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883B1 - Crt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Crt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883B1
KR100394883B1 KR10-2001-0055001A KR20010055001A KR100394883B1 KR 100394883 B1 KR100394883 B1 KR 100394883B1 KR 20010055001 A KR20010055001 A KR 20010055001A KR 100394883 B1 KR100394883 B1 KR 100394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electrode
high voltage
crt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0843A (ko
Inventor
헤이시아키노리
야스이히로노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0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H04N5/68Circuit details for cathode-ray display t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85Maintaining dc voltage const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전자 빔 제어용 전극에 전용 전압원에 의해 전압이 인가되어 전극 전류가 공급되는 유형의 전자총을 구비하는 CRT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전자총의 전극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와의 사이에 방전이 발생한 경우, 자동적으로 방전을 중단시킨다.
비교 회로(19)는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과 Gm 전극 전압원(17)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전자총의 전극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여, 피드백 전압만이 정상값으로부터 저하된 것을 검출했을 때에 고압 제어 회로(22)에 검출 신호를 공급한다. 고압 제어 회로(22)는 상기 검출 신호가 공급되었을 때에 고압 라인(5)의 전압을 저하시켜, 애노드에 인가되는 고압 및 G3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저하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Description

CRT 표시 장치{CRT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CRT을 포함하는 CRT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자 빔 제어용의 전극에 전용 전압원에 의해서 전압이 인가되어 전극 전류가 공급되는 유형의 전자총을 갖는 CRT를 포함하는 CRT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전술한 유형의 전자총을 구비한 CRT를 포함하는 CRT 표시 장치의 예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11-224618 호 공보에 개시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장치는 전자총 내에 통상적으로 마련되는 G2 전극과 G3 전극과의 사이에 변조용 Gm 전극을 새롭게 마련한 전자총을 갖는, "Hi-Gm 관"이라고 하는 고휘도·고해상도의 CRT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8에 있어서, (1)은 CRT, (2)는 애노드(anode), (3)은 플라이백 변압기(flyback transformer), (4)는 플라이백 변압기(3)내의 2차 코일(secondary coil)이다. 2차 코일(4)은 고압 라인(5)을 거쳐서 CRT(1)의 애노드(2)에 접속되어 있다. (6)은 플라이백 변압기(3)내의 고저항으로서, 그 한쪽 단부는 2차 코일(4)에 접속되고, 다른쪽 단부는 G3 전극용 가변 저항(7)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G3 전극용 가변 저항(7)의 다른쪽 단부는 플라이백 변압기(3) 외부의 고압 검출 저항(10)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고, 또한, 슬라이드 가능(slidable) 단자는 CRT(1)의 G3 전극(11)에 접속되어 있다. G3 전극용 가변 저항(7)과 고압 검출 저항(10)의 접속점은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로서, 이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은 고압 제어 회로(22)에 공급되고 있다. (12)는 CRT(1)의 Gm 전극으로서, Gm 전극(12)에는 Gm 전극 전압원(17)으로부터의 전압이 인가된다. (13)은 CRT(1)의 G2 전극으로서, G2 전극(13)에는 G2 전극 전압원(16)으로부터의 전압이 인가된다. (14)는 CRT(1)의 G1 전극, (15)는 CRT(1)의 캐소드(cathode)이다. (18)은 2차 코일(4)에 접속되고, 애노드(2)에 전자 빔 전류(이하, "빔 전류"라고칭함)를 공급하는 빔 전류 공급원이다. (20)은 플라이백 변압기(3)내의 1차 코일(primary coil)로서, 그 한쪽 단부는 고압 제어 회로(22)에 접속되고, 다른쪽 단부는 고압 발생용 전원 회로(23)에 접속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G3 전극 이후의 전자총의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그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G2 전극(13) 및 Hi-Gm 관에 특유한 Gm 전극(12)에는, 캐소드로부터 스크린에 흐르는 빔 전류에 비례하는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전압 강하 값을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해서 이들 전극에는, 저출력 임피던스의 전압원(16 및 17)으로부터 각각 전압이 인가된다. 도 8에서는, G2 전극(13)에 약 500V의 전압을 인가하고, Gm 전극(12)에는 약 80V의 전압을 인가하고 있다. 캐소드(15)의 전위가 Gm 전극(12)의 전위보다도 낮게 되면, 전자가 Gm 전극(12)을 통과하여 스크린에 흐른다. Gm 전극(12)을 통과한 후의 전위 기울기는 106V/m 정도로서, 캐소드(15)와 G1 전극(14)의 사이의 전위 기울기에 비해 1자리수 정도 크고, 전자가 Gm 전극(12)의 근방을 통과한 후에는, 공간 전하 효과의 영향을 받지 않아, 많은 전자가 스크린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상기 Hi-Gm 관에 있어서, 캐소드 전위를 소정의 일정한 값만큼 변동시켰을 때의 빔 전류의 변화는 종래의 CRT에 비해 약 2배로 된다. 즉, Hi-Gm 관에서는, 빔 전류를 소정의 값만큼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캐소드 전위의 변동폭을 종래의 절반 이하로 할 수 있고, 또한 캐소드 전위의 변동폭이 동일하면,종래의 CRT에 비해 빔 전류의 변화량을 2배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Hi-Gm 관을 이용하면 고주파수의 비디오 신호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어, 고휘도·고해상도의 표시 장치가 얻어진다.
캐소드(15)의 전압이 저하함에 따라서 빔 전류가 증가하여, 화면의 휘도는 상승한다. 이 때, 빔 전류에 비례하여 Gm 전극(12) 및 G2 전극(13)에 흐르는 전류도 증가한다. CRT(1)의 애노드(2)에는 플라이백 변압기(3)의 2차 코일(4)에 의해서 25 kV 정도로 승압된 전압이 인가되고 있고, 빔 전류는 2차 코일(4)에 접속된 빔 전류 공급원(18)으로부터 공급된다. 애노드(2)에 인가되는 25 kV 정도의 고압은 고저항(6)(약 100 MΩ), G3 전극용 가변 저항(7) 및 고압 검출 저항(10)에 의해서 분압되고, G3 전극용 가변 저항(7)의 슬라이드 가능 단자에 7kV 정도의 전압이 얻어진다. 이 전압은 빔 전류를 수렴시키는 기능을 갖는 G3 전극(11)에 인가된다. G3 전극(11)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전압 강하는 발생하지 않아, G3 전극(11)에 인가되는 전압은 변동하지 않는다.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에 있어서의 전압은 고압 제어 회로(22)에 입력되고, 고압 제어 회로(22)는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이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1차 코일(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스위칭 주파수 혹은 스위칭 듀티를 제어함으로써, 고압 라인(5)에 항상 25 kV 정도의 최적 전압이 얻어지도록 한다.
전술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애노드(2)와 G3 전극(11)과의 사이에서 스파크방전이 발생한 경우, G3 전극(11)의 전위가 상승하고, G3 전극(11)과 Gm 전극(12) 또는 G2 전극(13)과의 사이에서, 또한 이들 Gm, G2 전극을 거쳐서 G3 전극(11)과 캐소드(15)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G3 전극(11)에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고저항(6)을 흐르는 전류에 의한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 G3 전극(11)의 전위가 저하된다. G3 전극(11)의 전위가 저하되면, 빔 전류를 수렴시키는 효과가 약해져서, G3 전극(11)에 직접 전자 빔이 비추어짐으로써 스크린측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화면이 검게 된다(비치지 않게 된다). 이 때,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도 저하되므로, 고압 제어 회로(22)는 고압 라인(5)의 전압을 상승시키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고압 라인(5)의 전압이 이상한 값으로 상승하게 된다. 고압 라인(5)의 전압이 상승하며, 그 결과 G3 전극(11)의 전압도 완전하게 저하되지 않기 때문에, 방전이 지속된다. 이 상태에서는, CRT(1)의 각 전극에 제어할 수 없는 고전압이 계속하여 인가되고, 과대한 전극 전류가 흘러, 화면이 검게 된 상태로부터 정상 상태로 복귀할 수 없고, CRT(1)의 전자총 특성이 열화되게 된다. 최초의 스파크 방전이 불순물 등에 의해 G3 전극(11)과 Gm 전극(12) 또는 G2 전극(13)과의 사이에서 발생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위험한 상태로 될 수 있다. 고압이 상승한 상태가 더욱 계속되면, CRT 뿐만 아니라 표시 장치내의 전기 회로 부품도 큰 스트레스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전자 빔 제어용의 전극에 전용 전압원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어, 전극 전류가 공급되는 유형의 전자총을 구비한 CRT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전자총의 전극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와의 사이에 방전이 발생한 경우, 자동적으로 방전을 중단시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종래의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RT 2 : 애노드
3 : 플라이백 변압기 4 : 2차 코일
5 : 고압 라인 6 : 고저항
7 : G3 전극용 가변 저항
8 : 스크린 바이어스 전압 출력용 가변 저항
9 :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 10 : 고압 검출 저항
1l : G3 전극 12 : Gm 전극
13 : G2 전극 14 : G1 전극
15 : 캐소드 16 : G2 전극 전압원
17 : Gm 전극 전압원 18 : 빔 전류 공급원
19 : 비교 회로 20 : 1차 코일
22 : 고압 제어 회로 23 : 고압 발생용 전원 회로
24 : 정상 고압 레벨 생성원 25 : 타이머 회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캐소드와, 그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인출하기 위한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을 그 순서대로 구비하며, G2 전극과 G3 전극과의 사이에 변조용 Gm 전극을 더 구비한 전자총을 구비하는 CRT와, 해당 CRT의 애노드에 인가하는 고압을 2차측에 생성하는 변압기와, 상기 G3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고압을 분압하는 분압 저항과, 해당 분압 저항에 유입되는 전류에 따른 전압을 피드백 전압으로서 생성하는 수단과, 해당 피드백 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고압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전압을 제어하는 고압 제어 회로와, 상기 G2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G2 전극 전압원과, 상기 Gm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Gm 전극 전압원을 포함하는 CRT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Gm 전극 전압원의 출력 전압 및 상기 G2 전극 전압원의 출력 전압중의 어느 하나와 상기 피드백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피드백 전압만이 정상값으로부터 저하된 것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고압 제어 회로에 검출 신호를 공급하는 비교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고압 제어 회로는 해당 검출 신호가 공급되었을 때에 상기 고압을 저하시키도록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캐소드와, 해당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인출하기 위한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을 그 순서대로 구비한 전자총을 구비하는 CRT와, 그 CRT의 애노드에 인가하는 고압을 2차측에 생성하는 변압기와, 해당 G3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고압을 분압하는 분압 저항과, 해당 분압 저항에 유입되는 전류에 따른 전압을 피드백 전압으로서 생성하는 수단과, 해당 피드백 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고압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전압을 제어하는 고압 제어 회로와, 상기 G2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G2 전극 전압원을 포함하는 CRT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과 상기 G2 전극 전압원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피드백 전압만이 정상값으로부터 저하된 것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고압 제어 회로에 검출 신호를 공급하는 비교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고압 제어 회로는 해당 검출 신호가 공급되었을 때에 상기 고압을 저하시키도록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르면, 캐소드와, 해당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인출하기 위한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을 그 순서대로 구비하며, G2 전극과 G3 전극과의 사이에 변조용 Gm 전극을 더 구비한 전자총을 갖는 CRT와, 해당 CRT의 애노드에 인가하는 고압을 2차측에 생성하는 변압기와, 상기 G3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고압을 분압하는 분압 저항과, 상기 분압 저항에 유입되는 전류에 따른 전압을 피드백 전압으로서 생성하는 제 1 전압 발생 수단과, 해당 피드백 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고압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전압을 제어하는 고압 제어 회로와, 상기 G2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G2 전극 전압원과, 상기 Gm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Gm 전극 전압원을 포함하는CRT 표시 장치에 있어서,
해당 CRT 표시 장치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의 피드백 전압의 값과 동일한 값의 전압을 발생하는 제 2 전압 발생 수단과, 상기 피드백 전압과 상기 제 2 전압 발생 수단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피드백 전압만이 정상값으로부터 저하된 것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고압 제어 회로에 검출 신호를 공급하는 비교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고압 제어 회로는 해당 검출 신호가 공급되었을 때에 상기 고압을 저하시키도록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전압을 제어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캐소드와, 해당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인출하기 위한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을 그 순서대로 구비하며, G2 전극과 G3 전극과의 사이에 변조용 Gm 전극을 더 구비한 전자총을 갖는 CRT와, 해당 CRT의 애노드에 인가하는 고압을 2차측에 생성하는 변압기와, 상기 G3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고압을 분압하는 제 1 분압 저항과, 해당 제 1 분압 저항에 직렬로 접속되어 CRT 화면의 흑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스크린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제 2 분압 저항과, 상기 제 1 및 제 2 분압 저항에 유입되는 전류에 따른 전압을 피드백 전압으로서 생성하는 수단과, 해당 피드백 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고압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전압을 제어하는 고압 제어 회로와, 상기 G2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G2 전극 전압원과, 상기 Gm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Gm 전극 전압원을 포함하는 CRT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Gm 전극 전압원의 출력 전압 및 상기 G2 전극 전압원의 출력 전압중의 어느 하나와 상기 스크린 바이어스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스크린 바이어스 전압만이 정상값으로부터 저하된 것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고압 제어 회로에 검출 신호를 공급하는 비교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고압 제어 회로는 해당 검출 신호가 공급되었을 때에 상기 고압을 저하시키도록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특징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CRT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교 수단이, 상기 검출 신호가 출력되고 나서 상기 고압 제어 회로가 일정한 기간에 걸쳐 상기 고압을 저하시킨 후, 정상 값으로 되돌리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비교 수단에 타이머 회로를 구비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도 8의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즉, (1)은 CRT, (2)는 애노드, (3)은 플라이백 변압기, (4)는 플라이백 변압기(3)내의 2차 코일이다. 2차 코일(4)은 고압 라인(5)을 거쳐서 CRT(1)의 애노드(2)에 접속되어 있다. (6)은 플라이백 변압기(3)내의 고저항으로서, 그 한쪽 단부는 2차 코일(4)에 접속되고, 다른쪽 단부는 G3 전극용 가변 저항(7)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G3 전극용 가변 저항(7)의 다른쪽 단부는 플라이백 변압기(3) 외부의 고압 검출 저항(10)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고, 또한 슬라이드 가능 단자는 CRT(1)의 G3 전극(11)에 접속되어 있다. G3 전극용 가변 저항(7)과 고압 검출 저항(10)의 접속점은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로서,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은 고압 제어 회로(22)에 공급되고 있다. (12)는 CRT(1)의 Gm 전극으로서, Gm 전극(12)에는 Gm 전극 전압원(17)으로부터의 전압이 인가된다. (13)은 CRT(1)의 G2 전극으로서, G2 전극(13)에는 G2 전극 전압원(16)으로부터의 전압이 인가된다. (14)는 CRT(1)의 G1 전극이고, (15)는 CRT(1)의 캐소드이다. (18)은 2차 코일(4)에 접속되고, 애노드에 빔 전류를 공급하는 빔 전류 공급원이다. (20)은 플라이백 변압기(3)내의 1차 코일로서, 그 한쪽 단부는 고압 제어 회로(22)에 접속되고, 다른쪽 단부는 고압 발생용 전원 회로(23)에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장치는,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과 Gm 전극 전압원(17)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 회로(19)를 더 구비하고 있다. 비교 회로(19)의 출력은 고압 제어 회로(22)에 입력된다. 도 1에 있어서, G3 전극 이후의 전자총의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그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CRT(1)의 애노드(2)에는 플라이백 변압기(3)의 2차 코일(4)에 의해서 25kV 정도로 승압된 전압이 인가되고 있고, 빔 전류는 2차 코일(4)에 접속된 빔 전류 공급원(18)으로부터 공급된다. 애노드(2)에 인가되는 25kV 정도의 고압은 고저항(6)(약 100 MΩ), G3 전극용 가변 저항(7) 및 고압 검출 저항(10)에 의해서 분압되어, G3 전극용 가변 저항(7)의 슬라이드 가능 단자에 7kV 정도의 전압이 얻어진다. 이 전압은 빔 전류를 수렴시키는 기능을 갖는 G3 전극(11)에 인가된다. G3 전극(11)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전압 강하는 발생하지 않아, G3 전극(11)에 인가되는 전압은 변동하지 않는다.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에 있어서의 전압은 고압 제어 회로(22)에 입력되고, 고압 제어 회로(22)는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이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1차 코일(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스위칭 주파수 혹은 스위칭 듀티(switching duty) 등을 제어함으로써, 고압 라인(5)에 항상 25kV 정도의 최적 전압이 얻어지도록 한다.
한편,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과 Gm 전극 전압원(17)의 출력 전압은 비교 회로(19)에도 입력된다. Gm 전극 전압원의 출력 전압이 정상값에 있는 것에 관계없이,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 레벨만이 정상값으로부터 저하되었을 때, 비교 회로(19)는 전자총의 전극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방전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가 고압 제어 회로(22)에 입력되면, 고압 제어 회로(22)는 1차 코일(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스위칭 주파수 혹은 스위칭 듀티 등을 제어함으로써 1차 코일(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실효값을 저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고압 라인(5)의 전압 및 G3 전극(11)에 인가되는 전압이 저하되어 방전이 중단된다. 또한, 표시 장치의 다른 기능을 실행하고 있는 마이크로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비교 회로(19)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장치는, Hi-Gm 관(1) 대신에 통상의 CRT(l00)를 사용하고 있고, 실시예 1의 장치에서 사용한 Gm 전극 전압원(17)은 구비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CRT(1)의 애노드(2)에는 플라이백 변압기(3)의 2차 코일(4)에 의해서 25kV 정도로 승압된 전압이 인가되고 있고, 빔 전류는 2차 코일(4)에 접속된 빔 전류 공급원(18)으로부터 공급된다. 애노드(2)에 인가되는 25kV 정도의 고압은 고저항(6)(약 100 MΩ), G3 전극용 가변 저항(7) 및 고압 검출 저항(10)에 의해서 분압되어, G3 전극용 가변 저항(7)의 슬라이드 가능 단자에 7kV 정도의 전압이 얻어진다. 이 전압은 빔 전류를 수렴시키는 기능을 갖는 G3 전극(11)에 인가된다. G3 전극(11)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전압 강하는 발생하지 않아, G3 전극(11)에 인가되는 전압은 변동하지 않는다.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에 있어서의 전압은 고압 제어 회로(22)에 입력되고, 고압 제어 회로(22)는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이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1차 코일(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스위칭 주파수 혹은 스위칭 듀티 등을 제어함으로써, 고압 라인(5)에 항상 25kV 정도의 최적 전압이 얻어지도록 한다.
실시예 2에서는, 비교 회로(19)에는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과 G2 전극 전압원(16)의 출력 전압이 입력된다. 비교 회로(19)는 G2 전극 전압원의 출력 전압이 정상값에 있는 것에 관계없이,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 레벨만이 정상값으로부터 저하했을 때, 비교 회로(19)는 전자총의 전극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방전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가 고압 제어 회로(22)에 입력되면, 고압 제어 회로(22)는 1차 코일(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스위칭 주파수 혹은 스위칭 듀티 등을 제어함으로써 1차 코일(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실효값을 저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고압 라인(5)의 전압 및 G3 전극(11)에 인가되는 전압이 저하하여, 방전이 중단된다. 또한, 표시 장치의 다른 기능을 실행하고 있는 마이크로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비교 회로(19)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은, 비교 회로(19)에 Gm 전극 전압원(17)의 출력 전압 대신에 G2 전극 전압원(16)의 출력 전압을 공급하는 점에서 실시예 l과 다르다.
즉, 실시예 3에서는, 비교 회로(19)에는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과 G2 전극 전압원(16)의 출력 전압이 입력되어, 비교 회로(19)는 G2 전극 전압원의 출력 전압이 정상값에 있는 것에 관계없이,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 레벨만이 정상값으로부터 저하했을 때, 비교 회로(19)는 전자총의 전극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방전 발생을 나타내는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가 고압 제어 회로(22)에 입력되면, 고압 제어 회로(22)는 1차 코일(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스위칭 주파수 혹은 스위칭 듀티 등을 제어함으로써 1차 코일(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실효값을 저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고압 라인(5)의 전압 및 G3 전극(11)에 인가되는 전압이 저하하여, 방전이 중단된다. 또한, 표시 장치의 다른 기능을 실행하고 있는 마이크로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이 비교 회로(19)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4에 따른 장치는, 전자총의 전극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지 않고, 장치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는 때의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의 전압과 동등한 전압을 출력하는 정상 고압 레벨 발생원(2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CRT(1)의 애노드(2)에는 플라이백 변압기(3)의 2차 코일(4)에 의해서 25kV 정도로 승압된 전압이 인가되고 있고, 빔 전류는 2차 코일(4)에 접속된 빔 전류 공급원(18)으로부터 공급된다. 애노드(2)에 인가되는 25kV 정도의 고압은 고저항(6)(약 100 MΩ), G3 전극용 가변 저항(7) 및 고압 검출 저항(10)에 의해서 분압되어, G3 전극용 가변 저항(7)의 슬라이드 가능 단자에 7kV 정도의 전압이 얻어진다. 이 전압은 빔 전류를 수렴시키는 기능을 갖는 G3 전극(11)에 인가된다. G3 전극(11)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전압 강하는 발생하지 않아, G3 전극(11)에 인가되는 전압은 변동하지 않는다.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에 있어서의 전압은 고압 제어 회로(22)에 입력되어, 고압 제어 회로(22)는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이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1차 코일(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스위칭 주파수 혹은 스위칭 듀티 등을 제어함으로써, 고압 라인(5)에 항상 25kV 정도의 최적 전압이 얻어지도록 한다.
실시예 4에서는, 비교 회로(19)에는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과 정상 고압 레벨 발생원(24)의 출력 전압이 입력된다. 비교 회로(19)는 정상 고압 레벨 발생원(24)의 출력 전압이 정상값에 있는 것에 관계없이,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 레벨만이 정상값으로부터 저하했을 때, 비교 회로(19)는 전자총의 전극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방전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가 고압 제어 회로(22)에 입력되면, 고압 제어 회로(22)는 1차 코일(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스위칭 주파수 혹은 스위칭 듀티 등을 제어함으로써 1차 코일(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실효값을 저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고압 라인(5)의 전압 및 G3 전극(11)에 인가되는 전압이 저하하여, 방전이 중단된다. 또한, 표시 장치의 다른 기능을 실행하고 있는 마이크로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이 비교 회로(19)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CRT의 플라이백 변압기에 있어서, 종래에는 화면의 흑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서 G2 전극에 인가하는 스크린 바이어스(screen bias) 전압을 생성하는 가변 저항이 구비되어 있지만, 실시예 5에서는, 이러한 가변 저항에 의해 얻어지는 스크린 바이어스 전압을 이용하여 전자총의 전극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와의 사이의 방전 발생을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도 5에서는, 스크린 바이어스 전압 생성용의 가변 저항(8)은 G3 전극용 가변 저항(7)과 고압 검출 저항(10)과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그 슬라이드 가능 단자에 얻어지는 스크린 바이어스 전압은 비교 회로(19)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CRT(1)의 애노드(2)에는 플라이백 변압기(3)의 2차 코일(4)에 의해서 25kV 정도로 승압된 전압이 인가되고 있고, 빔 전류는 2차 코일(4)에 접속된 빔 전류 공급원(18)으로부터 공급된다. 애노드(2)에 인가되는 25kV 정도의 고압은 고저항(6)(약 100 MΩ), G3 전극용 가변 저항(7), 스크린 바이어스 전압 출력용 가변 저항(8) 및 고압 검출 저항(10)에 의해서 분압되어, G3 전극용 가변 저항(7)의 슬라이드 가능 단자에 7kV 정도의 전압이 얻어진다. 이 전압은 빔 전류를 수렴시키는 기능을 갖는 G3 전극(11)에 인가된다. 전자총의 전극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G3 전극(11)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전압 강하는 발생하지 않고, G3 전극(11)에 인가되는 전압은 변동하지 않고, 또한, 가변 저항(7)에 직렬인 가변 저항(8)의 슬라이드 가능 단자에 얻어지는 스크린 바이어스 전압도 변동하지 않는다.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에 있어서의 전압은 고압 제어 회로(22)에 입력되어, 고압 제어 회로(22)는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이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1차 코일(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스위칭 주파수 혹은 스위칭 듀티 등을 제어함으로써, 고압 라인(5)에 항상 25kV 정도의 최적 전압이 얻어지도록 한다.
실시예 5에서는, 비교 회로(19)에는 Gm 전극 전압원(17)의 출력 전압과 가변 저항(8)으로부터의 스크린 바이어스 전압이 입력된다. 비교 회로(19)는 Gm 전극 전압원(17)의 출력 전압이 정상값에 있는 것에 관계없이, 스크린 바이어스 전압만이 정상력으로부터 저하했을 때, 전자총의 전극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방전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가 고압 제어 회로(22)에 입력되면, 고압 제어 회로(22)는 1차 코일(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스위칭 주파수 혹은 스위칭 듀티 등을 제어함으로써 1차 코일(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실효값을 저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고압 라인(5)의 전압 및 G3 전극(11)에 인가되는 전압이 저하하여, 방전이 중단된다. 또한, 표시 장치의 다른 기능을 실행하고 있는 마이크로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이 비교 회로(19)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6은,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화면의 흑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서 G2 전극에 인가되는 스크린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가변 저항(8)의 출력을 이용하여 전자총의 전극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와의 사이의 방전 발생을 검출하는 것이지만, 비교 회로(19)에는 Gm 전극 전압원(17)의 출력 전압 대신에 G2 전극 전압원(16)의 출력 전압이 공급되는 점에서 실시예 5와 다르다.
실시예 6에서는, 비교 회로(19)는 G2 전극 전압원(16)의 출력 전압이 정상값에 있는 것에 관계없이, 스크린 바이어스 전압만이 정상값으로부터 저하했을 때, 전자총의 전극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방전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가 고압 제어 회로(22)에 입력되면, 고압 제어 회로(22)는 1차 코일(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스위칭 주파수 혹은 스위칭 듀티 등을 제어함으로써 1차 코일(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실효값을 저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고압 라인(5)의 전압 및 G3 전극(11)에 인가되는 전압이 저하하여, 방전이 중단된다. 또한, 표시 장치의 다른 기능을 실행하고 있는 마이크로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이 비교 회로(19)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7은, 비교 회로(19)의 출력이 타이머 회로(25)를 거쳐서 고압 제어 회로(22)에 공급되는 점에서 실시예 1과 다르다.
실시예 7에서는, 비교 회로(19)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 레벨과 Gm 전극 전압원(17)의 출력 전압이 입력된다. 비교 회로(19)는 Gm 전극 전압원(17)의 출력 전압이 정상값에 있는 것에 관계없이, 고압 레벨 피드백 포인트(9)의 전압 레벨만이 정상값으로부터 저하했을 때, 전자총의 전극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방전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타이머 회로(25)를 거쳐서 고압 제어 회로(22)에 입력되고, 고압 제어 회로(22)는 1차 코일(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스위칭 주파수 혹은 스위칭 듀티 등을 제어함으로써 고압 라인(5)의 전압을 타이머 회로(25)에 설정된 일정한 기간에 걸쳐 저하시킨다. 이 기간이 경과하면, 고압 제어 회로(22)의 제어 동작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방전의 발생에 의해 화면이 검게 된 상태로부터 자동적으로 정상 상태로 복귀한다. 이 타이머 회로(25)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일정 기간은 가변되어도 무방하다. 타이머 회로(25)는 전슬한 모든 실시예에서 채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다른 기능을 실효 제어하고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이 비교 회로(19)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CRT(Hi-Gm 관)의 애노드에 인가되는 고압에대응하는 피드백 전압과 Gm 전극 전압원의 출력 전압 또는 G2 전극 전압원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전자총의 전극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여 피드백 전압만이 정상값으로부터 저하된 경우에는, 고압 제어 회로에 검출 신호를 전송하여 고압값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고압 및 G3 전극 전압이 함께 저하되어 방전이 중단된다. 이것에 의해 CRT의 각 전극에 제어할 수 없는 고전압이 계속적으로 인가되고, 과대한 전극 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되어, CRT의 전자총의 특성 열화, 전기 부품의 과대한 스트레스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CRT의 애노드에 인가되는 고압에 대응하는 피드백 전압과 G2 전극 전압원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전자총의 전극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여 피드백 전압만이 정상값으로부터 저하된 경우에는, 고압 제어 회로에 검출 신호를 전송하여 고압값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고압 및 G3 전극 전압이 함께 저하되어 방전이 중단된다. 이것에 의해 CRT의 각 전극에 제어할 수 없는 고전압이 계속적으로 인가되고, 과대한 전극 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되어, CRT의 전자총의 특성 열화, 전기 부품의 과대한 스트레스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특징에 따르면, CRT의 애노드에 인가되는 고압에 대응하는 피드백 전압과 장치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의 피드백 전압의 값과 동일한 값을 갖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발생 수단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고, 전자총의 전극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여 피드백 전압만이 정상값으로부터 저하된 경우에는, 고압 제어 회로에 검출 신호를 전송하여 고압값을 저하시키기때문에, 고압 및 G3 전극 전압이 함께 저하되어 방전이 중단된다. 이것에 의해 CRT의 각 전극에 제어할 수 없는 고전압이 계속적으로 인가되고, 과대한 전극 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되어, CRT의 전자총의 특성 열화, 전기 부품의 과대한 스트레스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종래, CRT의 플라이백 변압기로부터 출력되는 CRT 화면의 흑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스크린 바이어스 전압과 Gm 전극 전압원의 출력 전압 또는 G2 전극 전압원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전자총의 전극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여 스크린 바이어스 전압만이 정상값으로부터 저하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고압 제어 회로에 검출 신호를 전송하여 고압값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고압 및 G3 전극 전압이 함께 저하되어 방전이 중단된다. 이것에 의해 CRT의 각 전극에 제어할 수 없는 고전압이 계속적으로 인가되고, 과대한 전극 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되어, CRT의 전자총의 특성 열화, 전기 부품의 과대한 스트레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교 수단이 애노드에 인가되는 고압을 일정 기간에 걸쳐서 저하시킨 후, 정상 값으로 되돌리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타이머 회로를 구비한 것으로 하면, 고압 및 G3 전극 전압을 함께 저하시켜 방전이 중단된 후, 방전 발생에 의해 화면이 검게 된 상태로부터 정상 상태로 장치를 자동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캐소드와, 해당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인출하기 위한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을 그 순서대로 구비하며, G2 전극과 G3 전극과의 사이에 변조용 Gm 전극을 더 구비한 전자총을 구비하는 CRT와, 해당 CRT의 애노드에 인가하는 고압을 2차측에 생성하는 변압기와, 상기 G3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고압을 분압하는 분압 저항과, 해당 분압 저항에 유입되는 전류에 따른 전압을 피드백 전압으로서 생성하는 수단과, 해당 피드백 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고압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전압을 제어하는 고압 제어 회로와, 상기 G2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G2 전극 전압원과, 상기 Gm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Gm 전극 전압원을 포함하는 CRT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Gm 전극 전압원의 출력 전압 및 상기 G2 전극 전압원의 출력 전압중의 어느 하나와 상기 피드백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피드백 전압만이 정상값으로부터 저하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고압 제어 회로에 검출 신호를 공급하는 비교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고압 제어 회로는 해당 검출 신호가 공급되었을 때에 상기 고압을 저하시키도록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표시 장치.
  2. 캐소드와, 해당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인출하기 위한 G1 전극, G2 전극, G3전극을 그 순서대로 구비한 전자총을 구비하는 CRT와, 해당 CRT의 애노드에 인가하는 고압을 2차측에 생성하는 변압기와, 상기 G3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고압을 분압하는 분압 저항과, 해당 분압 저항에 유입되는 전류에 따른 전압을 피드백 전압으로서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피드백 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고압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전압을 제어하는 고압 제어 회로와, 상기 G2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G2 전극 전압원을 포함하는 CRT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과 상기 G2 전극 전압원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피드백 전압만이 정상값으로부터 저하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고압 제어 회로에 검출 신호를 공급하는 비교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고압 제어 회로는 해당 검출 신호가 공급되었을 때에 상기 고압을 저하시키도록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표시 장치.
  3. 캐소드와, 해당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인출하기 위한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을 그 순서대로 구비하며, G2 전극과 G3 전극과의 사이에 변조용 Gm 전극을 더 구비한 전자총을 갖는 CRT와, 해당 CRT의 애노드에 인가하는 고압을 2차측에 생성하는 변압기와, 상기 G3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고압을 분압하는 분압 저항과, 해당 분압 저항에 유입되는 전류에 따른 전압을 피드백 전압으로서 생성하는 제 1 전압 발생 수단과, 해당 피드백 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고압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전압을 제어하는 고압 제어 회로와, 상기 G2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G2 전극 전압원과, 상기 Gm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Gm 전극 전압원을 포함하는 CRT 표시 장치에 있어서,
    해당 CRT 표시 장치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의 피드백 전압의 값과 동일한 값의 전압을 발생하는 제 2 전압 발생 수단과, 상기 피드백 전압과 상기 제 2 전압 발생 수단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피드백 전압만이 정상값으로부터 저하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고압 제어 회로에 검출 신호를 공급하는 비교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고압 제어 회로는 해당 검출 신호가 공급되었을 때에 상기 고압을 저하시키도록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표시 장치.
KR10-2001-0055001A 2000-09-11 2001-09-07 Crt 표시 장치 KR100394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74354A JP2002082643A (ja) 2000-09-11 2000-09-11 Crt表示装置
JPJP-P-2000-00274354 2000-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843A KR20020020843A (ko) 2002-03-16
KR100394883B1 true KR100394883B1 (ko) 2003-08-19

Family

ID=1876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001A KR100394883B1 (ko) 2000-09-11 2001-09-07 Crt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66035B1 (ko)
JP (1) JP2002082643A (ko)
KR (1) KR100394883B1 (ko)
CN (1) CN1165068C (ko)
TW (1) TWM26282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5119A (zh) * 2011-03-10 2014-01-22 伊利克塔股份有限公司 用于直线加速器的电子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02517C (zh) * 2005-06-13 2009-06-17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抑制彩电待机关机彩斑和亮点的方法及具有该功能的电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8850A (ja) * 1993-05-10 1994-11-15 Toshiba Corp コンバーゼンス補正回路
JPH0764529A (ja) * 1993-08-30 1995-03-10 Hitachi Ltd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US5430596A (en) * 1993-01-13 1995-07-04 Sony Corporation CRT protector circuit
US6060845A (en) * 1996-10-07 2000-05-09 Hitachi, Ltd.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and deflection circuit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0485A (ja) * 1996-03-26 1997-12-12 Sony Corp カラー陰極線管
JPH11224618A (ja) 1998-02-05 1999-08-17 Mitsubishi Electric Corp Crt用電子銃および電子流を制御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0596A (en) * 1993-01-13 1995-07-04 Sony Corporation CRT protector circuit
JPH06318850A (ja) * 1993-05-10 1994-11-15 Toshiba Corp コンバーゼンス補正回路
JPH0764529A (ja) * 1993-08-30 1995-03-10 Hitachi Ltd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US6060845A (en) * 1996-10-07 2000-05-09 Hitachi, Ltd.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and deflection circuit arrang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5119A (zh) * 2011-03-10 2014-01-22 伊利克塔股份有限公司 用于直线加速器的电子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47671A1 (en) 2002-04-25
TWM262828U (en) 2005-04-21
CN1344006A (zh) 2002-04-10
KR20020020843A (ko) 2002-03-16
JP2002082643A (ja) 2002-03-22
US6366035B1 (en) 2002-04-02
CN1165068C (zh) 200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5318B2 (ja) 自動受動管バイアス反応性スクリーングリッド電源を備えたビデオ表示システム
JP6090448B2 (ja) 高電圧電源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質量分析装置
KR100394883B1 (ko) Crt 표시 장치
KR910009432B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KR950005597B1 (ko) 영상표시 장치용 보호회로
KR100406572B1 (ko) Cdt전자총용 전원공급장치
KR19990083508A (ko) 고전압전원회로
JP7492902B2 (ja) 異常検知機能付き高圧出力回路および高圧出力の異常検知方法
US6384536B1 (en) CRT display apparatus
KR100654743B1 (ko) 음극선관을 보호하기 위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보호 회로 및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KR100377224B1 (ko) Cdt전자총의 전원공급회로 및 전원공급방법
JP2000295489A (ja) 高圧発生回路
KR100351814B1 (ko) 모니터의 전압변화 방지회로
KR930001704Y1 (ko) Crt 보호회로
KR200179723Y1 (ko) 수평 안정화 회로
KR940005876B1 (ko) 칼라 콘버젼스 자동 보상회로
JP2865145B2 (ja) 陰極線管のバックラスタ制御装置
KR20040039712A (ko) Fbt구동장치
JPH01260976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の異常電圧検出回路
KR100416259B1 (ko) 도전성 대전롤러의 대전장치
KR20030042589A (ko) 모니터의 고압 발생장치
JP2002135798A (ja) Crt表示装置およびカットオフ調整方法
JP2002142172A (ja) Crt表示装置
KR19990043401A (ko)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
KR20000012657U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