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909B1 - 동축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형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97909B1 KR100397909B1 KR10-2001-0059439A KR20010059439A KR100397909B1 KR 100397909 B1 KR100397909 B1 KR 100397909B1 KR 20010059439 A KR20010059439 A KR 20010059439A KR 100397909 B1 KR100397909 B1 KR 1003979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inner contact
- insulation
- along
- coaxi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Non-Reversible Transmitting Devices (AREA)
Abstract
동축형 커넥터는 단면이 거의 장방형이고, 외측 접점의 폭E가 그 높이H보다 훨씬 크다. 그 결과, 내측 접점(20)과 외측 컨덕터의 상측 내면(136) 및 하측 내면(138)과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섹터(140, 142)에서 임피던스가 가장 작은 반면에, 내측 컨덕터로부터 외측 컨덕터의 각 측면(132, 134)으로 수평 연장되는 제2 섹터(144, 146)에서 임피던스가 가장 높다. 출원인은, 제1 섹터에서는 임피던스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는 반면에, 제2 섹터에 있는 절연부에 유지용 탭을 수용하는 컷아웃(60, 160)을 마련함으로써 제2 섹터에서는 임피던스의 변화를 허용하고 있다. 대략 장방형 형상이므로, 중심 접점은, 높이J가 일정하고, 커넥터의 전방 단부에서 결합용 확장부(92) 및 유지용 확장부(94, 96)를 마련하도록 그 폭이 변화할 수 있는 판금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임피던스의 변화는 미미하다. 크림프(crimp) 또는 납땜 접합이 완성될 때까지 경로를 벗어나 위치할 수 있는, 절연부의 접합-포위부(200, 201) 및 외측 접점의 접합-포위부(210, 211)를 제공함으로써, 내측 접점이 커넥터의 나머지 부분 내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동축 케이블의 중심 컨덕터(100)를 내측 접점의 후방 종결 단부(198)에서 종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대부분의 동축형 커넥터는 원형 중심 접점, 중공 원통형 외측 접점 및 상기 접점 사이에 있는 관형 절연부를 사용한다. 상기 원통형 형상으로 인해, 내측 접점을 기계 가공하여 원통형 형상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비교적 고비용의 제조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유지 특징부는 외측 접점의 외측면에 부착되어야 하는데, 이는 유지 특징부를 절연부에 있는 슬롯에 삽입하면 그 곳에서 임피던스가 급격히 변화하고, 신호의 반사가 발생하며, 그 결과 전압정재파비(VSWR)의 증가 및 신호의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각 동축형 커넥터의 예정된 특성 임피던스는 50 Ω인 것이 가장 일반적이며, 커넥터 내의 위치에서 예정된 특성 임피던스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손실이 커진다.
절연부에 의해 분리되는 내측 및 외측 접점을 구비하고, 메가 헤르쯔 및 기가 헤르쯔 범위의 신호를 전달하며, 저비용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성능을 심각한 수준으로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유지 특징부 용으로 선택된 절연부의 영역에 컷아웃이 마련될 수 있는 동축형 접점 조립체, 또는 커넥터라면 가치가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플러그형 커넥터와, 이 플러그형 커넥터의 후방 단부에 연결 가능한 동축 케이블의 벗겨진 전방 단부를 도시하는 정면 및 평면 등각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커넥터 장치와, 이 커넥터 장치의 종결 단부가 부착될 수 있는 회로판의 일부를 도시하는 등각도이고,
도 3은 도 2의 커넥터 장치와 완전히 결합되어 있는 도 1의 플러그형 커넥터의 선 3-3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그것을 포위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도 3의 선 4-4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접합-포위부가 초기 위치에 있는 도 1의 커넥터의 절연 부재의 등각도이며,
도 6은 도 5의 절연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외측 접점 부재의 등각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외측 접점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9는 편향 위치에 있는 후방 종결 단부를 가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 7에 도시된 외측 접점 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1의 커넥터의 내측 접점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내측 접점의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3의 선 12-12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3의 선 13-1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3의 선 14-14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3의 선 15-15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3의 섹터와 병렬로 연결된 4개의 저항기의 그룹 사이의 상사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17은 단면이 대체로 장방형이지만, 중심이 수직방향으로 벗어나 있는 컨덕터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도 18은 제1 섹터가 협소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커넥터의 섹터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러그형 동축형 커넥터
12 : 동축 케이블
14 : 전방 결합 단부
16 : 후방 종결 단부
20 : 내측 접점
24, 50 : 외측 접점
30 : 리셉터클형 동축 커넥터
34 : 전방 종결 단부
36 : 회로판
40 : 내측 접점 장치
42 : 도금된 구멍
60, 160, 162 : 컷아웃
64 : 분기체
70 : 트레이스
80, 82 : 커넥터 조립체의 하우징
90 : 결합 단부
92 : 탄성 아암
94, 96, 102 : 확장부
140, 142 : 제1 섹터
144, 146 : 제2 섹터
170, 172 : 절연 부재
174 : 통로
200 : 접합-포위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비용으로 구성 및 조립되고 간단한 유지 특징부를 포함하도록 설계된 동축형 접점 조립체 또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커넥터는 커넥터의 축선을 따라 연장된는 내측 접점, 외측 접점 및 상기 접점 사이에 있는 절연부를 포함한다. 내측 접점 길이의 1/3 이상을 연장하는 주 영역을 따른, 내측 접점과 외측 접점의 측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내측 접점과 외측 접점의 상부면과의 사이의 거리의 140 % 이상이다. 이로써, 내측 접점과 외측 접점의 상부면 및 하부면 사이에 있는 제1 섹터에서 임피던스가 가장 낮고, 내측 접점의 대향 측면에 있는 제2 섹터에서 임피던스가 훨씬 높다. 그 결과, 실질적으로 제2 섹터에만 위치하고 절연부의 대향 측면에 있는 컷아웃은, 손실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특성 임피던스의 큰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외측 접점과 유사하게, 내측 접점도, 그 길이 대부분에 걸쳐 두께가 일정하고, 내측 접점에 유지 특징부가 마련되도록 폭이 변화할 수 있는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한 판금 부재로 형성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서, 외측 접점은 단면이 장방형이며 폭이 높이보다 140 % 이상 더 크다. 또한, 내측 접점은 단면의 중앙에 위치하므로, 외측 접점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을 두고 있다. 이 경우, 제1 섹터는 내측 접점의 상하에 위치하고, 제2 섹터는 대향하는 측면에 위치한다. 외측 접점은, 제1 섹터와 제2 섹터의 임피던스가 명확하게 상이하기만 하면[예를 들어, 제2 섹터(들)에서 접점 사이의 거리가 제1 섹터에서의 거리보다 40 % 이상 크고, 제1 섹터(들)의 길이에 걸쳐서 임피던스가 실질적으로 일정한 경우],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외측 접점 및 절연부가 내측 접점의 후방 단부를 밀접하게 둘러싸는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는 부품을 구비하게 함으로써, 내측 접점이 커넥터의 나머지 부분에 고정된 상태로 내측 접점의 후방 종결 단부를 동축 케이블의 중심 컨덕터에서 종결시킬 수 있다. 케이블의 중심 컨덕터 둘레에서 내측 접점의 관형 부분을 크림핑하여 결합시킨 후에, 절연부 및 외측 접점의 일부가 내측 접점의 후방 단부를 밀접하게 둘러싸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절연부는 절연부의 나머지 부분에 띠로 연결되는 접합-포위부를 각각 형성하는 후방 단부가 마련된 2개의 동일한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띠는 절연부의 주 부품 및 접합-포위부와 일체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설명을 첨부 도면과 함께 읽을 때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고주파 신호(일반적으로, 메가헤르쯔 및 기가헤르쯔 범위)를 전달하는 동축 케이블(12)을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는 동축형 접점 조립체, 즉 커넥터(10)를 예시한다. 전방 및 후방은 화살표F,R로, 상방 및 하방은 화살표U,D로, 측방향은 화살표L로 나타내어진다. 상기 커넥터는, 동축형 리셉터클 커넥터와 결합하는 전방 결합 단부(14)와, 동축 케이블에 연결하기 위한 후방 종결 단부(16)를 구비하는 플러그형 커넥터이다. 커넥터는 그것의 축선(22)을 따라 연장되는 내측 접점(20), 이 내측 접점을 둘러싸는 외측 접점(24)(대개의 경우, 접지됨) 및 상기 접점들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부(26)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형 커넥터의 전방 결합 단부와 결합하는 후방 결합 단부(32)를 구비하는, 동축형 리셉터클 접점 조립체, 즉 제2 커넥터 장치(30)를 보여준다. 제2 커넥터는 회로판(36) 상의 트레이스(trace)에서 종결되는 전방 종결 단부(34)를 구비한다. 이는 내측 접점 장치(40)를 회로판의 도금된 구멍(42)에 꽂아 넣음으로써, 그리고 외측 접점(50)의 돌출부(44, 46)를 회로판의 도금된 구멍(52)에 꽂아 넣음으로써 달성된다.
도 1 및 도 2의 커넥터에는 몇몇 불연속부가 있으며, 그 때문에 보통 임피던스를 변화시키고, 그 결과 신호가 반사되며, 신호가 손실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의 절연부에는 외측 컨덕터의 탭(62)을 수용하여 적소에 유지시키는 컷아웃(6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접점을 커넥터 조립체의 하우징 내에 유지하기 위해, 외측 컨덕터에는 분기체(64)(tine)가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외측 접점(50)에는 절취부(66)(cutaway)가 마련되어, 도금된 구멍(42)으로부터 연장되는 회로판의 트레이스(70)에 외측 접점이 닿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플러그형 커넥터에서 설명되었던 불연속부가 외측 접점에 존재하지 않게 한다. 이러한 모든 파열부는 잠재적으로 손실을 일으킬 수 있지만, 본 출원인이 제안하는 구성은 이러한 파열부로 인해 생기는 손실을 최소화한다.
도 3 및 도 4는 완전 결합되어 커넥터 조립체의 하우징(80, 82)에 놓여있는 플러그형 접점 조립체(10)와 리셉터클형 접점 조립체(30)를 도시한다. 각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동축형 접점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전원 및 저주파 신호용의 저주파 접점을 수용한다. 플러그형 커넥터(10)의 결합 단부에 있는 한 쌍의 탄성 아암(92) 사이에 삽입되는 결합 단부(90)가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내측 접점 장치(40)에 마련되어 있다. 플러그형 접점 조립체의 내측 접점(20)에는 한 쌍의 확장부(94, 96)가 마련되어, 상기 내측 접점이 절연부(26) 내에서 길이방향M으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내측 접점에는 절연부의 견부(98, 99)(도 3)와 맞물리는 견부(95, 97)(도 10)가 마련된다. 내측 접점의 후방 단부(198)는 동축 케이블(12)의 중심 컨덕터(100) 둘레에 크림핑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내측 접점 또는 접점 장치(40)에는 확장부(102)가 마련되어, 축선(105)이 만곡된 절연 장치(104) 내에서 상기 제2 내측 접점을 유지한다.
도 3에서 내측 접점(20) 및 내측 접점 장치(40)에 주로 유지 및 결합 기능을 하는 폭이 확장된 곳이 여러군데 마련된다는 것을 주지하라.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단면도에서는, 내측 접점(20) 및 내측 접점 장치(40)의 높이가 보다 적게 변화한다. 이는 본 출원인이 높이V[리셉터클형 커넥터(30)의 만곡된 단부(110)에서 90°회전]를 따라서는 특성 임피던스를 주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반면에, 수평 방향으로는 상당한 변화를 허용하기 때문이다.
도 3의 내측 접점(20)의 단면은 내측 접점 길이의 1/3 이상,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인 길이A의 주 영역(120)(연속일 필요는 없음)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상기 주 영역을 따라 도 3의 선 13-13에서 취한 단면이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서는 내측 접점(20)의 수평 측방향 (L)의 폭K가 수직 방향 (V)의 높이J또는 그 두께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외측 접점(24)의 측방향 폭E가 수직 높이H보다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단지 내측 접점의 외면과 외측 접점의 내면에 관한 것임을 주지하라. 이러한 차이의 결과로서, 내측 접점의 각 측면(130)과 그에 상응하는 외측 접점의 내측면(132, 134)과의 사이의 측방향 거리C가 내측 접점의 상부면 또는 저면(135)과 그에 상응하는 외측 접점의 내측 상부면(136) 또는 하부면(138)과의 사이의 거리G보다 크다. 이로써, 축선(22) 둘레로 90°의 각도N를 이루는 제1 또는 주 섹터(140, 142)에서의 특성 임피던스가 각각 90°의 각도 (D)를 이루는 제2 섹터(144, 146)에서의 특성 임피던스 보다 훨씬 낮게 된다. 실제적으로, 상방으로부터 각각 45°로 연장되는 선(147)과 선(148) 사이에서, 내측 접점과 외측 접점과의 사이의 간격은G의 100 % 내지 약 140% 이므로(1/sin45°= 141%), 하나의 제1 섹터는 선(147)과 선(148) 사이에 놓인다고 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영역에 걸쳐서, 접점은 수직 중심선(150)과 수평 중심선(152)에 대해 대칭이다.
제1 섹터(140, 142)에서의 임피던스가 더 낮으면, 커넥터의 종방향 길이를 따른 거의 모든 위치에서 특성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데에, 제1 섹터가 지배적이게 된다. 제2 섹터(144, 146)의 임피던스가 제1 섹터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제2 섹터에 걸친 임피던스의 변화는, 커넥터의 길이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 특성 임피던스에 미치는 영향이 제1 섹터에 걸친 특성 임피던스의 변화만큼 큰 곳이 없다. 제2 섹터에 걸쳐, 그리고 내측 접점의 길이에 걸쳐 임피던스가 20% 이상으로 변화하지만, 이는 제1 섹터에 걸친 변화의 절반 미만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단면의 4개의 섹터(140, 142, 144, 146)를 통과하는 고주파 전류와 상사관계에 있는, 병렬로 연결된 4개의 저항기(140R, 142R, 144R, 146R)를 도시한다. 도 16에서, 주 저항기(140R, 142R)는 저항이 낮은 것이므로, 병렬 연결된 4개의 저항기를 통과하는 전류(158I)의 대부분은 최저의 저항기(140R, 142R)를 통한 경로(160I, 162I)를 따라 지나간다. 단지 소량의 전류(164I, 166I)만이 저항이 큰 저항기(144R, 146R)를 통해 지나간다. 따라서, 저항이 큰 저항기(144R, 146R)에서의 완만한 변동은 전류(158I)에 의해 발생되는 전체 저항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상사관계는 동축형 접점 조립체의 섹터를 통한 특성 임피던스의 양적 효과가 아닌 질적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주지하라.
도 13에는, 큰 폭K의 내측 접점의 상부면 및 하부면과, 그에 상응하는 외측 접점의 상부면(136) 및 하부면(138)과, 이들의 작은 간격G로 인해 제1 섹터(140, 142)에서의 임피던스는 약 50 Ω정도로 낮다. 이러한 낮은 임피던스는 약 120°이상으로 연장하여야 하며, 실제 도시된 제1 섹터(140, 142)는 180°까지 연장한다. 외측 접점의 측면(132, 134)과 면하는 내측 접점의 측면의 길이J가 더욱 작아질수록, 그리고 간격C가 더 커질수록, 제2 섹터(144, 146)의 각각에서 75 Ω와 같은 더 큰 임피던스가 발생한다. 그 결과, 커넥터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의 대부분이 제2 섹터보다는 제1 섹터를 따라 통과하고, 제2 섹터에서 임피던스의 완만한 변화는 특성 임피던스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거나 신호의 반사 및 그로 인한 신호의 손실을 야기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절연부에 컷아웃(60, 160, 162)을 제공하며, 이 컷아웃의 각 쌍은 커넥터의 대향 측면에 위치하고 절연부 단면 영역의 20% 이상을 차지한다. 컷아웃(60, 160)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고체 절연부에 있는 컷아웃은 공기가 채워지는 컷아웃이 된다. 공기는 절연부의 고체 물질보다 유전율이 낮기 때문에, 공기는 제2 섹터(144, 146)에서 임피던스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이미 특성 임피던스가 높은 제2 섹터를 따른 그러한 임피던스의 증가로는, 절연부의 섹션에서 임피던스를 전반적으로 크게 증가시키지 못한다. 도 13은 절연부의 대향 측면(164, 165)을 향해 대부분 연장되고, 절연부의 상단(166) 및 하단(167)을 향해서는 조금만 연장하는 컷아웃을 도시한다.
본 출원인은 유전율이 2.55인 테플론(TEFLON)타입 절연부를 사용하기를 더 선호한다는 것을 주지하라(공기의 임피던스는 1.0임). 단지 원통형 표면만을 갖는 동축형 커넥터의 임피던스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공식에 의해 주어진다는 것을 주지하라.
여기서, e는 내측 점점과 외측 접점 사이에 위치하는 물질의 유전율,
d는 내측 접점의 외경,
D는 외측 접점의 내경임.
도 12는 접점 조립체의 결합 단부에 있어서의 단면도로서, 결합용 접점 조립체 장치 중 접점(20)의 2개의 아암(92)과 내측 접점 장치(40)의 결합 단부(90)를 도시한다. 상기 결합 단부에서, 아암(92)은 외측 접점의 측면(예를 들어, 도면 부호 132)에 더 근접하게 위치하여, 그 결과 제2 섹터에서 임피던스가 감소되고, 특성 임피던스 및 그로 인한 반사가 줄어든다. 그러나, 제2 섹터에서의 특성 임피던스는 대략 제1 섹터의 수준까지만 감소하므로, 전체적인 임피던스는 단지 완만하게 감소하여 반사 및 그로 인한 손실이 미미할 뿐이다. 제1 섹터에서의 임피던스는 공기로 인해 감소한다. 그러나, 그 면적이 외측 접점의 상부면(136) 및 하부면(138)과 면하는 면적의 2배인 2개의 아암(92)은 단지 완만한 변화만을 일으킨다. 임피던스의 변화로 야기되는 손실은 그 변화가 일어나는 영역의 길이 및 변화량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주지하라.
도 10 및 도 11에는 내측 접점의 결합 단부에 있는 아암(92)이 간격이 넓은 중간 아암 위치(168)와, 간격이 좁은 전방 아암 위치(169)를 갖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위치들에서 내측 접점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동축형 커넥터는 쉽게 제조되는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그 내측 접점(20)은 큰 금속판을 펀칭 또는 블랭킹 가공한 판금 부재로 형성된다. 내측 접점(20)의 두께J는 길이A의 주 영역(120)에 걸쳐 균일하며, 결합 단부(90)의 두께도 또한 동일한 것을 도 11에서 알 수 있다. 후방 종결 단부(198)는 후방 단부를 압축 형성해서, 그 두께가 감소되어 있으며, 이는 후에 설명될 것이다. 확장부(94, 96) 및 아암(92)은 판금 부재로부터 내측 접점을 펀칭 가공할 때 쉽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금속 부재로부터 원통형 내측 접점을 가공하는 비용을 없앨 수 있다.
접점 조립체는, 실질적으로 그 형상이 동일하여 동일한 몰드에서 성형될 수 있고 호환될 수 있는 2개의 절연 부재(170, 172)로 구성된다. 내측 접점은 상기 절연 부재 사이에 형성된 통로(174)에 위치한다. 외측 접점은 호환 가능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2개의 외측 접점 부재(180, 182)로 형성된다. 외측 접점 부재는 도 13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되고, 절연부에 있는 컷아웃과 탭(184, 186, 18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도 7).
본 출원인은 동축형 접점 조립체(10)(도 1)가 부품을 제조하는 공장에서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커넥터 조립체를 구입하는 소비자는 접점 조립체의 부품을 분해하지 않고도 동축 케이블(12)에서 커넥터 조립체를 종결할 수 있다. 물론, 이로써 적절하게 조립되어야 하는 복수 개의 헐거운 부품들이 필요치 않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은 내측 접점의 후방 종결 단부(198)가 반원통형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동축 케이블의 중심 컨덕터는 종결 단부(198)에 배치될 수 있고, 그 둘레에서 종결 단부를 크림핑함으로써 적소에 크림핑될 수 있다. 납땜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종래의 동축형 접점 조립체에서, 내측 접점은 접점 조립체의 나머지 부분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방인 위치까지 활주되어야 하는 동시에 케이블 중심 컨덕터에서 종결되어야만 접점 조립체의 절연부를 향해 전방으로 삽입될 수 있었다.
본 출원인은 절연 부재의 주 부분(201)에 대해 이동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트링 또는 스트랩(202)에 의해 절연 부재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되는 접합-포위부(200)를 구비하는, 도 5에 도시된 각 절연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크림핑(또는 납땜)하는 동안에 종결 단부(198) 주위에 공간을 제공한다. 절연 부재(170)는 스트랩(202)과 함께 성형되어 접합-포위부(200)가 절연 부재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초기 위치에서, 접합-포위부(200)는 케이블이 접점에서 종결되는 중심 영역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도 7의 각 외측 접점 부재(180)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213)을 중심으로 축선(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향된 위치(210A)로 만곡될 수 있는 후방 종결 단부(210)를 구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외측 접점의 후방 종결 단부가 위 아래로 만곡되고, 절연 부재의 접합-포위부(200)가 크림핑 또는 납땜 접합부의 측면쪽으로 위치하므로, 접합부 주위에는 접합부를 완성하는 공간이 존재한다. 접합이 완성된 후, 절연 부재의 접합-포위부(200)는 도 14에 도시된 그 최종 위치로 피벗되어, 내측 접점의 크림핑된 후방 종결 단부(198A) 및 압축된 케이블의 중심 컨덕터(100A)를 밀접하게 둘러싼다. 절연 부재의 접합-포위부(200)는 내측 접점의 후방 종결 단부 주위에서 상기 접합-포위부를 적절하게 정렬하기 위해 구멍(212) 및 지주(214)를 구비하는 것을 주지하라. 또한, 외측 접점의 후방 종결 단부(210, 211)는 절연부의 접합-포위부를 밀접하게 둘러싸는 위치로 한번 더 만곡된다.
도 15는 케이블의 재킷(222)을 둘러싸는 한 쌍의 쉘 반체(220)를 도시한다. 외측 크림프 페룰(224)(outer crimp ferrule)은 쉘 반체(220)와 케이블의 편조된 끈(230)(braiding) 둘레에서 크림핑 된다.
도 13에 예시된 본 출원인이 설계한 접점 조립체의 구조에서, 내측 접점(20)의 두께J는 0.287 mm 또는 11.3 mils(1 mil = 1/1000 인치)이고, 폭K는 22.8 mils(0.579 mm)이다. 폭K는 높이J의 14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접점(24)의 내측면은 94 mils(2.4 mm)의 폭E와 54 mils(1.4 mm)의 높이H로 간격을 두고 있다. 내측 접점과 외측 접점과의 사이의 수직 거리G는 21 mils(0.53 mm)인 반면에, 내측 접점과 외측 접점과의 사이의 수평 거리C는 37 mils(0.94 mm)이다. 따라서,C는G의 171 % 이다. 본 출원인은C/G의 비가 14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5 %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65 % 이상인 것을 선호하여, 제2 섹터(144, 146)에서 임퍼던스가 완만하게 변화해도 상응하는 접점 조립체의 단면에 있어서 전체적인 임피던스는 단지 소량으로 변화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주 영역의 길이A는 410 mils(10.4 mm)이고, 내측 접점의 전체 길이B는 623 mils(15.8 mm)이다. 길이(199)가 65 mils(1.65 mm)인 후방 종결 단부(198)를 제외한, 접점의 전체 길이(B- 199)는 558 mils(14.2 mm)이다.A/B비는 66 % 또는 약 2/3 인 반면에,A/(B- 199)는 73 % 이다.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는 데 기여하는 상이한 형상의 동축형 접점 조립체(250)의 주 영역을 따른 단면이 도 17에 예시되어 있다. 이 조립체에서, 내측 접점(252)은 축선(253) 위에 있어, 외측 접점(256)의 대향 측면(260, 262) 또는 저면(264) 보다는 상부면(254)에 더 근접해 있다. 이 경우, 제1 섹터(266)는 점(268)을 중심으로 약 90°를 이루고 있는 곳으로 임피던스가 가장 낮으며, 부 섹터(270)는 점(268)을 중심으로 약 200°를 이루고 있는 곳으로 임피던스가 훨씬 크다. 점(268)은 선(276)과 선(278)이 만나는 점으로 선택되며, 이 점에서 선(276)과 선(278)은 그 수직위치로부터 내측 접점의 상부면의 단부를 통해 45°로 연장한다. 제1 섹터의 단부 모서리에서의 거리Q는 최소 거리T의 약 140 % 이다. 조립체의 길이에 걸친 임피던스의 변화가 제2 섹터(270)를 따라 발생한다면,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컷아웃, 금속 탭 등이 제2 섹터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섹터에서 임피던스가 현저히 변화하면 손실이 현저해지는 반면, 중간 섹터(272, 274)에서 임피던스가 현저히 변화하면 손실이 완만하게 된다. 부 섹터에서의 거리W는 제1 섹터에서의 최소 거리T의 140 % 이상이다(실제로는 165 % 이상임).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발명의 원리의 이해에 도움을 주는 다른 형상의 동축형 접점 조립체(280)의 주 영역을 따라 취한 단면이 도 18에 예시되어 있다. 조립체는 내측 접점(282) 및 외측 접점(284)과, 고체 절연부(286)와 축선(288)을 포함한다. 그 결과, 상기 형상에는 제1 섹터(289)와 내측 접점의 나머지 부분 둘레로 연장되는 부 섹터(290)가 형성된다. 부 섹터에서의 거리Y는 제1 섹터에서의 거리X의 165 % 이상이다. 부 섹터는 7개의 부 섹터(291-297)를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도 19는 8개의 섹터(289 및 291-297)의 임피던스와, 병렬로 연결된 8개의 저항기(289R 및 291R-297R)[저항기(289R)의 저항은 낮고, 저항기(291R-297R)의 저항은 더 큼]의 저항 사이의 상사 관계를 보여준다. 주 저항기(289R)에서의 미미한 변화로, 병렬 연결부의 정미 저항값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만, 제2 저항 중 어느 하나에서 동일한 비율의 변화가 일어나면 그 영향은 무시해도 좋을 정도이다.
"상부", "하부", "수평" 및 "수직" 등과 같은 용어는 예시된 본 발명의 설명을 돕고자 사용되었지만, 상기 동축형 접점 조립체는 지면에 대한 임의의 방위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비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손실의 현저한 증가 없이 유지 특징부를 수용하는 컷아웃이 절연부에 마련될 수 있고, 유지 및 결합 특징부용 측방향 확장부가 내측 접점에 마련될 수 있으며, 헐거운 부품이 많이 존재하지 않고, 내측 접점을 제거하지 않으면서, 케이블의 내측 컨덕터를 내측 접점에서 종결시킬 수 있는 동축형 커넥터 또는 접점 조립체를 제공한다. 커넥터는 축선이 있는 내측 접점과,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평균 80 % 이상 연장되는 외측 접점과, 상기 접점들 사이에 있는 절연부를 포함한다. 내측 접점 길이의 1/3 이상,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으로 연장되는 내측 접점의 주 영역에 걸쳐서, 임피던스의 변화가 큰 제2 섹터에서 내측 접점과 외측 접점과의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임피던스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주 영역에서의 거리보다 140 % 이상 크다. 상기 거리의 비는 14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5 %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165 %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내측 접점이 중심에 위치하며 단면이 장방형인 커넥터의 경우, 내측 접점과 외측 접점의 각 측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내측 접점과 외측 접점의 상부면 및 하부면과의 사이의 거리의 140 % 이상이다. 이로써, 절연부의 측면에는 고체 절연부가 공기로 대체되고 외측 접점의 판금 탭이 그 안으로 돌출할 수 있는 컷아웃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구성하면, 폭이 높이의 140 % 이상이며, 결합 단부에서 판금 부재가 한 쌍의 소켓 아암을 형성하는, 판금 내측 접점의 구성이 용이해진다. 접점 조립체의 후방 종결 단부에서, 판금 외측 접점은 통상의 위치를 벗어나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부는 통상의 위치를 벗어나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접합-포위부를 구비하므로, 내측 접점을 제거하지 않으면서 종결이 행해질 수 있다. 접합부가 형성된 후, 절연 부재의 접합-포위부는 접합부 둘레로 밀접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 접합부에서 내측 접점은 케이블 중심 컨덕터에 연결되며 판금 부재가 내측 접점의 전체 둘레를 폐쇄할 수 있다. 절연부는, 만곡 가능한 스트랩에 의해 절연 부재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되어 헐거운 부품이 생기는 것을 피하는 접합-포위부가 마련된 2개의 동일한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본원에 설명 및 예시되었지만, 그 수정예 및 변형예가 당업자에게 쉽게 일어날 수 있다고 인지되며, 따라서 청구 범위는 이러한 수정예 및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해석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동축형 커넥터는 저비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손실의 현저한 증가 없이 유지 특징부를 수용하는 컷아웃이 절연부에 마련될 수 있고, 유지 및 결합 특징부용 측방향 확장부가 내측 접점에 마련될 수 있어, 내측 접점을 제거하지 않고, 또한 헐거운 부분이 많이 존재하지 않으면서, 케이블의 내측 컨덕터를 내측 접점에서 종결시킬 수 있다.
Claims (22)
- 전방 결합 단부와, 후방 종결 단부와, 축선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하나의 내측 접점과, 이 내측 접점을 둘러싸는 외측 접점과, 이들 내측 접점 및 외측 접점 사이에 있는 절연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접점이 상부면 및 하부면과 대향 측면을 구비하는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로서,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내측 접점의 길이의 1/3 이상 연장되는 주 영역을 따른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외측 접점은 상기 내측 접점의 상응하는 면의 대부분을 덮는 내측 상부면, 내측 하부면 및 대향 내부 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측 접점과 상기 외측 접점의 각 측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내측 접점과 상기 외측 접점의 내측 상부면 및 내측 하부면과의 사이의 거리의 155 % 이상인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점은, 수직방향의 두께가 상기 길이를 따라, 상기 결합 단부를 따라, 그리고 결합 단부에서 상기 후방 종결 단부의 전방까지 두께가 일정하고, 수평방향의 폭이 상기 두께의 140 % 이상인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부면, 하부면 및 대향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주 영역을 따라 상기 대향 측면 각각의 높이의 대부분에 걸쳐 연장되는 복수 개의 컷아웃이 상기 절연부의 측면에 마련되지만,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상기 주 영역을 따라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의 폭의 대부분에 걸쳐 연장되는 복수 개의 컷아웃이 없는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점은 판금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 접점의 두께는 판금의 두께이며, 상기 내측 접점은 상기 접점 조립체의 결합 단부에서 전방 결합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접점의 결합 단부에서 상기 판금 부재는 그 폭이 넓어져 한 쌍의 아암을 형성하며, 이 아암은 상기 판금 부재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는 중간 아암 위치와, 보다 짧은 간격을 두고 있는 전방 아암 위치를 가져서, 상기 아암 사이에 결합용 내측 접점 장치를 수용하지만, 상기 내측 접점의 두께는 상기 내측 접점의 결합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점과 상기 외측 접점의 각 측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내측 접점과 상기 외측 접점의 상부면과의 사이의 거리의 155 % 이상인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영역을 따라 취한 단면도에 있어서, 상기 축선 둘레로 총합 360°를 이루는 복수 개의 섹터를 구비하고, 제1군의 섹터에서의 임피던스는 총 120°이상을 이루는 제2군의 상이한 섹터에서의 임퍼던스보다 10 % 이상 작으며, 상기 제2군의 섹터를 따른 임피던스는 상기 주 영역을 따라 20 % 이상 변화하지만, 상기 제1군의 섹터를 따른 임피던스는 상기 제2군의 섹터의 변화량의 절반 미만으로 변화하는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주로 고체 물질로 이루어지지만, 이 고체 물질 중의 하나 이상의 상기 위치에 컷아웃이 마련되어, 상기 내측 접점과 외측 접점 사이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에 공기가 남게되며, 상기 컷아웃은 상기 축선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취한 단면도에서 보았을 때, 절연부의 20 % 이상을 차지하지만, 상기 제2군의 섹터에는 위치하고, 상기 제1군의 섹터에는 실질적으로 위치하지 않는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점은 전방 및 후방과 평행한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고, 상기 내측 접점은 제1 거리만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전방 확장부 및 후방 확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제1 거리 만큼 간격을 두고 있고 상기 확장부와 맞물리는 견부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부는 외측 접점의 측면 방향으로는 연장되지만 외측 접점의 상부 및 저부 방향으로는 연장되지 않는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통로의 절반과, 상기 견부의 절반을 각각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부 및 하부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전방 결합 단부와, 후방 케이블 종결 단부와, 내측 접점과, 외측 접점과, 이들 내측 접점 및 외측 접점 사이에 있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동축형 접점 조립체로서,상기 내측 접점은 축선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고, 이 길이의 1/2 이상 연장하는 영역을 구비하며, 내측 접점의 형상은 일정 두께와 이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상기 영역을 따라 대략 장방형이고,상기 외측 접점에는 상기 영역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단면이 장방형인 내면이 마련되고, 그 중 상부면과 하부 내면은 수직으로 간격을 두고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내면 중 내측면은 수평으로 간격을 두고 있고, 각 측면과 내측 접점과의 사이의 거리는 각 수평면과 내측 접점과의 사이의 거리의 155 % 이상인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주 영역의 길이만큼 간격을 두고 있는 한 쌍의 견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접점은 판금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 접점의 두께는 판금의 두께이며, 상기 내측 접점에는 상기 영역의 길이만큼 간격을 두고 상기 절연부의 견부와 인접하게 위치해서 상기 내측 접점의 전후방 이동을 방지하는 한 쌍의 폭 확장부가 마련되며, 이들 폭 확장부는 상기 내측 접점의 폭의 확장부이지만, 실질적으로 상기 내측 접점의 두께의 확장부는 아닌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점은 판금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 접점의 두께는 판금의 두께이며, 상기 내측 접점은 커넥터의 결합 단부에서 전방 결합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접점의 결합 단부에서 상기 판금 부재의 폭이 넓어져 한 쌍의 아암을 형성하며, 이 아암은 상기 판금 부재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는 중간 아암 위치와, 보다 짧은 간격을 두고 있는 전방 아암 위치를 가져서, 상기 아암 사이에 결합용 내측 접점 장치를 수용하는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축선을 갖는 하나의 내측 접점과, 이 내측 접점을 둘러싸는 외측 접점과, 이들 접점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절연부를 구비하는 동축형 접점 조립체로서,상기 내측 접점은 상기 공간 중 하나 이상의 제1 섹터에서 상기 외측 접점에 가장 인접한 위치를 갖고, 상기 공간 중 하나 이상의 제2 섹터에서 상기 외측 접점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를 가지며, 상기 외측 접점은 상기 내측 접점의 길이를 따라 상기 섹터들의 거의 전부를 덮고, 상기 제1 섹터와 제2 섹터의 반경 방향 길이는 각각 내측 접점과 외측 접점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 섹터는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120 °이상, 즉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내측 접점 길이의 1/3 이상에 이르는 부분을 차지하고, 제2 섹터에서 컨덕터 사이의 거리는 제1 섹터에서 컨덕터 사이의 거리보다 155 % 이상인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축선과, 전방 결합 단부 및 동축 케이블에 대한 종결용 후방 종결 단부와, 상기 축선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내측 접점과, 외측 접점, 그리고 이들 접점 사이에 있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동축형 접점 조립체로서,상기 절연부는 상기 내측 접점이 내부에 수용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주 부분과, 하나 이상의 접합-포위부가 마련된 후방 부분을 구비하고;상기 외측 접점은 주 부분 및 후방 부분이 마련된 상부 판금 부재 및 하부 판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부분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주 부분 중 하나와 정렬되지 않게 편향 위치로 구부러져 상기 내측 접점의 후방 종결 단부로 접근을 제공하며, 상기 주 부분 중 하나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최종 위치로 접합-포위부 둘레에서 구부러질 수 있고;상기 하나 이상의 접합-포위부는 상기 절연부의 주 부분의 후방 위치로부터 멀리 있는 초기 위치와, 이들 접합-포위부가 상기 절연부의 주 부분의 후방에 직접 위치하는 최종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한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접합-포위부는 상기 절연부의 주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스트랩을 포함하고, 이 스트랩은 접합-포위부가 상기 초기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는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내측 접점과 하나의 접합-포위부를 직접 맞물리게 하는 내측 접점 유지 공동의 부분을 각각 형성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부 절연 부재 및 하부 절연 부재와, 접합-포위부를 해당 절연 부재에 연결시키는 일체의 구부릴 수 있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동축 케이블의 중심 컨덕터를 동축형 접점 조립체의 내측 접점의 종결 단부에 대해서 종결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조립체는 내측 접점의 종결 단부 둘레에 위치하는 접합-포위 절연부를 구비한 절연부와 상기 접합-포위 절연부 둘레에 위치하는 포위부를 갖춘 외측 접점을 포함하며,상기 외측 접점의 포위부를 상기 접합-포위 절연부의 최종 위치로부터 떨어진 곳에 형성하고, 접합-포위 절연부를 상기 내측 접점의 종결 단부로부터 떨어진 곳에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중심 컨덕터를 상기 내측 접점의 종결 단부에 연결시켜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접합-포위 절연부를 상기 접합부 둘레에서 피벗시켜, 상기 외측 접점의 포위부를 상기 접합-포위 절연부의 주변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결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포위 절연부는 상기 내측 접점과 각각 맞물리는 2개의 절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포위 절연부 형성 단계는 상기 절연 부재를 상기 접합부의 대향측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이동 단계는 상기 절연 부재를 상기 접합부 둘레에서 함께 측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외측 접점 부재를 상기 절연부 둘레에서 함께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종결 방법.
- 전방 결합 단부와, 후방 종결 단부와, 축선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내측 접점과, 이 내측 접점을 둘러싸는 외측 접점과, 이들 내측 접점 및 외측 접점 사이에 있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동축형 접점 조립체로서,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내측 접점의 길이의 1/3 이상 연장되는 주 영역을 따른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외측 접점은 내측 상부면, 내측 하부면 및 대향 내부 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측 접점과 상기 외측 접점의 각 측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내측 접점과 상기 내측 상부면과의 사이의 거리의 140 % 이상이고;상기 내측 접점은 전방 및 후방에 평행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전방 확장부 및 후방 확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연부는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확장부와 맞물리는 견부를 구비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외측 접점의 측면을 향해 연장되지만, 외측 접점의 상부 및 저부를 향해서는 실질적으로 연장되지 않는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통로의 절반과 각 견부의 절반을 각각 형성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부 절연 부재와 하부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전방 결합 단부와, 후방 종결 단부와, 축선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내측 접점과, 이 내측 접점을 둘러싸는 외측 접점과, 이들 내측 접점 및 외측 접점 사이에 있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동축형 접점 조립체로서,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내측 접점의 길이의 1/3 이상 연장되는 주 영역을 따른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외측 접점은 내측 상부면, 내측 하부면 및 대향 내부 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측 접점과 상기 외측 접점의 각 측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내측 접점과 상기 내측 상부면과의 사이의 거리의 140 % 이상이고;상기 절연부는 상부면 및 하부면과 대향 측면을 구비하고, 측면에는 복수 개의 컷아웃을 구비하며, 이 컷아웃은 상기 주 영역을 따라 각 측면의 높이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지만,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상기 주 영역에서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의 폭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컷아웃이 없는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 전방 결합 단부와, 후방 종결 단부와, 축선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내측 접점과, 이 내측 접점을 둘러싸는 외측 접점과, 이들 내측 접점 및 외측 접점 사이에 있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동축형 접점 조립체로서,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내측 접점의 길이의 1/3 이상 연장하는 주 영역을 따른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외측 접점은 내측 상부면, 내측 하부면 및 대향 내부 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측 접점과 상기 외측 접점의 각 측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내측 접점과 상기 내측 상부면과의 사이의 거리의 140 % 이상이고;상기 내측 접점은 판금재로 형성되며, 이 내측 접점의 두께는 판금의 두께이며, 내측 접점은 상기 접점 조립체의 결합 단부에 전방 결합 단부를 구비하고;상기 내측 접점의 결합 단부에서 상기 판금 부재는 폭 확대부를 구비하여 한 쌍의 아암을 형성하며, 이들 아암은 상기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는 중간 아암 위치와, 보다 짧은 간격을 두고 있는 전방 아암 위치를 가져서, 이들 아암 사이에 결합용 내측 접점 장치를 수용하지만, 상기 내측 접점의 두께는 상기 내측 접점의 결합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인 동축형 접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9/669,807 US6406303B1 (en) | 2000-09-26 | 2000-09-26 | Coaxial-like connector |
US09/669,807 | 2000-09-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24800A KR20020024800A (ko) | 2002-04-01 |
KR100397909B1 true KR100397909B1 (ko) | 2003-09-19 |
Family
ID=2468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59439A KR100397909B1 (ko) | 2000-09-26 | 2001-09-25 | 동축형 커넥터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6406303B1 (ko) |
EP (1) | EP1191642B1 (ko) |
JP (1) | JP3579385B2 (ko) |
KR (1) | KR100397909B1 (ko) |
CN (1) | CN1166038C (ko) |
AT (1) | ATE283559T1 (ko) |
DE (1) | DE60107349D1 (ko) |
HK (1) | HK1046992B (ko) |
TW (1) | TW55086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32662A1 (de) * | 2002-07-18 | 2004-01-29 | Harting Automotive Gmbh & Co. Kg | Abgewinkelter Koaxialstecker |
US7661997B2 (en) * | 2006-09-12 | 2010-02-16 | Woody Wurster | Pin to CB system |
US9124009B2 (en) * | 2008-09-29 | 2015-09-01 | Amphenol Corporation | Ground sleeve having improved impedance control and high frequency performance |
EP2876747B1 (en) | 2013-11-21 | 2018-04-25 | Spinner GmbH | RF connector assembly |
CN106169669B (zh) * | 2016-06-24 | 2018-11-13 |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 射频连接器及其射频接触件和连接器壳体 |
EP3783755B1 (en) * | 2019-08-20 | 2022-11-02 | Aptiv Technologies Limited | Assembly comprising a connector and a cab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7978U (ja) * | 1991-09-20 | 1993-04-09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構造 |
US5421735A (en) * | 1993-01-21 | 1995-06-06 | Molex Incorporated | Modular coaxial cable connector |
US5645454A (en) * | 1995-11-24 | 1997-07-08 | Itt Corporation | Right angle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
KR19980086913A (ko) * | 1997-05-12 | 1998-12-05 | 토마스 엘. 피터슨 | 동축 플러그 절연체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42630Y2 (ko) * | 1989-03-31 | 1993-10-27 | ||
NL9000578A (nl) * | 1990-03-14 | 1991-10-01 | Burndy Electra Nv | Connectorsamenstel voor printkaarten. |
NL9200559A (nl) * | 1992-03-26 | 1993-10-18 | Du Pont Nederland | Connector. |
NL9202302A (nl) * | 1992-12-31 | 1994-07-18 | Du Pont Nederland | Koaxiaal interkonnektiesysteem. |
US6164977A (en) * | 1998-02-09 | 2000-12-26 |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 Standoff board-mounted coaxial connector |
-
2000
- 2000-09-26 US US09/669,807 patent/US640630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
- 2001-09-03 TW TW090121781A patent/TW550861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9-25 DE DE60107349T patent/DE60107349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09-25 CN CNB011408928A patent/CN1166038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9-25 AT AT01122933T patent/ATE283559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9-25 EP EP01122933A patent/EP119164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09-25 KR KR10-2001-0059439A patent/KR10039790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9-26 JP JP2001293135A patent/JP357938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
- 2002-09-27 HK HK02107153.6A patent/HK1046992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7978U (ja) * | 1991-09-20 | 1993-04-09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構造 |
US5421735A (en) * | 1993-01-21 | 1995-06-06 | Molex Incorporated | Modular coaxial cable connector |
US5645454A (en) * | 1995-11-24 | 1997-07-08 | Itt Corporation | Right angle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
KR19980086913A (ko) * | 1997-05-12 | 1998-12-05 | 토마스 엘. 피터슨 | 동축 플러그 절연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191642B1 (en) | 2004-11-24 |
HK1046992B (zh) | 2005-04-15 |
HK1046992A1 (en) | 2003-01-30 |
JP3579385B2 (ja) | 2004-10-20 |
US6406303B1 (en) | 2002-06-18 |
TW550861B (en) | 2003-09-01 |
CN1347173A (zh) | 2002-05-01 |
EP1191642A3 (en) | 2003-01-22 |
JP2002164132A (ja) | 2002-06-07 |
ATE283559T1 (de) | 2004-12-15 |
CN1166038C (zh) | 2004-09-08 |
KR20020024800A (ko) | 2002-04-01 |
DE60107349D1 (de) | 2004-12-30 |
EP1191642A2 (en) | 2002-03-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61571B2 (en) | Coaxial connector with a switch | |
JP4652454B2 (ja) | インピーダンス調整された終端組立体及び同組立体を含むコネクタ | |
US3980382A (en) | Matched impedance coaxial cable to printed circuit board terminator | |
JP3012116B2 (ja) | 同軸コネクタ組立体 | |
US6705893B1 (en) | Low profile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multi-pitch contacts | |
US4682840A (en) | Electrical conne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 |
CA1251836A (en) | Coaxial cable terminator | |
US6863565B1 (en) | Constant impedance bullet connector for a semi-rigid coaxial cable | |
JPH07201379A (ja) | パッチコネクタ | |
US5766036A (en) | Impedance matched cable assembly having latching subassembly | |
US6817899B1 (en) | Angled connector for coaxial cable | |
US7794271B2 (en) |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wire management member thereof | |
JP2704305B2 (ja) | 高周波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 |
US5203079A (en) | Method of terminating miniature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 |
US20010018298A1 (en) | Polygonal coil spring contactor, and connector and capacitor using the contactor | |
KR100397909B1 (ko) | 동축형 커넥터 | |
KR20050074281A (ko) | 동축적 플러그 연결 | |
US5186656A (en) | Miniature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 |
GB2242578A (en) | Coaxial connector | |
US7011545B2 (en) | Socket connector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termination sockets for coaxial cables | |
CN115021037A (zh) | 同轴连接器 | |
CN115021038A (zh) | 同轴连接器 | |
JPH1167309A (ja) | 雌型接続端子 | |
JPH05242933A (ja) | 高周波同軸ケーブル用レセプタクル及びプラグ | |
US20160006144A1 (en) | Phono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