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761B1 -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761B1
KR100838761B1 KR1020070028833A KR20070028833A KR100838761B1 KR 100838761 B1 KR100838761 B1 KR 100838761B1 KR 1020070028833 A KR1020070028833 A KR 1020070028833A KR 20070028833 A KR20070028833 A KR 20070028833A KR 100838761 B1 KR100838761 B1 KR 100838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olding
pair
folding rollers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철
장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to KR1020070028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0Detecting malfunctions relating to paper handling, e.g. j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02Folding limp material without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04Fold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02Folding limp material without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06Folding webs
    • B65H45/10Folding webs transversely
    • B65H45/101Folding webs transversely in combination with laying, i.e. forming a zig-zag pile
    • B65H45/103Folding webs transversely in combination with laying, i.e. forming a zig-zag pile by a carriage which reciprocates above the laying station
    • B65H45/105Folding webs transversely in combination with laying, i.e. forming a zig-zag pile by a carriage which reciprocates above the laying station coacting with fold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16Rotary f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매의 출력 용지가 접히도록 하는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로서, 상기 용지가 인입되어 압착되도록 서로 맞물리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폴딩 롤러; 상기 한 쌍의 폴딩 롤러 중 하나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폴딩 롤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부싱; 상기 한 쌍의 폴딩 롤러 중 나머지 하나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그 외주연의 일부가 상기 폴딩 롤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하여 상기 부싱과 맞물리는 외경변이부를 형성한 캠 형상의 편심 부싱; 및 상기 용지가 상기 한 쌍의 폴딩 롤러 사이로 인입되도록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상기 용지의 중앙을 가압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폴딩 롤러가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의 출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폴딩 롤러 사이로 다매의 용지가 수월하게 인입되도록 하고, 폴딩 롤러 사이로 인입된 용지가 깔끔하게 폴딩되도록 폴딩 롤러 사이의 압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인쇄기기, 폴딩 롤러, 부싱, 편심

Description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Apparatus for folding paper of printing system}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폴딩롤러에 홈을 형성한 종래의 용지 폴딩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를 도시한 배면도.
도 5는 도 3의 부싱 및 편심 부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편심 부싱의 외경변이부가 부싱의 외주연과 맞물리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편심 부싱의 외경변이부가 부싱의 외주연과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폴딩 롤러 111: 구동력 전달 수단
120: 부싱 130: 편심 부싱
131: 외경 변이부 140: 블레이드
150: 용지 160: 가이드 부재
170: 감지센서 180: 압착수단
181: 수평바 182: 탄성부재
본 발명은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딩 롤러가 회전되도록 작동하는 구동모터의 출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폴딩 롤러 사이로 다매의 용지가 수월하게 인입되도록 하고, 폴딩 롤러 사이로 인입된 용지가 깔끔하게 폴딩되도록 폴딩 롤러 사이의 압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는 복사기, 프린터 등의 인쇄기기에 설치되어 인쇄된 다매의 용지를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두 개의 폴딩 롤러를 이용하여 반으로 접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용지 폴딩 장치는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폴딩롤러(10), 구동모터(21)에 의해 구동되어 한 쌍의 폴딩롤러(10) 사이의 입구까지 직선 왕복 운동하는 폴딩부재(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폴딩부재(20)는 구동모터(21)와 연결된 구동기어(22)의 외곽부분에 위치되어, 구동기어(22)의 축(2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링크축(24)에 연결된 링 크로 구성되어, 구동모터가 일방향을 회전하더라고 직선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지 폴딩 장치를 보면, 용지(30)가 일측으로부터 공급되어 가이드부재(40)에 의해 한 쌍의 폴딩롤러(10)와 블레이드(25)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면, 구동모터(21)의 구동에 의해 블레이드(25)가 폴딩롤러(10)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고, 이 블레이드(25)의 직선 운동에 의해 용지(30)가 한 쌍의 폴딩롤러(10) 사이에 맞물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한 쌍의 폴딩롤러(10)는 용지(30)가 폴딩롤러(10) 사이로 인입되어 압착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용지(30)가 반으로 접혀진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용지 폴딩 장치는 용지(30)가 인입되는 한 쌍의 폴딩롤러(10) 사이의 입구의 크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과도한 양의 용지를 인입하려 하는 경우, 용지 전체의 두께로 인하여 폴딩롤러(10) 사이로 용지가 원활하게 인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용지 폴딩 장치는 구동모터의 출력 및 폴딩롤러의 위치가변정도를 고려하면, 보통 10장 정도의 용지를 한꺼번에 접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그 이상의 과도한 양의 용지가 폴딩롤러(10) 사이로 인입되는 경우, 폴딩롤러(1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및 블레이드(25)를 구동하는 구동모터(21)에 과도한 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폴딩롤러(10) 중 하나의 외주면에 일정크기의 홈(11)을 형성하여 폴딩롤러(10) 사이에 더 많은 양의 용지가 인입되도록 한 용지 폴딩 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도 2는 폴딩롤러에 홈을 형성한 종래의 용지 폴딩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폴딩롤러(10)의 외주면에 일정크기의 홈(11)을 형성하여 두 폴딩롤러(10) 사이로 많은 양의 용지가 공급되어도 무난하게 용지가 접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폴딩롤러(10)에 홈(11)을 형성하게 되면, 두 폴딩롤러(10) 사이로 많은 양의 용지가 무난하게 인입은 가능하지만, 폴딩롤러(10)의 홈(11) 형상에 의해 인입된 두 폴딩롤러(10)가 일정부분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입된 용지의 일부분이 깔금하게 압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종래의 폴딩 롤러가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의 출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폴딩 롤러 사이로 다매의 용지가 수월하게 인입되도록 하고, 폴딩 롤러 사이로 인입된 용지가 깔끔하게 폴딩되도록 폴딩 롤러 사이의 압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책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매의 출력 용지가 접히도록 하는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로서, 상기 용지가 인입되어 압착되도록 서로 맞물리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폴딩 롤러; 상기 한 쌍의 폴딩 롤러 중 하나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폴딩 롤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부싱; 상기 한 쌍의 폴딩 롤러 중 나머지 하나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그 외주연의 일부가 상기 폴딩 롤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하여 상기 부싱과 맞물리는 외경변이부를 형성한 캠 형상의 편심 부싱; 및 상기 용지가 상기 한 쌍의 폴딩 롤러 사이로 인입되도록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상기 용지의 중앙을 가압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심 부싱의 외경변이부가 상기 부싱과 맞물리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정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수평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폴딩 롤러가 서로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착 수단은 상기 한 쌍의 폴딩 롤러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수평바와, 일측은 상기 수평바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바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용지 수납부의 본체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경변이부는 상기 편심 부싱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부싱 및 편심 부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편심 부싱의 외경변이부가 부싱의 외주연과 맞물리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편심 부싱의 외경변이부가 부싱의 외주연과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는 소책자(booklet)를 제작하기 위하여 출력된 다매의 용지를 반으로 접기 위한 장치로서, 용지가 인입되어 압착되도록 서로 맞물리어 회전하는 한 쌍의 폴딩 롤러(folding roller;110), 한 쌍의 폴딩 롤러(110) 중 어느 하나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부싱(bushing;120), 한 쌍의 폴딩 롤러(110) 중 나머지 하나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외주연의 일부가 편심되도록 형성된 캠 형상의 편심 부싱(130); 및 한 쌍의 폴딩 롤러(110) 사이로 용지가 접혀서 인입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용지를 가압하는 블레이드(140를 포함한다.
한 쌍의 폴딩 롤러(110)는 상하로 위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서로 맞물리어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고, 한 쌍의 폴딩 롤러(110)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폴딩 롤러(110)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하 한 쌍의 폴딩 롤러(110)가 서로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기어 등의 구동력 전달 수단(111)이 설치된다.
또한, 한 쌍의 폴딩 롤러(110)의 좌우측에는 각각 부싱(120) 및 편심 부싱(130)이 설치되는데, 한 쌍의 폴딩 롤러(110) 중 하나의 폴딩 롤러(110)에는 캠 형상의 부싱(120)이 설치되며, 나머지 하나의 폴딩 롤러(110)에는 캠 형상의 편심 부싱(130)이 설치된다.
부싱(120) 및 편심 부싱(130)은 각각 설치되어 있는 폴딩 롤러(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지 않지만, 편심 부싱(130)의 외주연 일부에는 폴딩 롤러(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외경변이부(131)가 형성되어 편심 부싱(130)의 외경변이부(131)와 부싱(120)의 외주연은 서로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편심 부싱(130)의 외경변이부(131)와 부싱(120)의 외주연이 서로 맞물리게 되면, 서로 맞물리어 있던 폴딩 롤러(110)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폴딩 롤러(110) 측으로 인입되는 다매의 용지(150)가 수월하게 폴딩 롤러(110) 사이로 인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편심 부싱(130)의 외경변이부(131)는 그 편심된 두께(외경변이부의 두께) h의 크기에 따라 폴딩 롤러(110)로 인입되는 용지(150)의 매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편심된 두께 h가 폴딩 롤러(110) 사이로 15장의 용지가 인입되도록 할 수 있는 두께라면, 이 h의 크기를 더 크게 형성하여 15장 이상의 용지가 폴딩 롤러(110) 사이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작하고자 하는 책자의 규모(매수)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편심 두께를 갖는 편심 부싱(130)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편심 부싱(130)의 외경변이부(131)는 하나만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편심 부싱(130)의 외주연에 두 개 이상의 외경변이부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절개된 캠 형상을 주어 상하 한 쌍의 폴딩 롤러(110)가 서로 이격되는 가변 정도를 더욱 증가시킴으로써, 폴딩 롤러(110) 측으로 인입되는 다매의 용지(150)를 더욱 수월하게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블레이드(140)는 구동모터(미도시)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블레이드(140)에 전달하여 블레이드(140)가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하는 링크 등의 구동력 전달 수단(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한 쌍의 폴딩 롤러(110) 사이에 용지(150)가 인입될 수 있도록 용지(150)의 중앙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공급되는 용지(150)는 폴딩 롤러(110)와 블레이드(140)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16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세팅되고, 블레이드(140)의 가압에 의해 가이드 부재(160)의 가이드 입구를 통해 폴딩 롤러(110) 사이로 인입되어 반으로 포개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는 편심 부싱(130)의 외경변이부(131)와 부싱(120)의 외주연이 서로 맞물리는 시점을 확인하기 위한 감지센서(170) 및, 감지센서(170)로부터 신호를 검출하여 편심 부싱(130)의 외경변이부(131)와 부싱(120)의 외주연이 서로 맞물리는 경우, 블레이드(140)가 폴딩 롤러(110) 측으로 수평이동하여 용지(150)를 가압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즉, 감지센서(170)는 편심 부싱(13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편심 부싱(130)의 외경변이부(131)와 부싱(120)의 외주연이 맞물리는 경우, 편심 부싱(13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편심 부싱(130)의 외경변이부(131)와 부싱(120)의 외주연이 맞물리는 시점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는 블레이드(14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용지(150)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폴딩 롤러(110)가 편심 부싱(130)의 외경변이부(131)에 의해 서로 일정간격의 틈이 벌어지는 때에 용지(150)가 수월하게 폴딩 롤러(110)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블레이드(140)의 진입 시점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는 한 쌍의 폴딩 롤러(110)가 서로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 수단(180)을 더 포함한다. 이 압착 수단(180)은 편심 부싱(130)의 외경변이부(131)에 의해 한 쌍의 폴딩 롤러(110)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경우, 폴딩 롤러(110) 사이의 압착력이 저하되어 인입된 용지(150)가 완벽하게 접혀지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쌍의 폴딩 롤러(110)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수평바(181)와, 일측이 수평바(181)와 결합되고 타측이 수평바(181)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하측에 위치되는 용지 수납부의 본체(미도시)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편심 부싱(130)의 외경변이부(131)와 부싱(120)의 외주연이 서로 맞물리게 되어 한 쌍의 폴딩 롤러(110)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틈이 벌어지는 경우, 수평바(181) 역시 폴딩 롤러(110)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지만, 수평바(181)와 본체 사이에 결합된 탄성부재(182)에 의해 수평바(181)가 폴딩 롤러(110)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어 한 쌍의 폴딩 롤러(110)가 서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폴딩 롤러(110) 사이로 인입된 용지(150)가 가압되도록 하여 용지가 수월하게 접혀지도록 한다.
한편, 편심 부싱(130)의 외주연에 형성된 외경변이부(131)는 둘 또는 셋 이상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캠 형상을 형성하여 폴딩 롤러(110)가 서로 이격되는 가변 정도를 더욱 증가시켜, 폴딩 롤러(110) 사이로 인입되는 용지(150)가 보다 수월하게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인쇄되어 출력된 용지(150)가 가이드 부재(160)에 의해 폴딩 롤러(110)와 블레이드(14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면, 한 쌍의 폴딩 롤러(110)는 구동력 전달 수단(111)을 통해 전달된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블레이드(140) 역시 구동모터 및 구동력 전달수단에 의해 폴딩 롤러(110) 측으로 수평이동하여 용지(150)의 중앙을 가압하여 밀게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 부싱(130)의 외경변이부(131)와 부싱(120)의 외주연이 서로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폴딩 롤러(110) 간의 이격된 틈이 없기 때문에 다매의 용지(150)가 폴딩 롤러(110) 사이로 인입되는데 다소 어 려움이 따르지만, 폴딩 롤러(110)의 회전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 부싱(130)의 외경변이부(131)와 부싱(120)의 외주연이 서로 맞물리게 되면, 폴딩 롤러(110) 간의 틈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매의 용지가 폴딩 롤러(110) 사이로 보다 원활하게 인입된다.
다시 말하면, 편심 부싱(130)의 외경변이부(131)와 부싱(120)의 외주연이 서로 맞물리게 되어 감지센서(170)를 통해 편심 부싱(130)의 위치변화가 감지되면, 제어부에 의해 블레이드(140)의 가압 시점이 정해지기 때문에, 편심 부싱(130)의 외경변이부(131)에 의해 한 쌍의 폴딩 롤러(110)가 서로 일정간격의 틈을 갖도록 이격되는 시점에 블레이드(140)가 용지(150)를 가압하여 폴딩 롤러(110) 측으로 용지(110)가 수월하게 인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의 예를 들면, 편심 부싱(130)이 적용되지 않은 폴딩 장치의 경우, 최대 10장 정도의 용지만을 폴딩 롤러 사이로 인입될 수 있었던 것을, 폴딩 롤러(110)가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의 출력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최대 15장 정도의 용지도 무난하게 폴딩 롤러(110) 사이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어 폴딩 장치의 용지 폴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폴딩 롤러(110) 사이로 다매의 용지가 인입된 경우, 폴딩 롤러(110) 간의 틈이 더욱 증가되어 폴딩 롤러가 용지를 압착하는 힘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즉, 용지를 가압하는 폴딩 롤러(110) 사이의 압착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평바(181) 및 탄성부재(182)로 이루어진 압착수단(18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폴딩 롤러(110) 사이에 다매의 용지가 인입되더라도, 본체 및 수평바(181)에 결합된 탄성부재(182)의 탄성력을 통하여 용지(150)가 더욱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편심 부싱의 외주연에 외경변이부를 형성하여 한 쌍의 폴딩 롤러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된 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폴딩 롤러 사이로 인입되는 용지가 다매인 경우에도 보다 수월하게 인입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편심 부싱의 외주연에 외경변이부를 형성하여 한 쌍의 폴딩 롤러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된 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기존 폴딩 롤러를 구동하던 구동모터의 출력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폴딩 장치의 폴딩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바 및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압착수단을 구비하여 폴딩 롤러 사이로 다매의 용지가 인입되는 경우에도 폴딩 롤러 간의 압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입된 다매의 용지가 깔끔하게 압착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 을 것이다.

Claims (5)

  1. 책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매의 출력 용지가 접히도록 하는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로서,
    상기 용지가 인입되어 압착되도록 서로 맞물리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폴딩 롤러;
    상기 한 쌍의 폴딩 롤러 중 하나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폴딩 롤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부싱;
    상기 한 쌍의 폴딩 롤러 중 나머지 하나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그 외주연의 일부가 상기 폴딩 롤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하여 상기 부싱과 맞물리는 외경변이부를 형성한 캠 형상의 편심 부싱; 및
    상기 용지가 상기 한 쌍의 폴딩 롤러 사이로 인입되도록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상기 용지의 중앙을 가압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부싱의 외경변이부가 상기 부싱과 맞물리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정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수평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폴딩 롤러가 서로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수단은 상기 한 쌍의 폴딩 롤러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수평바와, 일측은 상기 수평바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바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용지 수납부의 본체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경변이부는 상기 편심 부싱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
KR1020070028833A 2007-03-23 2007-03-23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 KR100838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833A KR100838761B1 (ko) 2007-03-23 2007-03-23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833A KR100838761B1 (ko) 2007-03-23 2007-03-23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761B1 true KR100838761B1 (ko) 2008-06-17

Family

ID=3977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833A KR100838761B1 (ko) 2007-03-23 2007-03-23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7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701A (ko) * 2001-07-19 2003-01-29 (주)케이알디씨 제본기를 위한 다매 접지장치
KR20040085701A (ko) * 2003-04-01 2004-10-08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옥상 슬라브의 단열 방수공법
KR20060062346A (ko) * 2004-12-03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20070062346A (ko) * 2005-12-12 2007-06-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김치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701A (ko) * 2001-07-19 2003-01-29 (주)케이알디씨 제본기를 위한 다매 접지장치
KR20040085701A (ko) * 2003-04-01 2004-10-08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옥상 슬라브의 단열 방수공법
KR20060062346A (ko) * 2004-12-03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20070062346A (ko) * 2005-12-12 2007-06-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김치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0654B2 (en) Spine formation device,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spine formation system
US7905473B2 (en) Sheet creaser including a cam guided pressing unit
US8109495B2 (en) Spine formation device,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bookbinding system
EP2439156B1 (en) Sheet separating mechanism
KR101169823B1 (ko) 용지 후처리 장치 및 용지 후처리 방법
EP2845829A1 (en) Crease inserting device
US20110197725A1 (en) Punching unit
US8876107B2 (en) Sheet stacking device, image forming system, and sheet stacking method
EP1762348A1 (en) Perforating unit having reduced heat deformation effect and image forming system using the same
JP2010132368A (ja) カール矯正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シート紙後処理装置
KR100838761B1 (ko) 인쇄기기용 용지 폴딩 장치
JP2009142911A (ja) 穿孔装置
US8882100B2 (en) Post-processing device, post-process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202754572U (zh) 片材分离装置
EP1710184A1 (en) Paper treating device
JP2011084047A (ja) 冊子後処理装置
EP3450368B1 (en) Post-processing apparatus
EP3349426B1 (en) Scanning device and paper feeding module
US20100244366A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force of a solenoid, a controllable force transducer and the use thereof
JP5912257B2 (ja) 紙葉穿孔装置
JP2008260602A (ja) 穿孔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後処理装置
JP2018126805A (ja) 穿孔ユニット、穿孔装置、穿孔システム、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EP3715116B1 (en) Automatic laminating machine
JP2012086290A (ja) 穿孔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2101303A (ja) 紙葉類穿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