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247B1 - 비자극성 캡사이신 경피 투여 제형 - Google Patents

비자극성 캡사이신 경피 투여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247B1
KR100395247B1 KR10-2000-0050686A KR20000050686A KR100395247B1 KR 100395247 B1 KR100395247 B1 KR 100395247B1 KR 20000050686 A KR20000050686 A KR 20000050686A KR 100395247 B1 KR100395247 B1 KR 100395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aicin
weight
cyclodextrin
polyethylene glycol
m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254A (ko
Inventor
장시영
손세일
송재신
김용철
한혜선
김윤정
Original Assignee
디디에스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디에스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디에스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0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247B1/ko
Publication of KR2001000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2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 A61K47/69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using cyclodextr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용 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는 소수성약물의 피부흡수를 현저하게 향상시킨 외용 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캡사이신과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베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히드록시프로필, 디히록시프로필, 히드록시에틸, 디메틸, 트리메틸, 글루코실, 말토실 유도체들의 알파-, 베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캡사이신 1 중량부에 대하여 1∼100 중량부를 배합시키며, 추가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제제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산화에틸렌 부가 몰수가 2∼10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산화에틸렌 부가 몰수가 7∼2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릴 에스테르, 산화에틸렌 부가 몰수가 7∼8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릴 에테르 중에서 캡사이신 1 중량부에 대하여 담체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서 100∼1000 중량부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제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자극성 캡사이신 경피 투여 제형{Non-irritating capsaicin transdermal delivery formulations}
본 발명은 외용 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는 소수성약물의 피부흡수를 현저하게 향상시킨 외용 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캡사이신(capsaicin, N-바닐릴-트란스-8-메틸-6-노넨아미드)은 고추속(capsicum) 식물의 과즙에 함유되어 있는 매운 성분으로 우수한 진통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관절염, 근육좌상, 염좌, 건염, 활액낭염과 같은 근골격계의 진통에 매우 효과적이다. 진통 및 진경작용을 나타내는 카파 수용체 효능제는, 아편 및 그 유도체류는 기타의 약리적효과를 가지며, 강력한 진통 및 진경작용을 나타낸다.이는 수용체에 대한 높은 친화성을 지니기 때문에 얻어지는 효과이다.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 적어도 세 가지 이상의 아편 수용체가 있다고 발표하였다. 이들 수용체들은 독특한 약리적 양태와 기능을 가진 뮤, 델타 및 카파로 알려져 있다 ( Wood, P. L., Neuropharmacology, 21, 487-497, 1982; Simmon, E., J. Med. Res. Rev., 11, 357-374, 1991). 델타 수용체는 진통 및 위장관 운동과 여러 가지 호르몬 기능을 매개하는 중추신경계에 풍부하게 존재하며, 뮤 수용체는 아편 의존성 순환기계와 호흡기계 기능 및 여러 가지의 신경 엔도크린 효과를 포함한 모르핀과 관련된 모르핀류 약물과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한편 카파 수용체는 수분 발란스, 음식 섭취, 위장관 운동, 체온 조절 및 여러 가지 엔도크린 기능을 포함하여 중추신경계에 폭넓게 분포하고 있다. 이들 세 가지 수용체는 모두 진통효과를 나타낸다 ( Leander et al., J. Pharmacol. Exp. Ther. 234, 463-469, 1985; Morley et al., Peptides 4, 797-800, 1983).
이와 같이 캡사이신은 가장 효과적인 치료제로서의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활성성분은 작열감을 수반한 강한 피부 자극을 나타내어 피부에 불쾌한 자극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부작용으로 인하여 캡사이신은 제한된 범위내에서 사용되고 있다. 캡사이신의 피부자극을 줄이기 위한 선행 기술로는 식물 추출액을 이용한 홀트(Holt)의 미합중국 특허 제 5,869,533호와 탈분극과 재분극에 관여하는 상피신경세포에 작용하여 신경전달 물질을 차단하는 것으로 알려진 수용성 스트론티움 양이온(Sr2+)을 이용한 한(Hahn)의 미합중국 특허 제 5,716,625호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제제는 약물의 피부 자극을 차단하는 효과는 있으나, 약물을 투여 후 신속하게 환부에 도달하여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캡사이신의 외용 제제 개발을 위하여 캡사이신이 나타내는 피부자극을 극소화시키기 위하여 용매법에 의해 캡사이신을 포접하였고, 피부에 적용 후 환부에 신속하게 도달하여 치료작용을 나타낼 수 있도록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릴 에스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릴 에테르류를 배합하여 약물의 피부투과를 촉진하여 우수한 진통 소염 작용을 나타내는 외용 제제를 개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캡사이신과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베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히드록시프로필, 디히록시프로필, 히드록시에틸, 디메틸, 트리메틸, 글루코실, 말토실 유도체들의 알파-, 베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캡사이신 1 중량부에 대하여 1∼100 중량부를 배합시키며, 추가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제제에 있어서,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산화에틸렌 부가 몰수가 2∼10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산화에틸렌 부가 몰수가 7∼2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릴 에스테르, 산화에틸렌 부가 몰수가 7∼8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릴 에테르로 이루어지고, 캡사이신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계면활성제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그 함량이 100∼1000 중량부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캡사이신 제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캡사이신과 사이클로덱스트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증류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에 용해, 분산하여 포접한 후 회전증발시켜 포접 제제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가장 바람직한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과 그의 유도체로서 히드록시프로필, 히드록시에틸 치환체를 가지는 부분적으로 치환된 β-사이클로덱스트린 에테르 또는 혼합물 에테르이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의 사용 중량비는 캡사이신 1 중량부에 대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 1∼100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1∼5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포접 제제내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사용 중량비가 캡사이신 1 중량비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이면 완전한 포접을 형성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100 중량부를 초과하면 필요량 이상의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조된 포접 제제를 피부에 적용 시 환부에 신속하게 도달하여 치료작용을 나타낼 수 있도록 경피 투여에 적합한 담체로서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릴 에스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릴 에테르류를 배합하여 캡사이신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담체들은 피부에의 투여를 용이하게 하고 약물을 신속하게 국소 환부에 침투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므로서 이들 조성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예를 들면, 경피용 패취, 겔제, 크림제, 용액제, 카타플라스마제, 파스타제로서 투여 될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류는 Rm(OCH2CH2)nOH 와 같은 일반식으로 표시되며, 여기에서 R은 탄소수 12 내지 20의 알킬기, m은 12 내지 20의 자연수, n은 2 내지 20의 자연수이며, 사용량으로는 캡사이신 1 중량부에 대하여 50∼100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또한 더욱 바람직한 것은 100∼400 중량부이다.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릴 에스테르류는 CH3(CH2)7CH=CH(CH2)7CO-(OCH2CH2)nOH 와 같은 일반식으로 표시되며, 여기에서 n은 3 내지 150의 자연수이며, 사용량으로는 캡사이신 1 중량부에 대하여 100∼100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또한 더욱 바람직한 것은 200∼600 중량부이다.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릴 에테르류는 RCO-OCH2CH(OH)CH2(OCH2CH2)nOH 와 같은 일반식으로 표시되며, 여기에서 RCO는 코코낫 오일에서 유도된 지방산이며, n은 7 내지 80의 자연수이며, 사용량으로는 캡사이신 1 중량부에 대하여 50∼50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또한 더욱 바람직한 것은 100∼200 중량부이다.
이러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릴 에스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릴 에테르류는 분자내에 함유된 알킬기 및 에틸렌옥사이드의 비율에 따라 또는 상호 혼합 비율에 따라서 약물의 피부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와 실험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캡사이신 300㎎
β-사이클로덱스트린 3g
에탄올 70㎖
증류수 30㎖
캡사이신 300㎎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 3g을 에탄올 70㎖와 증류수 30㎖의 혼합용액에 가하여 용해시키고, 25℃에서 24시간 교반한 다음 회전증발농축기를 사용하여 40℃에서 감압 증류시켜 얻은 고형물을 건조기 상에서 1일 방냉 건조하여 포접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캡사이신 300㎎
2-하이드록시에틸-β-사이클로덱스트린 3g
에탄올 70㎖
증류수 30㎖
캡사이신 300㎎과 2-하이드록시에틸-β-사이클로덱스트린 3g을 에탄올 70㎖와 증류수 30㎖의 혼합용액에 가하여 용해시키고, 25℃에서 24시간 교반한 다음 회전증발농축기를 사용하여 40℃에서 감압 증류시켜 얻은 고형물을 건조기 상에서 1일 방냉 건조하여 포접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캡사이신 300㎎
2-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3g
에탄올 70㎖
증류수 30㎖
캡사이신 300㎎과 2-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3g을 에탄올 70㎖와 증류수 30㎖의 혼합용액에 가하여 용해시키고, 25℃에서 24시간 교반한 다음 회전증발농축기를 사용하여 40℃에서 감압 증류시켜 얻은 고형물을 건조기 상에서 1일 방냉 건조하여 포접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4>
캡사이신 300㎎
β-사이클로덱스트린 1.5g
에탄올 70㎖
증류수 30㎖
캡사이신 300㎎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 1.5g을 에탄올 70㎖와 증류수 30㎖의 혼합용액에 가하여 용해시키고, 25℃에서 24시간 교반한 다음 회전증발농축기를 사용하여 40℃에서 감압 증류시켜 얻은 고형물을 건조기 상에서 1일 방냉 건조하여 포접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5>
캡사이신 300㎎
β-사이클로덱스트린 7.5g
에탄올 70㎖
증류수 30㎖
캡사이신 300㎎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 7.5g을 에탄올 70㎖와 증류수 30㎖의 혼합용액에 가하여 용해시키고, 25℃에서 24시간 교반한 다음 회전증발농축기를 사용하여 40℃에서 감압 증류시켜 얻은 고형물을 건조기 상에서 1일 방냉 건조하여 포접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6>
캡사이신(β-사이클로덱스트린 1:10 중량% 포접물) 1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 16
폴리에틸렌글리콜(7)글리세릴 코코에이트 16
폴리에틸렌글리콜(2)올레이트 16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7)글리세릴 코코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올레이트 각 10g을 취하여 약 70℃에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캡사이신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 1:10 중량%로 포접한 화합물을 가하여 혼합 용해하여 액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캡사이신(2-하이드록시에틸-β-사이클로덱스트린 1:10 중량% 포접물) 1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 16
폴리에틸렌글리콜(7)글리세릴 코코에이트 16
폴리에틸렌글리콜(2)올레이트 16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7)글리세릴 코코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올레이트 각 10g을 취하여 약 70℃에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캡사이신과 2-하이드록시에틸-β-사이클로덱스트린 1:10 중량%로 포접한 화합물을 가하여 혼합 용해하여 액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캡사이신(2-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1:10 중량% 포접물) 1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 16
폴리에틸렌글리콜(7)글리세릴 코코에이트 16
폴리에틸렌글리콜(2)올레이트 16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7)글리세릴 코코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올레이트 각 10g을 취하여 약 70℃에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캡사이신과 2-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1:10 중량%로 포접한 화합물을 가하여 혼합 용해하여 액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9캡사이신(β-사이클로덱스트린 1:10 중량% 포접물) 1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 5폴리에틸렌글리콜(7)글리세릴 코코에이트 5폴리에틸렌글리콜(2)올레이트 5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7)글리세릴 코코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올레이트 각 10g을 취하여 약 70℃에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캡사이신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 1:10 중량%로 포접한 화합물을 가하고 혼합 용해하여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10캡사이신(β-사이클로덱스트린 1:10 중량% 포접물) 1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 10폴리에틸렌글리콜(7)글리세릴 코코에이트 10폴리에틸렌글리콜(2)올레이트 10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7)글리세릴 코코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올레이트 각 10g을 취하여 약 70℃에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캡사이신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 1:10 중량%로 포접한 화합물을 가하고 혼합 용해하여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11캡사이신(β-사이클로덱스트린 1:10 중량% 포접물) 1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 15폴리에틸렌글리콜(7)글리세릴 코코에이트 15폴리에틸렌글리콜(2)올레이트 15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7)글리세릴 코코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올레이트 각 10g을 취하여 약 70℃에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캡사이신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 1:10 중량%로 포접한 화합물을 가하고 혼합 용해하여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피부자극 시험>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외용 조성물과 대조약으로서 조스트릭스(ZOSTRIX ) 크림(Lot No. MBIC-T)을 사용하여, 각 조성물 1g을 건강한 성인 10인의 상완에 도포하여 균질하게 문지른 다음 각 조성물의 피부자극을 평가하였다. 이 평가는 투여 후 24 시간에 걸쳐 다음 4단계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즉, 본원발명의 외용 제제는 1시간∼24시간 동안 거의 피부자극을 못 느낀 반면에 조스트릭스 제제는 자극을 느끼는 정도가 상당히 큰 것임을 알 수 있다.
0 : 피부자극을 못 느낀다.
1 : 약간 자극을 느낀다.
2 : 중등도의 자극을 느낀다.
3 : 고도의 자극을 느낀다.
제제피험자 실시예 6 투여군 조스트릭스 투여군
1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1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1 0 0 0 0 0 1 2 2 2 1
2 0 0 0 0 0 1 2 2 1 1
3 0 0 0 0 0 2 2 2 2 1
4 0 1 0 0 0 1 2 2 2 1
5 0 0 0 0 0 2 3 2 2 1
6 0 0 0 0 0 2 3 3 2 1
7 0 1 0 0 0 2 3 3 2 1
8 0 0 0 0 0 1 3 2 1 1
9 0 0 0 0 0 1 2 2 1 1
10 0 1 0 0 0 1 2 2 1 1
<실험예 2 : 웅성 무모 마우스(Hairless mouse)의 피부를 이용한 약물 투과 시험>체중 15∼20g의 웅성 무모 마우스를 경추탈골법으로 희생시키고 적출된 피부의 피하지방과 조직물을 제거하여 투과시험에 사용하였다. 피부투과 시험을 위한 확산셀(Franz Diffusion Cell)에 적출피부를 장착하여, 실시예 6∼11 에서 제조한 외용조성물과 대조군으로서 조스트릭스(ZOSTRIX)크림(Lot No. MBIC-T)의 각 조성물 1g씩을 적출피부 표면에 도포한 후 2시간 간격으로 검체를 채취하여 전처리 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투과된 약물량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즉, 본원발명의 Lag Time(TL)은 대조군의 Lag Time(TL)에 비해 상당히 짧고 즉, 투과속도가 빠르고, 본원발명의 Flux(㎍/㎠/h) 및 EF는 대조군의 Flux(㎍/㎠/h) 및 EF에 비해 상당히 큼을 알 수 있다.[표 2]
실시예 Lag Time(TL) Flux(㎍/㎠/h) EF
대조군 8.29±1.53 1.95±0.32 1
실시예 6 2.12±0.42 12.37±3.56 6.3
실시예 7 2.55±0.38 10.45±2.78 5.4
실시예 8 2.09±0.44 11.33±1.98 5.8
실시예 9 5.12±0.87 4.85±1.33 2.5
실시예 10 3.15±0.39 7.58±1.22 3.9
실시예 11 2.74±0.59 10.65±2.42 5.5
※ : 대조군의 단위시간, 단위면적당 투과된 약물의 비율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캡사이신을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하여 현저하게 피부 자극을 감소 시켰으며, 피부에 적용 후 환부에 신속하게 도달하여 치료작용을 나타낼 수 있도록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릴 에스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릴 에테르류를 배합하여 약물의 피부투과를 촉진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외용 제제임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캡사이신과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베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히드록시프로필, 디히록시프로필, 히드록시에틸, 디메틸, 트리메틸, 글루코실, 말토실 유도체들의 알파-, 베타-,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캡사이신 1 중량부에 대하여 1∼100 중량부를 배합시키며, 추가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제제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산화에틸렌 부가 몰수가 2∼10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산화에틸렌 부가 몰수가 7∼2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릴 에스테르, 산화에틸렌 부가 몰수가 7∼8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릴 에테르로 이루어지고, 캡사이신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계면활성제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그 함량이 100∼1000 중량부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제제.
  2. 삭제
  3. 삭제
KR10-2000-0050686A 2000-08-30 2000-08-30 비자극성 캡사이신 경피 투여 제형 KR100395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686A KR100395247B1 (ko) 2000-08-30 2000-08-30 비자극성 캡사이신 경피 투여 제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686A KR100395247B1 (ko) 2000-08-30 2000-08-30 비자극성 캡사이신 경피 투여 제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254A KR20010000254A (ko) 2001-01-05
KR100395247B1 true KR100395247B1 (ko) 2003-08-21

Family

ID=19686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686A KR100395247B1 (ko) 2000-08-30 2000-08-30 비자극성 캡사이신 경피 투여 제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2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6841A (ko) * 2016-02-17 2017-08-25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 캡사이신 미세캡슐 제조 방법
KR20190098618A (ko) * 2018-02-14 2019-08-22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과육 및 고추씨의 캡사이신 미세캡슐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7691B2 (ja) 2002-02-27 2006-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配線基板及びテープ状配線基板の製造方法
KR101478520B1 (ko) * 2014-01-24 2015-01-02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안전성이 향상된 캡사이신-펩타이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17774A1 (en) * 1990-05-22 1991-11-28 Boehringer Ingelheim Italia S.P.A. Inclusion compounds of nimesulide with cyclodextrins
US5856361A (en) * 1996-04-23 1999-01-05 Medical Merchandising, Inc. Pain reliever and method of use
US5885597A (en) * 1997-10-01 1999-03-23 Medical Research Industries,Inc. Topical composition for the relief of pain
JPH11199518A (ja) * 1997-12-26 1999-07-27 Lion Corp 温感剤組成物及び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17774A1 (en) * 1990-05-22 1991-11-28 Boehringer Ingelheim Italia S.P.A. Inclusion compounds of nimesulide with cyclodextrins
US5856361A (en) * 1996-04-23 1999-01-05 Medical Merchandising, Inc. Pain reliever and method of use
US5885597A (en) * 1997-10-01 1999-03-23 Medical Research Industries,Inc. Topical composition for the relief of pain
JPH11199518A (ja) * 1997-12-26 1999-07-27 Lion Corp 温感剤組成物及び皮膚外用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6841A (ko) * 2016-02-17 2017-08-25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 캡사이신 미세캡슐 제조 방법
KR101866010B1 (ko) * 2016-02-17 2018-06-0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 캡사이신 미세캡슐 제조 방법
KR20190098618A (ko) * 2018-02-14 2019-08-22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과육 및 고추씨의 캡사이신 미세캡슐 제조방법
KR102107894B1 (ko) 2018-02-14 2020-05-26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과육 및 고추씨의 캡사이신 미세캡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254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4665B2 (ja) 局所製剤とその用法
PT503988E (pt) Composicoes para o tratamento de onicomicoses
JPS63500171A (ja) 経皮流動を減少せしめたるための医薬ビヒクル
TR201808178T4 (tr) Aktif ajanların transdermal dağıtımı için bileşimler.
KR890000183B1 (ko) 경피 침투가 증진된 생리학적 활성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EP2147670A1 (en) Chemically stable compositions of 4-hydroxy tamoxifen
KR100413143B1 (ko) 국소용 니메설라이드 겔 시스템
KR100395247B1 (ko) 비자극성 캡사이신 경피 투여 제형
JP3002170B2 (ja) 高品質木酢液原料の製造方法
EP1014926B1 (en) Therapeutic and cosmetic compositions, their us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N108567782A (zh) 一种泊沙康唑外用药物组合物、其制备方法及用途
JPS63145217A (ja) 経皮投与組成物
WO2020184128A1 (ja) シロリムスまたはその誘導体を含有する局所適用外用剤
JPH11116458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KR100288190B1 (ko) 피록시캄 함유 알콜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KR100979347B1 (ko) 항진균 조성물
WO2007086582A1 (ja) 22-オキサ-1α,25-ジヒドロキシビタミンD3を含有する水中油型乳剤性ローション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皮膚疾患の治療方法
GB2327041A (en) Topical Analgesic Composition
JP2021527709A (ja) 漢方薬ゲル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と用途
JPH06135821A (ja) 養毛料
KR102282246B1 (ko) 갈락토스를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0049485A2 (en) Topical formulation of 3-(2,2,2-trimethylhydrazinium) propionate dihydrate
KR20000066357A (ko) 케토롤락 외용제제
CA2156396A1 (en) Stable dermatologic preparation containing mycophenolic acid
KR100925675B1 (ko) 혈액순환장애성 질환 개선용 피부외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