마운팅너트
102: 스트라이커플레이트 106: 스프링플레이트
114: 팝업스프링 116: 고무캡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테일게이트 팝업스프링 설치구조는 스트라이커플레이트와 스프링플레이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플레이트와, 상기 조절플레이트에 수직하게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 및 스프링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된 조절나사부로 이루어진 스프링어저스터와; 상기 조절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에 형성된 나사체결구와; 상기 조절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플레이트를 상기 조절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마운팅너트와; 상기 조절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와 조절나사부의 나사결합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사용되었던 구성 부품과 동일한 부품의 명칭 및 기호는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테일게이트 팝업스프링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에 사용되던 스트라이커플레이트(102) 및 스프링플레이트(106)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102)에 스프링플레이트(106)를 고정하는 상태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하고 있다.
즉,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102)와 스프링플레이트(106)의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플레이트(1)와, 상기 조절플레이트(1)에 수직하게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102) 및 스프링플레이트(106)를 관통하도록 된 조절나사부(3)로 구성된 스프링어저스터(5)를 사용하여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102)에 스프링플레이트(106)를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스프링어저스터(5)와 상기 스프링플레이트(106) 및 스트라이커플레이트(102)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102)에는 상기 조절나사부(3)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체결구(7)를 형성하여 스프링어저스터(5)의 조절나사부(3)가 나사결합된 상태를 가지도록 함과 아울러 이 나사결합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너트(9)를 체결하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플레이트(106)의 상측에는 상기 조절나사부(3)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플레이트(106)를 상기 조절플레이트(1)에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마운팅너트(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방 동작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원인이 상기한 테일게이트 팝업스프링(114)의 탄성력 문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팝업스프링(114)을 교환하지 않고도 본 발명을 이용하여 손쉽게 원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팝업스프링의 설치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어저스터(5)의 조절플레이트(1)가 상기 스프링플레이트(106)를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102)로부터 원하는 거리만큼 이격시킨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팝업스프링(114)의 지지점 자체를 이동시켜 원하는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상기 스프링어저스터(5)가 스프링플레이트(106)를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102)로부터 원하는 거리만큼 이격시켜 고정하는 것은 상기 스프링어저스터(5)를 회전시켜 상기 조절나사부(3)가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102)의 나사체결구(7)에서 나사운동시켜서 상기 조절플레이트(1)가 스트라이커플레이트(102)로부터 원하는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9)를 조절나사부(3)에 체결하여 스트라이커플레이트(102)에 밀착되도록 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스프링플레이트(106)는 상기 조절플레이트(1)의 상측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마운팅너트(11)를 조절나사부(3)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조절플레이트(1) 쪽으로 조여서 그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플레이트(106)를 조절플레이트(1)와 일체가 되도록 고정한다.
이와 같이 스프링플레이트(106)가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102)로부터 원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안정된 상태로 고정됨에 의해 상기 팝업스프링(114)은 그 지지점이 그만큼 변화되어서 약해진 탄성력을 보상하고 열화된 고무캡(116)에 의한 반력 저하를 극복하고 테일게이트의 원활한 개방조작에 기여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팝업스프링의 장기간 사용으로 내구가 진행된 경우에도 별도로 팝업스프링을 교환하지 않고 간단한 조절작업에 의해 필요로 하는 팝업스프링의 탄성력을 확보하여 원활한 테일게이트 개방조작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

  1. 스트라이커플레이트와 스프링플레이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플레이트와, 상기 조절플레이트에 수직하게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 및 스프링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된 조절나사부로 이루어진 스프링어저스터와;
    상기 조절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에 형성된 나사체결구와;
    상기 조절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플레이트를 상기 조절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마운팅너트와;
    상기 조절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플레이트와 조절나사부의 나사결합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팝업스프링 설치구조.
KR10-2001-0043362A 2001-07-19 2001-07-19 차량의 테일게이트 팝업스프링 설치구조 KR100405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362A KR100405555B1 (ko) 2001-07-19 2001-07-19 차량의 테일게이트 팝업스프링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362A KR100405555B1 (ko) 2001-07-19 2001-07-19 차량의 테일게이트 팝업스프링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305A KR20030008305A (ko) 2003-01-25
KR100405555B1 true KR100405555B1 (ko) 2003-11-14

Family

ID=2771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362A KR100405555B1 (ko) 2001-07-19 2001-07-19 차량의 테일게이트 팝업스프링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947B1 (ko) * 2002-11-29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일 게이트 팝업 기능 대체장치
KR101294409B1 (ko) * 2011-12-06 2013-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선바이저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5025A (ja) * 1987-06-02 1988-12-13 Yuhshin Co Ltd ドア用ダブテ−ル
KR19980078389A (ko) * 1997-04-28 1998-11-16 김영귀 승합차의 도브테일
KR20010019890A (ko) * 1999-08-31 2001-03-15 이계안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열림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5025A (ja) * 1987-06-02 1988-12-13 Yuhshin Co Ltd ドア用ダブテ−ル
KR19980078389A (ko) * 1997-04-28 1998-11-16 김영귀 승합차의 도브테일
KR20010019890A (ko) * 1999-08-31 2001-03-15 이계안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열림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305A (ko) 200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6872A (en) Vehicle door glass liftplate assembly with frangible sleeve
JPH0379430A (ja) 自動車用放熱器取付け装置
KR100405555B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팝업스프링 설치구조
JP2003341469A (ja) ショルダアジャスタ装置
US6298520B1 (en) Door closer and mounting bracket
US20220251890A1 (en) Furniture Connecting Fitting
US7171877B2 (en) Compression tool
US87898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olding a cover in a closed orientation
US6240893B1 (en) Mounting bracket assembly
JP3870294B2 (ja) ガラスホルダー
US20020002090A1 (en) Chain tensioner
CN101832326A (zh) 拉索调节装置
JP3853489B2 (ja) 扉用蝶番取付け用の補強具
JPH0592721A (ja) 車両ルーフ
KR100388172B1 (ko) 도어 스트라이커의 무조정 장착 구조
KR200156544Y1 (ko) 트럭의 아웃사이드미러 장착구조
US20080289145A1 (en) Hood adjustment assembly
JP2021092085A (ja) 雪止め金具
KR200154446Y1 (ko) 썬바이저 장착장치
KR200150225Y1 (ko) 자동차용 도어 스트라이커 마운팅
KR200371020Y1 (ko) 차량용 스포일러 고정장치
GB2423334A (en) Trim assembly with latch mechanism
JPH10290550A (ja) 放熱板固定装置
JPH0511369Y2 (ko)
KR0122629Y1 (ko) 램프어셈블리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