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021B1 - 모듈러 잭 - Google Patents

모듈러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021B1
KR100395021B1 KR10-2001-0004495A KR20010004495A KR100395021B1 KR 100395021 B1 KR100395021 B1 KR 100395021B1 KR 20010004495 A KR20010004495 A KR 20010004495A KR 100395021 B1 KR100395021 B1 KR 100395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asing
modular
metal shell
jack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8187A (ko
Inventor
히구치구니히로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8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0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 및 박형화하더라도 강도가 있고, 노트북 컴퓨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모듈러 잭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응하는 모듈러 플러그의 걸어 맞춤 레버를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부(23)를 갖는 제1 수지 케이싱(5a)과, 콘택트 핀(3a, 3b)을 유지하는 제2 수지 케이싱(5b)으로 이루어진 2 피스 구조의 수지 케이싱을 채용한다. 수지 케이싱(5a, 5b)의 주위를 사각 환상을 이루는 금속 쉘(6)로 둘러싸고, 그 금속 쉘(6)을 각 수지 케이싱(5a, 5b)에 고정한다. 모듈러 플러그를 끼우고 빼는 삽입 오목부(4)의 상하면을 금속 쉘(6)에 의해 나눈다.

Description

모듈러 잭{MODULAR JACK}
본 발명은 노트북 컴퓨터 등의 기기에 장착되고, 대응하는 모듈러 플러그가 끼워 맞춰지는 횡형 모듈러 잭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노트북 컴퓨터에는 전화 회선으로부터의 모듈러 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한 모듈러 잭이 장착되어 있다.
이 모듈러 잭은 모듈러 플러그를 끼우고 빼는 삽입 오목부를 갖는 수지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다.
최근, 노트북 컴퓨터의 소형화 및 박형화가 요망되고 있지만, 모듈러 플러그에 대해서는 규격에 따라 그 형상이나 크기가 결정되고 있기 때문에, 모듈러 잭을 끼우고 빼는 오목부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모듈러 잭을 소형화하고자 하면, 필연적으로 수지 케이싱의 슬림화를 도모하게 되지만, 그러한 경우 강도 부족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 및 박형화하더라도 강도있는 모듈러 잭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횡형 모듈러 잭의 사시도.
도 2의 (a)는 횡형 모듈러 잭의 좌측면도이고, 도 2의 (b)는 횡형 모듈러 잭의 우측면도.
도 3은 수지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횡형 모듈러 잭의 단면도로, 콘택트 핀에 대해서는 단면의 음영 처리를 생략한 단면도.
도 5는 모듈러 플러그를 연결한 상태의 횡형 모듈러 잭의 단면도로, 콘택트 핀에 대해서는 단면의 음영 처리를 생략한 단면도.
도 6은 모듈러 플러그가 최대 압입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 있는 횡형 모듈러 잭의 단면도로, 콘택트 핀에 대해서는 단면의 음영 처리를 생략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횡형 모듈러 잭의 수지 케이싱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횡형 모듈러 잭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횡형 모듈러 잭
2 : 잭 본체
3a, 3b : 콘택트 핀
4 : 삽입 오목부
5a : 제1 수지 케이싱
5b : 제2 수지 케이싱
5e : 수지 케이싱
6 : 금속 쉘
6a : 상면부
6b : 하면부
6c : 좌측면부
6d : 우측면부
20 : 좌측벽(제1 측벽)
21 : 상측벽
22 : 하측벽
23 : 걸어 맞춤부
25 : 우측벽(제2 측벽)
26 : 후측벽
40 : 개방부
50 : 모듈러 플러그
51 : 플러그 본체
52 : 걸어 맞춤 레버
53 : 걸어 맞춤 단부
55 : 기단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러그 본체 및 캔틸레버형 걸어 맞춤 레버를 갖는 모듈러 플러그를 끼우고 빼는 삽입 오목부를 전방으로 개방하는 잭 본체를 구비하고, 이 잭 본체는 걸어 맞춤부를 갖는 제1 측벽과 콘택트 핀을 유지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수지 케이싱과, 이 수지 케이싱 외측면의 일부를 덮고 수지 케이싱에 고정되는 금속 쉘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 오목부는 플러그 본체의 상하면에 대응하여 금속 쉘의 일부에 의해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횡형 모듈러 잭의 수지 케이싱의 상하측벽의, 예를 들어 대부분을 폐지하고, 금속 쉘에 의해 삽입 오목부의 상하면을 나누도록 하였기 때문에 횡형 모듈러 잭의 높이를 극한까지 낮출 수 있다. 또한, 금속 쉘로 보강하고 있기 때문에 소형화 및 박형화하더라도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금속 쉘이 수지 케이싱의 주위를 둘러싸는 사각 환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수지 케이싱의 주위를 금속 케이싱으로 둘러싸서 보강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케이싱이 제1 측벽을 포함하는 제1 수지 케이싱과,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제2 수지 케이싱의 2 피스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서는 삽입 오목부의 상하면을 금속 쉘로 나누는 경우에, 수지 케이싱을 좌우로 분리되는 2 피스 구조로 함으로써 수지 케이싱의 두께를 대폭 삭감할 수 있다. 소형화 및 박형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잭 본체의 후면이 모듈러 플러그가 최대 압입 위치에 있는 상태로 걸어 맞춤 레버의 기단부를 도입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택트 핀이 L자형 리드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러그 본체와 걸어 맞춤 레버를 갖는 모듈러 플러그를 수용하는 모듈러 잭에 관한 것으로서, 모듈러 플러그에 걸어 맞추기 위한 걸어 맞춤부를 갖는 제1 측벽과, 콘택트 핀을 유지하기 위한 제2 측벽을 갖는 수지 케이싱과; 상기 수지 케이싱의 외부면의 일부를 덮고, 상기 수지 케이싱에 고정되는 금속 쉘로 이루어지며; 삽입 오목부가 상기 수지 케이싱과 상기 금속 쉘에 의해 나누어지고, 모듈러 플러그가 삽입 오목부에서 빠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금속 쉘이 상기 수지 케이싱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사각형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케이싱이 제1 측벽을 갖는 제1 수지 케이싱과, 제2 측벽을 갖는 제2 수지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케이싱과 상기 금속 쉘에 의해, 개구부가 나누어지고, 모듈러 플러그가 최대 압입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개구부가 모듈러 플러그의 걸어 맞춤 레버 기단부를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택트 핀이 L자형 리드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규격품의 모듈러 플러그에서는, 걸어 맞춤 레버의 기단부가 모듈러 플러그의 삽입측으로 가장 많이 돌출되어 있다. 본 구성에서는, 최대 압입 위치에 있는 걸어 맞춤 레버의 기단부를 개방부로 도입하여 기단부(基端部)와 잭 본체의 후면을 거의동일면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잭 본체의 깊이를 최대한 짧게 할 수 있다. 이 점으로부터도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모듈러 잭(횡형 모듈러 잭)의 개략 사시도이다. 본 모듈러 잭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규격품의 모듈러 플러그(50)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모듈러 플러그(50)는 복수의 콘택트 핀(도시하지 않음)을 유지하는 플러그 본체(51)와, 이 플러그 본체(51)에 기단부(55)가 캔틸레버형으로 지지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걸어 맞춤 레버(52)를 구비하고 있다. 걸어 맞춤 레버(52)는 한 쌍의 걸어 맞춤 단부(53)를 갖고 있다(도면에서는 한쪽만 도시함).
도 1을 참조하면, 이 모듈러 잭[1: 횡형 모듈러 잭]은 잭 본체(2)와, 각각의 리드부(30)를 갖는 2극의 콘택트 핀(3a, 3b)을 구비하고 있다. 잭 본체(2)에는 전방으로 개방하는 삽입 오목부(4)가 형성되고, 이 삽입 오목부(4)에 상기 모듈러 플러그(50)가 끼워지고 빼지게 연결되어, 전기적·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도 1에 있어서, X1 및 X2는 케이싱(2)의 전방 및 후방을 나타내고, Y1 및 Y2는 케이싱(2)의 좌측 및 우측을 나타내며, Z1 및 Z2는 케이싱(2)의 상측 및 하측을 나타낸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잭 본체(2)는 2 피스 구조를 이루는 제1 및 제2 수지 케이싱(5a, 5b)과, 이들 수지 케이싱(5a, 5b)과 조합되어 일체형의 케이싱을 구성하는 금속 쉘(6)로 이루어진다. 금속 쉘(6)은 상면부(6a), 하면부(6b), 좌측면부(6c) 및 우측면부(6d)를 갖는 사각 환상을 이루는 띠판으로 이루어진다. 잭 본체(2)의 후면에는 삽입 오목부(4)를 후방으로 개방시키는 거의 직사각형의 개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횡형 모듈러 잭(1)의 좌측면도인 도 2의 (a)를 참조하면, 금속 쉘(6)의 좌측면부(6c)에 있어서, 서로 겹쳐 이은 형으로 끼워 맞춰 코오킹된 코오킹 접속부(7)를 갖고 있다. 또한, 좌측면부(6c)의 전면 가장자리부(6e)로부터 소정 깊이로 움푹 패인 걸어 맞춤 홈(8)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 맞춤 홈(8)의 바닥에는 제1 수지 케이싱(5a)의 걸어 맞춤 돌기[9: 도 1 참조]가 걸어 맞춰져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좌측면부(6c)의 후면 가장자리부(6f)로부터는 직각형으로 절곡된 한 쌍의 걸어 맞춤편(10, 10)이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걸어 맞춤편(10, 10)은 제1 수지 케이싱(5a) 후면의 한 쌍의 걸어 맞춤 오목부(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끼워 맞춘다. 각각의 걸어 맞춤편(9)의 양측에는 절삭 홈이 설치되어 있다.
횡형 모듈러 잭(1)의 우측면도인 도 2의 (b)를 참조하면, 금속 쉘(6)의 우측면부(6d)에는 후면 가장자리부(6f)로부터 소정 깊이로 움푹 패인 걸어 맞춤 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홈(11)의 바닥에는 제2 수지 케이싱(5b)의 걸어 맞춤 돌기[12: 도 1 참조]가 걸어 맞춰져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걸어 맞춤 홈(11)을 사이에 끼우는 양측의 후면 가장자리부(6f)로부터, 직각형으로 절곡된 한 쌍의 걸어 맞춤편(13)이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걸어 맞춤편(13, 13)은 제2 수지 케이싱(5b) 후면의 한 쌍의 걸어 맞춤 오목부(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끼워 맞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금속 쉘(6)의 하면부(6b)에는 제1 수지 케이싱(5a)의 끼워 맞춤 돌기(14)를 끼워 맞추는 거의 직사각형의 끼워 맞춤 구멍(1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면부(6b)에는 윈도우부를 설치하여 잘라 일으켜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1 수지 케이싱(5a)의 걸어 맞춤 오목부(16)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편(17)과, 동일하게 윈도우부를 설치하여 잘라 일으켜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2 수지 케이싱(5b)의 끼워 맞춤 홈(18)내에 끼워 넣어지는 끼워 맞춤편(19)이 설치되어 있다. 금속 쉘(6)의 상면부(6a)에도 동일한 끼워 맞춤 구멍[15: 도시하지 않음], 걸어 맞춤편(17) 및 끼워 맞춤편(19: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수지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인 도 3을 참조하면, 제1 수지 케이싱(5a)은 제1 측벽으로서의 좌측벽(20)과, 상측벽(21)과, 하측벽(22)을 구비하고 있다. 좌측벽(20)의 외부면에는 상기한 걸어 맞춤 돌기(9)가 좌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측벽(21) 및 하측벽(22)의 외부면에는 상기한 끼워 맞춤 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도 3에서는 하측벽(22)의 끼워 맞춤 돌기(14)만을 도시함].
또한, 좌측벽(20)과 상측벽(21)의 전면 가장자리부의 코너부와, 좌측벽(20)과 하측벽(22)의 전면 가장자리부의 코너부에는 한 쌍의 걸어 맞춤부(23)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걸어 맞춤부(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러 플러그(50)의 걸어 맞춤 레버(52)가 대응하는 걸어 맞춤 단부(53)에 각각 걸어 맞춰지고, 이 상태로 모듈러 플러그(50)의 삽입 오목부(4)로부터의 빠짐 방지가 달성되며, 콘택트 핀(3a, 3b)과 대응하는 모듈러 플러그(50)의 콘택트 핀과의 접속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측벽(21) 및 하측벽(22)의 전후 방향 중간 부분에는 상기한 걸어 맞춤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벽(21) 및 하측벽(22)의 후단부에는 제2 수지 케이싱(5b)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위치 결정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위치 결정부(24)는 삽입 오목부(4)에 삽입된 플러그 본체(51)의 삽입측 단면의 단부(54)에 접촉하여 모듈러 플러그(50)의 최대 압입 위치를 규정하는 위치 결정 스토퍼(stopper)로서 작용한다.
또한, 제2 수지 케이싱(5b)은 우측벽(25)과 후측벽(26)을 구비하고 있다. 우측벽(25)에는 상기한 걸어 맞춤 돌기(12)를 우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우측벽(25)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상기한 끼워 맞춤 홈(1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후측벽(26)은 상기한 콘택트 핀(3a, 3b)을 유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핀(3a)은 우측벽(13)을 수지 케이싱(5b)의 전후로 관통하는 고정 구멍(27)에 삽입되어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부(28)와, 이 고정부(28)의 전단부로부터 예각(銳角)을 이루며 굴곡되고, 후측벽(26)으로 향하여 경사형으로 연장되는 캔틸레버형 탄성 접촉부(29)와, 고정부(28)의 후단으로부터 거의 직각을 이루며 굴곡되어 우측벽(2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리드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 핀(3b)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조이지만, 고정부(28)의 길이를 콘택트 핀(3a)보다 약간 짧게 설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양 콘택트 핀(3a, 3b)의 리드부(30)는 서로 전후로 변위되고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탄성 접촉부(29)의 기단부(31)는 우측벽(25)의 전단면(32) 및 내면(33)에 걸쳐 설치되는 안내 홈(34)으로 안내된다. 또한, 탄성 접촉부(29)의 선단부에는 굴곡부(35)가 설치되고, 이 굴곡부(35)는 후측벽(26)에 있는 안내 홈(34)으로 연속되도록 설치되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36)에 의해 안내되어 가로 방향(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횡형 모듈러 잭(1)의 수지 케이싱(5a, 5b)의 상하측벽의 대부분을 폐지하고, 금속 쉘(6)에 의해 삽입 오목부(4)의 상하측면을 나누도록 하였기 때문에 횡형 모듈러 잭(1)의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다. 또한, 두께가 얇아도 강도가 있는 금속 쉘(6)을 수지 케이싱(5a, 5b)에 조합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소형화 및 박형화하더라도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금속 쉘(6)이 수지 케이싱(5a, 5b) 주위를 둘러싸는 사각 환상을 이루도록 하여 보강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쉘(6)을 이용하면서, 수지 케이싱을 좌우로 분리되는 2 피스 구조의 수지 케이싱(5a, 5b)으로 함으로써 수지 케이싱의 두께를 대폭 삭감할 수 있다. 이 점으로부터도 소형화 및 박형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규격품의 모듈러 플러그(50)에서는 걸어 맞춤 레버(52)의 기단부(55)가 모듈러 플러그(50)의 삽입측으로 가장 많이 돌출되어 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압입 위치에 있는 걸어 맞춤 레버(52)의 기단부(55)를 개방부(40)로 도입하여 기단부(55)와 잭 본체(2)의 후면(2a)을 거의 동일면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잭 본체(2)의 깊이 치수를 최대한 짧게 할 수 있다. 이 점으로부터도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도 6에 도시된 모듈러 플러그(50)의 최대 압입 위치에서는, 플러그 본체(51)의 삽입측 단면의 단부(54)가 제1 수지 케이싱(5a)의 위치 결정부(24)에 접촉하는 동시에 플러그 본체(51)의 삽입측 단면의 나머지부분이 제2 수지 케이싱(5b)의 후측벽(26)에 접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수지 케이싱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가 도 3의 실시예와 상이한 것은, 도 1의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수지 케이싱(5a, 5b)을 설치하는 동시에 개방부(40)를 설치하였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를 폐지하고 후측벽(37)에서 연속하고 있는 제1 부분(5c) 및 제2 부분(5d)을 갖는 일체의 수지 케이싱(5e)을 설치하였다. 참조부호(26a)는 도 1의 실시예의 후측벽(26)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이 실시예에서 후측벽(37)에 포함되게 된다. 다른 부분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횡형 모듈러 잭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가 도 1의 실시예와 상이한 것은, 도 1의 실시예에서는 각 리드부(30)가 우측(Y2)으로 똑바로 연장되어 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콘택트 핀(3a, 3b)의 리드부(38)가 우측(Y1)으로 연장되는 부분(38a)과, 이 부분(38a)의 선단부로부터 직각으로 굴곡되어 하측(Z2)으로 연장되는 부분(38b)을 갖는 거의 L 자형 형상을 하고 있다. 양 콘택트 핀(3a, 3b)의 선단부는 가로 방향[좌우 방향(Y1, Y2)]으로 서로 변위시켜 두어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도 4의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화 및 박형화하더라도 강도가 있고, 노트북 컴퓨터에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모듈러 잭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모듈러 잭에 따르면 L자형 리드부는, 예를 들어 소형화된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한정된 스페이스(space)로 모듈러 잭을 용이하게 장착되게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콘택트 핀(3a, 3b)을 예를 들어 3조 합계 6개와, 4조 합계 8개로 하여도 좋다. 기타, 본 발명의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행할 수 있다.

Claims (21)

  1. 전면을 통하여 삽입 오목부를 가진 잭 본체를 구비하는 모듈러 잭으로서, 상기 삽입 오목부는 모듈러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적응되어 있고, 상기 모듈러 플러그는 플러그 본체와, 걸어 맞춤 레버(engagement lever)를 구비하고, 상기 모듈러 플러그의 걸어 맞춤 레버가 눌러진 상태일 때 상기 모듈러 플러그의 플러그 본체를 상기 잭 본체로부터 끼우고 뺄 수 있도록 상기 걸어맞춤 레버가 캔티레버 식으로 상기 플러그 본체상에서 지지되는, 상기 모듈러 잭에 있어서,
    제1 측벽 및 걸어 맞춤부(engagement portion)를 구비하는 제1 피스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핀을 유지하기 위한 제2 측벽을 구비하는 제2 피스로 이루어지는 2 피스 구조를 형성하는 수지 케이싱과,
    상기 수지 케이싱의 외측면의 일부를 덮고, 상기 수지 케이싱에 고정된 금속 셀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오목부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상하면에 대응하는 상기 금속 쉘의 일부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수지 케이싱의 제1 피스와 제2 피스는 상기 제1 피스가 상기 제2 피스에 닿지 않게 상기 제2 피스 옆에 정렬되도록 상기 금속 쉘 내에서 하우징되는 모듈러 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쉘은 상기 수지 케이싱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기 위하여 단면이 거의 직사각형 모양인 모듈러 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플러그가 상기 잭 본체 내에 최대 압입 위치로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모듈러 플러그의 걸어 맞춤 레버의 기단부(base end portion)에 인접하도록 적응될 수 있는 개구부를, 상기 잭 본체의 후면에 구비하는 모듈러 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핀은 두 개의 콘택트 핀이고, 상기 두 개의 콘택트 핀의 각각은 상기 금속 쉘의 우측 표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선형 리드부를 구비하는 모듈러 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는, 상기 제1 피스내의 제1 및 제2 걸어 맞춤 오목부와 짝이 되는 상기 금속 쉘 내의 제1 및 제2 걸어 맞춤 편(engagement piece)을 통해 상기 금속 쉘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피스는, 상기 제2 피스내의 제1 및 제2 맞춤 홈(fitting groove)과 짝이 되는 상기 금속 쉘 내의 제1 및 제2 맞춤 편(fitting piece)을 통하여 상기 금속 쉘에 고정되는 모듈러 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플러그가 상기 잭 본체내에서 최대 압입 위치로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모듈러 플러그의 걸어 맞춤 레버의 걸어 맞춤 단부(engagement step portion)에 걸어맞추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피스의 걸어 맞춤 부는 상기 제1 피스의 제1 측벽으로부터 상기 삽입 오목부 안으로 연장되는 모듈러 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케이싱은 상기 금속 쉘을 지나 상기 수지 케이싱의 제1 및 제2 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 걸어 맞춤 돌기들(engagement projection)을 구비하는 것인 모듈러 잭.
  8. 플러그 본체와 걸어 맞춤 레버를 포함하는 모듈러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모듈러 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플러그의 걸어 맞춤 레버를 걸어맞추도록 적응될 수 있는 걸어맞춤 부를 갖는 제1 측벽을 포함하는 제1 수지 케이싱부와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핀을 유지하기 위한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제2 수지 케이싱부를 갖는 1 피스 완전 구조(one-piece integral structure)인 수지 케이싱과,
    상기 수지 케이싱의 외부면의 일부를 덮고 상기 수지 케이싱에 고정된 금속 쉘을 포함하고,
    삽입 오목부는,
    상기 모듈러 플러그가 상기 삽입 오목부 안으로 끼워질 때, 상기 모듈러 플러그의 플러그 본체의 제1 및 제2 측벽의 하부가, 상기 수지 케이싱의 수지 재료의 개재 없이 상기 금속 쉘의 상하 표면부의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와 맞닿도록,
    상기 모듈러 잭의 잭 본체 내에서 상기 수지 케이싱과 상기 금속 쉘에 의해 규정되는 모듈러 잭.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쉘은 상기 수지 케이싱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기 위하여 단면이 거의 직사각형 모양인 모듈러 잭.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케이싱과 상기 금속 쉘에 의해 개구부가 규정되고, 상기 잭 본체의 상기 삽입 오목부가 상기 모듈러 플러그의 최대 압입 위치로 상기 모듈러 플러그를 하우징할 때, 상기 개구부가 상기 모듈러 플러그의 걸어 맞춤 레버의 기단부(base end portion)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모듈러 잭.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핀은 제1 및 제2 콘택트 핀이고, 상기 제1 및 제2 콘택트 핀의 각각은, 상기 금속 쉘의 우측 표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L자형 리드부에 연결되어 있는 모듈러 잭.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 케이싱부는, 상기 제1 수지 케이싱부내의 제1 및 제2 걸어 맞춤 오목부와 짝이 되는 상기 금속 쉘 내의 제1 및 제2 걸어 맞춤 편(engagement piece)을 통해 상기 금속 쉘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수지 케이싱부는, 상기 제2 수지 케이싱부내의 제1 및 제2 맞춤 홈(fitting groove)과 짝이 되는 상기 금속 쉘 내의 제1 및 제2 맞춤 편(fitting piece)을 통하여 상기 금속 쉘에 고정되는 모듈러 잭.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플러그가 상기 잭 본체내에서 최대 압입 위치로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모듈러 플러그의 걸어 맞춤 레버의 걸어 맞춤 단부(engagement step portion)에 걸어맞추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수지 케이싱부의 걸어 맞춤 부가 상기 제1 수지 케이싱부의 제1 측벽으로부터 상기 삽입 오목부 안으로 연장되는 모듈러 잭.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케이싱은 상기 금속 쉘을 지나 상기 수지 케이싱의 제1 및 제2 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 걸어 맞춤 돌기들을 갖는 모듈러 잭.
  15. 플러그 본체와 걸어 맞춤 레버를 포함하는 모듈러 플러그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모듈러 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플러그의 걸어 맞춤 레버에 걸어맞추도록 적응될 수 있는 걸어맞춤 부를 갖는 제1 측벽을 포함하는 제1 수지 케이싱부와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핀을 유지하기 위한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제2 수지 케이싱부를 갖는 1 피스 완전 구조인 수지 케이싱과,
    상기 수지 케이싱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기 위하여 단면이 거의 직사각형 모양이며 속이 빈(hollow) 금속 쉘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쉘은 짧은 좌우 측면부와 긴 상하 표면부를 갖고,
    상기 금속 쉘은 상기 수지 케이싱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수지 케이싱부의 제1 측벽이 상기 금속 쉘의 좌측면부의 내부면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이에 접촉하고, 상기 제2 수지 케이싱부의 제2 측벽이 상기 금속 쉘의 우측면부의 내부면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이에 접촉하도록, 상기 금속 쉘이 상기 수지 케이싱과 함께 상기 모듈러 잭의 잭 본체에서 삽입 오목부를 규정하며,
    상기 금속 쉘의 상하 표면부의 내부 면의 주요부에 인접하여 상기 수지 케이싱의 수지 재료가 없도록, 상기 수지 케이싱은 상기 제1 및 제2 측벽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면이 없는(side-less) 모듈러 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케이싱과 상기 금속 쉘에 의해 개구부가 규정되고, 상기 잭 본체의 삽입 오목부가 상기 모듈러 플러그의 최대 압입 위치로 상기 모듈러 플러그를 하우징할 때, 상기 개구부가 상기 모듈러 플러그의 걸어 맞춤 레버의 기단부(base end portion)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모듈러 잭.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핀은 제1 및 제2 콘택트 핀이고, 상기 제1 및 제2 콘택트 핀의 각각은, 상기 금속 쉘의 우측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L자형 리드부에 연결되어 있는 모듈러 잭.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 케이싱부는, 상기 제1 수지 케이싱부내의 제1 및 제2 걸어맞춤 오목부와 짝이 되는 상기 금속 쉘 내의 제1 및 제2 걸어 맞춤 편(engagement piece)을 통해 상기 금속 쉘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수지 케이싱부는, 상기 제2 수지 케이싱부내의 제1 및 제2 맞춤 홈(fitting groove)과 짝이 되는 상기 금속 쉘 내의 제1 및 제2 맞춤 편(fitting pieces)을 통하여 상기 금속 쉘에 고정되는 모듈러 잭.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플러그가 상기 잭 본체내에서 최대 압입 위치로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모듈러 플러그의 걸어 맞춤 레버의 걸어 맞춤 단부(engagement step portion)에 걸어맞추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수지 케이싱부의 걸어 맞춤 부는 상기 제1 수지 케이싱부의 제1 측벽으로부터 상기 삽입 오목부 안으로 연장되는 모듈러 잭.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핀은 제1 단(first end)에 굴곡부를 가지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제2 수지 케이싱부내의 안내 홈에 위치하고, 상기 모듈러 플러그가 상기 잭 본체의 삽입 오목부안으로 이동될 때, 상기 모듈러 플러그의 플러그 본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핀의 탄성 접촉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핀의 탄성 접촉부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 접촉부를 상기 제2 수지 케이싱부의 제2 측벽쪽으로 편향시키고, 상기 안내 홈 내의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핀의 굴곡부를 상기 제2 수지 케이싱부의 제2 측벽쪽으로 이동시키는 모듈러 잭.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케이싱은 상기 금속 쉘을 지나 상기 수지 케이싱의 제1 및 제2 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 걸어 맞춤 돌기들을 갖는 모듈러 잭.
KR10-2001-0004495A 2000-02-02 2001-01-31 모듈러 잭 KR100395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25462 2000-02-02
JP2000025462A JP2001217049A (ja) 2000-02-02 2000-02-02 横型モジュラージャ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187A KR20010078187A (ko) 2001-08-20
KR100395021B1 true KR100395021B1 (ko) 2003-08-19

Family

ID=1855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495A KR100395021B1 (ko) 2000-02-02 2001-01-31 모듈러 잭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75515B1 (ko)
EP (1) EP1122839B1 (ko)
JP (1) JP2001217049A (ko)
KR (1) KR100395021B1 (ko)
CN (1) CN1218442C (ko)
DE (1) DE60131309T2 (ko)
TW (1) TW5024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4776B2 (ja) 2002-05-07 2008-04-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ジャック
GB0213705D0 (en) * 2002-06-14 2002-07-24 Powerlogic Internat Bv Electrical connectors
JP2005011716A (ja) * 2003-06-19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
US7063574B2 (en) * 2004-10-13 2006-06-20 Power Logic Holdings Ag Installation coupler
TWM428534U (en) * 2011-12-30 2012-05-01 Uer Technology Corp Electrical connector
JP6078919B2 (ja) * 2013-07-18 2017-02-15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41659B2 (ja) 2014-01-14 2021-03-10 ボルケーノ コーポレイション 血管アクセスを形成する装置及び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3288A (en) * 1979-10-29 1983-12-27 Northern Telecom Limited Modular telephone jack
JPH0652923A (ja) * 1992-07-30 1994-02-25 Murata Mfg Co Ltd モジュラーコネクタ
JPH0661658A (ja) * 1992-08-10 1994-03-04 Murata Mfg Co Ltd モジュラーコネクタ
JPH06176813A (ja) * 1992-12-02 1994-06-24 Murata Mfg Co Ltd モジュラーコネクタの収納構造
US5702271A (en) * 1996-08-30 1997-12-30 The Whitaker Corporation Ultra low profile board-mounted modular jack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5479A (en) * 1992-08-10 1995-01-31 Murata Mfg. Co., Ltd. Modular jack
US6454603B2 (en) * 1997-03-07 2002-09-24 Berg Technology, Inc. Shielded connector with integral latching and ground structure
US6162089A (en) * 1997-12-30 2000-12-19 The Whitaker Corporation Stacked LAN connector
US6162094A (en) * 1999-09-22 2000-12-1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housing
US6220900B1 (en) * 1999-10-27 2001-04-2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ow insertion for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3288A (en) * 1979-10-29 1983-12-27 Northern Telecom Limited Modular telephone jack
JPH0652923A (ja) * 1992-07-30 1994-02-25 Murata Mfg Co Ltd モジュラーコネクタ
JPH0661658A (ja) * 1992-08-10 1994-03-04 Murata Mfg Co Ltd モジュラーコネクタ
JPH06176813A (ja) * 1992-12-02 1994-06-24 Murata Mfg Co Ltd モジュラーコネクタの収納構造
US5702271A (en) * 1996-08-30 1997-12-30 The Whitaker Corporation Ultra low profile board-mounted modular j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02474B (en) 2002-09-11
US6375515B1 (en) 2002-04-23
JP2001217049A (ja) 2001-08-10
DE60131309T2 (de) 2008-09-11
CN1218442C (zh) 2005-09-07
EP1122839A2 (en) 2001-08-08
KR20010078187A (ko) 2001-08-20
DE60131309D1 (de) 2007-12-27
CN1316803A (zh) 2001-10-10
EP1122839B1 (en) 2007-11-14
EP1122839A3 (en) 200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516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shell
US6585537B1 (en) Cable end connector with locking member
US5425650A (en) Inclined engagement prevention structure for connector
US777123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11838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402069B2 (en) Connector
US6579113B2 (en) Inertial locking connector
US7938695B2 (en) Terminal fitting
JP3826799B2 (ja) コネクタ
US20070141890A1 (en) Electrical connector
US6325680B1 (en) Female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2002170622A (ja) コネクタ
JP2007149615A (ja) 電気コネクタ
JP2005158630A (ja) 電気コネクタ
JP2004355969A (ja) コネクタ
KR100395021B1 (ko) 모듈러 잭
US6458001B1 (en) Receptacle connector having anti-mismating structures
JP2006269406A (ja) 電気コネクタ
JP2002025706A (ja) コネクタ
JP2006100232A (ja) 端子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US20030054690A1 (en) Terminal fitting, a connector and a method for forming a terminal fitting
US6000972A (en) Structure for fixing terminal to connector housing
US648531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1804344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JP417577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