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361B1 - 승객검지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승객검지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361B1
KR100400361B1 KR10-2001-0009469A KR20010009469A KR100400361B1 KR 100400361 B1 KR100400361 B1 KR 100400361B1 KR 20010009469 A KR20010009469 A KR 20010009469A KR 100400361 B1 KR100400361 B1 KR 100400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detection
passage
det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289A (ko
Inventor
박현웅
최명철
한척희
윤호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9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361B1/ko
Publication of KR20020069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3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승객의 진행통로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소정의 갯수의 센서로 구성되어 그 센서의 검지범위 내에서 승객을 검지하는 제 1검지부; 제 1검지부의 센서와 동수로 구성되고 그 반대측면에 설치되어 그 센서의 검지범위 내에서 승객을 검지하는 제 2검지부; 제 1 및 제 2 검지부에서 검지한 신호를 입력받아 승객이 1인 또는 2인 이상인 지를 판별하는 판별부; 판별부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승객의 출입여부를 제어하는 개폐제어부를 포함하므로, 지하철, 철도, 공항 등의 이동여객의 출입통제를 필요로 하는 곳에 설치하는 자동개집표장치에서 승차권을 가지지 않고 통과하는 부정승객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를 제출한 정상여객에 횡으로 나란히 붙어서 개집표장치를 통과하고자 하는 부정승객의 검지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횡방향(진행통로의 폭방향)으로 붙어서 이동하는 부정승객의 검출이 가능하므로 장애자용 개집표기와 같이 통로 폭이 넓은 경우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승객검지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sensing passenger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하철, 기차 또는 항공기를 탑승하기 위해서 이동하는 승객을 검지하는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개집표기가 설치된 통로를 부정통과하려는 승객을 검지하는 검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는 진행통로의 폭이 성인 1인만이 통과 가능한 정도의 넓이로 보고 승객의 진행방향(진행통로의 열방향)으로 검지하므로 앞뒤로 간격을 두고 진행하는 2인 이상의 승객이 진행하고 있다면 각각 별개의 승객으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장애자용 개집표기기와 같이 휠체어가 통과해야 하는 정도의 통로폭을 가지는 경우에 횡으로 늘어서서 통과하는 한 사람 이상의 여객을 한 사람으로 오인하여 처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고의의 부정 사용은 물론이고 사용 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여객에게 본의 아닌 부정을 저지르게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부정여객들의 증가는 자동개집표기 관리기관의 금전적 손해로 이어진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개집표기가 설치된 통로를 진행하는 승객을 진행통로의 횡방향으로 검지하는 승객검지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의 제 1검지부 또는 제 2검지부에 사용된 근접센서의 검지방법 또는 그 검지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의 검지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의 제 1검지부 또는 제 2검지부가 진행통로를 통과는 승객을 검지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의 제 1검지부 또는 제 2검지부가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의 제 1검지부 내지 제 4검지부가 진행통로를 통과는 승객을 검지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의 제 1검지부 내지 제 4검지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는, 승객의 진행통로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검지범위 내에서 승객을 검지하는 제 1검지부; 상기 제 1검지부의 반대측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검지범위 내에서 승객을 검지하는 제 2검지부; 상기 제 1 및 제 2검지부에서 검지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진행통로로 통과하는 승객이 1인 또는 2인 이상인 지를 판별하는 판별부; 상기 판별부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상기 승객의 출입여부를 제어하는 개폐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는, 승객의 진행통로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소정의 검지범위 내에서 승객을 검지하는 제 1검지부; 상기 제 1검지부의 반대측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검지범위 내에서 승객을 검지하는 제 2검지부; 상기 제 1검지부와 같은 측면에 열방향으로 설치되고 소정의 검지범위 내에서 승객을 검지하는 제 3검지부; 상기 제 3검지부의 반대측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검지범위 내에서 승객을 검지하는 제 4검지부; 상기 제 1 내지 제 4 검지부에서 검지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승객이 1인 또는 2인 이상인 지를 판별하는 판별부; 상기 판별부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상기 승객의 출입여부를 제어하는 개폐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방법은,(a) 승객의 진행통로의 일측면 및 반대측면에서 승객을 검지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검지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승객이 1인 또는 2인 이상인 지를 판별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상기 승객의 출입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에 대한 도면으로, 제 1검지부(110), 제 2검지부(120), 보조검지부(130), 판별부(140), 개폐제어부(150) 및 개폐장치(160)로 구성되어 있다.
제 1검지부(110)는, 승객이 자동개집표기가 설치된 승객용 진행통로를 진행할 때 그 승객을 검지하는 부분으로 승객용 진행통로의 횡방향으로 검지한다. 제 1검지부(110)는 반사된 광이 수광소자의 어느 부분에 검지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측거방식의 근접센서로써 승객이 진행통로를 진행할 때, 그 횡방향으로 검지한다. 여기서, 수광소자는 2개의 포토다이오드로 구성되어 각 포토다이오드에 수광되는 광량의 차이에 의해서 대상을 검지한다. 또한 제 2검지부(120)도 같은 방식의 근접센서를 사용한다. 측거방식의 근접센서의 검지범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판별부(140)는 제 1검지부(110) 및 제 2검지부(120)에서 검지한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자동개집표기가 설치된 진행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의 인원수를 판별한다. 제 1검지부(110) 또는 제 2검지부(120) 중에서 하나만이 승객을 검지한 경우에 1인의 승객으로 판별하게 되고, 제 1검지부(110) 및 제 2검지부(120)가 동시에 승객을 검지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2인의 승객으로 판별하게 된다. 종래의 승객검지장치는 2인의 승객이 양측면으로 횡방향으로 나란히 진행하는 경우에 1인의 승객으로 판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측거방식의 근접센서의 검지범위 내에서, 진행통로의 양측면에서 동시에 검지한 신호를 발생하므로 판별부(140)는 2인 이상의 승객으로 판별하게 된다.
이를 진리표를 사용하여 나타내면, 아래의 표1과 같고 0 및 1은 각각 검지하지 못한 상태 및 검지한 상태를 상태를 나타낸다.
제1검지부 제2검지부 판별상태
0 0 승객을 검지하지 않은 상태
1 0 승객을 1인으로 판별
0 1 승객을 1인으로 판별
1 1 승객을 2인으로 검지
보조검지부(130)는 3개 이상의 센서를 일반 성인의 보폭의 간격으로 진행통로의 측면에 설치하므로 승객이 진행통로를 진행할 때 승객의 다리부분을 검지할 수 있다. 보조검지부(130)에서 검지한 신호는 제 1검지부(110) 또는 제 2검지부(120)에서 검지한 신호의 보조신호로 사용될 수 있는데, 제 1검지부(110) 및 제 2검지부(120)가 동시에 승객을 검지하고 보조검지부(130)의 3개 이상의 센서 중에서 2개 이하의 센서가 동시에 승객의 다리부분을 검지하였다면 판별부(140)는 진행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을 1인의 승객으로 판별하게 된다.
만약 2인 이상의 승객이 제 1검지부(110) 및 제 2검지부(120)의 검지범위 외의 구역인 진행통로의 정중앙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다리부분검지센서(115 및125)에서 승객의 다리부분을 검지한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통과하는 승객을 2인으로 판별할 수 있다.
개폐제어부(150)는 판별부(140)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개폐장치(160)를 제어하는 부분으로, 승객이 1인으로 판별되면 개폐장치(160)의 도어을 열린 상태로 두고 2인으로 판별되면 개폐장치(160)의 도어를 잠금상태로 유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의 제 1검지부(110) 및 제 2검지부(120)에 사용된 근접센서(210)의 검지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자동개집표기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측거방식의 근접센서(210)의 발광소자(211)측에서 적외선을 포함하는 광을 투사하면, 검출대상(232)에 부딪쳐 반사된 광은 렌즈(213)를 거쳐 포토다이오드 PD1 및 PD2로 구성된 수광소자(215)에 상을 맺게 되는데, 검출대상(232)에서 반사되어 들어 온 광은 수광소자(215)의 중앙에 결상중심을 이루도록 렌즈(213)를 배치(213)한다. 이럴 경우에는 PD1 의 출력전류는 PD2의 출력전류와 같게 된다. 만약, 검출대상(232)보다 수광소자(211) 측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승객(231)인 경우에는 반사되어 들어 온 광은 수광소자(215)의 PD1측으로 결상중심이 이동하여 PD1측의 출력전류가 PD2의 출력전류보다 크게 된다. 이와같이 PD1의 출력전류가 PD2의 출력전류보다 크거나 같게 되는 경우, 근접센서(210)는 검지출력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나, 검출대상(232)보다 수광소자(211)측에서 먼 위치에 있는 승객(231)인 경우에는 반사되어 들어 온 광은 수광소자(215)의 PD2측으로 결상중심이 이동하여 PD1측의 출력전류가 PD2측의 출력전류보다 적게 된고 근접센서(210)는 출력을발생하지 않고 검지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PD1측의 출력전류와 PD2측의 출력전류를 비교하여 검지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를 간단한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조건식으로써 수학식은 아래와 같다.
여기서,,는 각각 수광소자(215)의 포토다이오드 PD1, PD2의 출력전류이다.
,가 수학식1 또는 수학식2를 만족하면, 근접센서(210)는 출력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수학식3을 만족하게 되면 대상물을 검지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수학식2와 같이 두 개의 포토다이오드에서 발생하는 전류가 같은 경우, 이 거리를 근접센서(210)의 검지범위 또는 정격거리라고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양측면에 설치된 제 1검지부(110) 또는 제 2검지부(120)의 검지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의 제 1검지부(110)가 설치되는 폴(310) 및 제 2검지부(120)가 설치되는 폴(320)에서 일정거리까지의 검지범위(311 및 321)를 나타내고 양측면에 설치된 센서에서 검지되지 않는 범위(331)를 나타내고 있다.
제 1검지부(110) 또는 제 2검지부(120)의 검지범위는 통로의 일부분만을 점유하도록 조정되어 있어 일반 승객이 진행하는 통로의 폭이 55cm 라고 할 때, 근접센서가 설치되는 장애자용 통로의 폭은 90cm 정도이다. 이 때 근접센서의 검지범위는 센서로부터 40cm 정도가 되도록 조정하는데, 이것은 실제 진행통로상에서는 한 측면에서 약 20cm 정도를 점유하게 된다. 따라서 통로 중간에는 50cm 정도 폭으로 제 1검지부(110) 또는 제 2검지부(120)에는 검지되지 않는 통로가 생기게 되어 승객이 혼자서 통과하는 경우는 중심으로 통과해서 제 1검지부(110) 및 제 2검지부(120)에 검지되지 않거나 그 중 하나에만 검지되므로 통과에 지장을 주지 않지만, 2인의 승객이 통과 시에는 동시에 양 방향 모두에 검지되어 통과를 제한하게 된다. 승객의 일반적인 이동 패턴이 승차권을 집기위해 통로 한쪽으로 치우쳐서 이동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제 1검지부(110) 및 제 2검지부(120)에 동시에 검지되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의 제 1검지부(110) 또는 제 2검지부(120)에 사용된 근접센서가 진행통로를 통과는 승객을 검지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승객이 양측면에 붙어 나란히 진행할 때 검지되는 것을 나타낸다.
승객의 진행통로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개집표기(461 및 463)에 장착된 근접센서(410 또는 420)는 측거방식의 근접센서로써 일정한 검지범위(415 또는 425) 내에서 승객을 검지하게 된다. 근접센서(410 또는 420) 중에서 하나만이 승객을 검지하는 경우에는 개폐장치(450)는 열린 상태로 그대로 있게 되고, 2개 모두 동시에 승객을 검지하는 경우에는 개폐장치(450)는 닫히게 되어 승객의 출입을 금지시키고, 자동개집표기 관리자를 포함하는 관리원들은 후속조치를 취하게 된다. 또는 1인의 승객만이 통과하려고 재시도하면 개폐장치(450)는 다시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의 제 1검지부(110) 또는 제 2검지부(120)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자동개집표기(500)의 횡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자동개집표기에 장착된 제 1검지부(110) 및 제 2검지부(110)는 검지하고자 하는 승객의 신장을 감안하여 그 위치를 정할 수 있다. 현행 지하철에서는 신장 120cm 이하의 어린이는 무임 유아로 간주하여 승차권 유무와 관련없이 통과를 제한하지 않고 있기에 약 120cm 높이에 제 1검지부(110) 또는 제 2검지부(110)를 설치(510)할 수 있다. 그러나, 신장 120cm 이하의 승객도 검지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그 높이를 하향조절하여 설치(510-1)할 수 있다. 보조검지신호를 발생하는 승객의 보조검지부(130)는 하향조절하여 설치한 제 1검지부(110) 또는 제 2검지부(110)의 설치위치(510-1)보다 낮은 설치위치(530)에 설치될 수 있고, 제 1검지부(110) 또는 제 2검지부(110)에서 검지한 신호에 대한 보조신호의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에 대한 도면으로, 제 1검지부(610), 제 2검지부(620), 제 3검지부(630), 제 4검지부(640), 보조검지부(650), 판별부(660), 개폐제어부(670) 및 개폐장치(680)로 구성되어 있다.
제 1검지부(610), 제 2검지부(620), 제 3검지부(630) 또는 제 4검지부(640)는, 승객이 자동개집표기가 설치된 승객용 진행통로를 진행할 때 그 승객을 검지하는 부분으로 승객용 진행통로의 횡방향으로 검지하며, 도 1에서 설명한 측거방식의 근접센서로써 승객이 진행통로를 진행할 때, 그 횡방향으로 검지한다.
판별부(140)는 제 1검지부(610), 제 2검지부(620), 제 3검지부(630), 제 4검지부(640)에서 검지한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자동개집표기가 설치된 진행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의 인원수를 판별한다. 제 1검지부(610), 제 2검지부(620), 제 3검지부(630) 또는 제 4검지부(640) 중에서 하나만이 승객을 검지한 경우에 1인의 승객으로 판별하게 되고, 2개 이상이 동시에 승객을 검지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2인 이상의 승객으로 판별하게 된다.
종래의 승객검지장치는 2인 이상의 승객이 양측면으로 나란히 진행하는 경우에 1인의 승객으로 판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측거방식의 근접센서의 검지범위 내에서, 진행통로의 양측면에서 동시에 검지한 신호를 발생하므로 판별부(660)는 2인 이상의 승객으로 판별하게 된다. 제 1검지부(610), 제 2검지부(620), 제 3검지부(630) 또는 제 4검지부(640) 중에서 2개 이상이 동시에 승객을 검지하면, 판별부(660)는 그 승객을 2인 이상으로 판별한다.
2인 이상의 승객이 양측면으로 어긋나서 진행할 때, 제 1검지부(610), 제 2검지부(620), 제 3검지부(630) 또는 제 4검지부(640) 중에서 2개 이상이 승객을 검지하므로 판별부(660)는 진행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을 2인 이상으로 판별한다. 또한 승객이 양측면 중에서 한 측면으로 열방향으로 줄을 지어 진행할 때, 제 1검지부(110), 제 2검지부(120), 제 3검지부(630) 또는 제 4검지부(640) 중에서 2개 이상이 승객을 검지하므로 판별부(660)는 진행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을 2인 이상으로 판별한다.
이상의 판별 내용을 표를 이용하여 살펴보면, 아래의 표2와 같다.
제1검지부 제2검지부 제3검지부 제4검지부 판별상태
하나만이 검지 1인의 승객으로 판별
2개가 검지 2인의 승객으로 판별
3개가 검지 3인의 승객으로 판별
4개 모두 검지 4인의 승객으로 판별
보조검지부(650)는 제 1검지부(110), 제 2검지부(120), 제 3검지부(630) 또는 제 4검지부(640)의 보조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에 대해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2인 이상의 승객이 제 1검지부(110), 제 2검지부(120), 제 3검지부(630) 또는 제 4검지부(640)의 검지범위 외의 구역인 진행통로의 정중앙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보조검지부(650)에서 승객의 다리부분을 검지한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통과하는 승객을 2인으로 판별할 수 있다.
제 1검지부(110), 제 2검지부(120), 제 3검지부(630) 또는 제 4검지부(640) 중에서 동시에 2개 이상이 승객을 검지하는 경우에, 보조검지부(650)에 사용된 3개 이상의 근접센서 중에서 2개 이하의 근접센서가 승객을 검지하였다면 판별부(660)는 진행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을 1인의 승객으로 판별하게 된다.
2인 이상의 승객이 양측면으로 어긋나게 진행할 때, 제 1검지부(610), 제 2검지부(620), 제 3검지부(630) 또는 제 4검지부(640) 중에서 2개 이상이 승객을 검지할 수 있기에 판별부(660)는 진행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을 2인 이상으로 판별한다. 이럴 경우에도 판별부(660)는 보조검지부(650)의 신호를 입력받아 그 승객이 2인 이상인 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승객이 양측면 중에서 한 측면으로 열방향으로 진행할 때, 제 1검지부(610), 제 2검지부(620), 제 3검지부(630) 또는 제 4검지부(640) 중에서 2개 이상이 승객을 검지하므로 판별부(660)는 진행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을 2인 이상으로 판별하여 보조검지부(650)의 신호를 입력받아 그 판별여부를 확인한다.
개폐제어부(670)는 판별부(660)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개폐장치(680)를 제어하는 부분으로, 승객이 1인으로 판별되면 개폐장치(680)의 도어을 열린 상태로 두고 2인 이상으로 판별되면 개폐장치(680)의 도어를 잠금상태로 유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의 제 1검지부(610), 제 2검지부(620), 제 3검지부(630) 및 제 4검지부(640)에 사용된 근접센서(710, 720, 730 및 740)가 진행통로를 통과는 승객을 검지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승객이 양측면으로 나란히 이동하여 갈 때 검지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승객의 진행통로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개집표기(461 및 463)에 설치된 근접센서(710, 720, 730 및 740)는 각각 일정한 검지범위(713, 723, 733 및 743) 내에서 승객을 검지하게 된다. 근접센서(710, 720, 730 및 740) 중에서 하나만이 승객을 검지하는 경우에는 개폐장치(750)는 열린 상태로 그대로 있게되고, 근접센서(710, 720, 730 및 740) 중의 2개 이상이 동시에 승객을 검지하는 경우에는 개폐장치(750)는 닫히게 되어 승객의 출입을 금지시키고, 자동개집표기 관리자를 포함하는 관리원들은 후속조치를 취하게 된다. 또는 1인의 승객만이 통과하려고 재시도하면 개폐장치(750)는 다시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장치에 장착된 센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자동개집표기(800)의 횡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 자동개집표기에 장착된 제 1검지부(610), 제 2검지부(620), 제 3검지부(630) 또는 제 4검지부(640) 중에서 승객의 진행통로의 측면에 설치된 자동개집표기(800)의 횡단면으로, 2개의 검지부외에 보조검지부(650)가 설치되어 있다. 검지하고자하는 승객의 신장을 감안하여 그 위치를 정할 수 있는데, 약 120cm 높이에 제 1검지부(610), 제 2검지부(620), 제 3검지부(630) 또는 제 4검지부(640) 중에서 2개개가 설치된 위치(810)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신장 120cm 이하의 승객도 검지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그 높이를 하향조절하여 설치위치(810-1)를 조절할 수 있다. 보조검지신호를 발생하는 승객의 보조검지부(650)는 제 1검지부(610), 제 2검지부(620), 제 3검지부(630) 또는 제 4검지부(640) 를 하향조절하여 설치한 위치(810-1)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850)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집표기의 승객검지방법에 대한 도면으로, 승객이 승차권을 투입하고 개폐장치를 통과할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낸다.
승객이 승차권을 투입하고 진행통로를 진행하면, 승객의 진행통로의 일측면및 반대측면에서 승객을 검지하고 동시에 승객의 다리부분을 검지한다(910단계). 이 검지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931단계), 승객의 진행통로의 일측면 및 반대측면에서 승객을 검지한 신호가 동시에 2개 이상(933단계)이라면, 승객의 다리부분을 검지한 신호가 동시에 3개 이상인지를 판별(935단계)하여 그 신호가 3개 이상인 것으로 판별되면 개폐장치의 출입문을 닫는다(941단계). 승객의 진행통로의 일측면 및 반대측면에서 승객을 검지한 신호가 1개라면(933단계), 개폐장치의 출입문을 통과상태로 유지(943단계)한다. 또한 승객의 다리부분을 검지한 신호가 동시에 2개 이하로 판별(935단계)되면 개폐장치의 출입문을 통과상태로 유지(943단계)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승객을 검지하면, 양측면으로 이동하는 2인 이상의 승객을 검지하여 이들의 출입을 제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객의 진행통로에 대해서횡방향으로 나란히 진행하는 2인 이상의 승객을 검지범위 내에서 검지할 수 있기에 부정승객을 방지할 수 있고 장인용 자동개집표기에 본 발명의 승객검지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장애인도 쉽게 통과를 할 수 있고 그 통로를 통과하려는 부정승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22)

  1. 승객의 진행통로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승객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승객의 진행통로의 중심선까지의 거리보다 짧거나 같게 설정된 검지범위 내에서 승객을 검지하여 제1검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검지부;
    상기 진행통로의 타측면에 상기 제1검지부와 대향되는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승객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승객의 진행통로의 중심선까지의 거리보다 짧거나 같게 설정된 검지범위 내에서 승객을 검지하여 제2검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검지부;
    상기 제1검지신호 및 상기 제2검지신호가 모두 입력되면 2인 이상의 승객이 상기 진행통로로 통과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부로부터 2인 이상의 승객이 상기 진행통로로 통과하는 것으로 판별된 판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진행통로의 출입문을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개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검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의 다리를 감지하여 상기 승객을 검지하는 보조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제1검지신호 및 상기 제2검지신호 중에서 하나가 입력되면 1인의 승객이 상기 진행통로로 통과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검지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제1검지신호 및 상기 제2검지신호가 모두 입력된 경우에 상기 보조검지부에서 검지한 신호를 보조신호로 입력받아 상기 보조신호가 2개 이하의 승객의 다리부분을 검지한 신호이면 상기 진행통로를 진행하는 승객을 1인의 승객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검지장치.
  8. 승객의 진행통로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승객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승객의 진행통로의 중심선까지의 거리보다 짧거나 같게 설정된 검지범위 내에서 승객을 검지하여 제1검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검지부;
    상기 진행통로의 타측면에 상기 제1검지부와 대향되는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승객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승객의 진행통로의 중심선까지의 거리보다 짧거나 같게 설정된 검지범위 내에서 승객을 검지하여 제2검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검지부;
    상기 제1검지부와 동일한 측면에 상기 승객의 진행방향으로 설치되고, 승객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승객의 진행통로의 중심선까지의 거리보다 짧거나 같게 설정된 검지범위 내에서 승객을 검지하여 제3검지신호를 출력하는 제3검지부;
    상기 제2검지부와 동일한 측면에 상기 승객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제3검지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승객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승객의 진행통로의 중심선까지의 거리보다 짧거나 같게 설정된 검지범위 내에서 승객을 검지하여 제4검지신호를 출력하는 제4검지부;
    상기 제1 내지 제4검지신호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검지신호가 입력되면 2인 이상의 승객이 상기 진행통로로 통과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부로부터 2인 이상의 승객이 상기 진행통로로 통과하는 것으로 판별된 판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진행통로의 출입문을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개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검지장치.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의 다리를 감지하여 상기 승객을 검지하는 보조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검지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제1검지신호 내지 상기 제4검지신호 중에서 하나가 입력되면 1인의 승객이 상기 진행통로로 통과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검지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제1검지신호 내지 상기 제4검지신호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검지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보조검지부에서 검지한 신호를 보조신호로 입력받아 상기 보조신호가 2개 이하의 승객의 다리부분을 검지한 신호이면 상기 진행통로를 진행하는 승객을 1인의 승객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검지장치.
  15. 승객의 진행통로의 양측면에 서로 대향되는 지점에 설치되며, 각각 승객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승객의 진행통로의 중심선까지의 거리보다 짧거나 같게 설정된 검지범위 내에서 승객을 검지하는 복수의 검지수단이 상기 진행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을 검지하는 단계;
    상기 승객을 검지한 상기 검지수단 각각으로부터 검지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검지수단 모두로부터 검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진행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이 2인 이상인 것으로 판별하는 단계; 및
    2인 이상의 승객이 통과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진행통로의 출입문을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검지방법.
  16. 삭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단계 전에, 상기 승객의 다리을 감지하여 상기 승객을 검지하여 보조검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복수의 검지수단 모두로부터 검지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보조검지신호를 보조신호로 입력받아 상기 보조신호가 2개 이하의 승객의 다리부분을 검지한 신호이면 상기 진행통로를 진행하는 승객을 1인의 승객으로 판별하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검지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복수의 검지수단 중에서 하나로부터 검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진행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이 1인인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검지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승객의 진행통로의 양측면에 서로 대향되는 지점에 설치되며, 각각 승객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승객의 진행통로의 중심선까지의 거리보다 짧거나 같게 설정된 검지범위 내에서 승객을 검지하는 복수의 검지수단이 상기 진행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을 검지하는 단계;
    상기 승객을 검지한 상기 검지수단 각각으로부터 검지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검지수단 모두로부터 검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진행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이 2인 이상인 것으로 판별하는 단계; 및
    2인 이상의 승객이 통과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진행통로의 출입문을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검지방법을 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09469A 2001-02-24 2001-02-24 승객검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400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469A KR100400361B1 (ko) 2001-02-24 2001-02-24 승객검지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469A KR100400361B1 (ko) 2001-02-24 2001-02-24 승객검지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289A KR20020069289A (ko) 2002-08-30
KR100400361B1 true KR100400361B1 (ko) 2003-10-04

Family

ID=2769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469A KR100400361B1 (ko) 2001-02-24 2001-02-24 승객검지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36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9538A (ja) * 1993-04-21 1994-11-04 M Tec Kk アーム回転形自動改札機
JPH07320096A (ja) * 1994-05-25 1995-12-08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改札機
KR970049876A (ko) * 1995-12-29 1997-07-29 배순훈 자동개집표기 제어장치
JPH1063892A (ja) * 1996-08-13 1998-03-06 Omron Corp ゲート装置
KR19980040934A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자동 개집표기의 부정통과 감지방법
KR19980040933A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자동 개집표기의 승객 감지장치
KR19990030799A (ko) * 1997-10-06 1999-05-06 윤종용 자동 집/개표기의 승객 검지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9538A (ja) * 1993-04-21 1994-11-04 M Tec Kk アーム回転形自動改札機
JPH07320096A (ja) * 1994-05-25 1995-12-08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改札機
KR970049876A (ko) * 1995-12-29 1997-07-29 배순훈 자동개집표기 제어장치
JPH1063892A (ja) * 1996-08-13 1998-03-06 Omron Corp ゲート装置
KR19980040934A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자동 개집표기의 부정통과 감지방법
KR19980040933A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자동 개집표기의 승객 감지장치
KR19990030799A (ko) * 1997-10-06 1999-05-06 윤종용 자동 집/개표기의 승객 검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289A (ko) 200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1461B2 (en) Object detection sensor
CN104724566A (zh) 具备图像识别功能的电梯
US6600509B1 (en) Detection system
TWI250473B (en) Automatic ticket gate machine
KR100400361B1 (ko) 승객검지장치 및 그 방법
JP2005031841A (ja) 自動改札装置
CN111877222A (zh) 闸机系统以及闸机系统的控制方法
RU2627254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орядковых номеров вагонов движущегос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состава
TW200535738A (en) Automatic ticket checker
JP5331320B2 (ja) 通路制御システム
JP5211561B2 (ja) 通行制御装置、および自動改札機
JP2000099776A (ja) 自動改札装置
JP3870553B2 (ja) 自動改札機
JP4600009B2 (ja) ゲート装置
KR200155075Y1 (ko) 양방향 개찰기 자동전환장치
JP4941377B2 (ja) ゲート装置
KR102661630B1 (ko) 자동 개집표기의 제어 장치
CN113885091B (zh) 一种通道检测装置、人员通道装置和货物检测通道装置
JP2004220525A (ja) 自動改札装置
JPH09128575A (ja) 自動改札機
KR19980040934A (ko) 자동 개집표기의 부정통과 감지방법
KR19980014224A (ko) 자동 개, 집표기용 폴장치
JP4697238B2 (ja) 自動改札装置
JP2712553B2 (ja) 自動改札機
JP2712554B2 (ja) 自動改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