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460B1 -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460B1
KR100405460B1 KR10-2001-0019063A KR20010019063A KR100405460B1 KR 100405460 B1 KR100405460 B1 KR 100405460B1 KR 20010019063 A KR20010019063 A KR 20010019063A KR 100405460 B1 KR100405460 B1 KR 100405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uxiliary
sheet
auxiliary shee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0029A (ko
Inventor
김하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9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460B1/ko
Publication of KR20020080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4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접이식 보조시트에 있어서, 시트백, 시트쿠션을 각각 접어야 하는 번거로움에서 탈피하여 시트의 하단에 신축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려는 토션스프링이 탄설된 토션바가 레버의 해제로 인해 회전하여 보조시트를 상기 시트의 위에 안착되도록 하여 통로를 확보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Moving-device of auxiliary-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접이식 보조시트에 있어서, 시트백, 시트쿠션을 각각 접어야 하는 번거로움에서 탈피하여 시트의 하단에 신축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려는 토션스프링이 탄설된 토션바가 레버의 해제로 인해 회전하여 보조시트를 상기 시트의 위에 안착되도록 하여 통로를 확보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의 시트에는 버킷 시트, 벤치 시트 및 리클라이닝 시트가 있고, 버킷 시트(bucket seat)는 탑승자 개개인의 몸을 편안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를 말하며, 시트가 1인용으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세퍼레이트 시트(separate seat)라고도 한다.
벤치 시트(bench seat)는 승용차의 뒷좌석에 사용되는 벤치 모양의 시트로서 버킷 시트와 대조적으로 쓰이는 표현이다.
리클라이닝 시트(reclining seat)는 시트백이 조정가능하도록 된 시트로서 적절한 운전을할 수 있는 목적 외에, 휴식을 위해 시트백을 눕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시트 슬라이드(seat slide)는 운전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시트가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구를 말하고, 시트 슬라이드나 리클라이닝 기구 등을 총칭하여 시트 어저스터(seat adjustor)라고 한다.
사람과 화물을 싣는 다용도의 보디를 가진 스테이션 왜건(station wagon)의 경우에는 제 1 시트와 제 3 시트의 사이에 배설되는 제 2 시트에 보조시트가 제공되는데, 보조시트는 제 3 시트의 승차 또는 제 3 시트에서의 하차시 폴딩되어 통로를 마련하게 된다.
따라서, 보조시트는 시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면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차용 보조시트는 시트백을 접고 난후에 다시 시트쿠션을 접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의 하단에 신축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려는 토션스프링이 탄설된 토션바가 레버의 해제로 인해 회전하여 보조시트를 상기 시트의 위에 안착되도록 하여 통로를 확보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도 1a, 1b, 1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작동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11 : 시트쿠션
12 : 시트백 13 : 걸림홈
20 : 보조시트 21 : 시트쿠션
22 : 시트백 23 : 챔버
30 : 토션바 31 : 연결훅
32 : 이동바 40 : 인장스프링
50 : 레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는 시트(10)의 시트쿠션(11) 내부에 토션스프링이 탄설된 토션바(30)와; 보조시트(20)내에 상기 토션바(30)와평행으로 설치되고, 반원 형상의 연결훅(31)이 개재된 한편, 토션바(30)에 의해 회전이동하는 이동바(32)와; 상기 보조시트(20)가 이동바(32)상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챔버(23)와; 상기 챔버(23)내에 탄설되어 인장력에 의해 보조시트(20)를 이동시키는 인장스프링(40)과; 상기 보조시트(20)를 관통하여 시트(1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13)에 구속/해제되는 레버(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보조시트(20)가 시트(10)의 간섭에서 탈피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토션바(30)와 이동바(32)는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1b, 1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시트를 나타낸다.
상기 시트(10)의 시트쿠션(11)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토션바(30)가 설치되는바, 상기 토션바(30)의 소정위치에는 토션스프링(미도시)이 탄설되어 있어 이 토션바(30)가 상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토오크가 생긴다.
상기 토션바(30)의 각 끝단은 연결훅(31)으로 연결되고, 이 연결훅(31)의 각 끝단은 다시 이동바(32)로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이동바(32)는 보조시트(20)의 시트쿠션(21) 내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이 보조시트(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된다.
특히, 상기 보조시트(20)의 챔버(23)는 상기 이동바(32)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이 이동바(32)가 회전할시에 상기 보조시트(20)는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챔버(23)내에 설치된 이동바(32)의 일측에는 인장스프링(40)이 탄설되어 있는바, 상기 인장 스프링(40)은 시트(10)와 보조시트(20)가 수평 상태일시에는 시트(10, 20)간에 간섭으로 인해 압축되어 있고, 상기 토션바(30)가 회전하여 보조시트(20)가 간섭이 해제되어 시트(10)위에 안착할시에는 인장되어 챔버(23)의 일측을 밀어내게 되므로 상기 보조시트(20)가 상기 시트(10)의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한편, 상기 토션바(30)와 이동바(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시트(20)의 시트백(22)이 시트(10)의 시트백(12)에 걸리지 않고 이동되도록 상기 시트(10)와 보조시트(20)에 좌측으로 기울어져 설치되어 있다.
이때, 기울어진 각도는 보조시트(20)의 시트백(22)의 두께와 관련이 있다.
상기 시트(10)와 보조시트(20)가 수평상태일시, 이 시트(10)의 일측에는 걸림홈(13)이 형성되어 있는데, 레버(50)가 보조시트(20)를 관통하여 상기 걸림홈(13)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탑승자가 2열 좌석 시트에 승차하기 위해서는 보조시트(20)를 조작하여 통로를 확보하여야 한다.
이때, 탑승자가 보조시트(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레버(50)를 전방으로 당기면 보조시트(20)를 관통하고, 시트(10)의 걸림홈(13)에 결려있는 상기 레버(50)가 이 걸림홈(13)에서 해제된다.
이후, 시트(10)내에 장착된 토션바(30)가 토션스프링에 의해 회전력을 가지므로 이 토션바(30)와 연결된 이동바(3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이동바(32)가 내장되어 있는 보조시트(20)가 시트(10)의 맞닿아 있는 측면을 따라 상승하고, 상기 시트(10) 측면의 간섭이 제거되면 상기 보조시트(20)는 시트(10)의 시트쿠션(11)상에 안착된다.
이후, 인장스프링(40)의 인장하려는 힘에 의해 챔버(23)를 밀게 되고 보조시트(20)는 상기 시트쿠션(11)의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는 간단한 레버의 조작으로 인해 보조시트가 자동으로 시트위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통로를 용이하게 확보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시트(10)의 시트쿠션(11) 내부에 토션스프링이 탄설된 토션바(30)와; 보조시트(20)내에 상기 토션바(30)와 평행으로 설치되고, 반원 형상의 연결훅(31)이 개재된 한편, 토션바(30)에 의해 회전이동하는 이동바(32)와; 상기 보조시트(20)가 이동바(32)상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챔버(23)와; 상기 챔버(23)내에 탄설되어 인장력에 의해 보조시트(20)를 이동시키는 인장스프링(40)과; 상기 보조시트(20)를 관통하여 시트(1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13)에 구속/해제되는 레버(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보조시트(20)가 시트(10)의 간섭에서 탈피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토션바(30)와 이동바(32)는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
KR10-2001-0019063A 2001-04-10 2001-04-10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 KR100405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063A KR100405460B1 (ko) 2001-04-10 2001-04-10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063A KR100405460B1 (ko) 2001-04-10 2001-04-10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029A KR20020080029A (ko) 2002-10-23
KR100405460B1 true KR100405460B1 (ko) 2003-11-14

Family

ID=2770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063A KR100405460B1 (ko) 2001-04-10 2001-04-10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4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029A (ko) 200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8054B2 (en) Stowable vehicle seat
US8616642B2 (en) Fold-and-dive apparatus for vehicle seat
US20030234551A1 (en) Seat arrangement for a vehicle
US20110012416A1 (en) Stowable vehicle seat
US6481799B1 (en) Vehicle sensitive inertia lockout
JP3936166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2005313867A (ja) 車両のシートフォールディング装置
JP4712036B2 (ja) 自動車用座席
JPS6325977B2 (ko)
US20200282887A1 (en) Fram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JP2019077223A (ja) 乗物用シート
CN112829654A (zh) 具有小腿支撑件的车辆座椅总成
KR100405460B1 (ko)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
JP2007075347A (ja) 車両用シート
KR20060099661A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기구
JP2006306251A (ja) 自動車シート
KR100559597B1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식 시트의 시트백 각도조절 구조
KR100197259B1 (ko) 차량용 보조시트 폴딩장치
US20230107030A1 (en) Seat frame for vehicle
JP7447518B2 (ja) 乗物用シート
JP6808861B1 (ja) 車両用シート
KR100523044B1 (ko)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장치
KR200386997Y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기구
JPS633313Y2 (ko)
JPS631770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