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636B1 - 박막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질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박막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질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636B1
KR100393636B1 KR10-2001-0030911A KR20010030911A KR100393636B1 KR 100393636 B1 KR100393636 B1 KR 100393636B1 KR 20010030911 A KR20010030911 A KR 20010030911A KR 100393636 B1 KR100393636 B1 KR 100393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thin film
composition
ratio
lithium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2056A (ko
Inventor
존브리안트베이츠
Original Assignee
퓨처 사이언스 리서치 인스티튜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퓨처 사이언스 리서치 인스티튜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퓨처 사이언스 리서치 인스티튜트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1-0030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636B1/ko
Publication of KR20020092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포스포러스 옥시나이트라이드에 S2-음이온을 부가하여 우수한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더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갖는 박막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질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해질 조성물은 일반식 LiwPOxNySz로 표현되며, 2x+3y+2z = 5+w이고, w3이며, 0〈S/P 비≤0.2의 값을 갖는다. 상기한 조성을 갖는 LIPONS 전해질의 제조방법은 Li3PO4파우더를 Li2SO4또는 Li2S 파우더와 혼합하여 스퍼터링 타겟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타겟을 N2분위기에서 스퍼터링하여 일반식 LiwPOxNySz로 표현되는 조성물로서 전해질막을 생성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박막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질 조성물 및 제조방법{Electrolyte Compositions for Thin Film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박막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질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튬 포스포러스 옥시나이트라이드에 S2-음이온을 부가하여 우수한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더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갖는 박막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질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충전이 가능한 박막전지는 단말기나 스마트 카드 등의 정보통신 단말기, 마이크로 로봇 및 인공심장과 같이 소형화, 포터블화 및 신체이식 등이 요구되는 각종 전자장치에 필수적인 전원공급장치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박막이차전지에 대한 가능성은 오래 전부터 예상되어 왔으나, 1983년에서야 Kanehori 등에 의해 Li을 음극, TiS2를 양극, 비정질 리튬 포스포실리케이트(lithium phosphosilicate)(Li3.6Si0.6P0.4O4)를 전해질로 하는 박막전지를 처음으로 구현하였으며, 완전한 충전상태에서 2.5V의 OCV(open circuit voltage)을 얻었다. 또한, 이 박막전지는 16 ㎂/㎠의 전류밀도에서 2000번의 충방전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초기의 박막이차전지는 음극 및 양극소재의 개발은 물론 전해질 소재의 개발에 따라 고성능의 전지로 발전되어왔다.
특히, 박막 Li 및 Li-이온 전지로 달성되는 고성능은 리튬 포스포러스 옥시나이트라이드(Lithium Phosphorous Oxynitride ; LiPON)이라고 하는 유리상 전해질에 우선적으로 기인하고 있다. 이 물질은 질소(N2) 분위기에서 Li3PO4타겟을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 의해 박막으로 형성되며, 전형적으로는 Li3.3P3.6O0.4의 조성을 이룬다. 실온에서 LiPON은 2×10-6S/cm (2μS/cm)의 Li+이온 전도도와 단일의 운송번호(Transport No.)를 갖는다. 전자적인 전도도(Electronic conductivity)는 1013Ω-cm 이상으로 측정되므로 무시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LiPON이 0V에서 5.5V 사이의 전위에서 금속 Li과 접촉시에 안정하다(stable)는 것이다. 긴 저장(shelf) 및 사이클 수명을 갖는 박막전지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이러한 뛰어난 전기화학적 안정성 때문이다.
LiPON에 대한 종래의 연구는 본 발명자 등이 발표한 3논문(J.B.Bates,G.R.Gruzalski, N.J.Dudney, and C.F.Luck, "New Amorphous Thin-Film Lithium Electrolyte and Rechargeable Microbattery," p.337 in Proceedings of 35th International Power Sources Symposium,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Piscataway, New Jersey, 1993; J.B.Bates, G.R.Gruzalski, N.J.Dudney, C.F.Luck and X.Yu, "Rechargeable Thin-Film Lithium Batteries," Solid State Ionics 70/71, 619 (1994); 및 X.Xu, J.B.Bates, G.E.Jellison, Jr., and F.X.Hart, "A Stable Thin-Film Lithium Electrolyte: Lithium Phosphorous Oxynitride," J. Electrochem. Soc. 144, 524 (1997))과, 본 발명자 등에게 허여된 2개의 미합중국특허 제5,512,147호 및 제5,597,660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LiPON의 독특한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글래스 구조의 Li3PO4에 N원자의 부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LiPON에서의 전도도는 LiMn2O4, V2O5및 x-선 비정질 LiCoO2음극을 갖는 전지에 만족스럽다. 그러나, 결정질 LiCoO2음극막을 통한 Li 확산은 충분히 높아 음극의 두께가 약 3.5㎛에 도달할 때까지 전해질이 셀 저항에 대한 지배적인 공헌자(dominant contributor) 역할을 한다(J.B.Bates, N.J.Dudney, B.J.Neudecker, F.X.Hart, H.P.Jun, and S.A.Hackney, "Preferred Orientation of Polycrystalline LiCoO2Films," J. Electrochem. Soc., 147, 59 (2000) 참조).
따라서, 전해질의 전도도를 증가시키면 결정질의 LiCoO2음극을 갖는 박막전지의 방전성능이 향상될 것으로 판단되어 이러한 전지를 대부분의 박막전지에 응용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유리질의 이온 전도성 솔리드의 구조에 S2-와 같은 고분극성 음이온(anion)이 부가되면 전도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다수의 논문이 발표되어 있다(V.K.Deshpande, A.Pradel, and M.Ribes, "The Mixed Glass Former Effect in the Li2S:SiS2:GeS2System", Mat. Res. Bull. 23, 379 (1988) 및 R.Creus, J.Sarradin, R.Astier, and M.Ribes, "The Use of Ionic And Mixed Conductive Glasses in Microbatteries", Mater. Sci. and Eng. B3, 109 (1989) 참조).
상기 Creus 등은 xLi2S : (1-x)SiS2조성물을 사용하여 글래스막을 형성하고 50μS/cm이상의 전도도를 관찰하였다. 그러나, 이 막은 금속 Li과 접촉시 불안정상태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상과는 달리 글래스 조성물에 P2S5를 첨가하는 경우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개선하지 못하였고, 그래서 작동가능한 박막 리튬전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전해질막의 상부에 LiI 층을 형성하여 전해질 막이 Li 양극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Jones 및 Akridge는 작동가능한 Li-TiS2박막셀을 얻기 위하여는 6LiI:4Li3PO4:P2S5조성을 갖는 박막 전해질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와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S.D.Jones and J.R.Akridge, "A Thin-Film Solid-State Microbattery", J. Power Sources 43-44, 505 (1993) 참조).
상기 두 전해질층의 전체 이온 전도도는 여전히 비교적 높은 약 20μS/cm이었으나, 약 3V 이상의 전위에서 금속 Li과 접촉할 때 불안정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전해질은 3.8V 이상의 전위에서 동작하는 LiCoO2또는 LiMn2O4와 같은 산화물-베이스 음극을 갖는 박막 Li 전지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Kondo 등은 보고에 의하면 Li에 대하여 -1~4V의 전위에서 안정한 벌크상 Li3PO4-Li2S-SiS2글래스에서 103μS/cm의 높은 전도도를 달성하였다(K.Iwamoto, N.Aotani, K.Takada, and S.Kondo, "Rechargeable Solid State Battery with Lithium Conductive Glass, Li3PO4-Li2S-SiS2", Solid State Ionics 70/71, 658 (1994) 참조). 그러나, 전해질이 셀내에서 금속 Li 및 산화물-베이스 음극과 접촉된 상태에서 전기화학적 테스트가 수행되었는지에 대하여는 어떤 보고도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튬 포스포러스 옥시나이트라이드(LiPON)에 S2-음이온을 부가하여 우수한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한층 더 높은 전도도를 갖는 박막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은 글래스 구조에 S2-음이온의 존재로 인하여 종래의 LiPON 보다 더 높은 전도도를 갖는 일반식 LiwPOxNySz로 표현되는 조성을 갖는 새로운 박막 전해질의 합성에 관한 것으로, 간략화를 위하여 추후에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인 리튬포스포러스 옥시나이트라이드설파이드(Lithium Phosphorous Oxynitridesulfide) 는 "LIPONS"로 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박막 전해질 조성물에 대하여 S/P 비에 따른 전해질막의 이온 전도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반식 LiwPOxNySz로 표현되며, 2x+3y+2z = 5+w이고, w3이며, 0〈S/P 비≤0.2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리튬 전해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S/P 비는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12〈S/P 비≤0.16 범위로 설정된다
상기한 새로운 조성의 LIPONS 전해질의 제조방법은 Li3PO4파우더를 Li2SO4또는 Li2S 파우더와 혼합하여 스퍼터링 타겟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타겟을 N2분위기에서 스퍼터링하여 일반식 LiwPOxNySz(여기서, 2x+3y+2z = 5+w이며, w3인)로 표현되는 조성물로서 전해질막을 생성하는 단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해질 조성물 LiwPOxNySz에서 원자들 사이의 조성비에 대한 수식(2x+3y+2z = 5+w 이며, 여기서 w3인)은 조성물을 이루는 양이온 및 음이온 원자들의 통상적인 원자가(valence)의 합이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서 S/P 비를 0〈S/P 비≤0.2로 설정한 이유는 S가 0 이상부터 약 0.15의 S/P 비에 대응한 양으로 부가될 때까지는 리튬 포스포러스 옥시나이트라이드의 이온 전도도는 종래에 비하여 월등하게 증가하고, S/P 비가 0.15 이상이 되도록 S를 부가하면 오히려 이온 전도도는 감소한다. 그런데, S/P 비가0.15에서 0.2 범위에서는 0에서 0.15 범위와 동일한 이온 전도도를 가지나 S/P 비가 0.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0에서 0.15 범위보다 더 낮은 이온 전도도를 갖게 되므로, 최적의 S/P 비는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설정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 조성물 LiwPOxNySz은 고체 전해질로서 LiCoO2또는 LiMn2O4음극을 갖는 박막 리튬 또는 리튬-이온 전지에 사용하는 경우 종래의 LiPON-베이스 전지보다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갖기 때문에 더 많은 파워와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전지용 새로운 전해질의 박막은 레이스 트랙(race track) 주위에 Li2SO4또는 Li2S 파우더가 분포되어 있는 Li3PO4타겟을 스퍼터링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면 Li3PO4타겟의 레이스 트랙 위의 Li2SO4또는 Li2S의 함량을 변화시킴에 의해 넓은 범위의 조성물을 갖는 리튬 포스포러스 옥시나이트라이드설파이드(lithium phosphorus oxynitridesulfide: LIPONS)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 막은 순수 N2분위기에서 화합물 타겟의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rfmagnetron sputtering)에 의해 형성되었다.
전해질막의 전도도는 보로실리케이트 글래스 기판(borosilicate glass substrates) 위에 형성된 Au/LIPONS/Au 샌드위치 구조에 대하여 AC 임피던스 측정에 의해 결정되었다. Au 접점 사이의 전해질막의 유효 단면영역은 약 0.04cm2이었고, 표면 프로파일 측정에 의해 결정된 전해질막의 두께는 0.8 내지 1.2μm 범위에 있었다. P, O, N 및 S의 정성적인 원자비의 값은 주사전자현미경(SEM)에 부착된 에너지 분산 x-선(EDX) 분석기로 측정된 이들 원소의 Kα 및 Lβ x-선 형광라인의 상대적인 강도에 따라 얻어졌다. 이들 측정은 전도도 측정용 시료(sample)를 증착한 것과 동일한 런(run) 동안 Cu 포일 위에 증착된 전해질막에 대하여 시행되었다.
실험결과는 도 1에 표시되었다. 여기서 S/P 비는 막 조성이 Li3PO4-xSx로 표현된다고 가정할 때 표준으로서 Li2SO4파우더에 대한 EDX 측정으로부터 O/S 비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질소(N2)의 함량은 종래 LiPON의 경우와 같이 소량으로 하였다.
도 1의 결과는 S/P 비가 0〈S/P 비≤0.15 및 0.15≤S/P 비≤0.2인 구간일 때 , 리튬 포스포러스 옥시나이트라이드의 이온 전도도(Conductivity)는 약 2.9 내지 4.0μS/cm의 값으로 종래에 비하여 40% 정도 증가된 수치를 나타내고 있고, S/P 비가 0.2 이하로 되는 경우 이온 전도도는 전해질로서 실용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값으로 계속 낮게 나타났다.
특히 도 1에서 S/P 비는 0.12〈S/P 비≤0.16 범위에 있을 때 최상의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조성물의 이온 전도도는 작은 S/P 비를 갖는 조성물을 선택함에 의해 LiPON의 이온 전도도보다 10 이상 더 크게 증가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 조성물 LiwPOxNySz은 고체 전해질로서 LiCoO2또는 LiMn2O4음극을 갖는 박막 리튬 또는 리튬-이온 전지에 사용하는 경우 음극과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종래의 LiPON-베이스 전지보다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가지므로 더 많은 파워와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일반식 LiwPOxNySz로 표현되며, 2x+3y+2z = 5+w이고, w3이며, 0〈S/P 비≤0.2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P 비는 0.12〈S/P 비≤0.16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질 조성물.
  3. Li3PO4파우더를 Li2SO4또는 Li2S 파우더와 혼합하여 스퍼터링 타겟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타겟을 N2분위기에서 스퍼터링하여 일반식 LiwPOxNySz(여기서, 2x+3y+2z = 5+w이며, w3인)로 표현되는 조성물로서 전해질막을 생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질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을 이루는 조성물은 S/P 비가 0〈S/P 비≤0.2의 값을 갖도록 S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질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1-0030911A 2001-06-01 2001-06-01 박막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질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393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911A KR100393636B1 (ko) 2001-06-01 2001-06-01 박막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질 조성물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911A KR100393636B1 (ko) 2001-06-01 2001-06-01 박막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질 조성물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056A KR20020092056A (ko) 2002-12-11
KR100393636B1 true KR100393636B1 (ko) 2003-08-02

Family

ID=3749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911A KR100393636B1 (ko) 2001-06-01 2001-06-01 박막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질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36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056A (ko) 200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8880B1 (en) All-solid-state cell
US20040096745A1 (en) Lithium ion conductor and all-solid lithium ion rechargeable battery
KR100884599B1 (ko) 리튬 이온 2차 전지 및 그 고체 전해질
EP1732152B1 (en) Negative electrode member for secondary lithium batter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ones et al.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a rechargeable thin-film solid-state microbattery
JP2002513991A (ja) ガラス保護層を有する被覆リチウム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47664A (ko) 리튬 이온 2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29813A (ko) 우수한 사이클링 안정성과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갖는리튬-이온 이차 박막 전지
EP2983230A1 (en)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battery, lithium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battery
JP2004179158A (ja) リチウムイオン伝導体および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9209486B2 (en) All-solid-state cell
DE102019111405A1 (de) Sulfid- und oxysulfidglas und glaskeramische festkörperelektrolyte für elektrochemische zellen
JP2020514948A (ja) 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156284A (ja) リチウムイオン導電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KR101047865B1 (ko) 고체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전지
EP0905807B1 (en)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P3916854B1 (en) Electrode plate and battery
KR100393636B1 (ko) 박막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질 조성물 및 제조방법
EP4250421A1 (en) Composite solid electrolyte for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JP2005108638A (ja) リチウムイオン導電体
CN1392623A (zh) 锂磷氧氮硫化合物电解质薄膜
KR20020085942A (ko) 고율 충·방전용 다층 고체 전해질, 이를 이용한 박막전지및 그의 제조방법
WO2024090533A1 (ja) 被覆付き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被覆層形成用溶液、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4892964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充電方法
KR100513185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고체 전해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