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057B1 - 기록매체의기록및재생장치,및기록및재생방법 - Google Patents

기록매체의기록및재생장치,및기록및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057B1
KR100391057B1 KR1019960703072A KR19960703072A KR100391057B1 KR 100391057 B1 KR100391057 B1 KR 100391057B1 KR 1019960703072 A KR1019960703072 A KR 1019960703072A KR 19960703072 A KR19960703072 A KR 19960703072A KR 100391057 B1 KR100391057 B1 KR 100391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cording medium
moving direction
time
re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6675A (ko
Inventor
노리히꼬 노구찌
가쯔미 이시하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70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6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0Moving record carrier backwards or forwards by finite amounts, i.e. backspacing, forward spa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oving Of Head For Track Selection And Changing (AREA)

Abstract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를 상대적으로 제1 이동 방향과, 제1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이동 방향으로 주행 구동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이다. 이 기록 및 재생 장치는,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를 상대적으로 제1 이동 방향과, 제1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이동 방향으로 구동하여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신호의 총 기록 시간을 구하고, 기록 매체 재생시의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 지시 정보를 총 기록 시간의 약 1/2을 경과한 시점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기록 매체와 기록 및 재생 헤드와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고, 기록 및 재생 헤드에 의해 기록 매체에 대하여 신호를 기록한다. 이와 같이 기록 매체의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면서, 원하는 1 단위 또는 일련의 악음 정보 등의 정보를 연속하여 일련으로 기록하고, 또한 재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및 기록 및 재생 방법
본 발명은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를 상대적으로 이동 조작함으로써, 기록 매체에 대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을 행하고, 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 신호의 재생을 행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및 기록 및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 매체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시에 기록 매체의 재생시의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 지시 정보를 기록하고, 이 반전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기록 매체의 이동 방향을 자동적으로 반전시켜, 왕복 방향을 따라 정보 신호의 재생을 가능하게 한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배경
종래, 악음 신호 등의 정보 신호가 기록된 기록 매체로 자기 테이프를 이용한 테이프 레코더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는, 자기 테이프의 주행 방향을 왕로(往路) 방향의 주행 상태의 포워드(FWD) 방향으로부터 복로(復路) 방향의 주행 상태의 리버스(REV)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반전시킴으로써, 자기 테이프가 주행하는 왕복 방향을 따라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정보 신호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오토리버스 기능을 구비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 오토리버스 기능을 가지는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반전시키는 방식으로서, 주행 조작된 자기 테이프가 한 쪽의 테이프 릴에 완전히 감겨져, 한 쌍의 테이프 릴의 회전이 정지된 것을 검출함으로써 자기 테이프의 주행 방향을 반전시키는 것이나, 자기 테이프의 단부에 접속된 판독 테이프를 검출하여 자기 테이프의 주행 방향을 반전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자기 테이프의 주행 방향의 반전 방식에 있어서, 리버스(REV) 방향의 주행상태에서, 동일하게 자기 테이프가 종단까지 주행된 것을 검출함으로써, 주행 방향을 포워드(FWD) 방향으로 반전시키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리고, 자기 테이프의 주행 방향을 포워드(FWD) 방향에서 리버스(REV) 방향으로 반전시키는 동작과, 리버스(REV) 방향에서 포워드(FWD) 방향으로 반전시키는 동작을 조합함으로써, 1개의 자기 테이프를 반복 왕복 재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엔드리스 재생을 행하는 테이프 레코더도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테이프 레코더에 이용되고 있는 오토리버스의 방식은, 모두 주행 조작되는 자기 테이프의 테이프 단부 부근에서 주행 방향을 반전시키는 동작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엔드리스 재생을 행하는 경우, 왕복 방향의 1회분의 반복 재생시간은 사용하는 자기 테이프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어 버린다. 그리고, 오토리버스 방식의 테이프 레코더에서, 기록 가능 시간에 비하여 짧은 시간의 악음 정보만이 기록된 자기 테이프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악음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불필요하게 재생되어 버리게 된다.
예를 들면, 왕복으로 60분의 악음 정보가 기록 가능한 자기 테이프에 50분에 1단위의 악음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왕로측, 즉 자기 테이프의 A면에 30분의악음 정보가 기록되고, 복로, 즉 자기 테이프의 B면에 20분의 악음 정보가 기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자기 테이프를 왕복 방향으로 연속하여 재생하는 엔드리스 재생하게 되면, 왕복 방향의 1회의 반복마다 10분간의 무음 상태가 재생되게 된다. 이 10분의 무음 부분에, 50분에 1단위의 악음 정보 중에서 적당한 10분에 상당하는 부분의 악음 정보를 기록하고, 또는 다른 악음 정보를 10분간 기록하여 둠으로써, 무음 상태의 재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악음 정보의 기록은 50분에 1단위의 악음 정보를 일련으로 재생하는 것이 아니고, 자기 테이프의 왕복 방향의 연속 재생 조작에 의해, 1단위의 악음 정보를 연속하여 멈춤이 있는 재생을 행하지 못하게 되어 버린다.
여기에서, 오토리버스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레코더를 이용하여 자기 테이프를 왕복 방향을 따라 자동 반전시켜 주행 조작시키면서 1단위 또는 일련의 악음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기록된 악음 정보 등의 정보의 시간에 적합한 기록 가능 시간을 가지는 자기 테이프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악음 정보 등의 정보의 시간은 다양하기 때문에, 이러한 다양한 정보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서는, 정보 신호의 기록 가능 시간을 다양하게 변화시킨 자기 테이프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기록 가능 시간 을 약간씩 변화시킨 자기 테이프를 제공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종류수가 증가하게 되어 양산성이나 재고 관리의 면에서 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사용자에게는, 기록하여야 하는 악음 정보 등의 시간에 적합한 길이의 자기 테이프를 찾는 데에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원하는 악음 정보 등의 시간에 적합한자기 테이프가 완전히 상품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또한, 기록가능 시간을 다르게 한 많은 종류의 자기 테이프를 미리 준비하여 두는 것은 쓸모 없게 되어 버릴 수 있어 비경재적이다. 그리고, 기록하여야 하는 악음 정보 등의 시간에 적합한 자기 테이프를 입수할 수 없어, 기록하여야 하는 악음 정보 등의 시간에 근사하는 기록 가능 시간을 가지는 자기 테이프를 선택한 경우에도 수분 정도의 오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원하는 1단위 또는 일련의 악음 정보 등의 정보를, 자기 테이프를 왕복 방향을 따라 자동 반전시켜 주행 조작시키면서 연속 재생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악음 신호 등의 정보 신호가 기록된 기록 매체의 임의의 위치에 이동 방향의 반전을 지시하는 반전 지시 정보의 기록을 기록하고, 기록 및 재생 헤드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기록 매체의 이동 방향을 임의의 위치에서 반전시키고, 악음 신호 등의 정보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가능하게 한 기록 및 재생 장치 및 그 기록 및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록 매체의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면서, 원하는 1단위 또는 일련의 악음 정보 등의 정보를 연속하여 일련으로 기록하고, 또한 재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기록 및 재생 장치 및 그 기록 및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록 매체의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면서 1단위 또는 일련의 악음 정보 등의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 기록의 누락을 발생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 및 재생 장치 및 그 기록 및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록 및 재생 헤드에 대하여 제 1의 이동 방향과 그 제 1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기록 매체에 정보 신호를 기록할 때에, 제 1 및 제 2의 이동 방향 중 어느 한 쪽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종료 위치에서, 다른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기록된 신호의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고속 검색 지시정보를 기록함으로써, 다른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기록된 신호의 신속한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 및 그 기록 및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안된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는,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를 상대적으로 제1 이동 방향과, 제1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이동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와, 기록 매체에 대한 신호의 기록시에, 기록 매체의 재생시의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 지시 정보를 총 기록 시간의 약 1/2를 경과한 시점에서 발생하는 반전 정보 출력 회로와, 이 반전 정보 출력 회로에 의해 발생된 반전 지시 정보를 기록 매체의 상기 제1 또는 제2 이동 방향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이동 방향의 기록 종료 위치로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애 의해 기록하여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반전시킴과 동시에, 기록 매체의 재생시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반전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구동 기구를 제어하여 기록 매체의 제1 또는 제2의 이동 방향중 어느 한 쪽 이동 방향으로부터 다른 쪽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및 재생 장치는,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와의 상대적인 상기 제1 이동 방향시의 기록 시간과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와의 상대적인 상기 제2 이동 방향시의 기록 시간에 근거하여 총 기록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이 설정 수단은 상기 제1 이동 방향의 기록 시간이 상기 제2 이동 방향의 기록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설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및 재생 장치는 기록 매체에 대한 신호를 축적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제어부에 의해 기록 매체의 구동 기구를 제어하여 제1 또는 제2 이동 방향중 어느 한 쪽 이동 방향으로부터 다른 쪽 이동 방향으로 이동 방향을 반전시킬 때에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신호를 메모리에 일단 축적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및 재생 장치는,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를 상대적으로 제1 이동 방향과, 상기 제1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이동 방향으로 구동하여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방법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신호의 총 기록 시간을 구하고, 기록 매체의 재생시의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와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 지시 정보를 상기 총 기록 시간의 약 1/2을 경과한 시점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반전시켜,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에 의해 기록 매체에 대하여 신호를 기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 재생 장치는,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를 상대적으로 제1 이동 방향과, 상기 제1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이동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 기구와, 기록 매체와 기록 및 재생 헤드와의 상대적인 상기 제1 또는 제2 이동 방향중 한 쪽 이동 방향에 대한 기록 종료 위치로부터 다른 쪽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기록된 신호의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행하기 위한 고속 검색 지시 정보를 발생시키는 스킵 플랙 출력 회로와, 스킵 플랙 출력 회로에 의해 발생된 고속 검색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방향중 어느 한 쪽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종료 위치에 기록함과 동시에, 기록 매체의 재생시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고속 검색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구동 기구를 제어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된 신호의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개시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 재생 장치는,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를 상대적으로 제1 이동 방향과, 상기 제1 이동 방향과는 반대인 제2 이동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 기구와, 기록 매체의 신호의 기록시에 기록 매체의 재생시의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와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 지시 정보를 총 기록 시간의 1/2을 경과한 시점에서 발생함과 동시에,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의 상대적인 상기 제1 또는 제2 이동 방향중 한 쪽 이동 방향에 대한 기록 종료 위치로부터 다른 쪽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기록된 신호의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고속 검색 지시 정보를 발생하는 스킵 플랙 출력 회로와, 상기 스킵 플랙 출력 회로에 의해 발생된 반전 지시 정보를 기록 매체의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방향중 적어도 어느 한 쪽 이동 방향의기록 종료 위치로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에 의해 기록하여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반전시킴과 동시에, 기록 매체의 재생시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반전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여 기록 매체의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방향중 어느 한 쪽 이동 방향으로부티 다른 쪽 이동 방향으로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고, 스킵 플랙 출력 회로에 의해 발생된 고속 검색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방향중 어느 한 쪽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종료 위치에 기록함과 동시에, 기록 매체의 재생시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고속 검색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기록 매체의 구동 기구를 제어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된 신호의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개시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블록회로도.
제2도는 정보 신호의 기록시에 반전 시각 설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주행 반전 조작을 수반하는 기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제4도는 무흠결 반전시의 반전 위치 및 데이타 축적 개시 위치치 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엔드리스 재생을 위한 스킵 플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도는 엔드리스 재생을 위한 스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7도는 자동 반전 및 스킵 동작을 행하기 위한 신호 재생 장치의 일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 회로도.
제8도는 재생시에서의 스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재생 장치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기록 매체에 자기 테이프와 같은 테이프상 기록 매체(이하, 간단히 테이프라고 함)를 이용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기록계를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또한, 제 2도는 기록시의 반전 시각 설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 3도는 기록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실시예의 테이프 레코더는, 정보 신호의 기록 및 재생 수단에 자기헤드를 이용한, 휴대 가능한 크기까지 소형화한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이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프 레코더만이 아니고 다른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 신호도 악음 신호만이 아니라, 영상 신호나 정보 처리 장치에서 취급되는 데이타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제1도에서 나타낸 블록 회로도에서 입력단자(11)에는 정보 신호로서 디지탈 오디오 신호가 공급되어 있다. 이 디지탈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12)에 보내져 기입/판독 제어되고, 엔코더(13)를 거쳐 기록 앰프(14)를 거쳐 기록 헤드(15)에 보내지고, 기록 매체로서의 테이프(16)에 기록된다. 이 테이프(16)는 캡스턴(17) 및 핀치롤러(18)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조작되고, 소정의 주행 위치에서 주행 방향이 이제까지의 주행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반전 제어된다. 캡스턴(17)은 모터(19)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이 장치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 회로(21)는 조작 입력이나 설정 입력, 제어 입력 등의 신호가 입력 단자(22)를 거쳐 공급되고, 메모리 제어 회로(23), 반전 정보 정보 출력 회로(24), 모터 구동 회로(26) 및 필요에 따라 설치된 후술하는 스킵 플랙 출력 회로(28) 등에 제어신호를 보내고 있다. 또한, 테이프의 종단을 검출하는 엔드 센서(25)로부터의 검출 출력이 시스템 제어 회로(21)에 공급되고 있다. 엔드 센서(25)는 테이프(16)의 종단 위치 또는 종단 위치 바로 앞에 설치된 피검출부를 검출한다.
시스템 제어 회로(2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메모리 제어 회로(23)는 메모리(12)로의 기록 테이프로서의 디지탈 오디오 신호의 기입/판독을 제어하고, 후술한 무흠결 반전을 행하게 하기 위한 기록 테이프의 축적 등의 동작을 행하게 한다. 반전 정보 출력 회로(24)는, 테이프(16)의 재생시에 자동적으로 테이프(16)의 주행 방향의 반전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반전 정보를 발생한다. 반전 정보 출력 회로(24)로부터 발생된 반전 정보는 엔코더(13)에 공급되고, 기록 헤드(15)에 의해 테이프(16)상의 소정 위치에 기록된다. 또한, 스킵 플랙 출력 회로(28)는 후술하는 스킵 플랙을 발생하고, 발생된 스킵 플랙은 엔코더(13)에 공급되어 기록 헤드(15)에 의해 테이프(16)상의 소정 위치에 기록된다.
그런데, 통상의 테이프 레코더 등의 기록 및 재생 장치에서 테이프에 오토리버스 상태로 기록을 행할 때에, 시스템 제어 회로(21)는 엔드 센서(25)로부터의 검출 출력에 의해 테이프(16)의 종단 근방에 달한 시점에서 테이프 주행 방향을 일 측, 예를 들면 포워드(FWD) 방향으로부터 역 방향의 리버스(REV) 방향으로 반전시켜 기록 매체로서의 테이프(16)에 신호를 기록한다. 이 경우의 왕복 총 기록 시간은 테이프(16)의 길이 자체가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포워드(FWD) 방향의 기록 시간(Tfwd)과 리버스(REV) 방향의 기록 시간(Trev)을 더한 총 기록시간(Tt)은 기록하려고 하는 신호원으로서의 악음 정보의 수록 시간에 맞추어 설정된다.
이 경우도 단순하게는 각 방향의 기록 시간(Tfwd, Trev)을 각각 총 기록 시간(Tt)의 1/2인 Tt/2가 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테이프(16)의 주행 속도의 변동을 고려하여 포워드 방향의 기록 시간 Tfwd를 리버스 방향의 기록 시간 Trev보다 길게 설정하고 있다. 이것은 테이프(16)의 주행 속도의 변동에 따라 포워드 방향의 주행시의 테이프의 소비량, 즉 기록 시간보다 리버스 방향의 주행시의 테이프의 소비량이 커지게 되는데, 즉 기록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리버스 방향의 기록시의 테이프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제 2도는 포워드 방향 및 리버스 방향의 각 방향의 기록 시간(Tfwd, Trev)의 설정, 또는 테이프의 시작 단부로부터의 반전 위치, 특히 테이프의 시작 단부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표시하는 반전 시각 설정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 제2도에서, 테이프(16)의 표준 테이프의 주행 속도를 Vs로 하고, +측의 테이프의 속도 오차, 즉 표준 테이프의 주행 속도보다 빠른 경우의 오차를 vp로, -측의 테이프의 속도 오차, 즉 표준 테이프의 주행 속도보다 늦은 경우의 오차를 vm으로 한다. 그리고, 테이프(16)가 포워드 방향으로 주행하는 때의 기록 영역(16A)에 대하여 신호를 기록하는 때에 현실적으로 소비되는 테이프 길이(Lfwd)와, 리버스 방향 주행시 기록 영역(16B)에의 신호 기록에 소비되는 테이프 길이(Lrev)사이에는, 상술한 이유에 의하여 항상 Lfwd≥ Lrev가 성립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최악의 오차 상태의 경우, 즉 포워드 방향의 테이프의 주행 속도가 가장 늦고 리버스 방향의 테이프의 주행 속도가 가장 빠른 경우에, 상술한 조건 Lfwd≥ Lrev이 성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각 방향의 녹음시간(Tfwd, Trev)사이의 조건으로서는, 제2도에서도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1)식과, 총 기록 시간(Tt)이 Tfwd+Trev인 것에 기초하여 상술한 식(1)은,
이 된다. 이 식(2)에 기초하여 반전 시각을 설정하면 된다.
이것은 기록 및 재생 장치로서 기록 및 재생 헤드에 회전 헤드를 이용한 휴대 가능한 정도로 소형화한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이용한 경우에,테이프(16)를 수납한 테이프 카세트내에 작은 핀치롤러를 설치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핀치롤러의 지름의 치수 오차나 편심이 테이프 주행 속도의 오차로 되어 버려, 현실적으로는 표준 테이프 주행 속도에 대하여 +2%, -1% 정도의 속도 오차가 생기게 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반전 시각의 설정은 특히 중요하다.
제3도는 이와 같은 자동 반전 기록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제3도에서, 최초의 스텝 S1에서는, 테이프(16)에 기록하려고 하는 악음 정보의 수록 시간에 맞추어, 총 기록 시간(Tt)을 실정한다. 다음의 스텝 S2에서는, 테이프(16)의 제 1의 방향의 기록 시간(T1) 및 제 2의 주행 방향의 기록 시간(T2)을 계산한 후에, 테이프(16)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을 개시한다. 이들 각 시간(T1, T2)은 상술한 제 1의 방향으로서의 포워드 방향, 제 2의 방향으로서의 리버스 방향의 각 기록 시간(Tfwd, Trev)에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 상술한 식(2)에 기초하여 계산된 것이다. 테이프(16)에의 정보 신호의 기록은 반드시 포워드 방향으로 주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개시할 필요는 없고, 리버스 방향으로부터 기록을 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의 스텝S3에서는, 제1 방향으로서의 포워드 방향의 기록 동작을 행하게 하고, 다음의 스텝 S4에서는 제1 주행 방향의 기록 시간(T1)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1 주행 방향의 기록 시간T1이 경과하지 않은 동안은, 스텝S3으로 되돌아와 제1 주행 방향에서의 신호의 기록 동작을 계속하고, 제1 주행 방향의 기록 시간(T1)이 경과한 때에는, 다음의 스텝S5로 진행하여 테이프(16)의 주행 방향을 반전시키는 주행 반전 동작을 행하게 한다.
스텝S5에서 주행 반전 동작을 행한 후에는, 스텝S6으로 진행하여 제2 주행 방향으로서의 리버스 방향으로 테이프(16)을 주행시켜 정보 신호의 기록을 행한다. 이 제2 주행 방향의 기록 동작 중에는, 스탭S7에서 제2 주행 방향의 기록 시간(T2)이 경과했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NO인 경우는 스텝S6으로 되돌아가 제2 주행 방향의 기록 동작을 계속하고, YES인 경우는 다음의 스텝S8로 진행하여 제2 주행 방향의 기록 동작을 종료한다.
그런데, 스텝16의 주행 방향을 자동 반전하여 스텝16에서 기록된 신호의 재생을 행할 때에는, 반전 동작에 필요한 시간만큼 재생 신호가 끊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를 이용하여 테이프(16)의 주행 방향의 반전 동작에 수반하게 되는 재생 신호의 끊어짐을 방지하는 부결함 반전을 실현하고 있다. 이것은, 반전 동작 전에 테이프(16)의 주행 방향의 반전 동작에 필요한 시간 이상의 시간에 상당하는 재생 테이프로서의 테이프(16)로부터 판독되는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메모리에 일단 축적하여 두고, 테이프(16)의 주행 방향의 반전 동작 중에는 이 메모리에 축적된 테이프를 판독하는 것으로 재생 신호를 연속하여 출력하도록 하여, 반전 동작시의 재생 신호의 중단이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4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엔드 센서(25)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검출된 테이프(16)의 반전 위치(xR)보다 소정 길이만큼 앞인 위치(xW)에서부터 테이프(16)의 주행 속도를 빠르게 하고, 테이프(16)로부터 판독된 테이프 량과 실제의 오디오 신호 재생에 필요한 테이프 량과의 차가 되는 테이프 량을 메모리에 축적하여, 반전 위치(xR)에 도달한 시점에서는 테이프(16)의 주행 방향의 반전 동작에 필요한 시간 이상의 데이타량이 메모리에 축적되어 있도록 한다. 이 때문에, 테이프(16)에의 신호의 기록에는 반전 위치(xR)에 기초하여 축적 개시 위치(xW)를 계산하여 분할 출력하고, 이 위치(xW)에 반전 플랙 등의 반전 지시 정보를 기록 헤드(15)에 의해 기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이 위치(xW)로부터 반전 위치(xR)를 향하여 수치가 감소하는 다운 카운트치를 기입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반전 위치(xR)에서 소정치, 예를 들면 1 또는 0이 되는 다운 카운트치를 기입하여 둠으로써, 반전 위치(xR)까지의 거리 또는 시간을 시스템 제어부(21)에 의해 알 수가 있다. 이 다운 카운트치 또는 반전 플랙 등의 반전 정보는, 제 1도의 시스템 제어회로(21)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반전 정보 출력 회로(24)가 생성하고, 이 생성된 반전 정보는 엔코더(13)에 공급되어 테이프(16)상의 소정 위치, 즉 축적 개시 위치(xW)로부터 기록된다.
제4A∼4C도는, 상술한 무결함 반전시의 반전 위치(xR) 및 축적 개시 위치(xW)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4A도는 테이프엔드에서 반전하는 예를 나타내고, 기록시에는 릴 다이(die)의 회전을 검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테이프 잔량을구하고, 구해진 테이프 잔량으로부터 예정된 반전 위치(xR)까지의 시간을 계산하고, 재생시의 주행 반전 동작에 필요한 축적 개시 위치(xW)를 계산하면 된다. 또한 제4B도 및 제4C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악음 정보 등이 수록 시간에 따라 예정된 반전 위치(xR)를 미리 계산하는 예를 구하여 두고, 이 위치(xR)에 근거하여 축적 개시 위치(xW)로부터 반전 지시 정보를 기록하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 예정된 반전 위치(xR)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방향의 기록 시간(T1), 즉, 포워드 방향의 기록 시간(Tfwd)이 제 2의 주행 방향의 기록 시간(T2), 즉 리버스 방향의 기록 시간(Trev)보다 길게 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술한 제1 주행 방향의 기록 시간(T1)인 포워드 방향의 기록 시간(Tfwd)을 제2 주행 방향의 기록 시간(T2)인 리버스 방향의 기록 시간(Trev)보다 길어지도록 기록 시간의 설정을 행하면, 실제의 신호의 기록시에는, 제2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리버스 방향의 기록시의 기록 영역(16B)의 기록 종료후의 부분, 즉 기록 영역(16A)로부터 본 경우 테이프의 시작 단부측에서 미기록의 공백 부분(BL)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이 공백 부분(BL)이 길어져, 예를 들어 수분 정도까지 이르게 되면, 엔드리스 재생이 양호하게 행해지지 않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5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리버스 방향의 기록 종료 위치(xF)에서, 다음의 기록 내용의 고속 검색 지시 정보, 예를 들어 다음 곡의선두 시작 검색 개시 플랙으로서 스킵플랙 또는 스킵마크를 기록하고 있다. 이 스킵플랙은 제1도의 시스템 제어 회로(21)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스킵플랙 출력 회로(28)에 의해 생성된다. 생성된 스킵플랙은 엔코더(13)에 공급되고, 기록 헤드(15)에 의해 테이프(16)상에 기록된다. 재생시에 이 스킵플랙을 검출하면, 다음 곡의 선두부를 검색하기 위한 고속 주행 동작으로 전환된다. 이 고속 검색 동작에서는, 테이프(16)의 단부에 달하여도 테이프(16)의 주행 방향이 반전되어 계속된다.
예를 들면, 제6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포워드 방향의 기록 개시 위치(xS)가 기록 영역(16A)으로부터 본 경우의 테이프(16)의 시작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도, 기록 영역(16B)의 재생시에 리버스 방향의 기록 종료 위치(xF)에서 스킵플랙이 검출되면, 이 리버스 방향으로 테이프(16)가 고속으로 보내져 다음 곡의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선두 시작 검색이 행해지고, 기록 영역(16B)으로부터 본 경우의 테이프(16)의 종단부, 즉 기록 영역(16A)으로부터 본 경우의 테이프(16)의 시단부에 달하면 주행 방향을 반전시킨 다음에, 포워드 방향에서 고속으로 테이프(16)가 보내져 다음 곡의 선두 위치를 찾는 선두 시작 검색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재생 동작을 행하기 위한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재생계의 일례를 제7도에서 나타내고 있다.
제7도에 있어서, 테이프(16)에 기록된 신호는, 재생 헤드(31)에 의해 읽어 들여져, 재생 앰프(32)를 거쳐 재생 처리 회로 또는 복조 회로(33)에 공급되고, 재생 처리 회로(33)로부터의 재생 신호가 메모리(34)를 거쳐 단자(35)로부터 나오게 된다. 메모리(34)는 메모리 제어회로(37)에 의해 기입/판독이 제어된다. 재생 처리 회로(33)에 있어서는, 테이프(16)에 기록된 스킵플랙의 검출이 스킵플랙 검출 회로(38)에 의해 행해지고, 테이프(16)에 기록된 반전 정보의 검출이 반전 정보 검출 회로(39)에 의해 행해진다. 이들 스킵플랙 검출 회로(38), 반전 정보 검출 회로(39)로부터의 각 출력은 시스템 제어 회로(21)에 공급된다.
또한, 제7도에서, 제 1도에 나타낸 기록계와 공동되는 부분은 공통 부호로 표시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무결함 반전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포워드 방향의 재생이 진행하여 재생 처리 회로(33)로부터의 신호 중에 반전 정보 검출 회로(39)에 의해 축적 개시 위치(xW)로부터 반전 정보가 검출됐을 때, 이 검출 출력이 시스템 제어 회로(21)에 공급된다. 검출 회로(39)로부터의 검출 출력이 공급되면, 시스템 제어 회로(21)는 모터 구동 회로(26)를 제어하여 테이프(16)의 주행 속도를 구하는 동시에 메모리 제어 회로(37)를 제어하여, 재생 처리 회로(33)로부터의 재생 테이프의 축적 또는 기입을 개시한다. 테이프(16)가 주행되어 반전 위치(xR)에 달한 것을 반전 정보 검출 회로(39)가 검출하면, 시스템 제어 회로(21)는 모터 구동 회로(26) 등을 제어하여 테이프(16)의 주행 방향을 반전시킨다. 이 반전 동작중의 테이프(16)로부터 신호의 판독이 행해지지 않는 동안은 메모리(34)에 축적된 테이프를 판독하여, 재생 출력되는 악음 신호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연속되는 악음 신호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테이프(16)의 주행 방향의 반전 동작이 종료하면, 리버스 방향의 재생 동작이 개시된다.
다음에, 스킵플랙을 이용한 엔드리스 재생에 대하여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8도에서, 스텝S41에서 재생 동작, 구체적으로는 리버스 방향의 재생 동작이 행해지고 있다. 이 때 스텝S42에서는, 스킵플랙이 제1도의 스킵플랙 검출 회로(38)에서 검출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검출되지 않는 동안은 스텝S41로 되돌아와 재생동작이 계속된다. 스킵플랙이 검출되면, 스텝S43으로 진행하여 고속 선두 시작 동작, 즉 다음 곡의 선두 위치를 찾는 선두 시작 검색 동작을 행한다. 이 선두 시작 검색 동작은 현시점에서의 재생 방향인 리버스 방향으로 테이프(16)를 주행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다음의 스텝S44에서는 테이프(16)의 단부, 즉 구체적으로 테이프(16)의 기록 영역(16A)으로부터 본 경우의 테이프(16)의 시단부에 도달했는 지의 여부기 판별되어, NO 즉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47로 진행하여 다음 곡의 선두가 검출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스텝S47에서 NO, 즉 다음 곡의 선두에 도달하지 않은 때에는 스텝S43으로 되돌아와 선두 시작 검색 동작이 계속된다. 예를 들면 리버스 방향의 선두 시작 검색 동작이 진행하여 기록 영역(16A)으로부터 본 경우 테이프(16)의 시단부에 도달하면, 스텝S44에서 YES라고 관별하여, 스텝S45로 진행하여, 테이프(16)의 주행 방향의 반전 동작이 행해진다. 이 예에서는 리버스 방향에서 포워드 방향으로의 반전 동작이다. 다음의 스텝S46에서는 이 포워드 방향으로의 선두 시작 검색이 행해지고, 다음의 스텝S47로 진행하여, 다음 곡의 선두 위치의 검출 판별이 행해진다. 다음 곡의 선두가 검출되어 스텝S47에서 YES라고 판별하면, 스텝S48로 진행하여 통상의 재생 동작, 이 구체예에서는 포워드 방향의 재생 동작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반전 동작을 수반하여 선두 시작 동작이 계속하여 행해지기 때문에, 리버스 방향의 기록 종단 이하의 테이프(16)의 공백 부분(BL)이나, 포워드 방향의 테이프(16)의 시단부의 공백 부분 등을 고속으로 스킵하여 다음 곡의 선두 시작을 행하게 하여, 중단 시간이 짧은 양호한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텝S47에서 NO라고 판별한 경우에, 스텝S43의 선두 시작 검색 동작으로부터 스텝S44이후의 루틴으로 제어가 행해지게 되어, 악음 신호 등이 정보 신호가 일체 기록되어 있지 않은 미기록의 테이프 등과 같이 선두 시작이 행해지지 않은 테이프에서 스킵 동작이 있는 때의 왕복 검색 동작이 무한적으로 계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선두 시작 검색 동작시의 반전 동작 회수를 계수하는 등으로, 예를 들면 스킵 동작시의 고속 검색은 1왕복까지로 제한하여, 테이프를 보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테이프(16)가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된 상태에서 기록 종단에서 스킵플랙을 검출하여, 리버스 방향의 고속 검색으로부터 테이프(16)의 시단부에서 반전하여 포워드 방향의 고속 검색으로 이전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반대로 포워드 방향의 기록 종단에서 스킵플랙을 기입하는 데에 있어서 포워드 방향의 선두 시작 검색 동작으로부터 테이프 앤드에서 반전하여 리버스 방향의 선두 시작 검색 동작으로 이전하는 것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선두 시작 동작시의 테이프(16)의 주행 방향의 반전 위치를 테이프(16)의 단부로 하고 있지만, 테이프(16)의 도중 위치에서 반전 플랙 등의 반전 정보를 기입하여 이 위치에서 반전을 행하여, 역방향의 선두 시작 검색 동작으로 이전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하면, 기록하려고 하는 악음 정보의 시간에 맞추어, 총 기록 시간의 약 1/2의 테이프의 주행 반전 위치 또는 반전 시각을 설정하고, 이 반전 시각보다 소정 시간 이전의 시각 또는 테이프 위치로부터 반전 플랙이나 다운 카운트치 등의 반전 정보를 기록하도록 하여, 재생시에는 이 반전 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에 테이프를 기입하여 둠으로써, 반전 동작시의 누락을 메모리 축적 데이타를 판독하여 보상함으로써 무결함 반전을 행하면서, 리버스 후의 재생 종료시에는 포워드 방향에서 본 경우의 테이프의 시단부 근방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테이프의 시단부에서도 리버스 재생을 행하게 하여, 무신호 부분이 적은 엔드리스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주행 속도의 변동을 고려하여, 리버스 방향의 기록시에 테이프가 부족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포워드 방향의 기록시간을 리버스 방향의 기록 시간보다 길게 설정하고, 리버스 방향의 기록 종단부에는 스킵플랙을 기입하여 공백 부분을 스킵시킴으로써, 속도의 변동이 있어도 최후까지 악음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게다가 재생시에는 공백 재생 시간을 스킵하여 중단 시간이 짧은 양호한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기록매체는 자기 테이프 이외에도 광 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또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 신호도 악음 신호만이 아니라 영상 신호나 정보 처리장치에서 취급되는 데이티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기록 및 재생 헤드에는 회전 헤드나 고정 헤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및 재생 장치는,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를 상대적으로 제1 이동 방향과, 제1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이동 방향으로 구동하여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신호의 총 기록 시간을 구하고, 기록 매체의 재생시의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 지시 정보를 총 기록 시간의 약 1/2를 경과한 시점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기록 매체와 기록 및 재생 헤드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반전시켜, 기록 및 재생 헤드에 의해 기록 매체에 대하여 신호를 기록하게 하도록 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면서, 원하는 1단위 또는 일련의 악음 정보 등의 정보를 연속하여 일련으로 기록하고, 또한 재생할 수가 있다.

Claims (27)

  1.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를 상대적으로 제1 이동 방향과, 제1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이동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기록 매체에 대한 신호의 기록시에, 기록 매체의 재생시의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 지시 정보를 총 기록 시간의 약 1/2를 경과한 시점에서 발생하는 발생 수단과,
    상기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반전 지시 정보를, 기록 매체의 상기 제1 또는 제2 이동 방향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이동 방향의 기록 종료 위치로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에 의해 기록하여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반전시킴과 함께, 기록 매체의 재생시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반전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기록 매체의 상기 제1 또는 제2의 이동 방향중 어느 한 쪽 이동 방향으로부터 다른 쪽 이동 방향으로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와의 상대적인 상기 제1 이동 방향시의 기록 시간과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와의 상대적인 상기 제2 이동 방향시의 기록 시간에 근거하여 총 기록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더 구비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제1 이동 방향의 기록 시간이 상기 제2 이동 방향의 기록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제의 표준 상대적인 이동 속도를 Vs, 상기 표준 상대적인 이동 속도에 대하여 이동 속도가 빨라지는 방향의 오차를 vp, 상기 표준 상대적인 이동 속도에 대하여 이동 속도가 늦어지는 방향의 오차를 vm으로 했을 때, 상기 제1 이동 방향의 기록 시간(Tfwd)은,
    으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기록 매체에 대한 신호를 축적한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이동 방향중 어느 한 쪽 이동 방향으로부터 다른 쪽 이동 방향으로 이동 방향을 반전시킬 때에,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신호를 상기 기억 수단에 일단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신호의 기입을 개시한 시점에서 상기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반전 지시 정보를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에 의하여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신호 중에서 반전 지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기록 매체에 대한 신호의 기록시에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방향중 어느 한 쪽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종료 위치에서 다른 쪽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기록된 신호의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행하기 위한 고속검색 지시 정보를 발생하는 또 하나의 발생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또 하나의 발생 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고속 검색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이동 방향의 기록 시간이 상기 제2 이동 방향의 기록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설정된 기록 매체의 상기 제2 이동 방향의 기록 종료 위치에 기록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기록 매체의 재생시에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에 의해 판독된 신호 중에서 상기 고속 검색 지시 정보를 검출하는 또 하나의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또 하나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또 하나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개시시킴과 함께,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기록 매체의 기록 종료 위치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이동 방향중 어느 한 쪽 이동 방항으로부터 다른 쪽 이동 방향으로 이동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11.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를 상대적으로 제1 이동 방향과, 상기 제1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이동 방향으로 구동하여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방법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신호의 총 기록 시간을 구하고,
    기록 매체의 재생시의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와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 지시 정보를 상기 총 기록 시간의 약 1/2을 경과한 시점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반전시켜,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에 의해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의 기록 매체에의 신호의 기록 시간과 상기 제2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의 기록 매체에의 신호의 기록 시간에 근거하여 총 기록 시간을 설정함과 함께, 상기 제1 이동 방향의 기록 시간이 상기 제2 이동 방향의 기록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와의 표준 상대적인 이동 속도를 Vs, 상기 표준 상대적인 이동 속도에 대하여 이동 속도가 빨라지는 방향의 오차를 vp, 상기 표준 상대적인 이동 속도에 대하여 이동 속도가 늦어지는 방향의 오차를 vm으로 했을 때, 상기 제1 이동 방향은 기록 시간(Tfwd)은,
    으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또는 제2 이동 방향중 어느 한 쪽 이동 방향으로부터 다른 쪽 이동 방향으로 이동 방향을 전환할 때에, 기록 매체에 기록된 신호를 기억수단에 일단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방법.
  15.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를 상대적으로 제1 이동 방향과, 상기 제1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이동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의 상대적인 상기 제1 또는 제2 이동 방향중 한 쪽 이동 방향에 대한 기록 종료 위치로부터 다른 쪽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기록된 신호의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행하기 위한 고속 검색 지시 정보를 발생시키는 발생 수단과,
    상기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고속 검색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중 어느 한 쪽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종료 위치에 기록함과 함께, 기록 매체의 재생시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고속 검색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개시시키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발생 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고속 검색 지시 정보를 상기 제2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대응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종료 위치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된 고속 검색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상기 제2 이동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이동 방향으로 전환시키고, 상기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계속하여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기록 매체의 재생시에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에 의해 판독된 신호 중에서 상기 고속 검색 지시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색 수단으로부터의 검색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개시시킴과 함께,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기록 매체의 기록 종료 위치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이동 방향중 어느 한 쪽 이동 방향으로부터 다른 쪽 이동 방향으로 이동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19.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를 상대적으로 제1 이동 방향과, 상기 제1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이동 방향으로 구동하여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방법에 있어서,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매체 및 재생 헤드와의 상대적인 상기 제1 또는 제2 이동 방향중 한 쪽 이동 방향에 대한 기록 종료 위치로부터 다른 쪽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기록된 신호의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고속 검색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방향중 어느 한 쪽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종료 위치에 기록하고,
    기록 매체의 재생시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고속 검색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고속 검색 지시 정보를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가 상대적으로 상기 제2 이동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의 기록 매체의 기록 종료 위치에 기록함과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된 고속 검색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상기 제2 이동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이동 방향으로 전환하고, 상기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계속하여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와의 상대적인 상기 제1 이동 방향시의 기록 시간과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와의 상대적인 제2 이동 방향시의 기록 시간에 근거하여 총 기록 시간을 실정함과 함께, 상기 제1 이동 방향의 기록 시간이 상기 제2 이동 방향의 기록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와의 표준 상대적인 이동 속도를 Vs, 상기 표준 상대적인 이동 속도에 대하여 이동 속도가 빨라지는 방향의 오차를 vp, 상기 표준 상대적인 이동 속도에 대하여 이동 속도가 늦어지는 방항의 오차를 vm으로했을 때, 상기 제1 이동 방향의 기록 시간(Tfwd)은,
    으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방법.
  23.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를 상대적으로 제1 이동 방향과, 상기 제1 이동 방향과는 반대인 제2 이동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기록 매체의 신호의 기록시에 기록 매체의 재생시의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와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 지시 정보를 총 기록 시간의 1/2을 경과한 시점에서 발생함과 함께,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의 상대적인 상기 제1 또는 제2 이동 방향중 한 쪽 이동 방향에 대한 기록 종료 위치로부터 다른 쪽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기록된 신호의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고속 검색 지시 정보를 발생하는 발생 수단과,
    상기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반전 지시 정보를 기록 매체의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방향중 적어도 어느 한 쪽 이동 방향의 기록 종료 위치로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에 의해 기록하여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반전시킴과 함께, 기록 매체의 재생시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반전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기록 매체의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방향중 어느 한 쪽 이동 방향으로부터 다른 쪽 이동 방향으로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고, 상기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고속 검색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및 제2 이동방향중 어느 한 쪽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종료 위치에 기록함과 함께, 기록 매체의 재생시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고속 검색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선두 위치를 검색하는 동작을 개시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이동 방향시의 기록 매체에의 신호의 기록 시간과 상기 제2 이동 방향시의 기록 매체에의 신호의 기록 시간에 근거하여 총 기록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제1 이동 방향의 기록 시간이 상기 제2 이동 방향의 기록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와 기록 매체와의 표준 상대적인이동 속도를 Vs, 상기 표준 상대적인 이동 속도에 대하여 이동 속도가 빨라지는 방향치 오차를 vp, 상기 표준 상대적인 이동 속도에 대하여 이동 속도가 늦어지는 방향의 오차를 vm으로 했을 때, 상기 제1 이동 방향의 기록 시간(Tfwd)은,
    으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신호를 축적하는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기록 매체의 제1 및 제2 이동 방향중 어느 한 쪽 이동 방향으로부터 다른 쪽 이동 방향으로 이동 방향을 전환할 때에,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신호를 상기 기억 수단에 일단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에 의하여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신호 중에서 반전 지시 정보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과, 상기 기록 및 재생 헤드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신호 중에서 고속 검색 지시 정보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19960703072A 1994-10-12 1995-10-11 기록매체의기록및재생장치,및기록및재생방법 KR100391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73018 1994-10-12
JP6273018A JPH08111045A (ja) 1994-10-12 1994-10-12 信号記録再生方法及び信号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6675A KR960706675A (ko) 1996-12-09
KR100391057B1 true KR100391057B1 (ko) 2003-09-26

Family

ID=1752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072A KR100391057B1 (ko) 1994-10-12 1995-10-11 기록매체의기록및재생장치,및기록및재생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47893A (ko)
EP (2) EP0974963A1 (ko)
JP (1) JPH08111045A (ko)
KR (1) KR100391057B1 (ko)
CN (1) CN1139989A (ko)
DE (1) DE69522312T2 (ko)
WO (1) WO19960122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2657B2 (en) * 2006-05-24 2008-05-13 Sun Microsystems, Inc. Mechanism for minimizing unload times in a tape drive system
US7881943B2 (en) * 2007-02-13 2011-0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speed correction of audio recordings
US7835103B2 (en) * 2008-02-15 2010-11-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ape drive with variable wrap reversal lo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4705B2 (ja) * 1978-01-13 1984-10-31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方式
JPS5760550A (en) * 1980-09-29 1982-04-12 Pioneer Electronic Corp Automatic reversing type tape deck
JPS58114308A (ja) * 1981-12-26 1983-07-07 Toshiba Corp テ−プレコ−ダ
US4607300A (en) * 1983-05-25 1986-08-19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Automatically reversible tape deck
US4916561A (en) * 1988-09-20 1990-04-10 Eastman Kodak Company Hard copy printer having magnetic tape image storage
JPH03160648A (ja) * 1989-11-17 1991-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制御データ記録方法及び再生制御方法
FR2680427B3 (fr) * 1991-08-14 1993-11-05 Richaud Michel Procede d'utilisation d'enregistrements d'informations ou de traductions pre-positionnes.
JPH0562106A (ja) * 1991-08-29 1993-03-12 Casio Comput Co Ltd 信号記録再生装置
JPH0589561A (ja) * 1991-09-30 1993-04-09 Pioneer Electron Corp デイジタルテープレコーダ
JP2952116B2 (ja) * 1992-08-28 1999-09-20 シャープ株式会社 自動編集機能を有する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
JPH0714246A (ja) * 1993-06-22 1995-01-17 Pioneer Electron Corp 録音再生装置
US5572378A (en) * 1994-06-13 1996-11-05 Imation Corp. Direct file access system for magnetic t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6012276A1 (fr) 1996-04-25
JPH08111045A (ja) 1996-04-30
DE69522312T2 (de) 2002-05-16
DE69522312D1 (de) 2001-09-27
KR960706675A (ko) 1996-12-09
US5847893A (en) 1998-12-08
EP0737970A1 (en) 1996-10-16
CN1139989A (zh) 1997-01-08
EP0974963A1 (en) 2000-01-26
EP0737970A4 (en) 1997-02-26
EP0737970B1 (en) 2001-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1057B1 (ko) 기록매체의기록및재생장치,및기록및재생방법
EP0153410A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signal
US5305155A (en) Digital data reproducing apparatus
KR860002078B1 (ko) 고속재생시의 릴모터 구동회로
KR940008493B1 (ko) 데이터 기록방법과 종료검색방법과 연속기록방법
KR960019178A (ko) 양방향 데이타 재생이 가능하고 고속 데이타 억세스가 가능한 자기 재생 장치 및 데이타가 프로그램 번호를 참조하여 고속 데이타 억세스를 할 수 있도록 데이타와 관련하여 프로그램 번호 기록이 가능한 자기 기록 장치
JPH08111046A (ja) 信号記録方法及び装置
JP3183412B2 (ja) 磁気テープ、頭出し装置および頭出し方法
JPH0245251B2 (ko)
KR100240343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반복재생 제어방법
KR940005850B1 (ko)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고속 서치 제어방법
JPH08129791A (ja) 信号記録再生方法
JPH02278552A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08129829A (ja) 信号再生方法
JP2000195227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及びこれにより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H05151509A (ja) 記録/再生方法
JPS6258404A (ja) 磁気テ−プ装置のデ−タ記録方法
JPH0676409A (ja) 自動編集機能を有する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
JPS6286558A (ja) オ−トリバ−ス方式によるテ−プレコ−ダの選曲装置
JPH0799612B2 (ja) 検索用信号記録装置
JPH06349140A (ja) 再生装置
JPH07287896A (ja) 磁気テープ再生装置
JPS6390090A (ja) テ−プ検索方式
JPH0547070A (ja) コンピユータ用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磁気テープ走行速度の自動切換装置
JPH0527474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