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751B1 - 제본기를 위한 다매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제본기를 위한 다매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751B1
KR100404751B1 KR10-2001-0043548A KR20010043548A KR100404751B1 KR 100404751 B1 KR100404751 B1 KR 100404751B1 KR 20010043548 A KR20010043548 A KR 20010043548A KR 100404751 B1 KR100404751 B1 KR 100404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ir
grounding
sheet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701A (ko
Inventor
정연관
켄지우메하라
슌미즈타니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알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알디씨 filed Critical (주)케이알디씨
Priority to KR10-2001-0043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751B1/ko
Priority to JP2003514344A priority patent/JP4444653B2/ja
Priority to US10/483,377 priority patent/US7147217B2/en
Priority to PCT/KR2002/001354 priority patent/WO2003009065A1/en
Publication of KR20030008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3/00Making booklets, pads, or form sets from multiple we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2/00Bookbinding: process and apparatus
    • Y10S412/902Heating and pressing

Landscapes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매 또는 두꺼운 용지의 접지를 위해 필요한 갭(gap)만큼 한쌍의 접지롤러의 원형구간을 일부 제거한 이중구조로 형성하고,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부로부터 배지되는 용지의 매수에 따라 접지롤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매 또는 두꺼운 용지가 진입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작은 롤러간의 압력으로도 신뢰성있게 용지를 접을 수 있어 접지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제본기의 다매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지 배지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서로 접촉하는 접촉부 사이로 서로 다른 두께의 용지가 진입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소정구간만큼 서로 다른 간격의 갭이 형성된 한쌍의 접지수단; 상기 한쌍의 접지수단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회전력 제공수단; 상기 배지부로부터 배출되는 용지의 접지매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접지수단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접지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 상기 배지부로부터 배출되는 용지의 접힘위치를 눌러 상기 한 쌍의 접지수단 사이로 진입시키는 용지 진입수단; 및 상기 한쌍의 접지수단 사이로 용지진입수단이 진입되도록 그에 직진구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본기의 다매 접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본기를 위한 다매 접지장치{Folding apparatus for booklet finisher}
본 발명은 일련의 용지를 정렬한 후 여러장을 동시에 접어주기 위한 다매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은 힘으로 다매 접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접힘시의 누름압력을 증대시켜 접지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제본기의 다매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 프린터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에는 배지부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정렬하고 적재하는 피니셔 복사지 자동분류장치와 소책자를 만들기 위해 배지시에 용지를 접고, 접은 부위에 스태플링을 수행하여 배출하는 제본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일례로서 복사기에서, 제본기능을 수행하는 제본장치에 포함되어 용지를 접기 위한 다매 접지장치에 대하여 도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부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한쌍의 접지롤러(20)와, 상기 접지롤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감속기어(50) 및 회전모터(40)와, 상기 접지롤러의 축에 연결되어 그에 소정 크기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95)과, 상기 배지부로부터 배출되는 용지(10)를 접기 위해 접힘위치의 경계선을 눌러 접지롤러(20) 사이로 진입시키기 위해 직진구동하는 나이프(30)와, 상기 나이프(30)에 직진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나이프 감속기어(90) 및 나이프 구동모터(80)와, 상기 나이프 감속기어(90)의 축에 연결된 나이프 캠(70)과, 일측은 상기 나이프(30)의 양단에 장착되며, 타측은 상기 나이프캠(70)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나이프 캠의 회전에 따라 편심량만큼 직진이동하는 크랭크바(7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제본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부로 용지가 수납되되, 상기 용지(10)의 접지경계부가 한쌍의 접지롤러(2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나이프 구동모터(80)가 구동하여 나이프 감속기어(90)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나이프 감속기어(80)에 연결된 나이프캠(70)의 편심량만큼 직진왕복이동하는 크랭크바(75)에 의해 나이프(30)가 접지롤러(20) 사이로 용지(10)를 밀어 넣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가압스프링(95)에 의해 가압력을 제공받으며, 회전모터 (50)및 감속기어(4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접지롤러(20)가 맞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용지의 접지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일련의 접지과정을 거치는 종래의 접지장치에서는 상기 접지롤러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접지롤러를 이용하여 적은 매수(통상 2매 ∼ 5매)를 접는 경우에는 초기부터 접지롤러 사이에 바로 진입시킬 수 있어 접지품질을 양호하게 할 수 있지만, 두꺼운 용지(통상 3mm이상)나, 많은 매수(통상 6매이상)를 접는 경우에는 밀착된 접지롤러 사이에 용지를 밀어 넣기 위한 큰 힘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두꺼운 매수의 양호한 접지품질을 얻기 위해서는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을 더욱 크게 하여 롤러간의 압력을 증대시켜야 하는데, 이럴 경우에는 두꺼운 용지나 다매가 접지롤러 사이로 진입하지 못하기 때문에 용지를 접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두꺼운 용지나 다매가 접지롤러 사이로 진입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접지롤러 사이의 간격이 많이 벌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큰 직경의 접지롤러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직경이 큰 접지롤러의 경우는 가격이 비싸며, 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결국 전술한 종래의 접지장치는 접지매수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부로부터 배지되는 용지의 매수에 따라 접지롤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매 또는 두꺼운 용지가 진입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작은 롤러간의 압력으로도 신뢰성있게 용지를 접을 수 있는 제본기의 다매 접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매 또는 두꺼운 용지의 접지를 위해 필요한 갭(gap)만큼 한쌍의 접지롤러의 원형구간을 일부 제거한 이중구조로 형성하여 접지매수에 상관없이 용지의 진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접힘시의 누름압력을 증대시켜 접지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제본기의 다매 접지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복사기에 적용된 다매 접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2는 종래의 다매 접지장치의 요부구성인 접지롤러 사이로 다매의 용지가 진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제본기를 위한 다매 접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접지롤러의 사시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한 쌍의 접지롤러 사이로 용지가 진입되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지 20: 접지롤러
30: 나이프 40: 감속기어
50: 회전모터 55: 위치센서
60: 접지축기어 70: 나이프캠
75: 크랭크바 80: 나이프 구동모터
90: 나이프 감속기어 95: 가압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지 배지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서로 접촉하는 접촉부 사이로 서로 다른 두께의 용지가 진입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소정구간만큼 서로 다른 간격의 갭이 형성된 한쌍의 접지수단; 상기 한쌍의 접지수단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회전력 제공수단; 상기 배지부로부터 배출되는 용지의 접지매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접지수단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접지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 상기 배지부로부터 배출되는 용지의 접힘위치를 눌러 상기 한 쌍의 접지수단 사이로 진입시키는 용지 진입수단; 및 상기 한쌍의 접지수단 사이로 용지진입수단이 진입되도록 그에 직진구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본기의 다매 접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1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본기의 다매 접지장치는 접지롤러의 형상을 변형시켜 그의 직경을 크게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접지롤러 사이로 다매 또는 두꺼운 용지의 진입을 원활히 하며 접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도1에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배지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서로 접촉하는 접촉부 사이로 서로 다른 두께의 용지가 진입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소정구간만큼 서로 다른 간격의 갭이 형성된 한쌍의 접지롤러(20)를 구비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한 쌍의 접지롤러(20)는 원형롤러로 형성되되, 상기 원형롤러의 외주면을 소정 구간만큼 절개시켜 큰 직경(20a)과 작은 직경(20b)을 가진 이중원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적은 매수(통상 2매 ∼ 5매)의 경우에는 큰 롤러직경이 큰 접촉부 사이로 용지를 진입시키고, 다매(통상 6매 ∼ 15매) 또는 두꺼운 용지(통상 3mm∼5mm정도)의 경우는 롤러직경이 작은 접촉부 즉, 외주면이 절개되어 소정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3mm)을 가지는 접촉부 사이로 진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한쌍의 접지롤러(20)에는 그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감속기어(50) 및 회전모터(40)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한 쌍의 접지롤러(20)의 축에는 롤러간의 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소정 크기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95)이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접지롤러(20)의 상부에는 그의 위치, 즉 큰 직경(20a)이 접촉하는 위치와 작은 직경(20b)이 접촉하는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55)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센서(55)는 접지매수가 적은 용지가 진입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접지롤러(20)의 큰 직경부(20a) 사이로 진입될 수 있도록 회전시키고, 다매 또는 두꺼운 용지가 진입되는 경우에는 접지롤러(20)의 작은 직경부(20b) 사이로 진입될 수 있도록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한 쌍의 접지롤러(20) 하부에는 용지(10)의 접힘위치 경계선을 눌러 한 쌍의 접지롤러(20) 사이로 진입시키기 위해 직진구동하는 나이프(30)가 구비되며, 상기 나이프(30)는 그에 직진구동력을 제공하는 직진구동력 제공수단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직진구동력 제공수단은 나이프 구동모터(80) 및 나이프 감속기어(90)와, 상기 나이프 감속기어(90)의 축에 연결된 나이프 캠(70)과, 일측은 상기 나이프(30)의 양단에 장착되며, 타측은 상기 나이프캠(70)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나이프 캠의 회전에 따라 편심량만큼 직진이동하는 크랭크바(7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도5a 및 도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a는 접지롤러의 작은 직경 사이로 다매 또는 두꺼운 용지가 진입되는 상태도이고, 도5b는 접지롤러의 큰 직경 사이로 적은 매수의 용지가 진입되는 상태도를 나타낸다.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부로 용지가 수납되면, 위치센서(55)가 한 쌍의 접지롤러(20)의 위치를 감지하여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위치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상기 콘트롤러에서는 용지 매수에 따라 회전모터(5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한쌍의 접지롤러(20)의 위치를 조절한다. 즉,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지부로부터 수납되는 용지가 적은 매수일 경우에 상기 위치센서(55)의 감지신호에 따라 접지롤러(20)의 큰 직경부(20a)가 용지의 접힘부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로 회전시키고,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부로부터 수납되는 용지가 다매 또는 두꺼운 용지일 경우에는 갭이 형성된 접지롤러(20)의 작은 직경부(20b)가 용지의 접힘부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용지의 접지경계부가 한쌍의 접지롤러(2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나이프 구동모터(80)가 구동하여 나이프 감속기어(90)- 나이프캠(70)순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나이프캠(70)과 크랭크바(75) 사이의 편심량만큼 상기크랭크바(75)에 의해 나이프(30)가 접지롤러(20) 사이로 용지를 밀어 넣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가압스프링(95)에 의해 가압력을 제공받으며, 회전모터(50) 및 감속기어(4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접지롤러가 맞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용지의 접지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접지롤러가 직경이 큰 접촉부와 직경이 작은 접촉부를 가지도록 이중원 단면형상으로 변형하고, 또한 위치센서를 이용하여 용지의 매수에 따라 상기 접지롤러의 위치(직경이 큰 접촉부 위치 및 직경이 작은 접촉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매 또는 두꺼운 용지의 진입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접지롤러에 제공되는 스프링의 작은 가압력으로도 접힘시의 누름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접지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용지 배지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서로 접촉하는 접촉부 사이로 서로 다른 두께의 용지가 진입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소정구간만큼 서로 다른 간격의 갭이 형성된 한쌍의 접지수단;
    상기 한쌍의 접지수단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회전력 제공수단;
    상기 배지부로부터 배출되는 용지의 접지매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접지수단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접지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
    상기 배지부로부터 배출되는 용지의 접힘위치를 눌러 상기 한 쌍의 접지수단 사이로 진입시키는 용지 진입수단; 및
    상기 한쌍의 접지수단 사이로 용지진입수단이 진입되도록 그에 직진구동력을 제공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제본기의 다매 접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지수단은 원형롤러로 형성되되, 상기 원형롤러의 외주면을 소정 구간만큼 절개시켜 이중원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한 제본기의 다매 접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지수단의 축에 연결되어 그들이 밀착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제본기의 다매 접지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직진구동력 제공수단은
    상기 용지진입수단에 직진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회전력 제공수단;
    상기 제2 회전력 제공수단의 축에 연결된 캠;
    일측은 상기 용지진입수단의 양단에 장착되며, 타측은 상기 캠의 중심에서 소정건격만큼 떨어진 위치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편심량만큼 직진이동하는 크랭크바를 포함하는 제본기의 다매 접지장치.
KR10-2001-0043548A 2001-07-19 2001-07-19 제본기를 위한 다매 접지장치 KR100404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548A KR100404751B1 (ko) 2001-07-19 2001-07-19 제본기를 위한 다매 접지장치
JP2003514344A JP4444653B2 (ja) 2001-07-19 2002-07-18 画像形成装置の製本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483,377 US7147217B2 (en) 2001-07-19 2002-07-18 Paper binding system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02/001354 WO2003009065A1 (en) 2001-07-19 2002-07-18 Paper binding system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548A KR100404751B1 (ko) 2001-07-19 2001-07-19 제본기를 위한 다매 접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701A KR20030008701A (ko) 2003-01-29
KR100404751B1 true KR100404751B1 (ko) 2003-11-07

Family

ID=2771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548A KR100404751B1 (ko) 2001-07-19 2001-07-19 제본기를 위한 다매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7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761B1 (ko) * 2007-03-23 2008-06-17 주식회사신도리코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
KR100860863B1 (ko) * 2007-03-23 2008-09-29 주식회사신도리코 용지걸림에 의한 과부하 방지기능을 구비한 접지장치
KR100916289B1 (ko) * 2007-07-26 2009-09-10 주식회사신도리코 폴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지 폴딩 장치 및 이의제어방법
KR100916290B1 (ko) * 2009-04-03 2009-09-10 주식회사신도리코 폴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지 폴딩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8979A (ja) * 1996-03-14 1997-09-22 Horizon Internatl Kk 中綴折りの折りぐせ付け方法及びその折りぐせ付け装置
JPH11105456A (ja) * 1997-10-03 1999-04-20 Horizon International Kk 用紙ナイフ折り装置
JPH11334989A (ja) * 1998-05-25 1999-12-07 Toppan Printing Co Ltd 縁監視装置、およびその利用装置、ならびに縁判定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8979A (ja) * 1996-03-14 1997-09-22 Horizon Internatl Kk 中綴折りの折りぐせ付け方法及びその折りぐせ付け装置
JPH11105456A (ja) * 1997-10-03 1999-04-20 Horizon International Kk 用紙ナイフ折り装置
JPH11334989A (ja) * 1998-05-25 1999-12-07 Toppan Printing Co Ltd 縁監視装置、およびその利用装置、ならびに縁判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701A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4645B2 (en) Sheet 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EP2110233B1 (en) Sheet creaser, image forming apparatus, sheet fol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20115702A1 (en) Crea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US20060049574A1 (en) Sheet folding apparatus
US20110130260A1 (en) Crea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system
EP0924573A1 (en) Recording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404751B1 (ko) 제본기를 위한 다매 접지장치
EP1772284B1 (en) Signature spine flattening device, post treatment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329219B2 (en) Folding apparatus in a web-fed rotary printing press
WO1986001773A1 (en) Pre-fold, web scoring apparatus for signature folding machines or the like
WO2006120900A1 (ja) シート送り装置
US20110138980A1 (en) Punching unit
US6886828B2 (en) Sheet finish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JP3002164B2 (ja) 枚葉紙処理機
US20030085511A1 (en) Sheet discharg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JPH11106129A (ja) 用紙切断装置
JP2003335455A (ja) 用紙の筋入れ機構及び筋入れ・折り曲げ機構
KR100476706B1 (ko) 버퍼장치
JP4333174B2 (ja) 用紙積載装置
JP3924035B2 (ja) 用紙後処理装置
JP3688966B2 (ja) 画像形成機のフィニッシャ
JPH09160425A (ja) 用紙位置ずれ修正機構付き電子写真方式印刷装置
JPH08133547A (ja) プリンタ用紙送り機構
JP3926341B2 (ja) 輪転印刷機の折りローラ
JP3217199B2 (ja) 用紙穿孔装置及び用紙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