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914B1 - 진동 노이즈 감소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노이즈 감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914B1
KR100400914B1 KR10-1999-7011401A KR19997011401A KR100400914B1 KR 100400914 B1 KR100400914 B1 KR 100400914B1 KR 19997011401 A KR19997011401 A KR 19997011401A KR 100400914 B1 KR100400914 B1 KR 100400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housing
vibration
frequency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3400A (ko
Inventor
제이밀 아이. 라함
Original Assignee
리톤 마린 시스템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톤 마린 시스템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리톤 마린 시스템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13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9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00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진동크기들을 감소시키는 몸체(13)에 대한 튜닝된 부가 질량(17)이 강제주파수들에 작용한다. 작용 하중들에 대한 몸체의 최대응답에서 노드를 형성하도록 질량이 몸체에 연결된다. 진동 주파수대역내에서 역 진동들을 제공하도록 질량의 진동 주파수들을 튜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과 같이 응답하도록 상기 질량이 구성된다. 몸체의 진동들과 반대되는 상을 형성하는 질량의 진동에 의해 진동크기가 감소된다.

Description

진동 노이즈 감소장치{TUNED VIBRATION NOISE REDUCER}
폐쇄된 루프(loop) 주위에서 반대방향으로 전파되는 두 개의 모노크롬 레이저빔(monochromatic laser beam)이 링레이저 자이로스코프(Ring Laser Gyroscope: RLG)에서 이용된다. 루프축 주위에서 장치의 회전운동에 의해 한쪽방향으로 빔경로길이가 증가되고, 반대쪽방향으로 빔경로가 감소된다. 두 개의 카운터 - 회전빔(counter-rotating beam)들의 레이저주파수들은 레이저 경로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RLG의 회전운동에 의해 형성되는 차동경로길이는 두 개의 빔들사이에 주파수차이를 야기한다. 상기 주파수차이의 크기 및 신호는 RLG 속도 및 회전방향을 나타내고, 종래기술에 따르면, 상기 목적을 위해 조정될 수 있다. 낮은 회전속도에서, 계수기회전빔들사이의 주파수차이의 크기는 작고, 빔들은 동일주파수에서 공진되는 경향을 가지고 즉 록인(lock-in)되고, RLG는 정지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록인현상에 의해, RLG는 록인속도이거나 록인속도이하인 회전속도의 감지작용을 못하게 한다. 록인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한쪽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형성하고 다음에 다른 한쪽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형성하도록 RLG는 축주위에서 기계적으로 진동되고, 디더링(dithering)된다. 상기 디더링에 의해 각각의 방향으로 장치의 회전운동을 유지하는 동안 기계적 진동과 독립적이고, 다음에 록인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출력단자들에서 신호가 제공된다.
상기 디더링에 의해 RLG가 장착되는 구조물은 진동하게 되어, 장착구조물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장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구조물 고유의 노이즈(noise)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Charles M. Adkins 과 동료들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5,012,174 호에 구조물 고유의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종래기술의 방법이 공개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디더링 RLG(dithering RLG)에 의해 RLG 플랫포옴에 직접 부착되고, 유도된 진동들을 감쇄시키기 위해 플랫포옴의 카운터진동(counter vibration)을 전자적으로 형성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장치는 전기 및 기계적으로 복잡하고, 상대적으로 비용이 적게 드는 RLG와 함께 사용하기에는 너무 비싸다.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James R. Brazell 및 동료들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5,267,720 호에 구조물고유의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종래기술의 또다른 방법이 공개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서로 수직인 회전축들을 따라 위치한 한쌍의 노이즈 감쇄기조립체의 이용법이 제공된다. 기계가공된 하우징에 대해 몰딩되고 상당히 감쇄된 중합체재료내에 고정되고 정밀연삭된 밸브스프링(valve spring)이 각각의 노이즈 감쇄장치내에 포함된다. 소요 플랫포옴 안정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회전축들의 정렬상태 및 노이즈감쇄기들의 가공작업은 작은 공차로 수행되어야 한다. 외부표면들중 90퍼센트까지 점탄성구속층을 부착하여, 센서 지지구조물의 기계적 공진이 억제된다. 충격, 진동 및 구조물 고유의 노이즈 격리를 만족시키기 위해, 고정밀 가공, 몰딩된 중합체의 작은 공차들, 일치되고 예비하중을 받는 노이즈 감쇄기들 및 폭넓은 검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제조 및 조립이 곤란하고 그결과 비용이 많이 든다.
본 발명은 진동 절연장치 및 특히 장치위에 장착된 운동질량에 의해 플랫포옴(platform) 위에 발생하는 진동에 기인하는 구조상의 노이즈(noise)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련된다.
도 1 은 본 발명을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진동하중 유니트 및 하우징으로 구성된 조립체의 분해도.
도 2A, 2B, 2C 는 도 1 에 도시된 하우징 커버조립체의 관련 모드형상 및 공진주파수를 도시한 도면들.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르는 것과 따르지 않는 각각 도 1 에 도시된 조립체의 강제진동운동을 위한 제 1 축상의 진동크기 대 진동주파수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르는 것과 따르지 않는 각각 도 1 에 도시된 조립체의 강제진동운동을 위한 상기 제 1 축과 수직을 이루는 제 2 축상의 진동크기 대 진동주파수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르는 것과 따르지 않는 각각 도 1 에 도시된 조립체의 강제진동운동을 위한 상기 제 1 축 및 제 2 축과 수직을 이루는 제 3 축상의 진동크기 대 진동주파수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 부호설명
11: 진동발생장치 13: 하우징
17: 보조질량 19: 기저판
22a,22b,22c: 통과구멍 24a,24b,24c: 통과구멍
25a,25b,25c: 결합나사 23: 커버27a, 27b, 27c: 이격요소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질량을 진동몸체에 적합하게 부착시켜 소요 주파수대역내에서 구조물고유의 노이즈가 억제되고, 상기 진동몸체는 링레이저 자이로(RLG)와 같은 진동발생장치의 지지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스프링과 같은 작동을 제공하기 위한 가요성(강성)이 보조질량에 형성되고, 불필요한 공진주파수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지지프레임의 진동작용의 최대크기 위치에서 노드(영운동)를 강화하도록 상기 보조질량이 지지프레임에 부착된다. 지지구조체의 진동을 최소화하도록 부착과 관련한 상기 구성 및 방법에 의해 RLG의 불필요한 강제 주파수에서 보조질량이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장치의 강제 주파수로 부터 조합된 구조물, 지지프레임 및 보조질량의 고유 주파수들이 벗어나게 된다.
하기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기 특징 및 다른 특징들이 충분히 이해된다.
도 1 을 참고할 때, 디더링(dithering)된 RLG와 같은 진동발생장치(11)가 하우징(13)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은 RLG 작동을 위한 전자장치들을 포함한 커버(15)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몸체에 작용하는 외력들에 의하여 몸체는 외력에 의한 강제주파수에서 진동운동을 하게 된다.하우징(13)은 중심선(14a)을 가지는 상부벽(13a)와 중심선(14b)를 가지는 하부벽(13b)를 포함한다.RLG의 디더링작용과 같은 장치(11)의 진동운동은 유니트 몸체(unit body)로서 작동하는 하우징-덮개조립체(13,15)의 강제진동운동을 야기한다. 강제진동운동은 주파수(ω)를 가지고 상기 강제 주파수는 진동발생장치(11)에 의해 발생된다. 강제주파수들에 응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의 진동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는 고유주파수(ωo)를 가지도록 설계되고, 상기 고유주파수는 가장 낮은 강제주파수보다 더 낮다. k가 몸체의 강성을 나타내고, m이 몸체의 질량을 나타낼 때 몸체의 고유주파수가 2= k/m 에 의해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적합한 k/m의 비율을 형성하기 위해 구성재료, 벽두께 및 하우징주위의 구속점들의 선택에 따라 고유주파수()는 가장 낮은 강제주파수보다 낮다. 하우징-커버조립체(13,15)에 대해 적합하게 설계된 보조질량을 적합하게 결합시키면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의 강제진동운동은 강제주파수범위내에서 최소화될 수 있다. 감쇄되지 않은 진동시스템의 강제진동크기는
단 po는 강제하중의 크기,
ko는 mo 2,
mo는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의 질량,
는 강제주파수,
는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의 고유주파수,
po/ko는 이론적인 스프링의 정적 휨도를 나타낸다.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의 질량에 의해 휨크기(xo)가 감소될 수 있다. 보조질량(17)을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에 결합시켜 상기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에 보조질량(17)을 결합시키면 전체시스템에 질량 meq가 추가되고, 상기 질량 meq
단 meq는 보조질량 시스템에 의해 부가되는 등가질량(equivalent mass),
mam은 보조질량조립체(17)의 실제 질량,
은 보조질량의 고유주파수를 나타낸다.
보조질량조립체(17)의 등가질량은 결합시스템의 진동크기를 형성하고, 상기 진동크기는 강제 주파수비율 am=/, 질량비율 (= mam/m) 및 하우징-커버조립체(13,15)의 정적휨도의 함수로서 다음식에 의해 도출된다.
=/.
상기 관계식으로 부터, 보조질량의 공진주파수가 강제 주파수에 맞춰지고 즉=또는 등가하게 β= 1일 때, 강제주파수()의 진동크기가 사실상 영인 것이 분명하다.
상기 설명과 같이, 진동운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 1 기본주파수가 진동발생장치(11)의 강제주파수대역에서 벗어나도록,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가 구성된다. 조립체(13,15)의 고유주파수가 강제주파수대역 이하가 되게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발생장치가 디더링되는 RLG이라면, 강제주파수는 450㎐ 및 650㎐ 사이에 있다. 조립체(13,15)의 고유주파수에서 진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하기 위하여, 강제주파수대역내에 있는 가장 낮은 주파수보다 작은 고유주파수가 선택될 수 있고 조립체(13,15)가 구성될 수 있다.
조립체(13,15)의 고유주파수들을 결정하고 강제 주파수 범위내에서 공진횟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의 수학적 모델이 형성된다.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에 관한 최적의 수학적 모델이 405㎐의 제 1 공진주파수를 야기하고, 450㎐를 가지는 RLG에 관한 가장 낮은 강제주파수보다 상기 제 1 공진주파수가 작다. 하우징-커버조립체(13,15)상의 위치들에서 상기 제 1 공진작용을 위한 상대 휨크기가 도 2A 에 도시된다. 534㎐를 갖는 제 2 공진주파수는 RLG의 강제주파수 범위내에 있고, 이것은 450㎐ 및 650㎐ 사이에 있다.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상의 위치들에서 상기 제 2 공진작용을 위한 상대 휨 크기가 도 2B 에 도시된다. 도 2C 에 상대크기로서 도시되고 990㎐를 갖는 제 3 공진주파수는 강제 주파수대역보다 훨씬 크다. 제 2 모드, 534㎐를 갖는 공진주파수만이 RLG의 불필요한 강제주파수범위내에 있다. 휨작용이 영인 선으로 나타나는 노드선(nodal line)이 도 1에 도시된바와 같이 하우징(13)의 상부벽(13a)의 중심선(14a)위에 존재하는 것이 도 2A 로 부터 분명하다. 최대 휨작용이 위치(27a,27c) 근처에서 존재하는 것이 도 2A 로 부터 분명하다. 결과적으로, 위치(27b,29)에서 보조질량(17)을 하우징조립체를 결합하여, 보조질량을 구속하기 위하여, 확인된 하우징조립체의 노드선, 중심선(14a)이 이용된다. 추가로, 보조질량(24a,24c)의 코너(corner)들이 각각 최대 진동억제작용이 필요한 하우징의 코너(27a,27c)들에 연결된다.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의 고유주파수에서 진동작용을 확실히 억제하기 위해, 530㎐ 근처의 강제주파수에서 보조질량이 진동운동하도록 설계된다.
최적화된 벽두께, 선택된 재료 및 분석모델로 부터 유추된 구속점들을 가진 하우징-커버조립체에 임펄스 해머테스트(impulse hammer test)가 가해진다. 도3A, 도 4A 및 도 5A 를 참고할 때, 상기 장치의 주파수응답은 계산된 세 개의 제 1 공진노드들과 일치하였다.
다시 도 3A, 도 4A 및 도 5A 를 참고할 때, 대략 영으로 부터 1600㎐에 이르는 강제주파수들을 위해 도 1 에 도시된 x, y 및 z축들에 대한 대표적인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의 하우징(13)상의 위치(16)에서 주파수응답들이 도시된다. 위치(16)에서 공진주파수는 350㎐, 548㎐ 및 960㎐이다. 상기 공진주파수들중에서 오직 548㎐를 가진 공진주파수만이 강제주파수대역내에 있게 된다.
강제주파수대역내부의 진동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복합조립체를 형성하도록 보조질량(17)이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에 부착된다. 보조질량(17)은 섹션으로 구성된 기저판(19)으로 구성되고, 상기 기저판은 4개의 섹션들, 각각의 섹션내에 위치한 강제 쇼트(steel shots)(BBs)(21) 및 커버(23)를 가진다. 커버(23)내에서 통과구멍(24a,24b,24c)으로 연장구성되고 기저판(19)내에서 통과구멍(22a,22b,22c)으로 연장구성되어 이격요소(27a,27b,27c) 하부의 나사구멍까지 연장구성되는 나사(25a,25b,25c)들에 의해 보조질량(17)이 하우징조립체(13,15)에 연결된다. 이격요소(27a,27b,27c)들을 이용하고, 하우징(13)위에서 보조질량(17)을 패드(29)위에 안착시키면 하우징(13) 및 보조질량(17) 사이에 균일한 공기간격이 형성된다. 기저판(19)의 각각의 섹션을 충진하고, 운동없는 접촉이 유지되도록 쇼트(BBs 21)들의 크기가 형성된다. 명확한 이해를 위해 단지 적은 갯수의 쇼트(BBs 21)들만이 도면에 도시된다. 질량 및 강성의 바람직한 조합을 보조질량(17)에 제공하기 위하여 쇼트(BBs 21)들이 이용된다.
소요 튜닝(tuning)작용을 형성하고, 조합된 시스템공진주파수를 강제주파수대역으로 부터 벗어나도록 보조질량의 전체질량이 계산된다. 결합된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 및 보조질량(17)을 위한 특성방정식이 상기 방정식의 디노미네이터(denominator)
를 영으로 설정하여 제공될 수 있다.,,의 함수로서 디노미네이터를 다시 쓰고,=로 설정하면 다음식
이 형성되고, 상기 식은 조합된 시스템의 특성방정식이며, 상기 특성방정식으로 부터 조합된 시스템 공진주파수는
로서 산출된다.
선택된 질량비율을 위한 조합된 시스템공진주파수가 상기 식에 의해 결정된다. 다양한 질량비에 대한 계산에 의해 강제주파수대역으로 부터 벗어난 고유주파수가 선택될 수 있다.
20파운드의 하우징-커버조립체(13,15) 및 0.1, 0.2 및 0.25의 선택된 질량비를 고려한다. 상기 질량비에 대한 조합된 시스템공진주파수는 534㎐를 가진 불필요한 공진주파수를 위해 결정될 수 있다.
μm= 0.1에 대하여,
ωn1= 1.18ωam= 630.1㎐
ωn2= 0.08ωam= 469.9㎐ 이고
ωn1이 강제주파수대역내에 있기 때문에, 상기 질량비는 적합하지 않다.
μ= 0.2 에 대하여, 아직 강제 주파수대역내에 있는
ωn1= 1.25ωam= 667.5㎐,
ωn2= 0.80ωam= 427.2㎐ 이며,
μ= 0.25 에 대하여,
ωn1= 1.13ωam= 694.2㎐,
ωn2= 0.78ωam= 416.5㎐ 이고,
이것은 조합된 시스템, 하우징커버 및 보조질량(13,15,17)의 공진주파수를 강제주파수대역으로 부터 벗어나기에 적합하다. 상기 질량비는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의 공진주파수를 제거하는데 적합하다. 유니트의 전체무게 및 동일한 주파수(ωm)를 유지하기 위한 보조질량의 강성을 증가시켜서, 조합된 시스템을 위한 데드 주파수대역(dead frequency band)이 더 높은 질량비에 의해 확대된다.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보조질량(mam)의 전체무게는 5파운드(0.25 ×20파운드)이다. 무게는 중력가속도의 질량배수(w = mg, g = 386in/s2)이기 때문에, 보조질량(17)의 전체 질량은 0.01295lbs ·s2/in 이다. 보조질량의 강성은 kam= ωam 2mm으로 부터 결정되기 때문에, 보조질량(17)의 강성(kam)은 (534 ×2p)2 ×0.01295 = 145785 lbs/in 이며, 이것이 총 스프링강성이 된다.
보조질량(17) 및 나사(25a,25b,25c)로 이루어진 구성에 의해 튜닝(tuning)상태의 질량-스프링시스템이 구성되고,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의 강제진동들에 대해 반작용하기 위해 나사위에 토크를 조정하면 상기 질량-스프링시스템이 소요 강제주파수에 양호하게 튜닝될 수 있다. 결합된 구성체의 공진주파수에서 외부에서 유도된 정현모양 및 임의 주변 진동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하우징 커버조립체인 몸체(13,15) 운동을 최대한 억제하고 보조질량(17)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합나사(25a,25b,25c)들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13)위의 부착점(27a,27b,27c)들이 선택된다. 도 1 을 참고할 때, 결합점(27a,27b,27c)들을 삼각형 배열하여, 보조질량(17)의 반응하중성능이 상당히 증가된다. 강제주파수를 위한 위치(27a,27c)들에서 상기 방법으로 연결점들 위치설정하는 것에 의해 노드(node)들이 강화된다. 점(27a,27c)들을 구동하고 수평의 고정평면내에 놓여지도록 나사(25a,25c)들위의 토크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최적튜닝이 이루어진다.
강제주파수대역내에서 불필요한 주파수와 동일한 고유주파수 및 하우징커버조립체(13,15)의 휨모드(flexural mode)와 동일한 휨모드를 가지도록, 보조질량(17)이 구성 및 배열된다. 강제주파수에 의해 여기작용이 이루어지듯이, 비율 kam/man= ωam이 하우징커버조립체인 몸체(13,15)의 주파수와 근사하도록, 강도 kam및 질량 mam을 제공하기 위해 기저판(19) 및 커버(23)의 재료, 쇼트(BBs 21)의 무게 및 나사(25a,25b,25c)상의 토크가 선택된다. 결과적으로 전체시스템의 진동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보조질량(17)의 추가에 의해 조립체(13,15)의 진동운동이 억제된다.
위치(27a,27c)에서 각각 연결되는 위치(24a,24c)에서 상기 방법을 따르는 보조질량의 부착작업은 영 운동영역(zero motion zone)(진동노드)을 형성한다. 상기구성은 커버(23)의 중심선인 보조질량 고유의 노드선(nodal line)(26)을 두 개의 점(29,27b)들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13)의 상부벽(13a)의 중심선인 노드선(14a)과 평행하게 위치설정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3)의 상측벽(13a)위에 구성된 패드(29)가 보조질량과 접촉하고 하드웨어(25a,25b,25c)위에서 토크적용부들과 접촉할 때, 보조질량이 작용된다. 이격패드(spacer pad)(29)없이 보조질량 조립체(17)를 하우징(13)에 부착하면, 상측벽(13a)의 벽표면을 따라 충분한 표면대 표면 접촉이 이루어진다. 그결과 ωam≪ ω이고,
의 진동크기의 불필요한 적용을 발생시키는 βam∼ 0 가 되도록, 무시할만한 kam을 가진 조합된 전체 시스템질량(mtotal= mo- mam)을 위해 보조질량(mam)이 하우징-커버질량(mo)에 직접 부가된다.
도 3B, 도 4B 및 도 5B 를 참고할 때, 보조질량(17)이 부가된 각각의 x, y 및 z축에 대한 점(16)에서의 하우징(13)의 주파수응답이 도시된다. 도 3B 의 주파수응답 및 도 3A 의 주파수응답을 비교하면, 450㎐ 내지 650㎐의 주파수대역내에서 x축에 대한 진동크기가 상당히 감소된다. 대역에 걸쳐 진동크기를 감소시켜, 548㎐의 주파수에서 보조질량(17)없이 공진작용이 형성되는 진동크기가 20㏈ 이상 감소된다. 도 4B 가 도 4A 와 비교되고, 도 5B 가 도 5A 와 비교될 때, 동일한 결과가 y축 및 z축에 대한 진동크기들에서 분명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설명되나, 상기 기재는 제한적이라기 보다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 부터 벗어나지 않고 청구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변형예들이 구성될 수 있다.

Claims (13)

  1. 제 1 대역단부 및 제 2 대역단부를 가진 강제 주파수대역내에서 하우징(13)과 하우징커버(15)를 가지는 몸체(13,15)의 강제진동에 의해 발생된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작용하는 외력에 응답하여 진동하는 질량(17)을 구성하고,
    상기 몸체의 강제 주파수 대역내의 주파수 크기보다 작은 주파수 크기를 가진 상기 강제 주파수대역 내의 주파수들에서 진동하도록, 외력이 상기 몸체의 진동에 의해 제공되는 복합조립체(13,15,17)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상기 질량(17)을 상기 몸체(13,15)에 결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유주파수가 상기 제 1 대역단부와 인접한 상기 주파수 대역으로 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몸체(13,15)를 구성하고,
    상기 복합 조립체(13,15,17)가 상기 제 2 대역단부와 인접한 상기 주파수대역으로 부터 벗어나는 고유주파수를 가지도록 상기 질량(17)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13,15) 구성단계가
    복수개의 섹션들을 가진 섹션구조의 판(19)을 제공하고,
    복수의 스틸 쇼트(shots)(21)로 상기 섹션구조의 판을 각각 충진하며,
    상기 스틸 쇼트를 고정하도록 섹션구조의 판(19)에 커버(23)을 위치시키는 단계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하우징(13)내에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구멍위치와 일치하도록, 섹션구조의 판(19)내에 통과구멍들(22a, 22b, 22c)과 커버(23)내에 통과 구멍(24a, 24b, 24c)을 형성하며,
    나사들(25a, 25b, 25c)을 상기 통과구멍들을 통해 나사구멍들 내로 통과시키며,
    상기 질량(13, 15)의 진동 주파수들을 조정하도록 상기 나사들(25a, 25b, 25c)을 조이는 단계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 및 상기 질량(23)의 중심선(14a,26)들 위에 정점을 가지는 삼각형 패턴으로 상기 나사구멍 및 통과구멍들(22a, 22b, 22c;24a, 24b, 24c)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 및 상기 질량(23)사이에 미리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하우징(13)상에 이격요소들(27a, 27b, 27c)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17)을 작동시키는 상기 하우징(13)의 중심선(14a)위에 패드(29)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대역단부 및 제 2 대역단부를 가진 진동 주파수내에서 상기 진동 주파수를 유발시키는 강제진동이 이루어지는 몸체(13,15)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복합 조립체(13,15,17)를 형성하도록, 질량(17)이 상기 몸체(13, 15)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에 의해 제공된 외력에 응답하여 진동하도록 구성되어 배치되어,
    진동 주파수대역내에서 상기 복합조립체의 진동주파수폭을 감소되도록 구성 및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17)이, 복수개의 섹션들을 가진 섹션구조의 판(19)과,
    상기 복수의 섹션들 내에 각각 위치하여 충진되는 복수의 스틸 쇼트(21)와,
    상기 스틸 쇼트(21)에 대해 섹션구조의 판 위의 위치하는 커버(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들내에 상기 스틸 쇼트(21)가 이동불가능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 쇼트(21)들이 모두 동일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이 복수개의 나사구멍들을 포함하고, 상기 질량(17)은 상기 구멍들과 일치하는 복수개의 통과구멍들(22a, 22b, 22c;24a, 24b, 24c)을 포함하며, 상기 질량(17)은 통과구멍들(22a, 22b, 22c;24a, 24b, 24c)들을 통해 상기 구멍들 내부로 관통하는 나사들(25a, 25b, 25c)에 의해 몸체(13,15)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 및 질량(17)의 중심선(14a,26)위에 정점을 가지는 삼각형 패턴으로 상기 구멍들 및 상기 통과구멍들(22a, 22b, 22c;24a, 24b, 24c)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9-7011401A 1998-04-04 1999-03-25 진동 노이즈 감소장치 KR100400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55,194 1998-04-04
US09/055,194 US6056259A (en) 1998-04-04 1998-04-04 Tuned vibration noise reducer
PCT/US1999/006877 WO1999051910A1 (en) 1998-04-04 1999-03-25 Tuned vibration noise reduc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400A KR20010013400A (ko) 2001-02-26
KR100400914B1 true KR100400914B1 (ko) 2003-10-10

Family

ID=2199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401A KR100400914B1 (ko) 1998-04-04 1999-03-25 진동 노이즈 감소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56259A (ko)
EP (1) EP0985116B1 (ko)
JP (1) JP3699731B2 (ko)
KR (1) KR100400914B1 (ko)
AU (1) AU753394B2 (ko)
CA (1) CA2292543C (ko)
DE (1) DE69928615T2 (ko)
TR (1) TR199903019T1 (ko)
WO (1) WO1999051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5470B1 (en) 2000-09-22 2002-08-20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Tunable vibration noise reducer with spherical element containing tracks
US6381196B1 (en) 2000-10-26 2002-04-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intered viscoelastic particle vibration damping treatment
JP3565271B2 (ja) * 2001-11-19 2004-09-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05069B1 (ko) 2004-12-02 2007-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틸팅 어셈블리
KR100638901B1 (ko) 2004-12-14 200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틸팅 어셈블리
KR101243445B1 (ko) * 2006-04-11 2013-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DE102007013494A1 (de) * 2007-03-21 2008-09-25 Zf Friedrichshafen Ag Gussgehäuse
JP5291489B2 (ja) * 2009-02-19 2013-09-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振動体支持台及び支持台共振抑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09087A (ko) * 1951-02-08
US3401911A (en) * 1966-12-13 1968-09-17 Jeannette W. Lazan Adjustable viscoelastic vibration energy dissipator
US3425652A (en) * 1967-04-12 1969-02-04 Gordon H Leary Vibration controlling mounting apparatus
US3780207A (en) * 1972-07-05 1973-12-18 Lacal Ind Ltd Vibration damper
JPS5784223A (en) * 1980-11-13 1982-05-26 Nissan Motor Co Ltd Vibration absorber of vehicle
JPS5950244A (ja) * 1982-09-17 1984-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式電動圧縮機の振動低減装置
DE3345507A1 (de) * 1983-12-16 1985-06-27 Rheinhold & Mahla GmbH, 8000 München Schwingungsdaempfer
US5012174A (en) * 1988-06-20 1991-04-30 Sperry Marin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ntering vibrations of a platform
US5267720A (en) * 1991-12-06 1993-12-07 Sperry Marine Inc. Structureborne noise isolator
CA2187890A1 (en) * 1994-04-18 1995-10-26 Ming-Lai Lai Tuned mass damper
US5775049A (en) * 1995-06-14 1998-07-07 Fricke; J. Robert Method and apparatus for damping structural vibrations
US5820348A (en) * 1996-09-17 1998-10-13 Fricke; J. Robert Damping system for vibrating members
US5905804A (en) * 1997-03-19 1999-05-18 Lee; Tzu-Min Pad structure for a speaker cabi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92543C (en) 2005-05-24
TR199903019T1 (xx) 2000-11-21
US6056259A (en) 2000-05-02
EP0985116A4 (en) 2003-06-04
JP2001509872A (ja) 2001-07-24
EP0985116B1 (en) 2005-11-30
AU753394B2 (en) 2002-10-17
WO1999051910A1 (en) 1999-10-14
AU3119499A (en) 1999-10-25
DE69928615T2 (de) 2006-08-10
JP3699731B2 (ja) 2005-09-28
EP0985116A1 (en) 2000-03-15
CA2292543A1 (en) 1999-10-14
DE69928615D1 (de) 2006-01-05
KR20010013400A (ko) 200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5470B1 (en) Tunable vibration noise reducer with spherical element containing tracks
US9086112B2 (en) Instrumented platform for vibration-sensitive equipment
KR101777319B1 (ko) 동조 질량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4658174A (en) Vibrating beam force transducer with angled isolator springs
US4656383A (en) Vibrating beam force transducer with single isolator spring
JPS61274135A (ja) 機械的に減衰される装置
KR100400914B1 (ko) 진동 노이즈 감소장치
US62867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s of a structure particularly a helicopter
Alsaif et al. Vibration suppression of a beam structure by intermediate masses and springs
AU669868B2 (en) Structureborne noise isolator
JPS6110139A (ja) 防振装置
US20030132077A1 (en) Tuned mass damper using a hexapod
Quenon et al. Miniature vibration isolation system for space applications
EP4033779A1 (en) Acoustic device
JP3466154B2 (ja) 放射騒音低減デバイス
JP3037774B2 (ja) 角速度センサおよびその防振装置
JP2001234972A (ja) 制振ユニット及び制振装置
JP3158674B2 (ja) エネルギー閉じ込め型振動装置及び振動エネルギー閉じ込め装置
JP3319986B2 (ja) 発振器
JPH09280310A (ja) 反共振と粘性動吸振器を用いた振動制御の方法
US20080211044A1 (en)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device
JPH09145379A (ja) 振動子の支持構造
JPH062736A (ja) 能動制振装置
BLACKWOOD Active vibration isolation for controlled flexible structures(Ph. D. Thesis)
JPH07158309A (ja) 機械式駐車設備の制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