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551B1 - 화상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551B1
KR100395551B1 KR10-2002-0005236A KR20020005236A KR100395551B1 KR 100395551 B1 KR100395551 B1 KR 100395551B1 KR 20020005236 A KR20020005236 A KR 20020005236A KR 100395551 B1 KR100395551 B1 KR 100395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transfer
roller
transfer member
tension
tens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5084A (ko
Inventor
경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551B1/ko
Publication of KR20030065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5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8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 G03G15/6594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format or the thickness, e.g. endless forms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형성 장치는 표면의 전위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감광체; 광학적인 신호를 주사하여 감광체에 전기적인 전위차에 의한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광학적 화상형성부; 가시적인 화상이 형성되도록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부착하는 화상형성부; 및 중간전사 부재, 중간전사 부재에 텐션을 가하도록 배치된 텐션롤러,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적인 화상을 중간전사 부재에 전사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제 1 롤러, 및 중간전사 부재에 전사된 화상을 기록용지에 전사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제 2 롤러를 갖는 중간전사부를 포함하며, 중간전사부는, 제 1 롤러와 텐션 롤러를 고정하고, 중간전사 부재가 감광체와 일정압력으로 접촉하도록 제 1 롤러가 중간전사 부재를 감광체쪽으로 가압하도록 함과 동시에 텐션 롤러가 중간전사 부재에 대해 텐션을 가하도록 중간전사 부재를 가압하도록 하는 제 1 위치와 중간전사 부재가 감광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중간전사 부재를 개재하여 감광체와 접촉하고 있는 제 1 롤러를 감광체로부터 이격시킴과 동시에 중간전사 부재에 가해지고 있는 텐션을 해제하도록 텐션롤러가 중간전사 부재에 대한가압력을 해제하도록 하는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사/텐션롤러 접리기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상형성 장치는 장시간 비사용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중간 전사부를 장치의 본체로부터 분리 할 경우 중간 전사부재의 텐션을 해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중간 전사부재의 늘어남 및 그로 인한 속도편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 장치는 감광체와 중간전사 부재를일정 압력으로 접촉시키거나 접촉을 해제하는 것을 중간전사부의 내부에서 이루어 지도록 함으로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에 적용 가능한 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하여 다색의 토너화상을 중첩시킴으로써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컬러 화상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등과 같은 인쇄기기에 적용되는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중앙에는 캐리지(2), 전면에는 전면 엘리게이터(1A), 장치의 윗면에는 커버(17)가 설치되어 있다.
캐리지(2)에는 4색(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화상형성 유닛(3Y, 3M, 3C, 3Bk)이 수용되어 있다. 캐리지(2)는 둥근 관(2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각 색의 화상형성 유닛(3)의 감광체(30)를 화상형성 위치(10)와 대기위치 사이로 차례로 이동시키며 화상 형성유닛(3)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화상 형성유닛(3)은 장치 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화상형성 유닛(3)의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캐리지(2)를 회전시켜 교환하고 싶은 색의 화상형성 유닛(3)을 커버(17)의 하측에 위치시키고, 커버(17)를 열고 교환할 수 있다.
전면 엘리게이터(1A)는 전면으로 열수 있도록 장치 본체(1)에 힌지축(1B)에 의해 나사결합 되어 있다.
전사벨트 유닛(5)은 장치 본체(1)에 장착되었을 때 소정의 위치에 확실하게 위치되며, 화상형성 위치(10)에 대면하는 부분이 화상형성 유닛(3)의 감광체(30)에 접촉된다. 또한, 전사벨트 유닛(5)의 각 구성부분은 본체 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특히, 구동롤러(55A)는 본체 측의 구동수단에 연결되고, 이것에 의해 중간전사 벨트(50)는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전사벨트 유닛(5)은 화상 형성위치(10)에서 감광체(30) 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복사하고, 복사한 토너화상을 기록용지에 재전사한다. 이 전사벨트 유닛(5)은 케이스(56), 중간전사 벨트(50), 중간전사 벨트(50)를 현가하는 알루미늄제의 롤러(55A, 55B, 55C, 55D, 55E)로 구성된 롤러군(55), 및 클리너(51)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들은 일체화되어 장치 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중간전사 벨트(50)의 표면과 감광체(30)의 표면은 전사벨트 유닛 가압레버(61)에 의해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조절된다.
중간전사 벨트(50)에 잔류된 토너를 청소하기 위한 클리너(51)는 고무제 클리닝 브레이드(53)와 긁어 낸 토너를 폐토너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반송하기 위한 스크류(52)로 구성되어 있다. 이 클리너(51)는 중간전사 벨트(50)상에 컬러화상을 형성하고 있는 동안에는 중간전사 벨트(50)상의 토너화상을 깎아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축(58)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중간전사 벨트(50)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중간전사 벨트(50)를 현가하는 롤러군(55)중 롤러(55A)는 중간전사 벨트(50)를 구동하는 구동롤러로써, 클리닝 블레이드(53)의 백업도 겸하고 있다. 롤러(55B)는 중간전사 벨트(50)상의 토너상을 기록용지에 전사하는 2차 전사롤러(9)의 백업 롤러이다. 롤러(55C)는 가이드롤러로서, 감광체(30)와 중간전사 벨트(50)사이의 닙을 확보해 주는 롤러이다. 롤러(55D)는 감광체(30)로부터 중간전사 벨트(50)상에 토너상을 전사하기 위한 1차 전사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1차 전사 롤러이다. 롤러(55E)는 중간전사 벨트(50)에 텐션을 주는 텐션 롤러이다.
또, 제전침(7)은 기록용지가 중간전사 벨트(50)로부터 분리될 때 토너화상이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사벨트 유닛(5)의 하측에 배치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laser scanning unit: 이하 LSU라 함)(6)은 반도체 레이저(도시생략), 폴리건 미러(6A), 렌즈시스템(6B), 반사 미러(6C)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데이타의 화소신호에 대응하는 레이저 광(8)은 옐로 화상형성 유닛(3Y)의 폐토너 저유부(37)와 블랙 화상형성 유닛(3Bk)의 토너 호퍼(39) 사이에 형성된 광로(24)를 통과한다. 레이저 광(8)은 둥근 관(21)의 일부에 개방된 노광창을 통해 둥근 관(21)내의 미러(19)(장치 본체(1)에 고정)에 입사되고, 미러(19)에 의해 반사되어 화상형성 위치(10)에 위치하는 옐로 화상형성 유닛(3Y)의 노광창(33)으로부터 옐로 화상형성 유닛(3Y)내에 진입한다.
이러한 구성의 컬러 화상형성 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사벨트 유닛(5)과 각 색의 화상형성 유닛(3)이 각각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상태에서 장치 본체(1)에 전원을 투입하면, 정착기(15)가 승온하며, LSU(6)의 폴리건 미러(6A)가 회전하기 시작하고, 최초로 기록하는 색의 화상형성 유닛(3)을 화상형성 위치(10)로 이동시키는 초기화 동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최초에 기록하는 색의 화상형성 유닛(3), 예를 들면 옐로 화상형성 유닛(3Y)이 화상형성 위치(10)의 근방에 오면, 캐리지(2)는 그 위치에서 록킹된다.
감광체(30)의 위치결정이 종료되면, 감광체(30)와 벨트구동용 제 1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회전을 개시하고, 이것에 의해 옐로 감광체(30)와 중간전사 벨트(50)가 회전하게 된다. 이 때, 2차 전사롤러(9)와 클리너(51)는 중간전사 벨트(50)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제 1 모터의 기동과 동시에 정착기(15), 급지/배지 롤러군 및 화상 형성 위치(10)에 위치하는 현상기(35)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동작을 개시한다. 이 때, 현상롤러(35a)는 감광체(30)에 압접된 상태에서 접촉면이 감광체(3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LSU(6)로부터 레이저 광(8)이 감광체(30)에 조사된다. 일정하게 대전한 감광체(30)상에 레이저 광(8)이 조사되면, 화상신호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되고, 이 정전잠상이 현상기(35)에 의해 차례로 현상되어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그 후, 감광체(30)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감광체(30)와 중간전사 벨트(50) 사이에 형성되는 닙(nip)에 해당하는 1차 전사영역으로 이동하고, 이 1차 전사영역에서 중간전사 벨트(50)에 차례로 전사된다.
옐로의 화상 형성동작은 화상의 후단(END)이 중간전사 벨트(50)에 전사된 후에 종료하고, 감광체(30)와 중간전사 벨트(50)는 초기위치에 정지한다. 이 때, 중간전사 벨트(50)는 1회전 하고(이 때 감광체(30)와 구동롤러(55A)는 4회전하고, 1차 전사롤러(55D)는 6회전 한다), 초기위치로 돌아간다.
1색 째의 기록이 완료되면, 캐리지(2)가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90° 회전한다. 이에 따라, 다음의 마젠타 화상형성 유닛(3M)이 화상형성 위치(10) 근방으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그리고, 마젠타의 감광체(30)가 위치결정된 후, 마젠타 화상동작이 개시된다. 그 결과, 중간전사 벨트(50)상에는 옐로와 마젠타의 토너화상이 중첩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차례로 컬러 교체동작과 화상형성 동작이 시안, 블랙으로 반복되고, 블랙화상이 중간전사 벨트(50)에 전사된 후, 화상의 선단(TOP)이 2차 전사롤러(9)가 위치한 2차 전사영역에 위치하게 될 때, 2차 전사롤러(9)를 중간전사 벨트(50)에 접촉시키고, 급지유닛(12)로부터 송출된 기록용지를 그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4색의 토너화상이 일괄적으로 기록용지상에 전사된다. 토너화상이 전사된 기록용지는 정착기(15)를 통과하여 정착되고, 배지 롤러(18)를 통하여 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2차 전사 후 중간전사 벨트(50)상에 잔류된 토너는 화상의 선단(TOP)이 클리닝 위치에 위치할 때, 중간전사 벨트(50)에 접촉하는 클리닝 브레이드(53)에 의해 클리닝된다.
2차 전사가 종료되면, 중간전사 벨트(50) 및 화상형성 유닛(3)이 다시 정지되고, 캐리지(2)는 90° 회전한다. 그리고, 옐로 화상형성 유닛(3Y)이 화상형성 위치(10)에 도달하게 되고, 다음의 컬러 화상형성 동작에 대비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화상형성 장치는 중간전사 벨트(50)에 대하여 텐션(tension)을 부여하는 텐션롤러(55E)를 구비하는 전사벨트 유닛(5)을 사용하고 있어, 텐션 롤러(55E)가 전사벨트(50)에 계속적인 텐션을 가하고 있을 경우 중간전사 벨트(50)의 길이가 늘어나 전사시 속도편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유발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화상형성 장치는 전사벨트 유닛(5)을 장치의 본체(1)에 장착하기 전에 텐션스프링(60)이 텐션롤러(55E)를 중간전사 벨트(55E)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작용하지 못하도록 텐션롤러(55E)의 샤프트(59)를 관통하여 전사벨트 유닛(5)의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설치한 텐션 억제용 핀 또는 샤프트(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텐션 억제용 핀 또는 샤프트는 전사벨트 유닛(5)을 장치의 본체(1)에 장착하기 전에만 텐션스프링(60)이 텐션롤러(55E)를 중간전사 벨트(55E) 쪽으로 가압하지 못하도록 텐션롤러(55E)를 고정함으로, 전사벨트 유닛(5)을 장치의 본체(1)에 장착하기 위해 텐션 억제용 샤프트를 텐션롤러(55E)의 샤프트 및 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한 후에는 중간전사 벨트(50)의 텐션을 조절하거나, 해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사벨트 유닛(5)을 기기로 분리하여 장시간 비사용 상태로 보관할 경우, 중간전사 벨트(50)는 여전히 텐션 롤러(55E) 및 텐션 스프링(60)에 의해 텐션을 받는 상태로 유지되게 됨으로, 위와 같은 전사벨트(50)의 늘어남 및 그로 인한 속도편차 발생 문제가 여전히 유발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화상형성 장치는 감광체(30)의 표면과 전사벨트(50)의 표면을 일정 압력으로 접촉시키거나 접촉을 해제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사벨트 유닛 가압레버(61)를 장치의 본체(1)에 설치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장치가 복잡하고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비사용 상태로 보관하기 위해 전사벨트 유닛을 장치의 본체로부터 분리 할 때 중간전사 벨트의 텐션을 해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중간전사 벨트의 늘어남 및 그로 인한 속도편차 발생을 방지하게 한 화상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광체의 표면과 중간전사 벨트의 표면을 일정 압력으로 접촉시키거나 접촉을 해제하는 접리기구를 전사벨트 유닛 내부에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화상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일치하는 화상형성 장치의 개략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화상형성 장치의 전사벨트 유닛의 동작을 예시하는 부분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2: 본체 2: 캐리지
3, 114: 화상형성 유닛 5, 120: 전사벨트 유닛
6, 108: 레이저 스캐닝 유닛 9, 161: 2차 전사롤러
15, 167: 정착기 50, 140: 중간전사 벨트
55A, 126: 구동롤러 55C, 122: 1차 전사 닙확보 롤러
55D, 121: 1차 전사 롤러 55E, 123: 텐션롤러
56, 138: 케이스 61: 가압레버
127: 전사/텐션롤러 접리기구 130: 전사/텐션롤러 가이드부
131': ㄱ자형 판 135: 탄성부
137: 토션스프링 139: 가이드부
141: 작동캠부 145: 작동레버
150: 텐션롤러 작동해제부 151: 압축스프링
152: 텐션롤러 가이드판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의 전위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감광체; 화상을 형성할 데이타에 따라 광학적인 신호를 주사하여 감광체에 전기적인 전위차에 의한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광학적 화상형성부; 가시적인 화상이 형성되도록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부착하는 화상형성부; 및 중간전사 부재, 중간전사 부재에 텐션을 가하도록 설치된 텐션롤러,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적인 화상을 중간전사 부재에 전사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제 1 롤러, 및 중간전사 부재에 전사된 화상을 기록용지에 전사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제 2 롤러를 갖는 중간전사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 장치에 있어서, 중간전사부는, 제 1 롤러와 텐션 롤러를 고정하고, 중간전사 부재가 감광체에 일정압력으로 접촉하도록 제 1 롤러가 중간전사 부재를 감광체쪽으로 가압하도록 함과 동시에 중간전사 부재에 텐션을 가하도록 텐션롤러가 중간전사 부재를 가압하도록 하는 제 1 위치와 중간전사 부재가 감광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중간전사 부재를 개재하여 감광체와 접촉하고 있는 제 1 롤러를 감광체로부터 이격시킴과 동시에 중간전사 부재에 가하고 있는 텐션을 해제하도록 텐션롤러가 중간전사 부재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는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사/텐션 롤러 접리수단을 포함하는 화상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사/텐션 롤러 접리수단은 제 1 롤러와 텐션 롤러를 고정하고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사/텐션롤러 가이드부, 및 전사/텐션롤러 가이드부와 맞물려 전사/텐션롤러 가이드부를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로 이동하도록 작동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전사/텐션롤러 가이드부는, 제 1 롤러를 고정하는 일단부, 텐션롤러를 고정하는 타단부, 및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고 일단부와 타단부가 추축으로 회동할 수 있게 고정축을 형성한 중간연결부를 구비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ㄱ자형 판을 구비하는 전사/텐션롤러 가이드와, ㄱ자형 판을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와, ㄱ자형 판이 제 1 위치로 이동할 때는 텐션롤러가 중간전사부재에 텐션을 가하도록 중간전사 부재를 가압하도록 작동하고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는 텐션롤러가 중간전사 부재의 텐션을 해제하도록 중간전사 부재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도록 작동하는 텐션롤러 작동해제부로 구성된다.
ㄱ자형 판은 제 1 롤러의 샤프트를 중간전사 부재 쪽으로 가압하여 중간전사 부재가 감광체와 접촉하도록 하기 위하여 중간연결부의 고정축과 제 1 롤러의 샤프트 사이에 배치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는 ㄱ자형 판이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ㄱ자형판을 탄성적으로 당기도록 배치된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텐션롤러 작동해제부는 텐션롤러의 샤프트를 텐션 롤러가 중간전사 부재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ㄱ자형 판에 배치된 압축 스프링, 및 ㄱ자형 판이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텐션롤러의 샤프트가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텐션롤러가 중간전사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캠면을 갖는 텐션롤러 가이드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부는 ㄱ자형 판의 일단부와 맞물려 ㄱ자형 판을 각각 제 1 및 제 2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캠면을 갖는 작동캠부, 및 ㄱ자형 판이 각각 제 1 및 제 2 위치로 이동되도록 작동캠부와 연결되어 작동캠부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레버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 장치를 첨부도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풀컬러 전자사진 프린터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일치하는화상형성 장치(100)의 일 실시형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 장치(100)는 본체(102)의 전면에에는 전면 엘리게이터(102A), 윗면에는 커버(102B), 본체(102) 내부에는 노광수단인 LSU(108) 및 화상 담지체로써 감광드럼과 같은 감광체(110)가 설치되어 있다.
LSU(108)는 컴퓨터 또는 제어부로부터 송출된 컬러화상 데이터를 광 신호로 변환시켜, 예를 들어 균일하게 음극성(-)으로 대전된 감광체(110)에 화상 데이타에 대응하는 음(-)의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이 LSU(108)는 반도체 레이저(108A), 반도체 레이저(108A)의 발광 및 구동을 제어하는 발광구동 제어부(도시하지 않음), 폴리건 미러(108B), 폴리건 미러(108B)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08C), f/θ렌즈(108D), 및 반사 미러(108E)로 구성된다.
감광체(110)의 주위에는 클리닝수단인 감광체 클리닝 유닛(111), 방전램프(112A), 대전기(113), 전위 검지수단인 전위센서(112B), 4색(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을 현상하는 옐로 현상기(115), 블랙 현상기(116), 시안 현상기(117) 및 마젠타 현상기(118)로 이루어진 화상형성 유닛(114), 현상농도를 감지하는 현상농도 패턴 검지기(119), 및 전사벨트 유닛(12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감광체 클리닝 유닛(111)은 방전수단으로 작용하는 클리닝전 방전기(111a), 클리닝부재를 구성하는 모피 브러시(111b) 및 감광체 클리닝 블레이드(111c)를 구비하여 1 차전사 후의 감광체(110)의 표면을 클리닝한다.
화상 형성유닛(114)은 장치 본체(10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화상 형성유닛(114)의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커버(102B)를 열고 교환할 수 있다.
화상형성 유닛(114)의 각 현상기(115, 116, 117, 118)는 현상제를 퍼 내고 교반을 행하는 현상 패들(Paddle)(115b, 116b, 117b, 118b), 현상제의 토너농도를 검지하는 토너농도 검지센서(115c, 116c, 117c, 118c), 현상제를 감광체(110)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현상제 담지체로 작용하는 현상 롤러(115a, 116a, 117a, 118a)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 4 개의 현상기에 수용되어 있는 현상제는 2성분계 현상제를 사용하고, 이 현상제 중의 토너는 음극성(-)에 대전되어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와 화상형성 유닛의 구성을 공통 감광체(110)에 4색(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화상형성 유닛(114)을 사용하는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도 1에 관하여 서술한 종래의 화상형성 장치와 같이 둥근 관(2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캐리지(2)에 제각기 별도의 감광체(30)를 구비한 4색의 화상 형성유닛(3Y, 3M, 3C, 3Bk)을 수용하는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사벨트 유닛(120)은 장치의 본체(102)에 장착 되었을 때 후술하는 중간전사 벨트(140)가 감광체(110)와 접촉하여 닙, 즉 1차 전사영역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전면으로 열수 있도록 장치 본체(1)에 힌지축에 의해 나사결합된 전면 엘리게이터(102A)를 통해 교환될 수 있다.
전사벨트 유닛(120)은 중간전사 벨트(140)를 구동하는 구동롤러(126), 감광체(110)로부터 토너화상을 중간전사 벨트(140)에 전사하는 1차 전사를 위한 전하 부여수단으로 작용하는 1차 전사롤러(121), 1차 전사롤러(121)에 접속된 1차 전사용 전원(도시하지 않음), 1 차 전사전 감광체(110)와의 닙(nip)를 확보해 주는 1차 전사 닙확보 롤러(122), 피동롤러(125), 중간전사 벨트(140)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기록용지에 전사하는 2차 전사를 위한 2차 전사 백업롤러(124), 및 중간 전사벨트(140)에 장력을 가해주는 텐션 롤러(123)들에, 중간전사체인 중간전사 벨트(140)를 팽팽하게 씌운 구성을 취하며, 이들 부분들은 케이스(138)에 수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구동 롤러(126)는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중간전사 벨트(140)의 구동이 제어된다.
중간전사 벨트(140)에 의해 팽팽하게 씌워지는 1차 전사롤러(121)는 1 차 전사영역에 대해 중간전사 벨트(140)의 표면 이동방향, 즉 중간전사 벨트(140)의 회전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1차 전사롤러(121)는 1차 전사용 전원에 의해 소정의 1차 전사 바이어스가 가해진다. 또한, 닙으로 구성되는 1차 전사영역에 대해 벨트 회전방향의 상류측에는 접지된 1차 전사 닙확보 롤러(122)가 배치되어 있다. 중간전사 벨트(140)는 1차 전사롤러(121) 및 1차 전사 닙확보 롤러(122)에 의해 감광체(110)에 눌려져 닙이 형성된다.
전사벨트 유닛(120)의 설치 및 분리시 중간전사 벨트(140)와 감광체(110)의 접촉 및 접촉해제를 쉽게하고 장시간 비사용시 중간전사 벨트(140)의 늘어남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사벨트 유닛(120)은 1차 전사롤러(121) 및 1차 전사 닙확보 롤러(122)에 의한 중간전사 벨트(140)와 감광체(110)의 접촉 또는 이격과 중간전사 벨트(140)에 대한 텐션 롤러(123)의 가압 또는 가압해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사/텐션롤러 접리기구(127)를 구비하고 있다.
전사/텐션롤러 접리기구(127)는 1차 전사 롤러(121), 1차 전사 닙확보 롤러(122) 및 텐션롤러(123)를 고정하고 중간전사 벨트(140)의 표면이 감광체(110)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1차 전사롤러(121) 및 1차 전사 닙확보 롤러(122)가 중간전사 벨트(140)를 가압하도록 함과 동시에 텐션롤러(123)가 중간전사 벨트(140)에 대해 텐션을 가하도록 가압하는 제 1 위치와 중간전사 벨트(140)의 표면이 감광체(110)의 표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1차 전사롤러(121) 및 1차 전사 닙확보 롤러(122)가 감광체(110)에 대해 중간전사 벨트(140)를 가압하는 것을 해제하도록 함과 동시에 텐션롤러(123)가 중간전사 벨트(140)에 대해 텐션을 가하지 않도록 중간전사 벨트(140)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는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사/텐션롤러 가이드부(130), 및 전사/텐션롤러 가이드부(130)와 맞물려 전사/텐션롤러 가이드부(130)를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로 이동하도록 작동하는 작동부(139)를 갖는다.
전사/텐션롤러 가이드부(130)는, 각각, 전사벨트 유닛(120)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각각, 1차 전사 롤러(121)와 1차 전사 닙확보 롤러(122)의 단부를 고정하는 일단부(132), 텐션롤러(123)의 단부를 고정하는 타단부(133), 및 일단부(132)와 타단부(133)를 연결하고 일단부(132)와 타단부(133)가 추축으로 회동할 수 있게 전사벨트 유닛(120)의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는 고정축(128)을 설치한 중간연결부(134)를 갖는 두개의 ㄱ자형 판(131')과 두개의 ㄱ자형 판(131')을 전사벨트 유닛(120)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전사/텐션롤러 가이드(131)와; 전사벨트 유닛(120)의 양단부에 배치된 전사/텐션롤러 가이드(131)의 ㄱ자형 판(131')을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135)와; ㄱ자형 판(131')이 제 1 위치로 이동할 때는 텐션롤러(123)가 중간전사 벨트(140)에 대해 텐션을 가하도록 중간전사 벨트(140)를 가압하도록 작동하고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는 텐션롤러(123)가 중간전사 벨트(140)에 가하는 텐션을 해제하도록 중간전사 벨트(140)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도록 작동하는 텐션롤러 작동해제부(150)로 구성된다.
전사벨트 유닛(120)의 양단부에 배치된 ㄱ자형 판(131')은 전사롤러 부시(121")에 고정된 1차 전사 롤러(121)의 샤프트(121')의 양단부를 중간전사 벨트(140) 쪽으로 가압하여 중간전사 벨트(140)가 감광체(140)와 접촉하도록 하기 위하여, 중간연결부(134)의 고정축(128)과 1차 전사롤러(121)의 샤프트(121') 사이에서 지지축(129)에 지지된 토션 스프링(137)을 갖는다. 전사롤러 부시(121")는 1차 전사 롤러(121)의 샤프트(121')가 토션 스프링(137)에 의해 일정거리 탄성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ㄱ자형 판(131)의 일단부(132)에 형성된 부시 수용홈(121"')에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1차 전사 닙확보 롤러(122)의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의 양단부 역시 각각 ㄱ자형 판(131')의 상응한 위치에 형성된 부시 수용홈(도시하지 않음)에 수용된 닙확보 롤러 부시(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다.
탄성부(135)는 ㄱ자형 판(131')이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고정축(128)을 중심으로 ㄱ자형 판(131')의 일단부(132)를 탄성적으로 당기도록 일단부는 ㄱ자형 판(131)의 일단부(132)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전사벨트 유닛(120)의 프레임에 고정된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이 때, 인장 스프링은 전사벨트 유닛(120)의 양단부에 배치된 ㄱ자형 판(131')의 각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텐션롤러 작동해제부(150)는 각각의 ㄱ자형 판(131')에 배치된 압축 스프링(151), 및 전사벨트 유닛(120)의 양단부에 배치된 두개의 텐션롤러 가이드판(152)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압축스프링(151)은 각각의 ㄱ자형 판(131')에서 텐션 롤러(123)의 샤프트(123')의 단부를 고정한 텐션롤러 부시(123")를 텐션 롤러(123)가 중간전사 벨트(140)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ㄱ자형 판(131)의 타단부(133)에 형성된 부시 수용홈(123"')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 텐션롤러 부시(123")는 텐션롤러(123)가 압축 스프링(151)에 의해 일정거리 탄성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ㄱ자형 판(131)의 타단부(133)에 형성된 부시 수용홈(123"')에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각각의 텐션롤러 가이드판(152)은 각각의 ㄱ자형 판(131)이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텐션 롤러(123)의 샤프트(123')의 양단부가 압축스프링(151)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텐션 롤러(123)가 중간전사 벨트(1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캠면(153)을 갖는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텐션롤러 가이드판(152)의 캠면(153)은 경사면(153'), 및 ㄱ자형 판(131)이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텐션 롤러(123)의 샤프트(123')를 안착시키는 오목면(153")를 갖는다.
텐션롤러 가이드판(152)들은 텐션 롤러(123)의 샤프트(123')의 양단부를 이동시킬수 있도록 텐션 롤러(123)의 샤프트(123')의 양단부에 각각 별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연결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작동부(139)는 전사벨트 유닛(120)의 일단부에 배치된 한 ㄱ자형 판(131')의 일단부(132)와 맞물려 중간 연결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된 ㄱ자형 판(131')들을 각각 제 1 및 제 2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캠면(142, 143)을 갖는 작동캠부(141), 및 ㄱ자형 판(131')들이 각각 제 1 및 제 2 위치로 이동되도록 작동캠부(141)의 축(144)과 연결되어 작동캠부(141)를 회전 작동하기 위한 작동레버(145)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작동부(140)는, 하나의 ㄱ자형 판(131')에 대해서만 동작할 경우 반대쪽에 위치한 ㄱ자형 판(131')이 전사/텐션롤러 가이드(131)의 중간 연결부재를 통해 정확한 동력을 전달받지 못하여 1차 전사롤러(121)와 1 차 전사 닙확보 롤러(122)가 전 길이에 걸쳐 중간전사 벨트(140)를 감광체(110)와 균일하게 접촉하지 못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음으로, 중간 연결부재에 관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하거나, 전사벨트 유닛(120)의 타단부에 위치한 ㄱ자형 판(131')에 대해서도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형태의 작동캠부(141)와 작동레버(145)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작동레버(145)는 전사벨트 유닛(120)의 뒷쪽에 배치되어 전면 엘리게이터(102A) 쪽에서 작동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작동레버(145)에서적당하게 연결된 작동 손잡이, 또는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전면 엘리게이터(102A) 쪽에서도 쉽게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전사/텐션롤러 접리기구(127)는 도 2 및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레버(145)가 수평위치로 이동될 때, 작동캠부(141)의 제 1 캠면(142)이 ㄱ자형 판(131')의 일단부(132)와 접촉하면서 ㄱ자형 판(131')의 일단부(132)를 인장스프링(135)의 인장력에 대항하여 위쪽으로 밀어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ㄱ자형 판(131')에 고정된 1차 전사롤러(121)와 1차 전사 닙확보 롤러(122)는 중간전사 벨트(140)가 감광체(110)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중간전사 벨트(140)를 가압하게 된다. 이 때, 텐션롤러(123)을 고정한 ㄱ자형 판(131')의 타단부(133)는 텐션 롤러(123)를 텐션롤러 작동해제부(150)의 텐션롤러 가이드판(152)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게 함으로, 텐션롤러(123)는 압축 스프링(151)에 의해 중간전사 벨트(140)를 가압하게 되어 중간전사 벨트(140)에 텐션을 주게 된다.
또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레버(145)가 수직위치로 이동될 때, 전사/텐션롤러 접리기구(127)는 작동캠부(141)의 제2 캠면(143)이 ㄱ자형 판(131')의 일단부(132)와 접촉하게 되면서 인장 스프링(135)의 인장력에 의해 ㄱ자형 판(131')의 일단부(13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ㄱ자형 판(131')에 고정된 1차 전사롤러(121)와 1차 전사 닙확보 롤러(122)는 중간전사 벨트(140)가 감광체(110)의 표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중간전사 벨트(140)를 가압하는 것을 해제하게 된다. 이 때, 텐션롤러(123)를 고정한 ㄱ자형 판(131')의 타단부(133)는 압축 스프링(151)의 압축력에 대항하여 텐션 롤러(123)의 샤프트(123')를 텐션롤러작동해제부(150)의 텐션롤러 가이드판(152)의 경사면(153')을 따라 이동시켜 오목면(153")에 안착시키게 됨으로, 텐션 롤러(123)는 중간전사 벨트(140)로부터 이격되어 중간전사 벨트(140)에 텐션을 가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전사벨트 유닛(120)의 중간전사 벨트(140)의 주위에는 방전수단인 접촉식 방전기(도시하지 않음), 클리닝 수단인 벨트 클리닝 유닛(도시하지 않음), 및 2차 전사수단으로 작용하는 2차 전사유닛(16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2차 전사 유닛(160)은 전사벨트 유닛(120)의 2차 전사 백업롤러(124)에 대응하는 2차 전사롤러(161), 전사 클리닝 블레이드(162), 및 전사용 접리기구(163)를 구비한다. 따라서, 2차 전사 유닛(160)은 전사용 접리기구(163)에 의해 중간전사 벨트(140)와 접촉하거나 이격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 장치(100)는 2차 전사 유닛(160)의 2차 전사 롤러(161)와 전사벨트 유닛(120)의 2차 전사 백업롤러(124)의 사이에 형성되는 2 차 전사영역에 전사재로서 기록용지를 공급하고 각종 사이즈의 기록용지를 수납하는 기록용지 카세트(164),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 롤러(165), 용지이송 유닛(166), 기록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정착하는 정착기(167), 및 배출 트레이(168)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화상형성 장치(100)의 동작을 도 2 및 도 3에 관하여 상세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사벨트 유닛(120)이 화상형성 장치(100)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면, 전사벨트 유닛(120)이 장치의 본체(102)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엘리게이터(102A)를 통해 장착된다. 그 다음, 작동레버(145)가 도 2 및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수평위치로 이동되면, 작동캠부(141)의 제 1 캠면(142)이 ㄱ자형 판(131)의 일단부(132)와 접촉하면서 ㄱ자형 판(131')의 일단부(132)를 인장 스프링(136)의 인장력에 대항하여 위쪽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ㄱ자형 판(131')에 고정된 1차 전사롤러(121)와 1차 전사 닙확보 롤러(122)는 중간전사 벨트(140)가 감광체(110)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중간전사 벨트(140)를 가압하게 된다. 이 때, 텐션 롤러(123)를 고정한 ㄱ자형 판(131')의 타단부(133)는 텐션 롤러(123)를 텐션롤러 작동해제부(150)의 텐션롤러 가이드판(152)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게 함으로, 텐션 롤러(123)는 압축 스프링(151)에 의해 중간전사 벨트(140)를 가압하여 중간전사 벨트(140)에 텐션을 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컴퓨터 또는 제어부로부터 인쇄명령이 내려지면, 먼저 옐로 공정이 개시된다. 컴퓨터 또는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옐로 화상데이터에 따라, LSU(108)는 레이저 광을 방출하여 감광체(110)위에 옐로의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이 옐로의 정전잠상에는 옐로 현상기(115)에 의해 옐로 토너가 부착되어 옐로 토너화상으로 현상된다.
그 다음, 옐로 현상기(115)에 의해 감광체(110)위에 형성된 옐로 토너화상은 감광체(110)와 등속 구동하는 중간전사 벨트(140)의 표면에 1차 전사되며, 이것으로 옐로 공정이 종료된다.
이 때, 감광체(110)측에서는 옐로 토너화상의 1 차 전사와 병행하여 다음의마젠타 공정이 개시된다. 즉, 일정 타이밍으로 전달되는 마젠타 화상데이터에 따라, LSU(108)는 레이저 광에 의해 감광체(110)위에 마젠타의 정전잠상을 형성하며, 마젠타 현상기(118)는 마젠타의 잠상에 마젠타의 토너를 부착하여 마젠타 토너화상을 현상한다.
이와 같이, 감광체(110)위에 형성된 마젠타 토너화상은 감광체(110)와 중간전사 벨트(140)가 접촉하는 1차 화상형성 영역에서 옐로 토너화상이 전사된 화상면의 위치에 맞추어 1 차 전사된다.
이 후, 시안공정 및 블랙공정이 옐로 또는 마젠타공정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화상 데이터에 따라 잠상형성, 현상, 1 차 전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감광체(110)위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 토너화상을 중간전사 벨트(140)상의 동일 화상면에 1 차 전사하는 것이 완료되면, 중간전사 벨트(140) 위에는 이들 4색이 겹쳐진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이 때, 1차 전사를 수행하는 중간전사 벨트(140)는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 토너화상이 각각 1 차 전사 되는 동안, 예를 들면 1차 색인 옐로 토너화상의 1 차 전사가 끝난 후부터 2차 색인 마젠타 토너화상의 1 차 전사가 개시될 때까지 일방향으로 저속으로 회전하면서 1차 전사를 수행한다.
또한, 이 때, 중간전사 벨트(140) 위에 토너화상이 형성될 때까지의 사이, 구체적으로 1차 색의 옐로 토너화상을 1 차 전사한 후 4차 색의 블랙 토너화상의 1 차 전사가 끝날 때까지는 방전 브러시, 중간전사 벨트 클리닝 유닛 및 2차 전사유닛(160)을 각각의 접리기구에 의해 중간전사 벨트(140)로부터 이탈시켜 두게 된다.
이와 같이, 중간전사 벨트(140)위에 1 차 전사된 토너화상은 기록용지 위에 2 차 전사하기 위해, 중간전사 벨트(140)와 2 차 전사 유닛(160)의 2차 전사롤러(161)가 닙을 형성하는 2 차 전사영역으로 이송된다. 1차 전사된 토너화상이 2 차 전사영역에 도달하게 되면, 2차 전사유닛(160)의 2차 전사롤러(161)는 전사용 접리기구(163)에 의해 중간전사 벨트(160)와 접촉하도록 가압된다.
그 후, 2차 전사롤러(161)는 도시하지 않은 2차 전사용 전원에 의해 소정의 2 차 전사바이어스가 가해지게 되고, 이것에 의해 2 차 전사 영역에는 2 차 전사전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중간전사 벨트(140) 위의 토너화상은 기록용지 카세트(164)로부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65) 방향으로 이송되어 2 차 전사영역으로 급지되는 기록용지 위에 전사된다.
이와 같이, 중간전사 벨트(140)위에 4색으로 중첩 형성된 토너화상이 전사된 기록용지는 용지이송 유닛(166)에 의해 정착기(167)로 이송된다. 정착기(165)에서는 기록용지 위에 정착되지 않은 토너화상을 소정 온도로 제어되는 정착롤러(167A)와 가압롤러(167B)에 의해 융해하여 완전히 기록용지 위에 정착되도록 한다. 그 후, 기록용지는 배출 트레이(168)로 배출되어 적재된다.
또한, 1 차 전사를 완료한 감광체(110)의 표면은 감광체 클리닝 유닛(111)에 의해 클리닝되며, 방전램프(112A)에 의해 균일하게 방전된다. 또, 2차 전사를 완료한 중간전사 벨트(140)의 표면은 벨트 클리닝 유닛에 의해 클리닝된다.
이상에서, 4색 풀 컬러를 얻는 인쇄모드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외의 3색 인쇄모드나 2색 인쇄모드의 경우에는 사용하는 색 등만 다를 뿐 상술한 4색 인쇄모드와 마찬가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 후, 전사벨트 유닛(120)을 비사용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중간전사 유닛(120)을 분리할 경우,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작동레버(145)를 수직위치로 이동하면, 작동캠부(141)의 제 2 캠면(143)이 ㄱ자형 판(131')의 일단부(132)와 접촉하게 되면서 인장스프링(136)의 인장력에 의해 ㄱ자형 판(131')의 일단부(132)를 아래쪽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에 따라, ㄱ자형 판(131')에 고정된 1차 전사롤러(121)와 1차 전사 닙확보 롤러(122)는 중간전사 벨트(140)가 감광체(110)의 표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감광체(11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 된다. 이 때, 텐션 롤러(123)를 고정한 ㄱ자형 판(131')의 타단부(133)는 압축 스프링(151)의 압축력에 대항하여 텐션 롤러(123)의 샤프트(123')를 텐션롤러 작동해제부(150)의 텐션롤러 가이드판(152)의 경사면(153')을 따라 이동시켜 오목면(153")에 안착시키게 됨으로, 텐션 롤러(123)는 중간전사 벨트(140)로부터 이격되어 중간전사 벨트(140)에 텐션을 가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사벨트 유닛(120)은 본체(102)의 전면 엘리게이터(102A)를 통해 제거되어 보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일치하는 화상형성 장치는 장시간 비사용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전사벨트 유닛을 장치의 본체로부터 분리 할 경우 전사벨트의 텐션을 해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사 벨트의 늘어남 및 그로 인한 전사시 전사벨트의 속도편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 장치는 감광체의 표면과 전사벨트의 표면을 일정 압력으로 접촉시키거나 접촉을 해제하는 것을 전사벨트 유닛 내부에서 이루어 지도록 함으로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표면의 전위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감광체; 화상을 형성할 데이타에 따라 광학적인 신호를 주사하여 상기 감광체에 전기적인 전위차에 의한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광학적 화상형성부; 가시적인 화상이 형성되도록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부착하는 화상형성부; 및 중간전사 부재, 상기 중간전사 부재에 텐션을 가하도록 설치된 텐션롤러,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적인 화상을 상기 중간전사 부재에 전사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제 1 롤러, 및 상기 중간전사 부재에 전사된 화상을 기록용지에 전사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제 2 롤러를 갖는 중간전사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부는,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텐션 롤러를 고정하고, 상기 중간전사 부재가 상기 감광체와 일정압력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 1 롤러가 상기 중간전사 부재를 가압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중간전사 부재에 텐션을 가하도록 상기 텐션롤러가 상기 중간전사 부재를 가압하도록 동작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중간전사 부재가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중간전사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제 1 롤러를 상기 감광체로부터 이격시킴과 동시에 상기 중간전사 부재에 가해지고 있는 텐션을 해제하도록 상기 텐션롤러가 상기 중간전사 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해제하는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사/텐션롤러 접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텐션롤러 접리수단은,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텐션 롤러를 고정하고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사/텐션롤러 가이드부; 및
    상기 전사/텐션롤러 가이드부와 맞물려 상기 전사/텐션롤러 가이드부를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위치 사이로 이동하도록 작동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텐션롤러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롤러를 고정하는 일단부, 상기 텐션롤러를 고정하는 타단부, 및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가 추축으로 회동할 수 있게 고정축을 형성한 중간연결부를 구비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ㄱ자형판을 구비하는 전사/텐션롤러 가이드;
    상기 ㄱ자형 판을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 및
    상기 ㄱ자형 판이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할 때는 상기 텐션롤러가 상기 중간전사 부재에 텐션을 가하도록 상기 중간전사 부재를 가압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는 상기 텐션롤러가 상기 중간전사 부재의 텐션을 해제하도록 상기 중간전사 부재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도록 작동하는 텐션롤러 작동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ㄱ자형 판은 상기 제 1 롤러의 샤프트를 상기 중간전사 부재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중간전사 부재가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연결부의 상기 고정축과 상기 제 1 롤러의 상기 샤프트 사이에 배치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ㄱ자형 판이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ㄱ자형판을 탄성적으로 당기도록 배치된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롤러 작동해제부는,
    상기 텐션롤러의 샤프트를 상기 텐션 롤러가 상기 중간전사 부재와 접촉하는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ㄱ자형 판에 배치된 압축스프링; 및
    상기 ㄱ자형 판이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텐션롤러의 상기 샤프트가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텐션 롤러가 상기 중간전사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캠면을 갖는 텐션롤러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ㄱ자형 판의 상기 일단부와 맞물려 상기 ㄱ자형 판을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캠면을 갖는 작동캠부; 및
    상기 ㄱ자형 판이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작동캠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캠부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장치.
KR10-2002-0005236A 2002-01-29 2002-01-29 화상형성 장치 KR100395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236A KR100395551B1 (ko) 2002-01-29 2002-01-29 화상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236A KR100395551B1 (ko) 2002-01-29 2002-01-29 화상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084A KR20030065084A (ko) 2003-08-06
KR100395551B1 true KR100395551B1 (ko) 2003-08-25

Family

ID=3221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236A KR100395551B1 (ko) 2002-01-29 2002-01-29 화상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5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084A (ko) 200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66697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離隔機構
US670452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etachable cleaning unit
US8131164B2 (en) Process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269334B2 (ja) 画像形成装置
JPH07334012A (ja) 無端状転写手段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7000331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ing unit
US20100322647A1 (en) Electrophotographic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JP5760549B2 (ja) ベルト張力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084957A (ja) 画像形成装置
JP6202383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125985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395551B1 (ko) 화상형성 장치
JPH0339757A (ja) 画像形成装置
JP581144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転写ユニット
JP3116168B2 (ja) 画像形成装置
JP3805059B2 (ja) 画像形成装置
JPH0721664B2 (ja) 開放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H06250450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10142940A (ja) 現像装置
JPH09156794A (ja) 用紙搬送用ベルト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07199678A (ja) 画像形成装置
JP3997196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離間部材
JPH11249455A (ja) 画像形成装置
JP3494531B2 (ja) 転写装置とそれを装着した画像形成装置
JP6965633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