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331B1 - 포장팩과 포장시트 제조장치 및 포장시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장팩과 포장시트 제조장치 및 포장시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331B1
KR100399331B1 KR10-2001-0027253A KR20010027253A KR100399331B1 KR 100399331 B1 KR100399331 B1 KR 100399331B1 KR 20010027253 A KR20010027253 A KR 20010027253A KR 100399331 B1 KR100399331 B1 KR 100399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ackaging sheet
packaging
protruding membe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8542A (ko
Inventor
공혜숙
Original Assignee
공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혜숙 filed Critical 공혜숙
Priority to KR10-2001-0027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331B1/ko
Publication of KR20020088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3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02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laminate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포장시트에 의해 제조된 포장팩과 포장시트의 제조장치 및 포장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포장팩은 하부 포장시트와, 상호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양측단부에 결합부가 형성되도록 하부 포장시트의 상부에 적층된 상부 포장시트를 가지며, 상부 포장시트와 하부 포장시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면에는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이격 거리를 가지며 배치되어 상기 포장시트와 하부 포장시트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선상의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포장시트를 제조하는 제조장치는, 포장시트를 길이방향에 따라 공급하는 시트공급부와; 시트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포장시트에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로울러와; 인장된 포장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당김력을 가하여 포장시트를 안내 이송하는 안내이송수단과; 안내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포장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포장시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돌출부재를 공급하는 돌출부재제공부와; 돌출부재가 적층된 포장시트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과; 냉각수단을 통해 냉각된 적층포장시트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된 적층포장시트를 권취시키는 포장시트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조 공정수를 줄일 수 있어 포장팩을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포장팩 제조에 소요되는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장팩과 포장시트 제조장치 및 포장시트 제조방법{Pack Using Packing Sheet and Packing Sheet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물건수용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포장시트를 갖는 포장팩과 포장시트의 제조장치 및 포장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느 하나의 포장시트의 일면에 다른 하나의 포장시트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재를 갖는 포장팩과 포장시트 제조장치 및 포장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현대인들은 부패 걱정 없이 장기간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음식을 선호하며, 이러한 현대인들의 취향에 맞추기 위해 다양한 진공포장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진공포장이란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포장팩의 내부에 저장하려는 음식물을 수용하고 포장팩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봉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의 산화를 방지하고 내용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진공포장 가능한 포장팩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보관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기존의 포장에 비해 상온에서 장시간 보관할 수 있으며, 저온을 유지하는 냉장고에서는 그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키고 음식물이 부패를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진공포장에 사용하는 포장팩에 있어서는, 포장팩의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한 후 공기흡입기를 사용하여 포장팩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물건의 수용위치 및 포장팩의 형상에 따라 물건의 안쪽에 잔존하는 공기나 물건과 물건 사이에 잔존하는 공기를 완전히 제거하는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포장팩의 내면을 엠보싱 처리하거나 별도의 엠보싱 부재를 삽입하여 포장팩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엠보싱처리가 된 포장팩이나 별도의 엠보싱 부재를 삽입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엠보싱 처리된 엠보싱시트부나 엠보싱부재를 별도로 제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으며, 엠보싱시트부나 엠보싱부재를 별도로 제조하기 위해 추가의 제조설비를 제작해야 하므로 제반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포장시트를 제조하는 제조공정에 있어서는, 각 포장시트에 엠보싱시트부나 엠보싱부재를 적층하여 결합시키는 공정이 추가되므로 제조 공정수가 증가되며,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공정 수를 줄여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포장팩과 포장시트 제조장치 및 포장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팩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포장팩의 공기를 제거하기 전과 공기를 제거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시트의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설치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돌출부재제공부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시트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시트공급부 3, 20 : 인장로울러
5 : 안내이송수단 7 : 돌출부재제공부
9 : 원료공급부 11 : 돌출부재성형부
13 : 노즐부 15 : 냉각수단
17 : 이송수단 19 : 권취수단
35 : 포장시트 40 : 적층포장시트
45 : 돌출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 포장시트와, 상호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양측단부에 결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 포장시트의 상부에 적층된 상부 포장시트를 갖는 포장팩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포장시트와 하부 포장시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이격 거리를 가지며 배치되어 상기 상부 포장시트와 하부 포장시트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선상의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포장시트를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있어서, 포장시트를 상기 포장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급하는 시트공급부와; 상기 시트공급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포장시트에 인장력을 가하여 일정한 인장상태를 유지시키는 인장로울러와; 상기 인장로울러에서 인장된 상기 포장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당김력을 가하여 상기 포장시트를 안내 이송하는 안내이송수단과; 상기 안내이송수단의 인접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포장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포장시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돌출부재를 공급하는 돌출부재제공부와; 상기 돌출부재가 적층된 상기 포장시트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과; 상기 냉각수단을 통해 냉각된 상기 돌출부재가 적층된 상기 포장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당김력을 가하여 상기 적층포장시트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된 상기 적층포장시트를 권취시키는 포장시트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시트 제조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따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포장시트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장시트를 상기 포장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시트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포장시트에 인장력을 가하여 일정한 인장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와; 인장된 상기 포장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당김력을 가하여 상기 포장시트를 안내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안내이송단계에서이송된 상기 포장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포장시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돌출부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돌출부재가 적층된 상기 포장시트를 냉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냉각된 적층포장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당김력을 가하여 상기 적층포장시트를 이송시키는 이송단계와; 상기 이송단계에서 이송된 상기 적층포장시트를 권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시트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장팩 및 포장시트 제조장치 및 포장시트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팩의 일실시예에 대한 부분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공기를 제거하기 전과 공기를 제거한 후의 상태를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본 포장팩(30)은 상부에 놓여지는 상부 포장시트(35)와, 상부 포장시트(35)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부 포장시트(35)와 함께 물건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양측단부가 결합된 결합부(39)를 갖는 하부 적층포장시트(40)를 갖는다.
도 2a 및 도 2b는 설명의 편의상 상부 포장시트와 하부 포장시트의 적층상태를 과장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부포장시트(35) 및 하부 적층포장시트(40)는, 평행하게 적층된 복수의 시트부(36,41)와, 각 시트부(36,41)와 시트부(36,41) 사이에 개재되어 각 시트부(36,41)를 접착시키는 접착시트(37,43)를 포함한다. 각 포장시트(35,40)를 이루는 각 시트부(36,41)는 포장팩(30)의 가장 안쪽에 적층되는 시트부와 가장 바깥쪽에 적층되는 시트부를 다른 재질로 마련할 수 있다. 예컨대, 가장 안쪽에 적층되는 시트부는 열가소성재질을 사용하고,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시트부는 공기가 유동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하부 적층포장시트(40)에는 상부의 포장시트(35)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재(45)가 적층되어 있다. 돌출부재(45)는 상부의 포장시트(35)와 하부의 적층포장시트(40)의 양측단부에 마련된 결합부(39)를 따라 하부 적층포장시트(40)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포장시트(35)와 하부 적층포장시트(40)의 양측단부가 결합되어 롤형태로 권취되어 있는 포장팩(30)의 부분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지만, 권취되어 있는 포장팩(30)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고, 절단된 포장팩(30)의 절단부 중 어느 하나를 밀봉하여 인출개구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2a는 포장팩(30)의 내부 공기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이고, 도 2b는 포장팩(30)의 내부공기를 제거한 상태이다. 일단부가 밀봉되고 타단부에 인출개구가 형성된 포장팩(30)에 물건을 수용한 후, 도시 않은 공기흡입기를 사용하여 포장팩(30)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면, 도 2b의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 포장시트(35)가 하부 적층포장시트(40)에 밀착되면서 돌출부재(45)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유동로(47)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포장팩(30) 내부의 공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포장팩(30)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돌출부재(45)가 적층된 포장시트와 돌출부재(45)가 적층되지 않은 포장시트를 사용하여 포장팩(30)을 제조한 실시예를 개시하였지만, 돌출부재가 적층된 포장시트를 상부 및 하부에 모두 사용하여 포장팩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시트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설치측면도이다. 본 포장시트 제조장치는, 시트공급부(1), 인장로울러(3), 안내이송수단(5), 돌출부재제공부(7), 냉각수단(15), 이송수단(17), 및 포장시트권취부(19)를 포함한다.
시트공급부(1)는 포장시트(35)를 롤(Roll) 형태로 권취하여 포장시트(35)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급하며, 인장로울러(3)는 시트공급부(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시트공급부(1)로부터 공급된 포장시트(35)에 인장력을 가하여 포장시트(35)가 일정한 인장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안내이송수단(5)은 인장로울러(3)에 의해 인장된 포장시트(35)의 길이방향에 따라 당김력을 가하여 포장시트(35)를 안내 이송한다.
돌출부재제공부(7)는 안내이송수단(5)의 상부영역에 마련되어 안내이송수단(5)에 의해 이송되는 포장시트(35)의 일면에 포장시트(35)의 이송방향을 따라 돌출부재(45)가 적층되도록 공급한다. 돌출부재(45)는 포장시트(35)의 제일 안쪽에 적층되는 시트부(41)와 동일한 열에 의해 접착할 수 있는 열가소성 물질로 용융상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수단(15)은 돌출부재(45)가 적층된 적층포장시트(40)를 신속하게 냉각시켜 돌출부재(45)가 포장시트(35)의 적층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수단(15)으로 냉각수를 사용하고 있지만, 냉각수단(15)으로 물체를 급속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질소, 프레온가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송수단(17)은 적층포장시트(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당김력을 강하여 냉각수단(15)을 통해 냉각된 적층포장시트(40)를 이송한다. 이송수단(17)에 의해 이송된 적층포장시트(40)는 포장시트권취부(19)에 권취된다. 또한, 이송수단(17)과 포장시트권취부(19) 사이에는 포장시트권취부(19)에 권취되는 적층포장시트(40)에 인장력을 가하여 권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인장로울러(20)가 마련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재제공부의 부분 확대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의 실시예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재제공부(7)는 돌출부재(45)의 제조원료를 고온의 용융상태로 공급하는 원료공급부(9)와, 원료공급부(9)에서 공급된 제조원료를 사용하여 돌출부재(45)를 만드는 돌출부재성형부(11)를 갖는다.
돌출부재(45)는 선 형상을 가지며, 돌출부재성형부(11)에는 선상의 돌출부재(45)가 균일한 단면형상을 갖도록 설비된 복수개의 관상의 노즐부(13)가 마련되어 있다. 노즐부(13)는 도 3(a) 내지 도 3(c)에 개시되 바와 같이, 원형, 사각, 삼각 및 다양한 형태로 마련할 수 있으며, 돌출부재(45)는 노즐부(13)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단면형상을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시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본 제조공정도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우선, 시트공급부(1)에서는 포장시트(35)를 공급한다(S10). 시트공급부(1)를 통해 포장시트(35)의 길이방향을 따라 포장시트(35)가 공급되면, 인장로울러(3)에서는 포장시트(35)가 일정한 인장상태를 유지하도록 포장시트(35)에 인장력을 가한다(S11). 또한, 본 실시예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인장로울러(3)와 대응하는 위치에 포장시트(35)를 지지하는 지지로울러를 설치하여 포장시트(35)가 이송방향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11단계에서 인장로울러(3)에 의해 인장력을 받은 포장시트(35)는, 안내이송수단(5)에 의해 포장시트(35)의 길이방향을 따라 당김력을 받으면서 안내 이송된다(S12). 안내이송수단(5)에 의해 포장시트(35)가 이송되면, 안내이송수단(5)의 상부에 마련된 돌출부재제공부(7)에서는 고온의 용융상태의 제조원료를 돌출부재성형부(11)로 제공하여 노즐부(13)의 형태에 따라 선상의 돌출부재(45)를 성형하여 포장시트(35)의 일면에 적층시킨다(S13,S14).
포장시트(35)의 일면에 고온의 제조원료로 제조되어 적층된 돌출부재(45)는, 노즐부(13)를 통해 성형된 본래의 형상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냉각수단(15)으로 이송된다(S15). 냉각수단(15)으로 이송된 적층포장시트(40)는 냉각수에 의해 신속하고 균일하게 냉각되어 돌출부재(45)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며, 냉각이 완료된 적층포장시트(40)는 적층포장시트(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당김력을 가하는 이송수단(17)에 의해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된다(S16). 이송수단(17)을 따라 이송된 적층포장시트(40)는 포장시트권취부(19)에 롤 형태로 권취된다(S17).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돌출부재(45)가 적층된 적층포장시트(40)를 포장시트권취부(18)에 권취하고 있지만, 이송수단(17)에 의해 이송된 적층포장시트(40)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보관장소에 보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부 포장시트에 돌출부재가 마련된 포장팩을 설명하였지만, 돌출부재가 마련된 하부 포장시트 및 상부 포장시트를 사용하여 포장팩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팩 및 포장시트의 제조장치 및 포장시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포장시트를 제조하는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어 제조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수의 절감으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9)

  1. 삭제
  2. 하부 포장시트와, 상호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양측단부에 결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 포장시트의 상부에 적층된 상부 포장시트를 갖는 포장팩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포장시트와 하부 포장시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이격 거리를 가지며 배치되어 상기 상부 포장시트와 하부 포장시트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선상의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균일한 단면형상을 갖는 선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를 갖는 상기 상부 포장시트와 하부 포장시트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양측단부가 결합된 상기 상부 포장시트 및 하부 포장시트에는 물건을 인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인출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포장시트 및 하부포장시트는 평행하게 적층된 복수의 시트부와, 상기 각 시트부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접착시키는 접착시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팩.
  5. 제2항의 돌출부재가 적층된 적층포장시트를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있어서,
    포장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포장시트를 공급하는 시트공급부와;
    상기 시트공급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포장시트에 인장력을 가하여 일정한 인장상태를 유지시키는 인장로울러와;
    상기 인장로울러에서 인장된 상기 포장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당김력을 가하여 상기 포장시트를 안내 이송하는 안내이송수단과;
    상기 안내이송수단의 인접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포장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되도록 상기 포장시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돌출부재를 공급하는 돌출부재제공부와;
    상기 돌출부재가 적층된 상기 포장시트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과;
    상기 냉각수단을 통해 냉각된 상기 돌출부재가 적층된 상기 포장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당김력을 가하여 상기 적층포장시트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된 상기 적층포장시트를 권취시키는 포장시트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시트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제공부는,
    상기 돌출부재의 제조원료를 용융상태로 제공하는 원료공급부와,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제조원료를 사용하여 상기 돌출부재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재성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시트 제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선상이며, 상기 돌출부재성형부는 상기 돌출부재가 선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관상의 노즐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시트 제조장치.
  8. 제2항의 돌출부재가 적층된 적층포장시트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포장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포장시트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시트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포장시트에 인장력을 가하여 일정한 인장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와;
    인장된 상기 포장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당김력을 가하여 상기 포장시트를 안내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안내이송단계에서 이송된 상기 포장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포장시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돌출부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돌출부재가 적층된 상기 포장시트를 냉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냉각된 적층포장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당김력을 가하여 상기 적층포장시트를 이송시키는 이송단계와;
    상기 이송단계에서 이송된 상기 적층포장시트를 권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시트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 적층단계는,
    상기 돌출부재의 제조원료를 용융상태로 제공하는 원료제공단계와;
    상기 포장시트의 일면에 적층되는 상기 돌출부재가 균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선상으로 형성시키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시트 제조방법.
KR10-2001-0027253A 2001-05-18 2001-05-18 포장팩과 포장시트 제조장치 및 포장시트 제조방법 KR100399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253A KR100399331B1 (ko) 2001-05-18 2001-05-18 포장팩과 포장시트 제조장치 및 포장시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253A KR100399331B1 (ko) 2001-05-18 2001-05-18 포장팩과 포장시트 제조장치 및 포장시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542A KR20020088542A (ko) 2002-11-29
KR100399331B1 true KR100399331B1 (ko) 2003-09-26

Family

ID=27705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253A KR100399331B1 (ko) 2001-05-18 2001-05-18 포장팩과 포장시트 제조장치 및 포장시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3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129B1 (ko) 2016-12-20 2024-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542A (ko) 200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2986B1 (en) Assembly and accumulation of sliders for profiled zippers
US55642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resiliently compressed articles to a form/fill/seal machine
US20050261659A1 (en) Medical connected container assembl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050057505A (ko)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용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KR100399331B1 (ko) 포장팩과 포장시트 제조장치 및 포장시트 제조방법
US627930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ir cell dunnage
TW201309554A (zh) 夾鏈帶之熱密封方法、具有夾鏈帶之薄膜捲筒之製造方法、及具有夾鏈帶之包裝袋之製造方法
JPH08301239A (ja) 弁当箱用包装体の包装方法及び装置
KR100444402B1 (ko) 유로를 갖는 진공 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
JP2003170913A (ja) ポケット部形成装置及びブリスターパックの製造装置
EP0638484B1 (en) The packaging of articles
KR101071237B1 (ko) 삼방향 접착 봉지 제조 장치
JP3129463B2 (ja) シュリンク包装装置
JP6858435B1 (ja) ピロー包装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220200042U (zh) 一种包装袋
JP7430426B2 (ja) 包装方法及び包装装置
JP2553756Y2 (ja) エンドシール装置
JP4312022B2 (ja) 合成樹脂製梱包用バンドコイル
JP3628929B2 (ja) 形状劣化性内容物の包装袋
JP6770841B2 (ja) 積層シート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金型装置
JP2020132239A (ja) 電子部品包装体、電子部品包装体の製造方法、及び電子部品の実装方法
JPS6341122A (ja) 緩衝包装材の製造方法
JPH05124626A (ja) エンボス成形装置
JP5823683B2 (ja) プルタブアプリケータ
CN116767669A (zh) 一种包装袋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