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145B1 - 조립식릴 - Google Patents

조립식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145B1
KR100393145B1 KR1019960022920A KR19960022920A KR100393145B1 KR 100393145 B1 KR100393145 B1 KR 100393145B1 KR 1019960022920 A KR1019960022920 A KR 1019960022920A KR 19960022920 A KR19960022920 A KR 19960022920A KR 100393145 B1 KR100393145 B1 KR 100393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stopper
flange
groove
stopp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2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433A (ko
Inventor
히토시 카자마
Original Assignee
도요 쥬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쥬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쥬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03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전기부품을 저장하기 위해 형성된 저장부를 가지는 테입을 감기위한 릴을 제공하기 위해서, 다량의 테입을 감을 수가 있고, 쉽게 조립이 되고, 저장과 운반이 가능하도록 해체가 가능한 상기 릴을 제공한다.
플랜지(1,1)를 릴 허브(4)의 양단면에 접촉하도록 유도하여, 릴 허브(4)의 돌출부(44,44…)를 각 홈(2)의 결합구멍(25,25…)에 결합하는 동안, 우선, 릴 허브(4)를 각 플랜지(1)의 홈(2) 외벽(23) 주위에 맞추고, 스토퍼링(5)을 각 홈(2)에 맞추고 회전하여서 스토퍼부(53,53…)가 릴 허브(4)의 돌출부(44,44…)와 홈(2)의 바닥면(24) 사이에 형성된 간극(X,X…)으로 이동하는 동안 전진하도록 함으로서 릴 허브(4)와 플랜지(1,1)가 서로서로 고정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릴
본 발명은 조립식 릴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칩과 다른 전기부품을 저장하고 운송하는 경우, 플라스틱 테입 등에 형성된 오목부에 전기부품을 넣고, 이 부품을 포장 테입 등으로 포장한 후, 릴 주위를 플라스틱 테입으로 싸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술의 일례로 일본실용공고 64851/1984 및 44969/1986이 있다.
다른 예로는 일본 실용공고 33867/1984가 있는데, 이는 두개의 플랜지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하나의 플랜지 중심에서 돌출된 보스를 다른 플랜지의 중심에서 돌출된 다른 보스에 접촉되도록 유도하는 방법으로 릴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일본 실용공고 44969/1987에는 감는 허브가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체층을 가진 것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구조를 가진 릴을 제공하는 경우, 릴 허브, 즉, 권동(winding drum)부와 플랜지 부는 별도로 형성되어 나중에 단단히 조립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플랜지에 릴 허브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생산 공정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은 상기 일본실용공고 33867/1984에 기재되어 있고, 이는 릴 허브로 제공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각 플랜지에서 돌출되어, 조립시, 맞댄 연결수단에 의해 상응하는 돌출부에 연결되어진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부품의 수가 단지 2개 뿐이다. 그러나, 특정위치가 연결점에 설정되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2개의 부품을 연결하여 균일하고 직선인 릴허브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결착제 혹은 용접에 의해서 연결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연결작업에 문제가 상당히 많다.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출원인들은 두개의 부재를 단순히 맞춤으로써 릴을 용이하게 조립하고, 릴 히브와 전체 플랜지를 도체 소재를 사용하여 일체 성형함으로서, 결합과 같은 별도의 공정없이 단시간에 조립을 용이하게 행하고, 두개의 부품만을 사용하므로 제품의 단가가 매우 낮다는 잇점을 가진 구성을 제공한다(일본실용 공고20855/1992 및 20856/1992).
최근, 전기부품의 소비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대량의 종래 전기부품을 저장하고 운반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지만, 종래의 릴로는 이것을 완전히 대처하기가 어렵다. 다량의 전기부품을 저장하기 위해, 종래의 조립식으로는 불가능한 큰 강도 뿐만아니라 종래의 릴보다 큰 지름을 가진 릴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이것들의 생산단가가 높기 때문에, 큰 릴이 여러 번 반복되어 사용되어야만 한다.
테입을 사용한 후 빈 릴의 운반에 대해 발생되는 문제점은, 큰 릴이 부피가크고 경량에도 불구하고 운송비가 많다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용이하게 조립되고, 사용될 다량의 칩과 다른 전기부품을 함유하고 보호하기에 충분한 강도와 용량을 가지고, 사용 후에, 적은 공간만을 차지하도록 분해되고, 운송이 용이한 조립릴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조립릴은 2개의 플랜지와 릴 허브로 구성되고, 릴 허브의 단말에 3개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릴이 장치나 도구 없이도 손으로 쉽게 조립되어진다. 플랜지가 릴 허브의 두 단말과 접촉하도록 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를 플랜지의 결합구멍에 삽입하는 도구로서, 스토퍼링을 각각의 플랜지의 외부면에 접촉하도록 유도하고, 스토퍼부를 각 스토퍼링의 한 단말에서 돌출부와 플랜지 사이의 공간에 삽입하는 것으로 스토퍼링을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은 본래 평판에 폴리스틸렌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플랜지를 나타낸다. 릴이 전기부품용으로서 도전성을 가지는 경우에, 카본블렉 등을 혼합한 수지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탄소섬유, 흑연, 티탄섬유 등이 카본블렉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충분한 강도와 중량 감소를 위해, 각 플랜지는 원형으로 배열된 갈비뼈와 같은 외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내부면은 일반적으로 부드럽다.
2는 적절한 폭의 U자형 부분을 가진 원형홈꼭 나타내는 것으로, 홈의 바닥이 플랜지의 한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방식으로 각 플랜지(1)의 중심에서 적당한 거리에 형성되어 있다. 톱니슬롯(22,22…)은 홈(2)의 내벽(21)에 난 구멍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비록 총 네개의 톱니슬롯이 내벽(21) 바닥에 규칙적인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슬롯의 수와 위치는 상기 조건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홈(2)의 외벽(23)이 바닥면(24)과 만나는 모퉁이는 길합구멍(25,25…)이고, 각각은 2개의 톱니슬롯(22,22…)이 인접하여 있다. 26,26은 홈(2)으로 돌출된 각각의 돌기를 나타내는 것이고, 3은 지지로드를 받는 삽입구멍을 나타내는 것이다.
4는 릴 허브를 나타내는 것으로, 외부 케이싱을 형성하는 원통형 본체(41)와, 상기 삽입구멍(3)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중앙원통(42)과, 중앙원통(42)과 외부의 원통형 본체(41) 사이에 연결된 갈비대(43,43)로 구성되어 있고, 이 갈비대로 두 원통을 단단히 고정하고 있다. 44,44…는 릴 허브의 측벽의 내면의 양 단면에서 내부로 돌출된 돌기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 돌기부(44)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짐으로써 그에 대응하는 결합구멍(25)에 삽입된다. 돌출부(44)가 결합구멍(25)에 삽입될 때, 각 돌출부(44)는 간극(X)이 돌출부(44)의 낮은 단말과 홈(2)의 저면(24) 사이에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5는 원형스토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광부(51)와 협부(52)로 이루어져 있고, 각 광부(51)는 U자가 반전된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홈(2)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것이고, 협부(52)는 결합구멍(25)에 삽입되는 돌출부(44)에 대응하는 것이다. 각 협부(52)는 협부(52)의 낮은 오른쪽 혹은 왼쪽 단면에서 돌출된 스토퍼부(53)로 구성된다. 스토퍼부(53)는 외부로 점점 가늘어길 수도 있다.
상기 바의 구성에서, 스토퍼링(5)은 광부(51)와 협부(52)가 교차되어 배열되어 형성되고, 각 스토퍼부(53)는 인접하는 광부(51)와 협부(52) 사이에 위치한다.54,54…는 각각의 광부(51)의 내면에서 내부로 돌출된 톱니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 톱니(54)는 홈(2)의 톱니슬롯(22)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 55는 스토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광부(51)의 첨단과 같은 높이에 있는 부이고, 다른 세개의 단면은 개방되어 있어 스토퍼(55)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각 스토퍼는 텅(57)과 홀드(58)로 이루어지고, 스토퍼(55)가 개방 방향 즉, 도면에서 59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저면의 전단면과 스토퍼의 상부에 각각 제공된다.
실시예를 이용하면, 플랜지(1,1)를 릴 허브(4)와 양 단면에 도입하고 플랜지(1,1)의 각각의 홈(2,2)의 외벽(23,23)을 릴 허브(4)의 양단면에 맞춘다. 이때, 릴 허브(4) 각 단면의 내부 모서리에 형성된 돌출부(44,44…)는 각각 플랜지(1)의 외벽(23)에 형성된 결합구멍(25,25…)에 삽입된다. 돌출부가 삽입되는 동안 릴 허브(4)의 돌출부(44)의 상면이 플랜지(1)의 저단면과 접촉되어지면, 간극(X)이 돌출부(44)의 저단면과 홈(2)의 저면(24) 사이에 형성된다.
그후, 스토퍼링(5)은 각 플랜지(1)의 홈(2)에 스토퍼링(5)의 협부(52,52…)가 각각의 돌출부(44,44…)에 위치하는 방법으로 맞춰진다. 이때, 합성수지의 탄성을 이용하여, 광부(51)의 내면에서 내부로 돌출된 각각의 톱니(54,54…)를 홈(2)의 내벽보다 릴의 중앙에 더 밀접한 톱니의 부분으로 홈(2)의 내벽에 형성된 톱니 슬롯(22,22…)으로 밀어넣는다. 그러나, 톱니의 돌출거리를 포함한 스토퍼링(5)의 전체 폭은 흠의 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될 것이다. 이제, 톱니(54,54…)는 어느면으로든 톱니슬롯(22,22…)에 결합된다.
이 단계에서 스토퍼링(5)이 회전되면, 스토퍼링(5)으로 회전되는스토퍼부(53,53…)는 돌출부(44,44…)와 홈(2)의 저면(24) 사이의 간극(X)을 향해서 전진한다. 스토퍼부(53,53…)를 간극(X)으로 삽입한 결과로, 혹은 스토퍼부(53,53…)의 상승된 면으로 인해 한면으로 향하는 결과, 톱니(54,54…)는 톱니슬롯(22,22…)으로 미끄러져 들어가서 이것의 안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엣지가 돌출부(44,44…)와 홈(2)의 저면(24) 사이에 밀어넣어지면, 플랜지(1)와 릴 허브(4)는 스토퍼부(53,53…)에 의해서 서로 서로 고정된다.
스토퍼링(5)의 회전이 돌출부(44,44…)와 홈(2)의 저면(24)사이에서 스토퍼부(53,53…)로 고정되어지는 때쯤이면, 스토퍼(55,55…)의 탄성이 스토퍼(55,55…)의 텅(57,57…)을 각 홈(2) 바닥면(24)에 있는 돌기(26,36…) 너머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텅(57,57…)이 돌기(26,26…)와 결합되기 때문에, 역방향으로 회전은 방지된다.
상기 바와 같은 조립된 릴은 다음의 정상적 과정을 수행함으로서 그 주위가 쌓이는 전기부품을 포함하는 테입공정으로 향한다.
사용 후 릴을 해체하는 경우에, 홀드(58)를 가진 스토퍼(55)를 한면으로 밀거나, 텅(57)을 위로 민다 이 단계에서, 상기 조이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스토퍼링(5)을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텅(57)은 홈(2) 바닥면(24)에 있는 돌기(26)를 넘어 이동하게 된다. 그리하여, 스토퍼링(5)이 더 회전하도록 한다. 스토퍼링(5)이 더 회전되면, 스토퍼부(53,53…)는 돌출부(44,44…)와 바닥면(24) 사이의 간극에서 돌출부(44,44…)가 협부(52,52…)에 도달한 때까지 멀리 이동한다. 스토퍼부(53,53…)가 돌출부(44,44…)와 결합부(25,25…) 사이에 더 이상 위치하지 않으므로, 플랜지(1)는 쉽게 릴 허브(4)로부터 제거될 수가 있다. 그러나 홈(2)에 있는 스토퍼링(5)은 이러한 톱니(54,54…)가 홈(2)의 톱니슬롯(22,22…)에서 결합되므로 해체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비록 제시된 도면은 없지만, 릴 허브(4)의 양단면에 적당한 수의 결합구멍과 후크와 같이 생긴 돌기를 가진 편평한 플랜지(1,1)가 릴 허브(4)의 두개의 단면과 접촉되어, 후크와 같이 생긴 돌기는 결합부의 외부로 돌출되고 각 스토퍼링의 내부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후크와 같이 생긴 돌기와 이에 대응하는 플랜지(1) 사이로 그들 사이에서 단단하게 고정될 때까지 미끄러져가는 플랜지(1)를 설명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서, 스토퍼링의 내부돌출부가 후크와 같이 생긴 돌기가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서 홈 등과 함께 제공되어야만 한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 릴은 2개의 플랜지와 릴 허브를 가지고 있고, 3개 이상의 돌출부가 각 릴 허브에 형성되어 있어서 장치나 장비 없이도 손으로 릴이 용이하게 조립된다. 즉, 플랜지가 릴 허브의 양단면과 접촉되어지면 상기 돌출부를 플랜지의 결합구멍에 삽입하는 수단으로, 스토퍼링을 각 플랜지의 외부면과 접촉하도록 하고, 스토퍼부를 각 스토퍼링의 한 단면에서 돌출부와 플랜지 사이의 공간에 삽입하는 것이다. 그로인해, 스토퍼링을 조이는 것이다. 사용후 운송 및/또는 저장이 될 때는, 릴 장치는 평면이므로 쉽게 적층되는 플랜지와, 작은 지름을 가진 릴 허브로 해체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최소화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운송과 저장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플랜지 정면의 주요부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선 A-A를 따라 그린 제2도의 수직단면도,
도 4는 상기 플랜지의 배면의 주요부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선 B-B를 따라 그린 제4도의 수직단면도,
도 7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실시예의 주요부 상면도,
도 8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릴허브의 주요부 상면도,
도 9는 선 C-C를 따라 그린 제8도의 수직단면도,
도 10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퍼링의 주요부 상면도,
도 11은 선 D-D를 따라 그린 제10도의 수직단면도,
도 12는 선 E-E를 따라 그린 제10도의 수직단면도,
도 13은 선 F-F를 따라 그린 제10도의 수직단면도,
도 14는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실시예의 주요부 확대 수직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플랜지,
2 ----------------- 홈,
25 ---------------- 결합구멍,
3 ----------------- 삽입구멍,
4 ----------------- 릴 허브,
5 ----------------- 스토퍼링,
53 ---------------- 스토퍼부.

Claims (7)

  1. 3개 이상의 돌출부가 릴 허브의 각 단의 림에 형성되어 있어서, 플랜지를 상기 릴 허브의 양단에 접촉하게 할 때 상기 돌출부가 플랜지를 관통하는 결합 구멍에 삽입하고; 스토퍼링을 상기 플랜지의 외부면과 접촉하게 하고; 각 스토퍼링의 일단에 형성된 스토퍼부를 상기 돌출부와 상기 플랜지 사이의 공간에 삽입하여 상기 스토퍼링을 고정함으로써 릴이 조립될 수 있고, 2개의 플랜지(1)와 하나의 릴 허브(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내부로 돌출되어 각 스토퍼링의 외부면에 형성된 스토퍼부가 상기 돌출부와 그에 대응하는 플랜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스토퍼링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링을 수용하는 홈이 플랜지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각 플랜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릴 허브의 대응하는 림이 홈의 외부 에지 주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릴.
  4. 제3항에 있어서, 적절한 수의 톱니가 각 스토퍼링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각 홈(2)의 벽을 관통하는 각각의 톱니 슬롯에 결합될 수 있고, 각각의 톱니 슬롯은 톱니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릴이 스토퍼와 돌기로 구성되어서, 각각의 스토퍼가 상응하는 플랜지의 홈에 연결된 부분을 가지고, 나머지 3부분은 개방되어 있으며, 일단에서 텅으로, 타단에서 홀드로 구성되고 그 돌기는 각각의 텅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홈의 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토퍼가 돌출부와 플랜지 사이의 간극으로 삽입될 때 상기 텅을 돌기너머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플랜지와 릴 허브는 도체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릴이 스토퍼와 돌기로 구성되어서, 각각의 스토퍼가 상응하는 플랜지의 홈에 연결된 부분을 가지고, 나머지 3부분은 개방되어 있으며, 일단에서 텅으로, 타단에서 홀드로 구성되고 그 돌기는 각각의 텅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홈의 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토퍼가 돌출부와 플랜지 사이의 간극으로 삽입될 때 상기 텅을 돌기너머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릴.
KR1019960022920A 1995-06-23 1996-06-21 조립식릴 KR100393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80653 1995-06-23
JP18065395A JP3565623B2 (ja) 1995-06-23 1995-06-23 組立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433A KR970003433A (ko) 1997-01-28
KR100393145B1 true KR100393145B1 (ko) 2003-11-28

Family

ID=1608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2920A KR100393145B1 (ko) 1995-06-23 1996-06-21 조립식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65623B2 (ko)
KR (1) KR100393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265A (ko) * 2002-05-29 2003-12-06 김정태 반도체 패키지용 테이프 릴
CN110451350B (zh) * 2019-09-12 2024-04-02 中山市美耐特光电有限公司 多功能柔性带收卷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433A (ko) 1997-01-28
JP3565623B2 (ja) 2004-09-15
JPH092742A (ja) 1997-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48470A (en) Stackable winding cores for magnetic tapes
US3822841A (en) Knockdown reel
KR0139921B1 (ko) 권취롤용 단부벽
JP2509943B2 (ja) リ−ルアセンブリ
US4009845A (en) Unreel reinforcer for dispensing wire
US5622333A (en) Adjustable wire reel
US20020195364A1 (en) Re-user case
EP0504394B1 (en) Fabric roll
US6948680B2 (en)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electric cable and electric cable components
US2990133A (en) One piece molded spool
KR100393145B1 (ko) 조립식릴
US5941477A (en) Virtually fully engagable stacking reel component
KR920006644B1 (ko) 테이프 감개
US6182922B1 (en) Reassemblable reel and disassembly device
US4341357A (en) Winding core for magnetic tape adapted for stacking
GB2046215A (en) Winding core for magnetic tape adapted for stacking
US5096063A (en) Interlocking flange assembly for spools
WO2007035999A1 (en) Construction module, eg spool half
AU778927B2 (en) Collapsible reel assembly
US6425550B1 (en) Carrier tape reel assembly
US20230271805A1 (en) Interlocked pay off reel design
US5004175A (en) Winding core for magnetic tape adapted for stacking
JP2556824B2 (ja) 物流用リールとその構成体
JPH10258970A (ja) 光ファイバ巻取装置および収容装置
KR200286117Y1 (ko) 반도체 패키지용 테이프 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