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646B1 - 자동차의 캠볼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캠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646B1
KR100391646B1 KR10-2000-0084361A KR20000084361A KR100391646B1 KR 100391646 B1 KR100391646 B1 KR 100391646B1 KR 20000084361 A KR20000084361 A KR 20000084361A KR 100391646 B1 KR100391646 B1 KR 100391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cam bolt
groove
vehicl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5026A (ko
Inventor
김제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646B1/ko
Publication of KR2002005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0Links, e.g. track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캠볼트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홈(11a)이 구비된 몸체부(11)와, 이 몸체부(1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머리부(12)와, 이 머리부(12)와 상기 몸체부(11)사이에 일체로 형성된 와셔부(13)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와셔부(13)에는 와셔부(13)의 외곽 테두리면으로부터 소정부분이 인입되어 고정되는 회전방지수단(50)이 구비되고, 상기 제1링크(20)의 윗면에는 상기 와셔부(13)가 안착되는 와셔부설치홈(22) 및 상기 회전방지수단(50)의 선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개의 회전방지홈(22a)이 톱니모양으로 구비되어져, 캠볼트(10)와 조립볼트(40)의 결합시 상기 캠볼트(10)의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토인이나 토아웃 또는 캠버가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인해 차량의 휠 얼라인먼트도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게 되어 조정의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캠볼트{CAM BOL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캠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휠 얼라인먼트를 보다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캠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토인(tow-in)이나 토아웃(tow-out) 또는 캠버(camber)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캠볼트(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홈(11a)이 구비된 몸체부(11)와, 이 몸체부(1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머리부(12)와, 이 머리부(12)와 상기 몸체부(11)사이에 일체로 형성된 와셔부(1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와셔부(13)의 윗면에는 캠볼트(10)의 회전각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각도표시홈(13a)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캠볼트(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가 차량의 휠 얼라인먼트를 조절하기 위한 제1링크(20) 및 제 2링크(3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몸체부(11)에 구비된 나사홈(11a)으로 조립너트(40)가 결합됨으로써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캠볼트(10)의 와셔부(13)는 제1링크(20)의 윗면에 완전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되게 되며, 상기 와셔부(13)의 외곽 테두리면과 밀착을 이루는 제1링크(20)의 윗면에는 상기 각도표시홈(13a)을 지시하기 위한 지침(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캠볼트(10)의 몸체부(11)를 제1,2링크(20,30)로 순차적으로 관통시킨 다음, 상기 캠볼트(10)의 완전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조립너트(40)를 상기 몸체부(11)의 나사홈(11a)으로 결합시킨 후, 상기 와셔부(13)에 형성된 각도표시홈(13a)과 제1링크(20)에 형성된 지침(21)을 일정한 위치에서 일치키면서 차량의 토인(tow-in)이나 토아웃(tow-out) 또는 캠버(camber)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토인이나 토아웃 또는 캠버를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와셔부(13)에 형성된 각도표시홈(13a)과 제1링크(20)에 표시된 지침(21)을 작업자가 원확한 정확한 위치에서 일치되도록 조절한 다음 조립너트(40)를 이용해 캠볼트(10)를 고정시켜 주어야 하는데, 상기 캠볼트(10)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없음으로 인해 조립너트(10)의 결합시 상기 캠볼트(10)가 미세하게 회전하게 되고 이로인해 토인이나 토아웃 또는 캠버가 정확하게 조절되지 않음으로써, 차량의 휠 얼라인먼트가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링크에 회전방지홈을 형성하면서 캠볼트의 와셔부에 회전방지수단을 결합시켜, 조립볼트의 결합시 상기 캠볼트가 미세하게 회전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토인이나 토아웃 또는 캠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인해 차량의 휠 얼라인먼트가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캠볼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주면에 나사홈이 구비된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머리부와, 이 머리부와 상기 몸체부사이에 일체로 형성된 와셔부로 이루어지면서 차량의 휠 얼라인먼트를 조절하기 위해 복수개의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조립너트와 결합되도록 된 자동차의 캠볼트에 있어서, 상기 와셔부에는 와셔부의 외곽 테두리면으로부터 소정부분이 인입되어 고정되는 회전방지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링크의 윗면에는 상기 와셔부가 안착되는 와셔부설치홈 및 상기 회전방지수단의 선단부가 걸려져 고정되는 다수개의 회전방지홈이 톱니모양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캠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캠볼트가 휠 얼라인먼트를 조절하기 위한 링크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캠볼트가 휠 얼라인먼트를 조절하기 위한 링크부재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캠볼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캠볼트 11 - 몸체부
11a - 나사홈 12 - 머리부
13 - 와셔부 20 - 제1링크
22 - 와셔부설치홈 22a - 회전방지홈
30 - 제2링크 40 - 조립너트
50 - 회전방지수단 51 - 판스프링
52 - 결합돌기 53 - 고정핀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캠볼트가 휠 얼라인먼트를 조절하기 위한 링크부재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캠볼트(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홈(11a)이 구비된 몸체부(11)와, 이 몸체부(1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머리부(12)와, 이 머리부(12)와 상기 몸체부(11)사이에 일체로 형성된 와셔부(1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와셔부(13)의 안쪽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셔부(13)의 외곽 테두리면으로 개구되는 소정크기의 조립홈(13b)이 구비되고, 상기 와셔부(13)의 윗면에는 상기 조립홈(13b)으로 관통되는 소정크기의 관통구멍(13c)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와셔부(13)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홈(13b)과 관통구멍(13c)을 통해 설치되어 캠볼트(10)와 조립너트(40)의 결합시 상기 캠볼트(1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된 회전방지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지수단(50)은, 상기 와셔부(13)내에 형성된 조립홈(13b)에 양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판스프링(51)과, 상기 와셔부(13)의 외곽 테두리면으로부터 인입되어 뒷면은 상기 판스프링(51)과 밀착되도록 설치되면서 선단은 상기 와셔부(13)의 밖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캠형상의 결합돌기(52)와, 상기 와셔부(13)의 관통구멍(13c)을 통해 종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선단이 상기 와셔부(13)내에 설치된 결합돌기(52)의 소정부위와 결합되면서 상기 결합돌기(52)가 와셔부(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고정핀(53)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캠볼트(10)는 차량의 휠 얼라인먼트를 조절하기 위한 제1링크(20) 및 제 2링크(3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몸체부(11)에 구비된 나사홈(11a)으로 조립너트(40)가 결합됨으로써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상기 와셔부(13)와 밀착되는 제1링크(20)의 윗면에는 상기 와셔부(13)가 안착되는 와셔부설치홈(22)이 형성되고, 이 와셔부설치홈(22)의 테두리면에는 상기 회전방지수단(50)의 결합돌기(52)선단이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캠볼트(1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된 다수개의 회전방지홈(22a)이 톱니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X는 상기 캠볼트(10)의 몸체부(11)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와셔부(13)의 조립홈(13b)에 판스프링(51)이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결합돌기(52)의 뒷면을 와셔부(13)의 외곽 테두리면으로부터 상기 조립홈(13b)의 안쪽으로 삽입시킨 다음, 고정핀(53)을 관통구멍(13c)으로 삽입시켜 선단을 상기 결합돌기(52)와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결합돌기(52)가 와셔부(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와셔부(13)에 회전방지수단(50)이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캠볼트(10)의 몸체부(11)를 제1,2링크(20,30)로 순차적으로 관통시키게 되면, 상기 캠볼트(10)의 와셔부(13)가 제1링크(20)에 형성된 와셔부설치홈(22)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50)의 결합돌기(52)가 상기 와셔부설치홈(22)에 구비된 회전방지홈(22a)으로 끼워지면서 설치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다수개의 회전방지홈(22a)중 차량의 휠 얼라인먼트가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는 회전방지홈(22a)으로 상기 결합돌기(52)를 끼워 결합시키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제2링크(30)의 밖으로 돌출된 몸체부(11)의 나사홈(11a)으로 조립너트(40)를 결합시켜 상기 캠볼트(10)를 완전 조립시키게 되며, 이때 작업자가 상기 조립너트(40)를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결합돌기(52)가 회전방지홈(22a)내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캠볼트(10)는 회전하지 않게 되며, 이로인해 토인이나 토아웃 또는 캠버가 정확하게 조절됨으로써 차량의 휠 얼라인먼트도 정확하게 정렬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캠볼트의 와셔부에 회전방지수단이 결합되면서 상기 와셔부와 밀착되는 링크의 윗면에는 회전방지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방지홈이 형성되어져, 캠볼트와 조립볼트의 결합시 상기 캠볼트의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토인이나 토아웃 또는 캠버가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인해 차량의 휠 얼라인먼트도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게 되어 조정의 안정성이향상되면서 상품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주면에 나사홈(11a)이 구비된 몸체부(11)와, 이 몸체부(1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머리부(12)와, 이 머리부(12)와 상기 몸체부(11)사이에 일체로 형성된 와셔부(13)로 이루어지면서 차량의 휠 얼라인먼트를 조절하기 위해 제1링크(20) 및 제2링크(3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조립너트(40)와 결합되도록 된 자동차의 캠볼트에 있어서,
    상기 와셔부(13)에는 와셔부(13)의 외곽 테두리면으로부터 소정부분이 인입되어 고정되는 회전방지수단(50)이 구비되고, 상기 제1링크(20)의 윗면에는 상기 와셔부(13)가 안착되는 와셔부설치홈(22) 및 상기 회전방지수단(50)의 선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개의 회전방지홈(22a)이 톱니모양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캠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50)이, 상기 와셔부(13)내에 형성된 조립홈(13b)에 양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판스프링(51)과, 상기 와셔부(13)의 외곽 테두리면으로부터 인입되어 일면은 상기 판스프링(51)과 밀착되면서 선단은 상기 회전방지홈(22a)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된 결합돌기(52)와, 상기 와셔부(13)를 종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선단이 상기 와셔부(13)내에 위치된 결합돌기(52)와 결합되면서 상기 결합돌기(52)가 와셔부(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고정핀(5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캠볼트.
KR10-2000-0084361A 2000-12-28 2000-12-28 자동차의 캠볼트 KR100391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361A KR100391646B1 (ko) 2000-12-28 2000-12-28 자동차의 캠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361A KR100391646B1 (ko) 2000-12-28 2000-12-28 자동차의 캠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026A KR20020055026A (ko) 2002-07-08
KR100391646B1 true KR100391646B1 (ko) 2003-07-12

Family

ID=27687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361A KR100391646B1 (ko) 2000-12-28 2000-12-28 자동차의 캠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6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026A (ko) 200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7571B2 (en) Pin-less assist grip handle assembly
US6749236B2 (en) Door handle device for a vehicle
US7537466B2 (en) Plug with retainer spring for an earth contact
US7318687B2 (en)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EP2700773B1 (en) Handle base attachment structure
JPH04249613A (ja) スリーブに収容されたシャフトを保持する装置
US20180327017A1 (en) Steering device
KR100391646B1 (ko) 자동차의 캠볼트
JPS5914265Y2 (ja) チルト式ペダル装置
EP1182311A1 (fr) Plaquette de réglage d&#39;une gâche de serrure de véhicule automobile
GB2300669A (en) Motor vehicle door or tailgate hinge
KR20020043568A (ko) 세팅 가능한 포텐쇼미터를 포함한 조정 구동기
JP4378007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4122081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の組み付け構造
KR100530135B1 (ko) 차량 스티어링 휠의 오디오 스위치 취부 구조
JP3581045B2 (ja) フォグランプの取付け構造
EP0746058B1 (en) A shutter device for socket openings
JPH08139507A (ja) アンテナ補助アームの取付け金具
KR100559902B1 (ko) 자동차의 디지털 캠 볼트
KR200287938Y1 (ko) 차량용 캠버 및 토우 조정 장치
JPH10306643A (ja) ヒンジ
JP2000345743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375993B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액티브 센터 필 구조
JPH0532635U (ja) ドア用調整受座
JP2596499Y2 (ja) 可動体の位置決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