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883B1 -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 - Google Patents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883B1
KR100400883B1 KR10-2001-0020499A KR20010020499A KR100400883B1 KR 100400883 B1 KR100400883 B1 KR 100400883B1 KR 20010020499 A KR20010020499 A KR 20010020499A KR 100400883 B1 KR100400883 B1 KR 100400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housing
hydraulically controlled
disposed
automatic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3607A (ko
Inventor
사와야마미노루
토노하타아츠시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3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m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e.g. valve assemblies or snapfittings of valves; Arrangements of the control unit on or in the transmission gear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hydraulic
    • F16H61/026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hydraul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s
    • F16H61/0267Layout of hydraulic control circuits, e.g.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 F16H2057/02047Automatic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에 있어서, 유압 제어 밸브 바디의 설계 자유도를 용이하게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에 따른 수단으로서,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1)에서, 토오크 컨버터 하우징(2)의 세로 벽면(13)과 리액션 하우징(4)과의 사이에 구동기구(18)가 배치되어 메인 하우징(9)내의 유압 펌프(19)가 구동기구(18)에 의해 구동되어 유성치차 기구(6)의 다판 클러치(7)로의 제어 유압로에 대한 어큐뮤레이터(30)가 메인 하우징(9)의 외측면에 장착된 유압제어 밸브 바디와는 분리되어 토오크 컨버터 하우징(2)의 세로 벽면(13)과 리액션 하우징(4)과의 사이에서 구동기구(18)의 무단 체인(16) 작동 궤적내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Hydraulic control type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차량 등에 탑재되는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제어유압을 조정하는 기구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차량의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에서는, 그 유압 작동부에서 유압을 조정하는 유압 조정기구(예를 들면, 어큐뮤레이터)가 유압제어 밸브 바디에 밀착되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압 제어 밸브 바디내의 제어 밸브와 어큐뮤레이터를 연통 시키는 유압회로의 형성에 장소의 제약이 있어서 유압 제어 밸브 바디의 설계 자유도가 떨어졌었다. 또한, 많은 경우, 어큐뮤레이터에서 유압 피스톤의 실린더는 정밀하고 깊은 구멍가공을 필요로 함과 함께, 자동 변속기 케이스의 내측 장소에 형성되기 때문에, 가공비용이 높고 자동변속기 전체의 가격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에 있어서, 유압 조정기구의 배치를 개선하는 것에 의해 유압 제어 밸브바디의 설계 자유도를 용이하게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는 복수로 분할된 하우징과, 내부에 제어 유압로를 가지며, 유압 작동부로의 유압의 공급을 제어하는 유압 제어밸브 바디와, 해당 유압 제어밸브 바디로부터 분리되어 배치 설치되며, 해당 유압 작동부로 공급되는 해당 유압을 조정하는 유압 조정기구를 구비하며, 해당 유압 조정기구가 분할된 복수의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 설치됨과 함께, 상기 유압 제어밸브 바디의 상기 제어 유압로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유압 조정기구가 유압 제어밸브 바디와 분리되어 분할된 하우징 사이에 배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압 제어밸브 바디에 있어서의 제어 유압로는 유압 조정기구와의 연통에 별도로 배려를 할 필요성이 감소되어, 유압 제어밸브 바디에서 제어 유압로나 그것에 접속되는 제어밸브류 등의 설계 자유도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전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형태의 유압 제어 계통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형태의 주요부 측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 2 : 토오크 컨버터 하우징
4 : 리액션 하우징 5 : 브레이크 하우징
6 : 유성 치차기구 7 : 전진용 다판 클러치
9 : 메인 하우징 10 : 무단 변속기
11 : 감속 치차기구 12 : 디퍼런셜 치차기구
15 : 구동측 스프로켓 16 : 무단 체인
17 : 피동측 스프로켓 18 : 구동기구
19 : 유압 펌프 20 : 유압 제어 밸브바디
26 : 유압 작동부 30 : 어큐뮤레이터
31 : 유압실 32 : 실린더 부
33 : 피스톤 34 : 리턴 스프링
이하,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차량에 탑재되는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1)는 동력 전달수단으로서의 토오크 컨버터, 해당 토오크 컨버터에 연결된 유압 제어식 전후진 전환기구, 해당 유압 제어식 전후진 전환기구에 연결된 무단 변속기구(10), 감속 치차기구(11)를 구비하며, 도시생략된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차례로 전달되어 해당 구동력을 디퍼런셜 치차기구(12)로 전달한다. 또한, 전후진 전환기구는 토오크 컨버터(3)의 출력축에서 구동되는 유성 치차기구(6)와 전진용 다판 클러치(7)와 후진용 다판 브레이크(8)로 구성되며, 무단 변속기구(10)는 유압 제어식 풀리 및 벨트를 구비하여 유성 치차기구(6)의 출력축에서 구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1)를 수용하는 하우징은, 토오크 컨버터를 수용하는 토오크 컨버터 하우징(제 1하우징)(2)과, 무단 변속기구(10)를 수용함과 함께 토오크 컨버터 하우징(2)과 상호 연결된 메인 하우징(9)과, 전후 전환 기구를 수용함과 함께 메인 하우징에 연결된 서브 하우징으로 분할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서브 하우징은 토오크 컨버터 하우징(2)과 메인 하우징(9)과의 사이에 배치 설치되는 리액션 하우징(4)과, 메인 하우징(9)에 연결됨과 함께 리액션 하우징(4)과 상호 연결된 브레이크 하우징(5)으로 분할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감속 치차기구(11)와 디퍼런셜 치차기구(12)와는 토오크 컨버터 하우징(2)과 메인 하우징(9)과의 양자에 수용된다.
또한, 토오크 컨버터 하우징(2)의 세로 벽면(13)과 리액션 하우징(4) 및 메인 하우징(9)과의 사이의 공간(14)내에, 토오크 컨버터(3)의 펌프측에 연결된 구동측 스프로켓(15), 무단 체인(16) 및 피동측 스프로켓(17)으로 이루어진 구동기구(18)가 배치되며, 이 구동기구(18)에 의해 메인하우징(9)내에 설치된 유압펌프(19)가 구동된다.
또한,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1)의 유압 작동부 예를들면, 다판 클러치(7)나 다판 브레이크(8)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작동부(16, 27)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유압 제어밸브 바디(20)는 메인 하우징(9)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유압 펌프(19)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차례로 감압밸브(21), 조정압 밸브(22), 전환 밸브(23), 유로(제어 유압로)(24, 25)를 거쳐 다판 클러치(7)의 유압 작동부(26) 및 다판 브레이크(8)의 유압 작동부(27)중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제어유압으로서 공급되며, 상기 어느것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유압 작동부로의 공급 유압을 조정하는 유압 조정기구로서의 어큐뮤레이터(여기에서는 다판 클러치(7)의 유압 작동부(26)로의 공급 유압을 조정하는 어큐뮤레이터(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리액션 하우징(4)과 토오크 컨버터 하우징(2)의 세로 벽면(13)과의 사이에서 무단 체인(16)의 작동궤적 내에서유압 작동부(26)의 근방에 배치 설치되며, 리액션 하우징(4)의 벽면내에 각각 형성된 유압실(31) 및 실린더부(32)와 실린더부(32)내에 활주 운동이 자유롭게 넣어져 유압실(31)내의 유압에 의해 가세되는 피스톤(33)과, 피스톤(33)의 배면 및 토오크 컨버터 하우징(2)의 세로 벽면(13)사이에 배치된 리턴 스프링(34)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압실(31)이 유로(35)를 거쳐 유로(24)로 연통되어 있어서, 유압실(31)내의 유압에 따라서 리턴 스프링(34)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피스톤(33)이 변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토오크 컨버터 하우징(2)의 세로 벽면(13)은 리턴 스프링(34)의 단부 유지면(리턴 스프링 유지부)을 구성함과 함께, 유압실(31)내의 고압시에 피스톤(33)이 리턴 스프링(34)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변위된 때, 도 4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하듯이 피스톤(33)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트로크 스톱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예에 있어서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1)에서는 어큐뮤레이터(30)가 리액션 하우징(4)과 토오크 컨버터 하우징(2)의 세로 벽면(13)과의 사이에 밸브 바디(20)로부터 분리되어 배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 바디(20)내에 있어서의 유압 회로의 배치 설정이 그만큼 자유롭게 되며, 따라서, 밸브 바디(20)의 설계 자유도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어큐뮤레이터(30)가 기존의 리액션 하우징(4)과 토오크 컨버터 하우징(2)과의 사이에 배치 설치되며, 또한, 토오크 컨버터 하우징(2)의 세로 벽면(13)이 그대로 리턴 스프링(34)의 단부 유지면과, 유압실(31)내의 고압시에 피스톤(33)의 스트로크 스톱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어큐뮤레이터(30)가 밸브 바디(20)로부터 분리되어 있어도 어큐뮤레이터(30)에 필요한 부품점수를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어큐뮤레이터(30)의 실린더부(32)는 비교적 가공이 쉬운 리액션 하우징(4)의 벽면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어큐뮤레이터(30)에 필요한 가격을 종합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어큐뮤레이터(30)를 밸브 바디(2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다판 클러치(7)의 유압 작동부(26)의 근방에 어큐뮤레이터(30)를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압 작동부(26)와 어큐뮤레이터(30)와의 사이의 유압 회로를 단축화 및 간략화하여 유압 작동부(26)에 대한 어큐뮤레이터(30)로서의 기능을 확실하게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어큐뮤레이터(30)가 밸브 바디(20)로부터 분리되어 리액션 하우징(4)과 토오크 컨버터 하우징(2)의 세로 벽면(13)과의 사이에서 통상은 데드 스페이스로 되는 무단 체인(16)의 작동 궤적내에 배치됨으로써 공간의 유효활용이 도모되며, 그 만큼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어큐뮤레이터(30)는 다판 클러치(7)의 유압 작동부(26)에 대한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서, 다판 브레이크(8)나 유압 제어식 풀리의 각 유압 작동부에 대한 어큐뮤레이터의 경우에 각각 수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어큐뮤레이터를 토오크 컨버터 하우징(2)과 메인 하우징(9)과의 사이 또는 리액션 하우징(4) 또는 브레이크 하우징(5)과 메인 하우징(9)과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구동기구(18)에 무단 벨트를 채용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에 있어서는, 유압 조정기구가 유압 제어밸브 바디와 분리되어 분할된 하우징 사이에 배치 설치되기 때문에, 유압 제어밸브 바디 내의 제어유압로와 유압 조정기구를 연통시키는 구성의 자유도가 증대하며, 또한 유압 제어밸브 바디에 있어서의 제어유압로나 그것에 접속되는 밸브류 등의 설계 자유도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유압 작동부로의 유압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작동 제어되는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에 있어서,
    복수로 분할된 하우징과,
    내부에 제어 유압로를 가지며, 해당 유압 작동부로의 유압 공급을 제어하는 유압 제어밸브 바디와,
    해당 유압 제어밸브 바디로부터 분리되어 배치 설치되며, 해당 유압 작동부로 공급되는 해당 유압을 조정하는 유압 조정기구를 구비하며,
    해당 유압 조정기구가, 분할된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 설치됨과 함께, 상기 유압 제어밸브 바디 내의 상기 제어 유압로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
  2. 제 1항에 있어서,
    변속기구와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을 해당 변속기구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해당 동력 전달수단을 수용하는 제 1하우징과 해당 변속기구를 수용하는 제 2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유압 조정기구는, 해당 제 1하우징과 해당 제 2하우징과의 사이에 배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
  3. 제 1항에 있어서,
    변속기구와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을 해당 변속기구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변속기구는, 동력 전달수단에 연결된 유압 제어식 전후진 전환기구와, 해당 유압 제어식 전후진 전환 기구부에 연결된 유압 제어식 무단 변속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해당 동력 전달수단을 수용하는 제 1하우징과, 상기 유압 제어식 전후진 전환기구를 수용하는 서브 하우징과, 상기 유압 제어식 무단 변속기구를 수용하는 메인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유압 조정기구는, 해당 제 1하우징, 해당 메인 하우징 및 해당 서브 하우징 중 2개의 사이에 배치 설치되어 상기 유압 제어식 전후진 전환 기구 또는 상기 유압 제어식 무단 변속기구의 유압 작동부에 공급되는 유압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조정기구가 실린더부와 해당 실린더부내에 활주 운동이 자유롭게 넣어져 피스톤과 해당 피스톤을 가세하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는 어큐뮤레이터로서,
    상기 복수로 분할된 하우징 중 1개의 하우징에 상기 실린더부가 형성되며,해당 1개의 하우징에 대향하여 배치 설치되는 다른 하우징에 상기 리턴 스프링을 유지하는 리턴 스프링 유지부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 중 어느 것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작동부로의 공급 유압을 발생하는 유압 펌프와,
    상기 복수의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압 펌프를 구동하는 무단 체인 또는 무단 벨트를 구비하며,
    상기 유압 조정기구가 상기 무단 체인 또는 무단 벨트의 작동 궤적내에 배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
KR10-2001-0020499A 2000-04-25 2001-04-17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 KR100400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23917? 2000-04-25
JP2000123917A JP2001304383A (ja) 2000-04-25 2000-04-25 油圧制御式自動変速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607A KR20010103607A (ko) 2001-11-23
KR100400883B1 true KR100400883B1 (ko) 2003-10-10

Family

ID=18634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499A KR100400883B1 (ko) 2000-04-25 2001-04-17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304383A (ko)
KR (1) KR100400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5721B (zh) * 2017-09-07 2019-07-16 莫小龙 可控式变矩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304383A (ja) 2001-10-31
KR20010103607A (ko) 200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84675B1 (en) Belt type continuous reduction gear mechanism
EP1757834A4 (en) HYDRAULIC VALVE DEVICE FOR WORK VEHICLE
JP2009243640A (ja) 発進装置の油圧制御装置
US6658842B2 (en) Hydraulic system
US20120138415A1 (en) Hydraulic control device
EP1128036A3 (en) Power driving device
US20070117665A1 (en) Automatic transmission
KR100400883B1 (ko) 유압 제어식 자동 변속기
JPH0417879Y2 (ko)
CA2043634A1 (en) Servo shift control for a forward/reverse mechanism
KR100844725B1 (ko) 통합형 스위칭 윤활방향 밸브
JP5244325B2 (ja) 油圧式無断変速装置
KR20190029310A (ko) 클러치용 액추에이터 장치
KR20080055151A (ko) 자동차의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 및 클러치 조작 시스템
KR100497719B1 (ko) 트랙터용 전륜증속 절환용 클러치
KR20200105307A (ko) 차량의 클러치 하우징
JP2005248982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ステップモータ取付構造
KR100379632B1 (ko) 자동 변속기의 파킹 장치
KR900004364B1 (ko) 고속 엔진용 클러치(clutch)
KR100867805B1 (ko) 무단 변속기의 변속장치
KR950011268B1 (ko) 자동 변속기 유압제어장치의 댐퍼 클러치 안전회로
KR100460889B1 (ko) 자동 변속기 유압 제어 시스템의 라인압 제어장치
KR100506365B1 (ko) 무단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100811611B1 (ko) 자동변속기의 클러치 동력 전달장치
KR100368659B1 (ko) 자동변속기용 다판 클러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