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397B1 -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 Google Patents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397B1
KR100403397B1 KR10-2001-0013473A KR20010013473A KR100403397B1 KR 100403397 B1 KR100403397 B1 KR 100403397B1 KR 20010013473 A KR20010013473 A KR 20010013473A KR 100403397 B1 KR100403397 B1 KR 100403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mortar
concrete structure
formwork
sewer
wire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3719A (ko
Inventor
황대하
Original Assignee
황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대하 filed Critical 황대하
Priority to KR10-2001-0013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397B1/ko
Publication of KR20020073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예를 들면, 지하터널형 하수구, 원형 하수구 등의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부분을 제거하는 제 1공정; 상기 제거된 부분에 다수의 철재 고정부재를 박고 이 고정부재에 철망을 설치하는 제 2공정; 상기 철망의 바깥쪽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의 양 측단면에 실링하는 제 3공정;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 시멘트 몰탈을 콘크리트 구축물의 외부에서 내부로 주입할 수 있도록 홀을 형성하는 제 4공정; 및 상기 홀을 통해 거푸집의 안쪽 공간에 시멘트 몰탈을 주입한 후 양생을 거쳐 시멘트 몰탈이 굳으면 거푸집을 제거하는 제 5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Repairing method of outdated concrete fabric of creek covered by lid}
본 발명은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부분을 적은 공사비로 견고하고 간편하게 보수할 수 있는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개천은 하수 등이 흐르는 개천의 상부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덮어서 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를 도로나 인도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산업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각종 공장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오폐수와 생활하수는 물론 이들로부터 발생되는 황화수소와 같은 유독가스의 증가로 복개천의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부식은 심화되고, 이로 인하여 복개천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붕괴될 염려가 있었다.
상기 복개천의 콘크리트 구조물 부식에 대처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사람이 하수구 내로 직접 들어가서 하수구의 부식부위를 제거하고, 그 표면에 시멘트 몰탈을 덧붙여 보수하는 정도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하수구의 상부에 차량이 빈번하게 통과하는 경우, 그 진동 등에 의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덧붙인 시멘트 몰탈이 손쉽게 떨어져 나가게 된다.
그리고, 보수 주변의 계속적인 부식 등으로 보수공사를 반복적으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비가 과다하게 지출되고 교통체증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멘트 몰탈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운반하기 어려워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가 협소한 경우, 보수작업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시멘트 몰탈을 외부에서 공급하면서도 보수부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의 제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과 시멘트 몰탈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보수된 부분이 잘 떨어지지 않는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시멘트 몰탈 주입할 수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 부식부위를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보수된 지하터널형 하수구를 보인 일부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보수된 지하터널형 하수구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보수된 지하터널형 하수구를 나타낸 것으로 하프 슬래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하여 보수된 지하터널형 하수구를 나타낸 것으로 PVC라이닝 판넬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하여 보수된 지하터널형 하수구를 나타낸 것으로 PVC라이닝 판넬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C"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하여 보수된 원형 하수구를 보인 단면도.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부호※
1: 콘크리트 못 2: 철망
3: 거푸집 4: 홀
5:하프 슬래브 3a,5a: (시멘트 몰탈 주입) 공간
6,6a:PVC라이닝 판넬 T: 지하터널형 하수구
C: 원형 하수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부분을 제거하는 제 1공정; 상기 제거된부분에 다수의 철재 고정부재를 박고 이 고정부재에 철망을 설치하는 제 2공정; 상기 철망의 바깥쪽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의 양 측단면에 실링하는 제 3공정;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 시멘트 몰탈을 콘크리트 구축물의 외부에서 내부로 주입할 수 있도록 홀을 형성하는 제 4공정; 및 상기 홀을 통해 거푸집의 안쪽 공간에 시멘트 몰탈을 주입한 후 양생을 거쳐 시멘트 몰탈이 굳으면 거푸집을 제거하는 제 5공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보수된 지하터널형 하수구를 보인 일부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보수된 지하터널형 하수구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보수된 지하터널형 하수구를 나타낸 것으로 하프 슬래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하여 보수된 지하터널형 하수구를 나타낸 것으로 PVC라이닝 판넬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하여 보수된 지하터널형 하수구를 나타낸 것으로 PVC라이닝 판넬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C"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하여 보수된 원형 하수구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은, 제 1공정에서, 수공구 또는 파쇄기 등을 사용하여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부위를 말끔히 제거한다.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이 철근 콘크리트인 경우에는,철근이 노출될 수 있는 바, 이 철근의 표면에는 녹을 제거하고 방청제를 도포한다.
상기 철근의 표면에 방청제를 도포하는 이유는 시멘트 몰탈을 주입한 후 시멘트 몰탈에 포함된 물에 의해서 철근이 부식되지 않도록 함에 있다.
제 2공정에서, 상기 방청제를 살포한 후, 부식부위를 제거한 부위에 못 자동 고정기 등의 전동 공구를 이용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콘크리트 못을 촘촘하게 박는다.
상기 콘크리트 못을 박는 이유는 시멘트 몰탈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 콘크리트 못을 박은 후에는, 콘크리트 못에 철망을 고정 설치하여 시멘트 몰탈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으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붙도록 한다.
제 3공정에서, 상기 철망을 설치 한 후에는, 상기 철망의 바깥쪽에 거푸집을 설치하며, 이때 거푸집의 안쪽에는 시멘트 몰탈이 주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거푸집의 양 측단면에는 쫄대 또는 시일러를 도포하여 상기 공간에 시멘트 몰탈이 주입된 후 거푸집의 양측으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한다.
제 4공정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는, 그 구조물의 내부와 연통되는 홀을 형성한다.
즉,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 거푸집의 안쪽 공간(시멘트 몰탈 주입공간)과 연통되는 홀을 일정 길이마다 다수 형성하며, 상기 홀을 통해서 외부에서 상기 거푸집의 안쪽 공간으로 시멘트 몰탈을 주입한다.
제 5공정에서, 시멘트 몰탈을 주입한 후에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48시간 이상 양생하며, 시멘트 몰탈이 굳으면 거푸집과, 쫄대, 실링제를 제거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사를 완료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우레탄, 스치로플, 실리콘 등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거푸집의 내면에 문양을 돌출 형성한 후, 이 거푸집을 사용함으로써 공사완료 후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문양이 남게되며, 따라서 보수공사 완료 후에도 별도의 미장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시멘트 몰탈은, 물 1중량부, 시멘트 0.5-5중량부, 2㎜체를 통과한 세사 1-5중량부에, 시멘트 사용량의 10%이하로 무수축 혼화제 또는 팽창제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시멘트 대신에 무수축 시멘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무수축 혼화제 또는 팽창제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고유동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고유동화제는 시멘트 사용량의 5%이내의 범위에서 사용하고, 접착강화를 위하여 에멀젼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에멀젼 수지는 아크릴, 에폭시, 라텍스등을 사용한다.
도 2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보수된 지하터널형 하수구를 보인 것으로, 부식부위가 제거된 지하터널형 하수구(T)의 표면에는 콘크리트 못(1)이 일정간격으로 촘촘하게 다수 박혀진다.
상기 콘크리트 못(1)에는 투입되는 시멘트 몰탈의 인장력을 보강하기 위하여철망(2)이 넓게 고정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시멘트 몰탈이 굳으면 그 시멘트 몰탈 내부에는 철망(2)이 박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시멘트 몰탈이 지하터널형 하수구(T) 표면에 견고하게 고착된다.
철망(2)은 녹슬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하는 바, 이를 위하여 철망(2)에 방청제가 살포되거나, 또는 방청제가 시멘트 몰탈내에 투입될 수도 있다.
상기 철망(2)의 바깥쪽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거푸집(3)이 설치되며, 이 거푸집(3)은 나무, 철재로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하여 보수된 지하터널형 하수구를 나타낸 것으로, 거푸집으로서 하프 슬래브(5)가 사용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시멘트 몰탈이 굳은 후에 제거되는 거푸집과는 달리, 하프 슬래브(5)는 시멘트 몰탈과 함께 고착되어 터널형 하수도(T)의 표면을 이루는 것으로, 일반적인 거푸집보다는 터널형 하수도(T)와 근접 설치되기 때문에, 시멘트 몰탈이 주입되는 공간(5a)이 작기 마련이며, 따라서 시멘트 몰탈이 적게 사용되고, 시멘트 몰탈이 터널형 하수도(T)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이다.
만약, 상기 하프 슬래브가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터널형 하수로 표면에 철근이 돌출 된 상태라면, 철근이 제 2공정의 콘크리트 못, 철망의 역할을 하므로, 콘크리트 못, 철망의 설치 없이도 하프 슬래브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하프 슬래브(5)의 양 측단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쫄대가 설치되거나 또는 시일러가 도포되는 바, 이 쫄대 및 시일러는 시멘트 몰탈이 거푸집 양측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하프 슬래브(5)의 안쪽 공간(5a:시멘트 몰탈 주입공간)에 주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하터널형 하수구(T)의 상부에는 하프 슬래브(5)의 안쪽 공간(5a)과 연통되는 홀(4)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홀(4)을 통해 상기 공간(5a)에 시멘트 몰탈이 주입된다. 한쪽의 홀(4)을 통해서 시멘트 몰탈이 주입되면 다른 쪽 홀(도시하지 않음)에서는 내부의 공기가 빠져 나오게 된다. 시멘트 몰탈은 다른 홀이 다 찰 때까지 주입되며, 시멘트 몰탈이 다 주입되면 약 48시간 동안 양생을 거쳐 보수공사가 완료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하여 보수된 지하터널형 하수구를 나타낸 것으로 PVC라이닝 판넬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지하터널형 하수구(T)의 부식부위가 제거되면, 제거된 그 표면에는 콘크리트 못(1)이 일정간격으로 촘촘하게 많이 박혀진다. 이 콘크리트 못(1)에는 철망(2)이 넓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철망(2)의 바깥쪽에는 PVC라이닝 판넬(6)이 설치되고, PVC라이닝 판넬(6)의 바깥쪽에는 다시 거푸집(3)이 설치된다. 상기 거푸집(3)의 양 측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쫄대가 설치되거나 또는 시일러가 도포된다.
상기 지하터널형 하수구(T)의 상부에는, 공간(3a)과 연통되는 홀(4)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홀(4)을 통해 상기 거푸집(3)의 안쪽 공간(3a)에 시멘트 몰탈이 주입된다. 거푸집(3) 안쪽 공간(3a)에 시멘트 몰탈이 주입되고 약 48시간 이상 양생을 거친 후 시멘트 몰탈이 굳으면 거푸집(3)이 제거된다.
이때, PVC라이닝 판넬(6)은 지하수에서 발생되는 유독가스, 예를 들면 황화수소등에 내부식성을 갖는 재료로서, PVC라이닝 판넬(6)이 지하터널형 하수구(T)의표면에 견고하게 고착됨으로써 지하터널형 하수구(T)가 쉽게 부식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하여 보수된 원형 하수구를 나타낸 것으로, 원형 하수구(C)의 부식부위가 제거된 후, 원형 하수구(C) 내부에는 원형 PVC라이닝 판넬(5a)이 설치되고, 이 PVC라이닝 판넬(6a)의 바깥쪽에는 다시 거푸집(3)이 설치된다.
원형 하수구(C) 상부에는 시멘트 몰탈이 주입되는 공간(3a)과 연통되는 홀(4)이 형성되며, 상기 홀(4)을 통해 시멘트 몰탈이 주입된다. 시멘트 몰탈이 주입된 후, 양생을 거쳐 시멘트 몰탈이 굳으면 거푸집(3)이 제거됨으로써 보수공사가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복개천의 콘크리트 구조물(예를 들면, 지하터널형 하수구, 원형 하수구 등)의 부식부위를 제거하고, 제거된 표면에 콘크리트 못, 철망을 고정 설치한 후 거푸집을 설치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시멘트 몰탈을 주입하는 공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시멘트 몰탈을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고, 공사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공사비용을 적게 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멘트 몰탈이 굳은 후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희망하는 문양이 남도록 함으로써 보수공사 완료 후에도 별도의 미장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쪽에 콘크리트 못과 철망을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시멘트 몰탈을 주입, 고착시킴으로써 시멘트 몰탈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한 번의 공사로 보수공사를 완료하여 공사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 시멘트 몰탈 주입을 위한 홀을 형성하고, 이 홀을 통하여 시멘트 몰탈을 주입함으로써 보수공사가 매우 쉽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하프 슬래브 또는 PVC라이닝 판넬을 부착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에 우레탄, 스치로플, 실리콘등을 이용하여 거푸집의 내면에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보수공사 완료 후에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희망하는 문양이 남게 되어 미적 효과를 더 할 수 있다.

Claims (5)

  1.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부분을 제거하는 제 1공정;
    상기 제거된 부분에 다수의 철재 고정부재를 박고 이 고정부재에 철망을 설치하는 제 2공정;
    상기 철망의 바깥쪽에 하프 슬래브를 설치하고 상기 하프 슬래브의 양 측단면에 실링하는 제 3공정;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 시멘트 몰탈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에서 내부로 주입할 수 있도록 홀을 형성하는 제 4공정; 및
    상기 홀을 통해 하프 슬래브의 안쪽 공간에 시멘트 몰탈을 주입한 후 양생을 거쳐 시멘트 몰탈이 굳게 하는 제 5공정;을 포함하는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슬래브의 내면에는 PVC 판넬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01-0013473A 2001-03-15 2001-03-15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KR100403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473A KR100403397B1 (ko) 2001-03-15 2001-03-15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473A KR100403397B1 (ko) 2001-03-15 2001-03-15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719A KR20020073719A (ko) 2002-09-28
KR100403397B1 true KR100403397B1 (ko) 2003-10-30

Family

ID=2769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473A KR100403397B1 (ko) 2001-03-15 2001-03-15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33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012B1 (ko) * 2008-12-22 2010-01-26 (주)우암건설 박스 하수관거의 석축벽 보수 보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237B1 (ko) * 2001-12-03 2005-07-25 이창남 강화외피첨가 골조보강공법
KR100461492B1 (ko) * 2002-02-15 2004-12-13 배석동 지하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0841568B1 (ko) * 2007-03-29 2008-06-26 덕원산업개발주식회사 복개수로 석축의 비개착 보강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454A (ko) * 1992-07-15 1994-02-17 이윤진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JPH07189500A (ja) * 1993-12-27 1995-07-28 Nomura Micro Sci Co Ltd コンクリート面のライニング工法
JPH09291708A (ja) * 1996-04-24 1997-11-11 Kyoryo Hozen Kk 補強用格子材
KR19990024271A (ko) * 1998-12-29 1999-03-25 유성권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구조 및 보강공법
KR20020045175A (ko) * 2000-12-08 2002-06-19 조대연 고강도 긴장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454A (ko) * 1992-07-15 1994-02-17 이윤진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JPH07189500A (ja) * 1993-12-27 1995-07-28 Nomura Micro Sci Co Ltd コンクリート面のライニング工法
JPH09291708A (ja) * 1996-04-24 1997-11-11 Kyoryo Hozen Kk 補強用格子材
KR19990024271A (ko) * 1998-12-29 1999-03-25 유성권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구조 및 보강공법
KR20020045175A (ko) * 2000-12-08 2002-06-19 조대연 고강도 긴장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012B1 (ko) * 2008-12-22 2010-01-26 (주)우암건설 박스 하수관거의 석축벽 보수 보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719A (ko) 200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8455C1 (ru)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иления конструкции из гофрированных стальных листов
KR100403397B1 (ko) 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JP5958907B2 (ja) 既設コンクリート床版の部分的修復工法
KR100665020B1 (ko) 조립식 재활용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프리텐션 쏘일네일링공법 및 영구벽체용 전면보강패널
KR20060122361A (ko) 관로 비굴착 몰탈 주입공법
JP2920104B2 (ja) 継手補修工法
JP2612599B2 (ja) 中央分離帯の改修方法
JP2002327600A (ja) トンネル内監視員通路の擁壁構造及び擁壁構成用部材
RU2205914C1 (ru) Способ уширения мостового сооружения
JPH09228321A (ja) 橋梁の改修工法
YU18699A (sh) Modul za izgradnju kuća i postupak koji je u vezi sa njim
JP6904542B2 (ja) 円形水路の改修工法
KR200341389Y1 (ko) 지하굴착공사의 보강구조 및 영구벽체용 전면보강 패널
KR100901184B1 (ko) 박스 하수관거의 석축벽 보수 보강방법
KR20050034978A (ko) 평면, 곡면 및 각형 구조물 방수 겸 보수보강공법
KR101013090B1 (ko) 보강몰탈을 이용한 슬래브 보강공법
KR100798219B1 (ko) 하수관 이음부 보수 보강 공법
KR100455413B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KR100556546B1 (ko) 소일 네일을 이용한 옹벽 축조 공법 및 그 블록 제조방법
KR100461492B1 (ko) 지하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2364887B1 (ko) 터널 비개착 일체식 압입공법 및 그에 적용되는 일체식 가설구조물
KR100405941B1 (ko) 터널 보수공법
JP2000129616A (ja) 連続橋梁状構造物の破損防止構造
JP3202101B2 (ja) 高欄干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高欄干部分の施工方法
KR20020094652A (ko) 낙교 방지를 위한 기존 교각 및 교대의 보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