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895B1 - 내장형 폭약을 구비한 팽창식 금속 구조의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내장형 폭약을 구비한 팽창식 금속 구조의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895B1
KR100394895B1 KR10-2000-0055700A KR20000055700A KR100394895B1 KR 100394895 B1 KR100394895 B1 KR 100394895B1 KR 20000055700 A KR20000055700 A KR 20000055700A KR 100394895 B1 KR100394895 B1 KR 100394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evice
explosive
safety
igni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7219A (ko
Inventor
르바디프랑끄
페로또크리스티앙
Original Assignee
리브박 에스엔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브박 에스엔쎄 filed Critical 리브박 에스엔쎄
Publication of KR20010067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2019/007Means for adjusting or regulating the crash absorption capacity of the vehicle, e.g. when detecting an impending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28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60R21/264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the reacting substances being supported by the inflatable member walls, or by a flexible support within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에 수용되고 자동차 안전 분야에서 사용되는 안전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안전 장치(1)는, 지지부에 고정된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5)과, 폭약(6)과, 전원에 접속되는 점화 장치(3)를 포함하며, 상기 백은 중앙 오리피스와 지지부에 부착된 중간 고정 영역(22)과 주위 고정 영역(24)을 가지는 제 1 금속 시트(20)와, 주위 고정 영역(25)을 가지는 견고한 반구형 제 2 금속 시트(21)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금속 시트는 그들의 외주 고정 영역에서 함께 고정되며,
상기 폭약은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장형 폭약을 구비한 팽창식 금속 구조의 안전 장치{Inflatable metal structure with built-in pyrotechnic charge}
본 발명은 자동차 안전 분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 시에 자동차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삼십년간, 정면 또는 측면 충격시에 차량의 탑승자가 노출되는 신체상의 상해 위험을 가능한한 제한하도록 하기 위해서 자동차에 내장되어 자동차 탑승자의 얼굴과 상체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의 통상적인 섬유질의 에어백을 팽창시키도록 하는 가스 생성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어떤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독일 특허 출원 DE 41 16 88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들 (에어)백의 내부면에는 심지어 폭약 라커가 코팅되어 있기도 하였다.
최근에, 이들 통상적인 폭약 장치에 추가하여, 자동차 제조 업자들은 한편으로는 탑승자의 하부 림브(limb)를 보호하고 질식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동차의 실체 구조를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안전 장치를 수용할 수 있기를 원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응용에 있어서, 안전 장치는 극단적으로 짧은 시간 간격으로 작동해야 하며, 따라서 매우 짧은 시간 간격 중에, 필요한 체적의 가스를 생성하는 고효율의 폭약을 채택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들 가스는 가끔 유독하며, 가끔은 너무 고온이다. 그러므로 통상적인 섬유질 에어백은, 한편으로는 이들이 매우 고온의 가스에 의해서 손상을 입기 쉽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들의 다공성 때문에 유독성 가스가 자동차의 차내로 통과하기 쉽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전 장치는 각각 미국 특허 제 5,615,914 호 및 제 5,839,756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가스 덕트를 통해서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에 연결되는 종래의 가스 생성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독립적인 구성 요소로서 가스 생성기를 사용하는 것은 이와 같은 안전 장치가 전체적으로 너무 부피가 크고, 지나치게 무거우므로, 자동차 내에 다수를 수용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여전히 매우 고효율의 폭약을 사용할 수 있는 소형이고 경량인 안전 장치를 찾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 것으로 자동차 내에 수용되는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1 대체형에 따른 안전 장치의 단면도.
도 1a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2 대체형에 따른 안전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치의 단면도.
도 3a는 도 3에 도시된 안전 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내부의 폭약이 산재형 분말(loose powder)로 이루어져 있는 안전 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205, 305 :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 6, 206, 306 : 폭약
3, 103 : 점화 장치 1, 101, 201, 301 : 안전 장치
22, 222, 322 : 중간 고정 영역 24, 224, 324 : 주위 고정 영역
20, 220, 320 : 제 1 금속 시트 21, 221, 321 : 제 2 금속 시트
본 발명의 안전 장치는 지지부에 고정된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과, 폭약과, 전원에 접속되는 점화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은 중앙 오리피스와 지지부에 부착된 중간 고정 영역과 주위 고정 영역을 가지는 제 1 금속 시트와, 주위 고정 영역을 가지는 견고한 반구형 제 2 금속 시트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금속 시트는 그들의 외주 고정 영역에서 함께 고정되며,
폭약은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합하게는, 지지부는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의 제 1 금속 시트가 고정되는 평평한 상부면을 가지는 실린더형 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는 또한, 상기 몸체의 바닥부에 대응하는 제 1 소자와, 상기 제 1 소자에 부착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제 2 소자의 두 개의 별도의 소자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적합하게는,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 내에 포함되고 실린더형 몸체의 평평한 상부면에 고정되는 천공편(perforated piece)은 폭약을 제 위치에 유지하게 된다.
실시예의 제 1 적합한 대체형에 따르면, 폭약은 최소한 하나의 평평한 시트 형태로 생산되며, 상기 평평한 시트는 천공편과 스프링 사이에 쐐기 고정되며, 자체적으로 몸체의 평평한 상부면에 대해서 유지된다.
실시예의 제 2 유리한 대체형에 따르면, 폭약은 산재형 분말로 이루어진다.
양호하게는, 폭약은, 실리콘 바인더와, 예를 들어, 과염소산 암모늄과 질화 나트륨의 혼합물과 같은 무기질 산화 충전물을 포함하는 복합 폭약 합성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1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린더형 몸체는 제 1 금속 시트에 의해서 유지되는 중앙 오리피스와 면하도록 위치된 중앙 리세스에 의해서 자체적으로 연장되는 방사 방향 개구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1 유리한 실시예의 제 1 대체형에 따르면, 자체적으로 전기 커넥터 내로 삽입되는 일렉트로파이로테크닉 점화 장치로 이루어진 점화 장치는 실린더형 몸체의 방사 방향 개구에 고정된다.
제 1 유리한 실시예의 제 2 대체형에 따르면, 점화 장치는 폭약 전송 코드와 폭약 릴레이 충전물로 이루어진다. 유리하게는, 폭약 릴레이 충전물은 실린더형 몸체에 의해서 유지되는 방사 방향 개구에 수용되며, 폭약 전송 코드는 상기 방사 방향 개구에 삽입되고, 폭약 릴레이 충전물과 접촉하는 한쪽 단부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유리한 실시예에서 기술된 안전 장치는 매우 소형이며, 그 이유는, 휴지시에, 상기 안전 장치의 최대 높이가 단지 몸체의 높이 및 견고한 돔 형상의 제 2 금속 시트로부터 제 1 금속 시트가 분리된 최대 거리의 합에만 대응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 2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린더형 몸체는 측벽을 가지는 원반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측벽에서 시작하여 평평한 상부면에서 최소한 두 개의 넓혀진 단말부에서 종결되는 방사 방향 채널이 상기 원반형 플레이트를 관통한다. 채택된 폭약의 질량에 따라서 넓혀진 단말부의 숫자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참고적으로, 방사 방향 채널은 전류를 전도하는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하고 있으며, 방사 방향 채널의 두 개의 넓혀진 단말부의 각각은 두 개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점화 비드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유리한 실시예에 기술된 안전 장치는 더욱 더 소형이며, 사실상 몸체가 두께가 작은 원반형 플레이트로 축소되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제 1 금속 시트와 실린더형 몸체의 평평한 상부면 사이에 밀봉부(seal)를 위치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또한, 승객좌석의 시트부의 전방에서 충돌 이후의 바로 첫 번째 순간에 승객을 들어 올려서, 질식의 위험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대시 보드의 하부에서 충돌시에 자동차의 전방좌석의 승객의 하부 림브를 보호하고, 충돌시에 차량 구조의 특정 부분, 예를 들어서 범퍼 및/또는 사이드 도어를 강화하는 상술한 하나 이상의 안전 장치의 사용법에도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장치의 네 가지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서 후술된다.
도 1, 도 1a, 도 2 및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유리한 실시예의 제 1 대체형에 따른 안전 장치(1) 또는, 한편으로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게 되는 점화 장치(3, 또는 103)를 포함하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폭약을 포함하고 있는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5)이 부착되는 평평한 상부면(4)을 가지는 실린더형 몸체(2)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 1 유리한 실시예의 제 2 대체형에 따른 안전 장치(101)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형 몸체(2)는 중앙 리세스(9)에 의해서 연장되는 방사 방향 개구(8)를 가지는 하단 제 1 소자(7)와, 중앙 천공부를 구비한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로서 형성되는 상부 제 2 소자로 이루어진다. 하부 소자(7) 및 원형 플레이트(10)는 용접에 의해서 함께 고정되며, 이에 의해서 중앙 리세스(9)는 원형 플레이트(10)의 중앙 천공부와 면하여 위치하게 된다.
실리콘 바인더와, 실질적으로 과염소산 암모늄 및 질화 나트륨에 기초하는 산화제 충전물을 포함하는 복합 폭약 합성물로 이루어지는 폭약은, 스프링(14)과 천공편(15) 사이에서 쐐기 고정되는 평평한 시트(6)의 형태로 형성된다. 스프링(14)은 원형 플레이트(10)에 의해서 유지되는 중앙 천공부를 둘러싸는 원형 내부 톱니부에서 평평한 상부면(4)을 유지하도록 위치된다. 천공편(15)은 용접에 의해서 상부면(4)에 부착되는 외주 환형부(16)와, 오리피스(17)를 구비한 측벽과, 평평한 시트(6)와 접촉하게 되는 보스(19)를 가진 중앙 디스크(18)를 포함하는 컵 형상이다.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5)은 제 1 금속 시트(20)와 견고한 돔 형상의 제 2 금속 시트(21)로 이루어지며, 두 개의 금속 시트(20, 21)는 강철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금속 시트(20)는 천공편(15)의 환형부(16)를 둘러싸게 되는 중앙 오리피스와, 나사식 패스너(fastener)에 의해서 원형 플레이트(10) 내로 볼트(23)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중간 고정 영역(22)을 가지고 있다. 제 1 금속 시트(20)와 제 2 금속 시트(21)는 각각 외주 고정 영역(24,2 5)을 가지고 있으며, 그 외주 고정 영역(24)에서 용접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도 1 및 도 1a를 참조하면, 안전 장치(1)의 점화 장치(3)는, 점화 헤드(12)를 가지고, 전기 커넥터(13) 내로 수용되는 종래 기술의 일렉트로파이로테크닉 점화 장치(11)를 사용하여 형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점화 장치(3)는 하부 소자(7) 내의 방사 방향 개구(8) 내로 삽입하여, 중앙 리세스(9) 내에 점화 헤드(12)를 위치시킨다. 전력은 이후에 전기 커넥터(13) 내로 연결된 제 1 단부와 중앙 제어 장치에 접속된 제 2 단부를 가지는 전기 회로를 통해서 공급되어진다.
도 2 및 도 2a를 참조하면, 안전 장치(101)의 점화 장치(103)가 상기 도 2 및 도 2a에는 단면으로 도시되지 않은 가요성 폭약 전송 코드(130)와, 폭약 릴레이 충전물(131)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폭약 릴레이 충전물(131)은 중앙 리세스(9)에 인접한 방사 방향 개구(8) 내에 수용된다. 가요성폭약 전송 코드(130)는, 한편으로는, 방사 방향 개구 내로 도입되고, 상기 폭약 릴레이 충전물(131)과 접촉하게 되는 나사식 제 1 단부(132)와, 다른 한편으로는, 중앙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지는 제 2 단부를 가진다.
작동시, 안전 장치(1, 101)는 하기와 같이 동작한다.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안전 장치(1, 101)의 점화가 수반되는 충돌을 감지한 경우에, 대응하는 점화 장치(3, 103)를 활성화하게 된다. 점화 장치는 하부 소자(7)의 중앙 리세스(9) 내에 고온 가스를 생성하게 되고, 이들 가스는 원형 플레이트(10) 내의 중앙 천공부를 통해서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폭약을 구성하고 있는 평평한 시트(6)의 연소를 시작하게 한다. 연소에 의해서, 가스는 이후에, 매우 짧은 시간 간격으로, 천공편(15) 측벽의 오리피스(17)를 통해서 통과하게 되는 고온 가스를 생성하게 되고,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5)이 그 중심으로부터 팽창하도록 하게 된다.
이들 안전 장치(1, 101)는 실제로 매우 소형이며, 이들이 2 cm 정도의 최대 높이(H)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안전 장치(1, 101)의 소정의 위치 및 사용에 따라서, 제 1 금속 시트(20) 및 제 2 금속 시트(21)는, 예를 들어, 원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심지어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폭약 또한, 자체가 천공편(15)에 의해서 제 위치에 유지되는 연소 가능한 봉지 내에 포함되는 산재형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치(201)가, 한편으로는, 점화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폭약을포함하고 있는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205)이 부착되는 평평한 상부면(204)을 가지는 실린더형 몸체(202)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202)는 원반형 플레이트(250)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원반형 플레이트(250)는 측벽(240)을 가지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상기 측벽(240)으로부터 시작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평평한 상부면(204) 내의 두 개의 넓혀진 단말부에서 종결되는 방사 방향 채널(207)을 포함하고 있다. 점화 장치는 보호부(208) 내에 포함된 두 개의 전기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부(208) 자체는 방사 방향 채널(207) 내로 미끄러져 들어가게 된다. 제 1 점화 비드(209)는 방사 방향 채널(207)의 두 개의 넓혀진 단말부 중의 하나 내로 도입되며, 제 2 점화 비드(210)는 다른 넓혀진 단말부 내로 도입된다. 이들 두 개의 점화 비드(209, 210)는 보호부(208) 내에 포함된 두 개의 전기 와이어에 대해서 평행하게 접속되며, 보호부는 전자적 중앙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폭약은, 실리콘 바인더와, 실질적으로 과염소산 암모늄 및 질화 나트륨에 기초하는 무기질 산화제 충전물을 포함하는 복합 폭약 합성물로 이루어지며, 평평한 상부면(204)을 지지하도록 위치하는 스프링(214)과 천공편(215) 사이에서 쐐기 고정되는 평평한 시트(206)의 형태로 제조된다. 천공편은 용접에 의해서 평평한 상부면(204)에 부착되는 외주 환형부(216)와, 오리피스(217)를 구비한 측벽, 및 평평한 시트(206)와 접촉하게 되는 보스(219)를 구비한 중앙 디스크(218)를 포함하고 있는 컵 형상을 가진다.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205)은 제 1 금속 시트(220)와 견고한 돔 형상의 제 2 금속 시트(221)로 이루어지며, 두 개의 금속 시트는 강철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금속 시트(220)는 천공편(215)의 환형부(216)를 둘러싸게 되는 오리피스와, 나사식 패스너에 의해서 원반형 플레이트(250) 내로 볼트(223)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중간 고정 영역(222)을 가지고 있다. 제 1 금속 시트(220) 및 제 2 금속 시트(221)는 각각 외주 고정 영역(224, 225)을 가지고 있으며, 그 외주 고정 영역(224, 225)에서 용접에 의해서 함께 고정된다.
작동시, 안전 장치(201)는 하기와 같이 동작한다.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안전 장치(201)의 점화가 수반되는 충돌을 감지하는 경우에, 전류를 두 개의 전기 와이어로 전달하게 되고, 이는 두 개의 점화 비드(209, 210)의 시작을 초래하게 된다. 이들은 폭약을 구성하는 평평한 시트(206)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고온 가스를 생성하게 된다. 이 평평한 시트(206)는 폭약을 구성한다. 이 평평한 시트(205)는 이후에 천공편(215) 측벽의 오리피스(217)를 통과하게 되는 고온 가스를 생성하게 되고,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205)이 그 중심으로부터 시작하여 완전하게 팽창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안전 장치(201)는 심지어 상술한 것들 보다도 더욱 소형화되며, 1 cm 정도의 최대 높이(h)를 갖기 때문이다.
또한, 안전 장치(201)의 소정의 위치 및 사용에 따라서, 제 1 금속 시트(220) 및 제 2 금속 시트(221)는, 예를 들어, 원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심지어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폭약 또한, 자체가 천공편(215)에 의해서 제 위치에 유지되는 연소 가능한 봉지 내에 포함되는 산재형 분말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따른 유리한 대체형에 따른 안전 장치(301)가, 점화 장치가 고정되는 실린더형 몸체(30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몸체(302)는 폭약을 포함하는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305)이 부착되는 평평한 상부면(304)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302)는 중앙 불연속부(360)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형상이다. 중앙 불연속부는, 자체적으로 링에 의해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오리피스를 가지고 있다. 점화 헤드(312)에 고정되고 중앙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통상적인 실린더형의 일렉트로파이로테크닉 점화 장치(311)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점화 장치는, 이후에 상기 중앙 오리피스 내로 삽입되며, 이후에 점화 장치(311) 상으로 링을 결합시키고, 이에 의해서 상기 점화 장치는 크림핑(crimping)에 의해서 제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실린더형 점화 장치(311)는 안전 장치(301)의 회전 축선과 일치하는 축선을 가지게 된다.
폭약은, 실리콘 바인더와, 실질적으로 과염소산 암모늄 및 질화 나트륨에 기초하는 무기질 산화제 충전물을 포함하는 복합 폭약 합성물로 이루어지며, 평평한 상부면(304)과 천공편(315) 사이에서 쐐기 고정된 연소 가능한 봉투(도시하지 않음) 내에 포함되어 있는 산재형 분말(306)의 형태로 제조된다. 천공편은 용접에 의해서 평평한 상부면(304)에 부착되는 외주 환형부(316)와, 오리피스(317)를 구비한 측벽, 및 중앙 디스크를 포함하고 있는 컵 형상이다.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305)은 제 1 금속 시트(320)와 견고한 돔 형상의 제 2 금속 시트(321)로 이루어지며, 두 개의 금속 시트는 강철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금속 시트(320)는 천공편(315)의 환형부(316)를 둘러싸게 되는 오리피스와, 나사식 패스너에 의해서 몸체(302) 내로 볼트(323)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중간 고정 영역(322)을 가지고 있다. 제 1 금속 시트(320) 및 제 2 금속 시트(321)는 각각 외주 고정 영역(324, 325)을 가지고 있으며, 그 외주 고정 영역(324, 325)에서 용접에 의해서 함께 고정된다.
작동시, 안전 장치(301)는 하기와 같이 동작한다.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안전 장치(301)의 점화가 수반되는 충돌을 감지하는 경우에, 점화 장치(311)가 활성화하게 되고, 이후에 이 점화 장치는 산재형 분말(306)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전달되는 고온의 가스를 생성하게 된다. 연소에 의해서, 이 분말은 매우 짧은 시간 간격으로, 천공편(315) 내의 오리피스(317)를 통과하게 되는 고온 가스를 형성하게 되고,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305)은 그 중심으로부터 시작하여 완전하게 팽창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금속 시트(320)와 제 2 금속 시트(321)는, 예를 들어서, 원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심지어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Claims (15)

  1. 지지부에 고정된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5, 205, 305)과, 폭약(6, 206, 306)과, 전원에 접속되는 점화 장치(3, 103)를 포함하며, 자동차 내에 수용되는 안전 장치(1, 101, 201, 301)에 있어서,
    상기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은 중앙 오리피스와 지지부에 부착된 중간 고정 영역(22, 222, 322)과 주위 고정 영역(24, 224, 324)을 가지는 제 1 금속 시트(20, 220, 320)와, 주위 고정 영역(25, 225, 325)을 가지는 견고한 반구형 제 2 금속 시트(21, 221, 321)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개의 금속 시트는 그들의 외주 고정 영역에서 함께 고정되며,
    상기 폭약은 불침투성 팽창성 금속 백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1, 101, 201, 301)는 상기 지지부가 제 1 금속 시트(20, 220, 320)가 고정되는 평평한 상부면(4, 204, 304)을 가지는 실린더형 몸체(2, 202, 30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1, 101, 201, 301)는 상기 백(5, 205, 305) 내에 포함되고 몸체(2, 202, 302)의 평평한 상부면(4, 204, 304)에 고정되는 천공편(15, 215, 315)은 폭약(6, 206, 306)을 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1, 101, 201)는 상기 폭약이 평평한 시트(6, 206)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평평한 시트는 천공편(15, 215)과 스프링(14, 214) 사이에 쐐기 고정되며, 자체적으로 몸체(2, 202)의 평평한 상부면(4, 204)에 대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301)는 상기 폭약이 산재형 분말(3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1, 101, 201, 301)는 상기 폭약이 실리콘 바인더와 무기질 산화 충전물을 포함하는 복합 폭약 합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1, 101)는 상기 몸체(2)가 제 1 금속 시트(20)에 의해서 유지되는 중앙 오리피스와 면하도록 위치된 중앙 리세스(9)에 의해서 연장되는 방사 방향 개구(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1)는 상기 점화 장치(3)가 그 자체가 전기 커넥터(13)에 삽입되는 일렉트로파이로테크닉 점화 장치(1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화 장치는 몸체(2)의 방사 방향 개구(8)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101)는 상기 점화 장치(103)가 폭약 전송 코드(130)와 폭약 릴레이 충전물(13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201)는 상기 폭약 릴레이 충전물(131)이 몸체(2)에 의해서 유지되는 방사 방향 개구(8) 내에 수납되며,
    상기 폭약 전송 코드(130)는 상기 방사 방향 개구 내에 삽입되고, 폭약 릴레이 충전물과 접촉하는 일 단부(13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201)는 상기 몸체(202)가 측벽(240)을 가진 원반형 플레이트(250)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벽에서 시작하여 상기 평평한 상부면(204)에서 적어도 두개의 넓혀진 단말부에서 종결되는 방사 방향 채널(207)이 상기 원반형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201)는 상기 방사 방향 채널(207)이 전류를 전도하는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방사 방향 채널의 두 개의 넓혀진 단말부 각각은 점화 비드(209, 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돌 직후에 승객을 들어올리도록 승객 좌석의 시트부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돌시 전방 좌석 승객의 하부 림브(limb)를 보호하도록 대시보드의 저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돌시 차량의 구조체의 특정 부분을 강화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KR10-2000-0055700A 1999-09-24 2000-09-22 내장형 폭약을 구비한 팽창식 금속 구조의 안전 장치 KR100394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11963 1999-09-24
FR9911963A FR2799708B1 (fr) 1999-09-24 1999-09-24 Structure metallique gonflable a chargement pyrotechnique integ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219A KR20010067219A (ko) 2001-07-12
KR100394895B1 true KR100394895B1 (ko) 2003-08-19

Family

ID=955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700A KR100394895B1 (ko) 1999-09-24 2000-09-22 내장형 폭약을 구비한 팽창식 금속 구조의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6460873B1 (ko)
EP (1) EP1086862A1 (ko)
JP (2) JP3523171B2 (ko)
KR (1) KR100394895B1 (ko)
BR (1) BR0004383A (ko)
FR (1) FR27997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9708B1 (fr) * 1999-09-24 2001-12-07 Livbag Snc Structure metallique gonflable a chargement pyrotechnique integre
US7188567B1 (en) 1999-11-12 2007-03-13 Zodiac Automotive Us Inc. Gas generation system
FR2831123B1 (fr) * 2001-10-19 2004-07-30 Livbag Snc Dispositif generateur de gaz hybride utilise en securite automobile pour gonfler un coussin de protection lateral
FR2831122B1 (fr) * 2001-10-19 2004-07-30 Livbag Snc Dispositif generateur de gaz hybride pour gonfler un coussin de protection utilise en securite automobile
US7162958B2 (en) * 2002-05-17 2007-01-16 Zodiac Automotive Us Inc. Distributed charge inflator system
US6886469B2 (en) * 2002-05-17 2005-05-03 Zodiac Automotive Us Inc. Distributed charge inflator system
US7137341B2 (en) * 2002-05-17 2006-11-21 Zodiac Automotive Us Inc. Distributed charge inflator system
CN1323874C (zh) 2002-07-25 2007-07-04 奥托利夫开发有限公司 乘客约束装置用充气囊及其制造方法
US6848715B2 (en) * 2002-08-26 2005-02-01 Autoliv Asp, Inc. Folded rigid knee airbag
GB2397559A (en) * 2003-01-22 2004-07-28 Autoliv Dev Airbag arrangement for windscreen and A-pillar
US20050023802A1 (en) * 2003-07-31 2005-02-03 Enders Mark L. Adapter unit for a knee airbag
US7144032B2 (en) * 2003-09-09 2006-12-05 Autoliv Asp, Inc. Expandable pelvic side airbag
FR2868351B1 (fr) * 2004-04-02 2006-06-23 Pyroalliance Sa Dispositif de decoupe d'une structure dans un vehicule automobile
JP4878878B2 (ja) * 2006-03-15 2012-02-15 タカタ株式会社 車両シート、車両
JP5342213B2 (ja) * 2007-11-20 2013-1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1126430A (ja) * 2009-12-18 2011-06-30 Autoliv Development Ab 車両用エアバッグ構造
DE102013211273A1 (de) * 2013-06-17 2014-12-18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Schienenfahrzeug mit einer Einrichtung zum Passantenschutz sowie Einrichtung zum Passantenschutz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6880A1 (de) 1991-05-23 1992-11-26 Diehl Gmbh & Co Anordnung einer gaserzeugenden masse in einem airbag
US5351977A (en) * 1992-11-03 1994-10-04 Trw Inc. Externally vented airbag assembly
JPH06305392A (ja) * 1993-04-27 1994-11-01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ガス排出構造
US5366239A (en) * 1993-09-27 1994-11-22 Trw Inc. Air bag inflator assembly
DE4425830C2 (de) * 1993-10-28 1996-08-08 Daimler Benz Aerospace Ag Aktivierbares energieabsorbierendes Bauteil
DE4442118B4 (de) * 1993-11-26 2004-07-01 Toyoda Gosei Co., Ltd., Nishikasugai Airbag
US5615914A (en) * 1995-01-17 1997-04-01 Olin Corporation Inflatable metal bladders for automobile passenger protection
FR2730965B1 (fr) * 1995-02-23 1997-04-04 Livbag Snc Generateur pyrotechnique de gaz pour coussin gonflable d'un vehicule automobile
US5496057A (en) * 1995-03-31 1996-03-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cover retainer
US5505488A (en) * 1995-04-03 1996-04-09 Morton International, Inc. Integral airbag cushion retainer, filter and diffuser
DE19520847B4 (de) * 1995-06-08 2005-08-18 Honda Giken Kogyo K.K. Vorrichtung zur Gaserzeugung für einen Kraftfahrzeug-Airbag
DE19532666A1 (de) * 1995-09-05 1997-03-06 Diehl Gmbh & Co Schutz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6234521B1 (en) * 1996-04-08 2001-05-2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Airbag inflator and an airbag apparatus
DE19629339C2 (de) * 1996-07-20 1998-07-09 Mst Automotive Gmbh Vorrichtung zum Aufblasen eines in einem Lenkrad untergebrachten Airbags
DE29613045U1 (de) * 1996-07-26 1996-11-21 Trw Repa Gmbh Knieschutzeinrichtung
EP0823362B1 (en) * 1996-08-06 2003-10-01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US5762360A (en) * 1996-10-31 1998-06-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assembly
US5839756A (en) 1997-02-03 1998-11-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flatable bladder
US6126197A (en) * 1997-04-24 2000-10-03 Talley Defense Systems, Inc. Lightweight discoidal filterless air bag inflator
AU9774198A (en) * 1997-09-08 1999-03-29 Paul G. Apen Distributed charge inflator system
FR2771356A1 (fr) * 1997-11-26 1999-05-28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Piece d'equipement de securite pour vehicule automobile
US6254121B1 (en) * 1998-12-14 2001-07-03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Chambered driver side air bag and module attachment method
GB9904266D0 (en) * 1999-02-24 1999-04-21 Automotive Dev Specialists Ltd Inflatable protection apparatus
US6149746A (en) * 1999-08-06 2000-11-21 Trw Inc. Ammonium nitrate gas generating composition
FR2799708B1 (fr) * 1999-09-24 2001-12-07 Livbag Snc Structure metallique gonflable a chargement pyrotechnique integre
US6189927B1 (en) * 1999-12-16 2001-02-20 Autoliv Asp, Inc. Adaptive output inflator
FR2802873B1 (fr) * 1999-12-23 2002-03-22 Giat Ind Sa Dispositif de securite pyrotechnique pour vehic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80189A1 (en) 2002-12-05
JP3785167B2 (ja) 2006-06-14
BR0004383A (pt) 2001-06-19
JP2004106834A (ja) 2004-04-08
US20020180185A1 (en) 2002-12-05
KR20010067219A (ko) 2001-07-12
US6505852B2 (en) 2003-01-14
FR2799708B1 (fr) 2001-12-07
JP2001122063A (ja) 2001-05-08
EP1086862A1 (fr) 2001-03-28
US6460873B1 (en) 2002-10-08
FR2799708A1 (fr) 2001-04-20
US6543801B2 (en) 2003-04-08
JP3523171B2 (ja) 200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4895B1 (ko) 내장형 폭약을 구비한 팽창식 금속 구조의 안전 장치
US6669230B1 (en) Multistage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apparatus
CN100497048C (zh) 气体发生器
US4530516A (en) Aluminum inflator with steel center-tie
JP4814082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システム用火薬式インフレータ
EP1133417B1 (en) Dual level inflator
EP1658204B1 (en) Pyrotechnique side impact inflator
US6295935B1 (en) Initiator for air bag inflator
US5613706A (en) Self-contained inflator pyrotechnic initiator
JPH07108645B2 (ja) 膨張性抑止装置用ガス発生装置
JP2005528276A (ja) ガス発生材フィルタ組立体、および、フィルタと閉鎖蓋との組合せ、および、エアバッグインフレータ
JP3031808U (ja) 膨張装置のソケットピン用カラー
US6231080B1 (en)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system
EP0616927A1 (en) Inflator assembly
JPH07205745A (ja) 車両乗員拘束装置
EP0896911B1 (en) Cushion for air bag gas generator
JP3044097U (ja) エアバッグインフレータ用の発射体一体型点火装置およびエアバッグインフレータ
JP2759066B2 (ja) 乗物搭乗者用の膨張可能な拘束具の膨張装置
JP3905133B2 (ja) 内部ガスの噴射を伴うハイブリッド式ガス発生装置
JPWO2002024493A1 (ja) ガス発生器
JPH04334641A (ja) エアバッグ膨張装置
CN114802090A (zh) 车辆安全系统气体发生器、安全气囊模块及车辆安全系统
JPH0761316A (ja) ガス発生器
JPH07309191A (ja) エアバッグ装置用インフレータ
JPH04108458U (ja) エアバツ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