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219B1 - 실시간 차륜 언로딩/이재 로봇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차륜 언로딩/이재 로봇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219B1
KR100396219B1 KR10-1998-0026759A KR19980026759A KR100396219B1 KR 100396219 B1 KR100396219 B1 KR 100396219B1 KR 19980026759 A KR19980026759 A KR 19980026759A KR 100396219 B1 KR100396219 B1 KR 100396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ole
unloading
wheel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421A (ko
Inventor
박태갑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26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219B1/ko
Publication of KR20000007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3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endless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2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g. centring a tool relative to a hole in the workpiece, additional detection means to correct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차륜 언로딩/이재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조라인과 2차 도장라인 및 배출라인을 효율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건조라인과 2차 도장라인 및 배출라인에 작업범위가 미치도록 1대의 로봇을 설치하여 건조라인에서 2차 도장라인으로 차륜을 이송시키는 이재작업과, 건조라인에서 배출라인으로 차륜을 이송시키는 언로딩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실시간내에 차륜을 다음 작업라인으로 자동 이송하여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실시간 차륜 언로딩/이재 로봇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1차 도장후 건조라인에서 건조된 차륜을 2차 도장라인으로 이재하거나, 배출라인으로 언로딩 하는 차륜 이재/언로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륜 이재/언로딩 시스템은 건조라인과 2차 도장라인 및 배출라인에 작업범위가 미치도록 설치된 작업로봇과; 상기 건조라인과 2차 도장라인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하부 견인식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폴의 로봇작업범위내 진입을 검출하고, 폴의 정지위치를 측정하여 작업로봇의 작업 접근 경로를 변경하며, 정지된 폴을 일정한 자세로 고정하는 폴 정지위치 검출장치로 구성되어, 작업자의 작업선택에 따라 작업로봇에 의해 건조라인의 폴에 탑재된 차륜을 2차 도장라인으로 이송하는 이재작업과, 건조라인의 폴에 탑재된 차륜을 배출라인으로 이송하는 언로딩작업을 자동 수행하도록 한 실시간 차륜 언로딩/이재 로봇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차륜 언로딩/이재 로봇 시스템
본 발명은 실시간 차륜 언로딩/이재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1차 도장 후 건조라인으로 이재되어 건조된 차륜을 1대의 작업로봇을 이용하여 2차 도장라인으로 이재하거나, 배출라인으로 자동 언로딩하여 배출하는 실시간 차륜 언로딩/이재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륜의 도장공정은 차륜을 연속적으로 유입하는 차륜 유입라인과, 차륜 표면의 유지나 오물을 제거하는 전처리라인과, 상기 전처리공정이 끝난 차륜을 1차 도장하는 1차 도장라인과, 상기 1차 도장이 끝난 차륜을 건조하는 건조라인과, 상기 건조된 차륜을 2차 도장하는 2차 도장라인 및 1차 도장 후 건조된 차륜을 배출하는 배출라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라인과 라인은 작업의 연속적인 처리를 위하여 실시간내에 차륜의 이송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상기 1차 도장후 건조된 차륜을 2차 도장라인으로 이재하거나, 배출라인으로 언로딩 하는 작업은 단순 반복 작업이므로, 종래에는 수작업에 의해 차륜을 2차 도장라인으로 이재하거나 배출라인으로 언로딩하였다. 이와 같이 수작업에 의해 차륜을 이재/언로딩하므로, 작업동선이 길어져 작업동선의 효율적 배치가 곤란하고, 이로 인하여 생산성 및 작업 능률이 저하되며, 단순 작업 피로증가로 작업기피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건조라인에서 배출되는 차륜은 온도가 높아(40∼60℃) 긴 냉각라인 설치공간이 필요하므로 설비비가 증가되고, 작업자가 악환경속에서 근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6 과 같이 독립된 3축 이재기(1000) 2대를 이용하여 건조라인의 차륜을 2차 도장라인 및 배출라인으로 자동 이재하는 시스템도 있으나 건조라인에서 2차 도장라인으로, 건조라인에서 배출라인으로 차륜을 각각 이재할 수 있도록 별도의 이재기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공간 점유율이 증가되어 단위 면적당 생산성이 저하되고, 하부 견인식 체인 컨베이어에 부착된 폴의 정치 위치 편차에 따른 이재기의 작업점 매칭문제등으로 트러블이 많아 작업 가동율이 저하되며, 장비의 지속적 유지관리에 따른 경제성이 저하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건조라인과 2차 도장라인 및 배출라인을 효율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건조라인과 2차 도장라인 및 배출라인에 작업범위가 미치도록 1대의 로봇을 설치하여 건조라인에서 2차 도장라인으로 차륜을 이송시키는 이재작업과, 건조라인에서 배출라인으로 차륜을 이송시키는 언로딩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실시간내에 차륜을 다음 작업라인으로 자동 이송하여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실시간 차륜 언로딩/이재 로봇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1차 도장후 건조라인에서 건조된 차륜을 2차 도장라인으로 이재하거나, 배출라인으로 언로딩 하는 차륜 이재/언로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륜 이재/언로딩 시스템은 건조라인과 2차 도장라인 및 배출라인에 작업범위가 미치도록 설치된 작업로봇과; 상기 건조라인과 2차 도장라인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하부 견인식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폴의 로봇작업범위내 진입을 검출하고, 폴의 정지위치를 측정하여 작업로봇의 작업 접근 경로를 변경하며, 정지된 폴을 일정한 자세로 고정하는 폴 정지위치 검출장치로 구성되어, 작업자의 작업선택에 따라 작업로봇에 의해 건조라인의 폴에 탑재된 차륜을 2차 도장라인으로 이송하는 이재작업과, 건조라인의 폴에 탑재된 차륜을 배출라인으로 이송하는 언로딩작업을 자동 수행하도록 한 실시간 차륜 언로딩/이재 로봇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설치된 차륜 도장라인의 전체공정도
도 2 는 본 발명의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폴 정지위치 검출장치의 예시도
도 4 는 건조라인에서 배출라인으로의 차륜 언로딩 작업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작동순서도
도 6 은 종래의 전용 이재기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륜 유입라인 (200): 전처리라인
(300): 1차 도장라인 (400): 차륜 이재장치
(500): 건조라인 (501,701): 폴
(502,702): 하부 견인식 컨베이어 (510,710): 폴 정지위치 검출장치
(511,711): 폴 위치검출부 (512,712): 슬라이드부
(513,713): 폴 고정부 (514,714): 폴 진입감지 광센서
(515,715): 스토퍼 (516,716): 실린더
(517,717): 스토퍼부 (518,718): 고정 가이드
(519,719): 기준위치 확인센서 (520,720,920): 차륜 검출센서
(600): 작업로봇 (601): 로봇 핸드
(700): 2차 도장라인 (800): 차륜
(900): 배출라인 (901): 벨트 컨베이어
도 1 은 본 발명이 설치된 차륜 도장라인의 전체공정도를 도시한 것으로, 로딩 컨베이어에 의해 차륜을 통제하며 연속적으로 유입하는 차륜 유입라인(100)과, 라인내를 반복 순환하는 행거에 차륜을 탑재하여 차륜 표면의 유지나 오물을 제거하는 전처리라인(200)과, 상기 전처리공정이 끝난 차륜을 폴의 상부에 탑재하여 1차 도장하는 1차 도장라인(300)과, 상기 1차 도장이 끝난 차륜을 차륜 이재장치(400)에 의해 이재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라인(500)과, 상기 건조된 차륜을 작업로봇(600)에 의해 이재하여 2차 도장하는 2차 도장라인(700) 및 1차 도장 후 건조된 차륜(800)을 로봇(600)에 의해 언로딩하여 배출하는 배출라인(9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개략도를, 도 5 는 본 발명의 작동순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1차 도장라인(300)에서 이재된 차륜(800)이 건조되고, 하부 견인식 체인 컨베이어에 의해 차륜(800)이 탑재된 폴(501)이 이송되는 건조라인(500)의 일측과, 하부 견인식 체인 컨베이어에 의해 차륜(800)이 탑재된 폴(701)이 이송되는 2차 도장라인(700)의 일측에 폴의 정지 위치를 검출하는 폴 정지위치 검출장치(510,710)와, 폴(501,701)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514,714) 및 차륜의 존재유무를 검출하는 검출센서(520,720)를 설치하여 폴 정지위치 검출장치(510,710)의 측정값에 따라 작업로봇(600)이 건조라인(500)에서 2차 도장라인(700)으로 차륜(800)을 집어올려 폴(701)에 정확히 탑재하거나, 건조라인(500)에서 배출라인(900)으로 차륜(800)을 안전하게 언로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건조라인(500)의 차륜을 배출하는 배출라인(900)의 일측에는 로봇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도시없음)이 설치되어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폴 정지위치 검출장치의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하부 견인식 컨베이어(502,702)에 의해 피치 구동하는 건조라인(500)과 2차 도장라인(7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차륜 탑재용 폴(501,701)의 진입을 검출하고, 하부 견인식 컨베이어의 피치 구동후 정지시, 기준 정지위치 대비 폴(501,701)의 편위된 정지위치를 측정하여 작업로봇(600)에 송출함과 동시에, 작업로봇(600)의 작업 접근 경로를 변경하시키며, 정지된 폴(501,701)의 간격을 폴 고정부(513,713)으로 일정하게 유지·고정하여 작업로봇(600)에 의한 차륜(800)의 이재/언로딩 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폴 정지위치 검출장치(510,710)는 폴(501,701)의 진입 검출 및 폴의 진행경로를 스토퍼(515,715)에 의해 가로막아 슬라이드부를 타력 이송시키는 스토퍼부(517,717)와, 폴(501,701)의 정지 위치 편위량을 측정하여 로봇(600)에 송출하는 폴 위치검출부(511,711)와, 하부 견인식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폴(501,701)의 이송력에 의해 폴(501,701)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부(512,712)와, 하부 견인식 컨베이어에 의해 피치 구동후 정지된 폴(501,701)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고정하는 폴 고정부(513,713)로 구성되어 있다.
즉, 폴 정지위치 검출장치(510,710) 설치영역으로 하부 견인식 체인 컨베이어(502,702)에 의해 폴(501,701)이 진입되면, 폴 위치검출부(511,711)의 폴 진입감지 광센서(514,714)에 의해 작업범위내로의 폴 진입이 감지되고, 상기 센서(514,714)의 신호에 의해 진입되는 폴(501,701)의 하단부에 스토퍼(515,715)가 돌출되어 접촉되며, 상기 진입되는 폴(501,701)의 이송력에 의해 폴 하단부와 접촉된 스토퍼(515,715) 및 폴 위치검출부(511,711)가 부착형성된 슬라이드부(512,712)가 폴(501,701)의 진행방향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폴(501,701)의 정지에 의해 정지된다. 이와 같이 폴(501,701)이 정지되면, 상기 폴 위치 검출부(511,711)는 폴의 정지위치를 측정하여 작업로봇(600)으로 송출하고, 이와 동시에 슬라이드부(512,712)에 설치된 폴 고정부(513,713)가 전진 작동하여 정지된 폴(501,701)을 고정 가이드(518,718) 방향으로 밀면서 폴 고정부(513,713)의 'V'형 홈내로 폴(501,701)을 삽입하여 인접한 폴(501,701)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고정하여 로봇의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폴 정지위치 검출장치(510,710)에 의해 건조라인(500)과 2차 도장라인(700)의 하부 견인식 체인 컨베이어(502,702)에 의해 이송되는 폴(501,701)이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고정되면, 로봇(600)은 건조라인(500)의 폴(501)에 탑재된 차륜(800)을 로봇핸드(601)로 정확히 파지하여 2차 도장라인(700)의 폴(701) 상부로 옮기어 안착시킨다. 차륜(800)의 이송작업이 끝나면 폴 고정부(513,713)가 후진하여 폴(501,701) 고정이 해제됨과 동시에, 슬라이드부(512,712)가 실린더(516,716)에 의해 기준위치 확인 센서(519,719)가 부착된 기준 위치로 복귀되고, 폴(501,701)은 하부 견인식 체인 컨베이어(502,702)에 의해 다시 피치 구동후 상기 작업이 반복된다.
상기 폴 정지위치 검출장치(510,710)는 차륜(800)의 2차 도장을 위한 이재 작업시에는 건조라인(500)과 2차 도장라인(700)에 각각 설치된 폴 정지위치 검출장치(510,710)가 동시에 작동되고, 차륜(800)의 배출을 위한 언로딩 작업시에는 건조라인(500)에 설치된 폴 정지위치 검출장치(510)만 작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작업로봇(600)에 의한 차륜(800)의 이재/언로딩 작업 여부는 작업자가 조작반에서 제품 제작공법(도장작업지시)에 따라 수동으로 선택한다.
도 4 는 건조라인에서 배출라인으로의 차륜 언로딩 작업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하부 견인식 체인 컨베이어(502)에 의해 건조라인(500)의 로봇 작업영역내에서 피치 구동후 정지된 폴(501)은 폴 정지위치 검출장치(510)에 의해 정지 위치가 측정되어 측정된 편위량 값이 작업로봇(600)에 전달되고, 상기 작업로봇(600)은 최초 교시된 폴 위치 접근 경로를 편위량 만큼 이동하여 폴(501)의 정지위치로 접근경로를 수정·접근하여 로봇 핸드(601)를 이용, 폴(501)에 탑재된 차륜(800)을 정확하게 집어 올려 배출라인(900)의 벨트 컨베이어(901) 상부로 이송시킨다.
상기 차륜 검출 센서(520,720)은 작업로봇(600)이 건조라인(500) 및 2차 도장라인(700)상의 폴(501,701) 상단 차륜 유무를 확인후 대응하도록 되어 있어, 로봇핸드(601)의 차륜 파지 실패신호 발생을 방지하고, 2차 도장라인(700)의 폴(701) 상단에 차륜이 중복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대의 작업로봇을 이용하여 1차 도장후 건조라인으로 이송된 차륜을 2차 도장라인으로 이재작업 또는, 배출라인으로 언로딩 작업을 할 수 있어 최소공간에서 공정이 서로다른 라인간의 차륜 이동이 용이하고, 설비공간을 극소화할 수 있으며, 로봇에 의해 자동으로 이재/언로딩 작업이 행하여지므로 생산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2)

1차 도장후 건조라인에서 건조된 차륜을 2차 도장라인으로 이재하거나, 배출라인으로 언로딩 하는 차륜 이재/언로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륜 이재/언로딩 시스템은 건조라인과 2차 도장라인 및 배출라인에 작업범위가 미치도록 설치된 작업로봇과;
상기 건조라인과 2차 도장라인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하부 견인식 컨베이어에 의해 로봇 작업범위내에 설치된 폴 정지위치 검출 장치 작업영역으로 이송되는 폴의 진입을 감지하고, 폴의 정지위치를 측정하여 작업로봇의 작업 접근 경로를 자동 변경시키며, 정지된 폴을 고정하는 폴 정지위치 검출장치로 구성되어,
작업자의 작업선택에 따라 작업로봇에 의해 건조라인의 폴에 탑재된 차륜을 2차 도장라인으로 이송하는 이재작업과, 건조라인의 폴에 탑재된 차륜을 배출라인으로 이송하는 언로딩작업을 선택적으로 자동 수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차륜 언로딩/이재 로봇 시스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 정지위치 검출장치는 폴의 진입검출 및 폴의 진행 경로를 가로막아 슬라이드부를 타력·이송시키는 스토퍼부와; 폴의 정지 위치 편위량을 측정하고, 이를 작업로봇에 송출하여 로봇의 작업경로를 변경시키는 폴 위치검출부와; 상기 폴 위치 검출부가 설치되고, 하부 견인식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폴의 이송력에 의해 폴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부와; 하부 견인식 컨베이어에 의해 피치 구동후 정지된 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고정하는 폴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차륜 언로딩/이재 로봇 시스템.
KR10-1998-0026759A 1998-07-03 1998-07-03 실시간 차륜 언로딩/이재 로봇 시스템 KR100396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759A KR100396219B1 (ko) 1998-07-03 1998-07-03 실시간 차륜 언로딩/이재 로봇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759A KR100396219B1 (ko) 1998-07-03 1998-07-03 실시간 차륜 언로딩/이재 로봇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421A KR20000007421A (ko) 2000-02-07
KR100396219B1 true KR100396219B1 (ko) 2003-10-17

Family

ID=19542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759A KR100396219B1 (ko) 1998-07-03 1998-07-03 실시간 차륜 언로딩/이재 로봇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087B1 (ko) 2004-08-16 2006-09-20 (주)이노포스 다단계 자동 스핀코팅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087B1 (ko) 2004-08-16 2006-09-20 (주)이노포스 다단계 자동 스핀코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421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925B1 (ko) 자동차 조립라인의 차체 트랙킹 장치 및 방법
KR102042500B1 (ko) 이종볼트 스크류 체결 및 검사 자동화 장치
CN105692251A (zh) 物品自动装车系统
CN109720830A (zh) 自动导向搬运车的上件装置及其控制方法、上件控制系统
EP3284620B1 (en) Vehicle traction device and vehicle traction method
US5193363A (en) Conveyor assembly apparatus
KR100396219B1 (ko) 실시간 차륜 언로딩/이재 로봇 시스템
JPH06148092A (ja) 塗膜欠陥検出装置
US4799581A (en) Apparatus for loading spare wheels on vehicle bodies
GB2291737A (en) Conveying battery packs to a test station and delivery after testing either to a conveyor for further processing or to a reject conveyor
US20040187282A1 (en) Valve stem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valve stem
CN116214168A (zh) 车辆零部件装配方法、装配系统及工装
KR100974864B1 (ko) 플라즈마 컷팅 장치로 컷팅 대상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 공급장치
KR100424057B1 (ko) 차륜탑재용폴의정지위치편위량검출장치
CN110600412A (zh) 定位传输机构及定位传输生产系统
KR100428816B1 (ko) 차륜언로딩/배출자동장치
CN114194675A (zh) 穿梭车控制方法、仓储系统、控制装置及计算机程序产品
KR100396218B1 (ko) 실시간 차륜 로딩/언로딩 로봇 시스템
KR101502523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정렬장치
KR100431787B1 (ko) 스틸 차륜용 림 용접선 정렬장치
KR102361805B1 (ko) 오에이치티의 곡선구간 센싱장치를 갖는 주행장치
JPS62181845A (ja) 同期走行装置
CN212558342U (zh) 载具
KR100424061B1 (ko) 차륜이재장치
JP7257895B2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