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225B1 -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실내 침입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실내 침입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225B1
KR100398225B1 KR10-2000-0085870A KR20000085870A KR100398225B1 KR 100398225 B1 KR100398225 B1 KR 100398225B1 KR 20000085870 A KR20000085870 A KR 20000085870A KR 100398225 B1 KR100398225 B1 KR 100398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side member
mounting
delete delet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6506A (ko
Inventor
박용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5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225B1/ko
Publication of KR2002005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실내 침입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엔진룸을 이루도록 가로로 양쪽에 배치된 사이드멤버부재(1)와, 이 사이드멤버부재(1)의 하측에 배치되는 서브프레임(2)과, 이 서브프레임(2)의 전후방을 사이드멤버부재(1)의 하부로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전·후방 마운팅(4,5)과, 전방충돌시 발생된 충격량의 정도에 따라 상기 후방마운팅(5)을 절단시켜 상기 서브프레임(2)이 이에 인접한 플로우패널(3)쪽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수단(11)으로 구성되어져, 차량의 전방충돌시 가해지는 충격량의 정도에 따라 플로우패널(3)에 인접된 사이드멤버부재(1)와 서브프레임(2)의 결합부위를 분리시켜 상기 서브프레임(2)이 플로우패널(3)부위를 변형시키는 가압력의 발생을 차단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운전자나 승객의 하체부위 손상을 완전히 차단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실내 침입 방지구조{An automotive sub frame for protecting invasion into inside space}
본 발명은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실내 침입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충돌시 가해지는 충격에 변형되면서 플로워 패널 부위를 가압하지 못하도록 된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실내 침입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을 이루는 엔진룸은 엔진과 각종 주요한 장치들이 장착되도록 프레임을 이용해 공간을 형성함과 더불어 내부의 장치들을 보호하기 위해 개·폐 가능한 후드로 가리게 된다.
이러한, 엔진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양쪽에 위치된 사이드멤버부재(1)를 매개로 엔진룸을 이루면서 엔진등을 장착함과 더불어, 이 사이드멤버부재(1)의 하부로 그 강성 보강을 위해 서브프레임(2)이 구비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멤버부재(1)와 서브프레임(2)은 전방과 플로우패널(3)이 이어지는 끝 부위에서 각각 전·후방 마운팅(4,5)을 매개로 고정되어짐은 물론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전·후방 마운팅(4,5)을 매개로 사이드멤버부재(1)와 서브프레임(2)이 체결·고정되면 차체의 강성은 강화되지만, 차량의 전방충돌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는 사이드멤버부재(1)와 더불어 서브프레임(2)이 함께 변형되면서 이어지는 플로우패널(3)부위를 상기 서브프레임(2)이 실내쪽으로 밀어 올리게 되고, 이로 인해 운전자나 승객의 하체부위를 손상시키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차량의 전방으로 일정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사이드멤버부재와 서브프레임을 고정한 마운팅을 분리시켜 서브프레임이 플로우패널을 변형시키지 못하게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룸을 이루도록 가로로 양쪽에 배치된 사이드멤버부재와, 이 사이드멤버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는 서브프레임과, 이 서브프레임의 전후방을 사이드멤버부재의 하부로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전·후방 마운팅과, 전방충돌시 발생된 충격량의 정도에 따라 상기 후방마운팅을 절단시켜 상기 서브프레임이 이에 인접한 플로우패널쪽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에 따라 전방충돌시 변형된 서브프레임에 의해 실내부위가 변형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실내 침입 방지구조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서브프레임 장착부위의 상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전방충돌시 서프프레임의 연결부위가 분리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이드멤버부재 2 : 서브프레임
3 : 플로우패널 4 : 전방마운팅
5 : 후방마운팅 6 : 마운팅보올트
6a : 절단홈 7 : 고정브라켓트
8 : 웰너트 9 : 부시
10 : 폭발체 11 : 제어수단
11a : 센서 11b : 콘트롤러
11c : 전류공급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실내 침입 방지구조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에 따른 서브프레임의 실내 침입 방지구조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룸을 이루도록 가로로 양쪽에 배치된 사이드멤버부재(1)와, 이 사이드멤버부재(1)의 하측에 배치되는 서브프레임(2)과, 이 서브프레임(2)의 전후방을 사이드멤버부재(1)의 하부로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전·후방 마운팅(4,5)과, 전방충돌시 발생된 충격량의 정도에 따라 상기 후방마운팅(5)을 절단시켜 상기 서브프레임(2)이 이에 인접한 플로우패널(3)쪽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수단(11)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후방마운팅(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멤버부재(1)와 서브프레임(2)사이를 관통하는 마운팅보올트(6)와, 이 마운팅보올트(6)가 관통된 사이드멤버부재(1)에 구비되어 일정한 폐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브라켓트(7)와, 이 고정브라켓트(7)에 용접되면서 마운팅보올트(6)와 나사체결되는 웰너트(8)와, 상기 서브프레임(2)에 구비되어 관통된 마운팅보올트(6)을 감싸는 부시(9) 및, 전방충돌시 발생된 충격량의 정도에 따라 상기 마운팅보올트(6)의 소정부위를 절단하는 제어수단(11)으로 이루어진다.한편, 상기 고정브라켓트(7)의 내부에는 마운팅보올트(6)를 감싸는 폭발체(10)가 구비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폭발체(10)가 감싸는 마운팅보올트(6)에는 폭발력에 의해 절단이 용이하도록 그 둘레를 따라 삼각 단면형상을 가지는 절단홈(6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1)은 차량의 전방부위에 구비되면서 전방충돌시 발생된 충격량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센서(11a)와, 이 센서(11a)의 신호를 판독하여 설정된 일정값 이상일 경우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콘트롤러(11b)와, 이 콘트롤러(11b)의 신호에 의해 고전류를 발생하여 폭발체(10)를 폭파시키는 배전기(11c)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센서(11a)는 에어백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에어백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즉, 상기 마운팅보올트(6)의 절단홈(6a)은 전방충돌시 에어백이 작동될 만큼의 충격량이 발생할 때에만 폭발체(10)의 폭발력에 의해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차량의 전방충돌로 인해 사이드멤버부재(1)와 서브프레임(2)이 결합된 전방마운팅(4)부위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제어수단(11)의 센서(11a)에 의해 감지된 충격력은 콘트롤러(11b)로 전달되고, 이 콘트롤러(11b)는 설정된 로직에 따라 충격량의 크기를 판단하여 후방마운팅(5)의 폭발체(10)를 폭발시킬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만약, 상기 제어수단(11)의 콘트롤러(11b)가 가해진 충격력을 설정값(에어백을 전개시킬 정도의 충격력을 가지는 충격값)이하로 판단하게 되면, 배전기(11c)로 신호를 보내지 않아 폭발체(10)로 가는 전류를 차단하게 되고, 이때 전방충돌시 발생된 충격력은 사이드멤버부재(1)와 서브프레임(2)을 통해 흡수되게 된다.그러나, 상기 제어수단(11)의 콘트롤러(11b)가 가해진 충격력을 설정값이상으로 판단하게 되면, 배전기(11c)로 신호를 보내 후방마운팅(5)의 마운팅보올트(6)에 구비된 폭발체(10)로 고전류를 흐르게 하여 폭발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마운팅보올트(6)는 절단홈(6a)을 기준으로 파단되며 이 결과 서브프레임(2)의 후방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멤버부재(1)로부터 분리되게 된다.그리고, 상기 서브프레임(2)의 후방부가 사이드멤버부재(1)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서브프레임(2)은 충격력에 의해 플로우패널(3)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변형되게 되고, 이에 따라 서브프레임(2)에 의한 플로우패널(3)의 실내침입이 예방되게 된다.이와 같이, 에어백이 전개될 정도의 큰 충격량을 가지는 전방충돌사고가 발생되더라도 서브프레임(2)에 의한 플로우패널(3)의 실내침입이 예방되면, 운전자나 승객의 하체부위 손상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원발명은 충격력이 약한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마운팅보올트(6)의 불필요한 파단을 예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수리비용의 낭비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잇점도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전방충돌시 가해지는 충격량의 정도에 따라 플로우패널에 인접된 사이드멤버부재와 서브프레임의 결합부위를 분리시켜 서브프레임이 플로우패널부위를 변형시키는 가압력의 발생을 차단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운전자나 승객의 하체부위 손상을 완전히 차단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8)

  1. 엔진룸을 형성하는 사이드멤버부재(1)의 하부에 전·후방 마운팅(4,5)을 매개로 서브프레임(2)이 구비되고, 상기 후방마운팅(5)은 전방충돌시 발생된 충격량의 정도에 따라 절단되면서 서브프레임(2)의 후방을 사이드멤버부재(1)로부터 분리시켜 플로우패널(3)쪽으로 가압력을 주지 못하도록 하는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실내 침입 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방마운팅(5)은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절단홈(6a)이 형성되면서 사이드멤버부재(1)와 서브프레임(2)사이를 관통하는 마운팅보올트(6)와, 상기 절단홈(6a)을 포함한 마운팅보올트(6)의 일부구간을 감싸면서 폐공간을 형성하도록 사이드멤버부재(1)에 구비되는 고정브라켓트(7)와, 이 고정브라켓트(7)에 용접되면서 마운팅보올트(6)와 나사체결되는 웰너트(8)와, 상기 서브프레임(2)에 구비되어 관통된 마운팅보올트(6)을 감싸는 부시(9)와, 상기 고정브라켓트(7)의 내부에 충진되어 절단홈(6a)부위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폭발체(10)와, 전방충돌시 발생된 충격량의 정도에 따라 상기 마운팅보올트(6)의 절단홈(6a)을 절단하는 제어수단(11)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11)은 전방충돌시 발생된 충격량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센서(11a)와, 이 센서(11a)의 신호를 판독하여 설정된 일정값 이상일 경우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콘트롤러(11b)와, 이 콘트롤러(11b)의 신호에 의해 고전류를 발생하여 폭발체(10)를 폭파시키는 배전기(11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실내 침입 방지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1a)는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에어백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실내 침입 방지구조.
KR10-2000-0085870A 2000-12-29 2000-12-29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실내 침입 방지구조 KR100398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870A KR100398225B1 (ko) 2000-12-29 2000-12-29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실내 침입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870A KR100398225B1 (ko) 2000-12-29 2000-12-29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실내 침입 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506A KR20020056506A (ko) 2002-07-10
KR100398225B1 true KR100398225B1 (ko) 2003-09-19

Family

ID=2768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870A KR100398225B1 (ko) 2000-12-29 2000-12-29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실내 침입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2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496A (ko) * 2001-12-26 2003-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서브 프레임의 분리장치
SE537902C2 (sv) * 2014-03-11 2015-11-17 Scania Cv Ab Installation av hybridkomponenter i ett fordon
CN111703504B (zh) * 2019-03-18 2022-03-11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辆及其主副双纵梁连接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534A (ja) * 1995-04-18 1996-10-29 Nissan Motor Co Ltd 車体サブフレームのエクステンションメンバへの取付け構造
KR19980031381A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자동차의 전방 사이드프레임과 리어 크로스멤버의 결합구조
JPH10264862A (ja) * 1997-03-27 1998-10-06 Mitsubishi Motors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19990019567A (ko) * 1997-08-29 1999-03-15 양재신 자동차 프론트 프레임의 충격흡수구조
KR20000013551U (ko) * 1998-12-28 2000-07-15 정몽규 서브프레임과 사이드 멤버의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534A (ja) * 1995-04-18 1996-10-29 Nissan Motor Co Ltd 車体サブフレームのエクステンションメンバへの取付け構造
KR19980031381A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자동차의 전방 사이드프레임과 리어 크로스멤버의 결합구조
JPH10264862A (ja) * 1997-03-27 1998-10-06 Mitsubishi Motors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19990019567A (ko) * 1997-08-29 1999-03-15 양재신 자동차 프론트 프레임의 충격흡수구조
KR20000013551U (ko) * 1998-12-28 2000-07-15 정몽규 서브프레임과 사이드 멤버의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506A (ko)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5760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WO1995029078A1 (en) Vehicle chassis having an occupant cell
EP3056392B1 (en) Pedestrian protection airbag device
US10619391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vehicle door in emergency
KR20110062110A (ko) 차량의 전방 차체구조
KR100398225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실내 침입 방지구조
JPH11348716A (ja) 自動車のフードはね上げ装置のアクチュエータ取り付け構造
JP3127683B2 (ja) エアバッグシステム
US20040262897A1 (en) Vehicular Cross car beam assembly having an integral air bag inflator
JP4715735B2 (ja) コラム付け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2001080451A (ja) 側突用エアバッグセンサの取付構造
JP2576582Y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200147950Y1 (ko) 자동차용 프론트 사이드 멤버
KR100262617B1 (ko) 전기 자동차의 안전장치
KR200225744Y1 (ko) 운전석에어백의조립구조
KR100461383B1 (ko) 승용차의 앞좌석 탑승자 보호장치
JP2007196800A (ja) 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のシール構造
KR100558858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칼럼의 틸트업 방지장치
JP2678851B2 (ja) 機械着火式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
JPH0635831Y2 (ja) 車両用衝突検出センサ取付構造
KR100505879B1 (ko) 무릎보호용 에어백 설치구조
KR100210143B1 (ko) 차량용 에어백의 하이브리드구조
KR19980044501U (ko) 스티어링 휠 구동장치
JP5900483B2 (ja)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のフード搭載構造
KR200152951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