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876B1 -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876B1
KR100390876B1 KR1019990016391A KR19990016391A KR100390876B1 KR 100390876 B1 KR100390876 B1 KR 100390876B1 KR 1019990016391 A KR1019990016391 A KR 1019990016391A KR 19990016391 A KR19990016391 A KR 19990016391A KR 100390876 B1 KR100390876 B1 KR 100390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ar
wheel leg
seat
ca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4763A (ko
Inventor
김두현
Original Assignee
김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현 filed Critical 김두현
Priority to KR1019990016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876B1/ko
Publication of KR1999006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27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for special appli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차내에서는 유아용 카시트로 실외에서는 유모차로 병용하여 겸용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카시트로 사용시 바퀴가 안으로 접혀 바퀴에 묻은 흙이 카시트에 묻지 않게 한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를 얻기 위한 것인 바,
시트에 섬유커버재를 덮어 형성되는 쿠숀수단부와; 상기 쿠숀수단부가 안착이 되도록 등받이와 밑면부에 삽입공간부를 갖는 구조의 틀이 형성되며 바퀴다리 수납부 공간부가 형성되며 시트안전벨트를 걸 수 있는 고리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어 펼침과 접음이 가능하며, 접었을 때 몸체부에 삽입되어 돌출되지 않는 바퀴다리부와; 상기 바퀴다리수단부를 펴고 접을 수 있도록 바퀴다리에 부착되는 접이식바와 수평바, 수직바를 포함하는 구조의 바퀴다리작동부와; 몸체부의 등뒤부분에 중앙에 형성되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손잡이 수단부와;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부에서 두 줄의 벨트가 하나의 브라켓에 연결되어 몸체부의 하부에 삽입 고정되는 안전벨트를 구비하여 고장이 없고 견고함과 안정성이 뛰어나며, 특히 카시트에서 유모차로 유모차에서 카시트로 변환이 쉽고 제조단가가 저렴한 매우 뛰어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 {Baby car-seat convertible to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안에서는 유아용 카시트로 실외에서는 유모차로 병용하여 겸용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카시트로 사용시 바퀴가 안으로 접히게 되므로 바퀴에 묻은 흙이 카시트에 묻지 않게되는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근간, 생활이 점차 가족중심으로 이동하면서 가족의 나들이가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또한 어린아이를 동반한 여행이 늘고 있으며, 여행중 차량사고 또한 나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유아를 차내에 탑승시키기 위해서는 교통법규에 마련된 바와 같이 별도의 유아 카시트를 구비하여 좌석에 장착한 후 여기에 유아를 앉혀 주행하여야 한다.
종래의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특허출원번호 제93-892호)를 도시한 도1 a,b는 유모차 겸용 유아용 카시트로 사용하는 것으로 벨트가 관통하는 벨트 삽입구멍이 뚫려있는 바닥(311)과 역시 벨트가 관통할 수 있는 여러개의 벨트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등받이(312) 및 측면부(31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등받이(312)는 뒤로 경사지게끔 되어 있고, 수직에서 약간 경사지게 세웠을 때, 상기 등받이(312)를 고정하는 고정구(314)가 등받이(312)의 배면 프레임(315)에 설치되어 이 고정구(314)를 측면부 상부를 가로지르는 횡바아(316)에 걸어서 고정하며, 상기 바닥(311) 전방부는 아래로 꺽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 배면에는 걸쇠(318)가 설치되어 측면부 외측에 고정된 보조프레임(319) 사이를 가로지르는 횡바아(320)에 상기 걸쇠(318)를 걸어서 바닥(311) 전방부(317)를 편평하게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측면부 외측에는 안내바아가 피봇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보조 프레임(319)의 후방부사이를 가로지르는 횡바아(321)에는 짐받이(322)가 장착되어 있고, 이 짐받이(322)는 몸체(310)와 짐받이(322)를 연결하는 지지구(323)에 의해 지지되고 짐받이(322)를 접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걸쇠(324)가 몸체의 등받이(312) 배면프레임(315)에 설치되어 있으며, 보호바아(325)가 몸체의 측면부(313) 전방을 가로질러 장착되고 그 보호바아(325)의 중앙과 몸체의 바닥(311)에 걸쳐 보호대가 고정되어 있고, 전체 구조를 지지하여 주는 지지프레임(326)이 몸체의 측면부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지지프레임(326)에는 보호부(327)가 설치되어 있는 몸체, 두 개의 바퀴(343)와 그 바퀴들을 연결하는 샤프트(345) 및 그 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중공형의 연결바아(341)를 포함하고, 이 연결바아는 상기 몸체의 측면부에 피봇 장착된 안내바아를 삽입함으로써, 전륜부(340)가 몸체와 연결되고, 연결바아의 중간부분과 안내바아의 상단부에 인장스프링(372)의 양단이 각각 걸려있는 전륜부(340), 이중구조로 된 두 개의 바퀴(351) 및 그 바퀴(35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을 상기 몸체(310)의 측면부에 설치된 보조프레임(319)에 피봇한 연결바아를 포함하고, 각각의 바퀴의 중간에는 연결바아와 바퀴를 포함하고, 각각의 바퀴(351) 중간에는 연결바아와 바퀴를 매개로 하는 지주(353)가 고정되며 또한 유모차로 사용시 바퀴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구(354)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바아(355)에 의해 상기 전륜부(340)와 평상시 등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연결바아(352)들 사이를 가로질러 횡바아(320)가 형성되어 있는 후륜부(350), 손잡이(331)와, 그 손잡이의 양단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310)의 측면부(313)와 보호부(327) 사이를 가로지르는 샤프트(333)에 피봇 고정된 한쌍의 막대(332)를 포함하고, 각각의 막대에 미끄럼 가능한 고정구(314)를 장착한 손잡이부(330) 및 차양막(361)을 지지하여 주는 소정 갯수의 지지바아(362)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지지바아(362)의 단부들은 상기 몸체의 측면부(313)와 보호부(327) 사이를 가로지르는 상기 샤프트(333)에 각각 피봇 고정된 차양부(360)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바닥(311) 배면에 위치하고 양단이 상기 몸체의 측면부와 각각 피봇 고정된 ㄷ자형의 프레임(370)의 종바아(371)와 상기 몸체에 인장스프링(372)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370)의 횡바아(373) 중간에는 고정장치(356)가 장착되어 있는 고정수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모차 겸용 유아용 카시트는 다수의 바아로 조립 구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복잡하고 제작상 많은 부품이 필요하므로 조립 및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구성 부품인 바아로 인한 대량 생산비용이 많이 들고 조립부품이 많으므로 어느 한 프레임 또는 어느 바아가 고장나거나 빠지면 전체가 뒤틀려져 고장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트의 쿠숀이 적어 사고의 충격으로부터 유아에 전달이 빠르므로 충격이 크고 안전사고에 위험성이 있다.
또한, 바퀴를 접을 시 바퀴다리가 뒤쪽으로 돌출되도록 접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카시트가 지저분해지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안에 유아용 카시트로 사용함과 동시에 유모차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카시트로 사용시 바퀴가 안으로 접혀 바퀴에 묻은 흙이 카시트에 묻지 않으며 몸체와 쿠숀이 일체형으로 조합되고 구성부품이 작아 고장률이 적고 제조단가가 적은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는 시트에 섬유커버재를 덮어 형성되는 쿠숀수단부와; 상기 쿠숀수단부가 안착이 되도록 등받이와 밑면부에 삽입공간부를 갖는 구조의 틀이 형성되며 바퀴다리 수납부 공간부가 형성되며 시트안전벨트를 걸 수 있는 고리결착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며 펴고 접을 수 있으며 접었을 시 몸체부에 삽입되어 돌출되지 않는 바퀴다리부와; 상기 바퀴다리수단부를 펴고 접을 수 있도록 바퀴 다리에 부착되는 접이식바와 수평바, 수직바를 포함하는 구조의 바퀴다리작동부와; 몸체부의 등뒤부분에 중앙에 형성되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손잡이 수단부와;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부에서 두 줄의 벨트가 하나의 브라켓에 연결되어 몸체부의 하부에 삽입 고정되는 안전벨트를 구비하여 몸체부가 일체형의 구조를 가지며 접었을 시 바퀴가 안쪽으로 접히므로 바퀴에 묻은 이물질이 카시트에 묻지 않는 특징이 있다.
도 1 a,b는 종래의 유아 카시트 겸용 유모차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를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의 받침대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섬유커버재 20 : 쿠숀수단부
30 : 후면요홈부 40 : 밑면요홈부
50 : 외부지지대 60 : 상부가이드대
70 : 하부가이드대 80 : 내부지지대
90 : 조절손잡이 100 : 조절버튼120 : 앞바퀴다리부 130 : 뒷바퀴다리부
140 : 긴 접이식바 150 : 짧은 접이식바
160 : 조절손잡이부 170 : 수직바
180 : 수평보조바 190 : 바퀴다리작동부
200 : 몸체부 210 : 바퀴다리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는 시트에 섬유커버재를 덮어 형성되는 쿠숀수단부(20)와; 상기 쿠숀수단부(20)가 안착이 되도록 등받이와 밑면부에 요홈부를 갖는 구조의 틀이 형성되며 바퀴다리 수납 공간부가 형성되며 시트안전벨트를 걸 수 있는 고리부(175)가 형성된 몸체부(200)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어 펼침 또는 접을 수 있으며, 접었을 시 몸체부에 삽입되어 돌출되지 않는 바퀴다리부(210)와; 상기 바퀴다리부(210)를 펴고 접을 수 있도록 바퀴 다리에 부착되는 길고 짧은 접이식바(140,150)와 수평보조바(180), 수직바(170)를 포함하는 구조의 바퀴다리작동부(190)와; 몸체부(200)의 등뒤부분 중앙에 형성되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손잡이수단부(220)와;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부에서 두 줄의 벨트가 하나의 브라켓(55)에 연결되어 고리결착부(45)의 하부에 삽입 고정되는 안전벨트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200)는 그 몸체부 등 양옆에 쿠숀수단부(20)가 삽입되도록 공간홈이 형성된 양측부에 수직으로 후면요홈부(30)를 가져 쿠숀수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지며 몸체부의 밑면에도 쿠숀부가 안착되도록 양면부에 밑면요홈부(40)가 형성되어 쿠숀수단부가 이탈하지 않도록 요홈부(30,40)가 성형된 구조를 갖는 몸체부(200)로 형성되어 진다.
상기 후면요홈부(30) 사이에 장착되는 상부에 외부지지대(50)를 고정하는 상하부가이드대(60,70)와, 상기 외부지지대에 삽입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내부지지대(80)와, 상기 내부지지대의 상부에 장착되며 내부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버튼(100)을 포함하는 손잡이수단부(220)가 장착되어 손잡이부(110)의 조절버튼을 누르면 외부지지대(50)와 내부지지대(80)를 고정하는 고정핀이 빠지면서 상부로 당길 수 있어 길이를 길게 할 수 도 있고, 짧게 줄일 수 도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도면에 도시하지 않음).
또한, 몸체부의 밑면부 전방에 장착되며 접힐 수 있는 밑면요홈부(40)가 하부에 형성되고 중앙에 조절벨트가 지나가도록 중앙에 공간부를 가지며 밑면요홈부(40)가 형성되어 요홈부에 앞바퀴다리부(120)가 삽입 장착되며, 바퀴의 회전을 제한하는 브레이크대와, 바퀴회전축이 형성된 양바퀴와, 상기 양바퀴를 지지하는 축부가 장착된 뒷바퀴다리부(130)가 장착되며, 방향전환은 뒷바퀴로 조절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힌지(135)와 브레이크대(145)로 구성되며, 몸체부의 등면 하부의 공간부에 접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앞,뒷바퀴다리부(120,130)의 앞바퀴 축부에 긴 접이식바(140)와 뒷바퀴 축부에 짧은 접이식바(150)가 서로 결합하는 부분에 일정 기울기 각도로 수직바(170)를 연결하고 있으며, 긴 접이식바(140)가 접히도록 수평보조바(180)가 장착되어 수직바(170)에 장착된 조절손잡이(90)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접이식바(140,150)가 접혀지고, 하부로 밀면 펼쳐지는 구조를 갖는 바퀴다리작동부(19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200)의 측부에 소켓(15)을 장착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투명비닐의 차양막(35)을 지지 형성하는 지지바(25)의 장착과 탈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상기 투명비닐의 차양막(35)은 유아에게 직접적인 바람의 접촉을 차단하는 바람막이 기능과 강한 태양광선의 차단하여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게 하고 있다.미설명부호(160)은 조절손잡이부를 가리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차량에서 내려 유모차로 이용시, 바퀴다리부(210)가 펼쳐지도록 수직바(170)에 장착된 조절손잡이(90)의 조절버튼을 눌러 하부로 밀면 수직바(170)에 연결된 긴 접이식바(140)와 짧은 접이식바(150)가 밀려 앞바퀴다리부(120)와 뒷바퀴다리부(130)가 펴진다. 이때 바퀴다리부(210)가 펴진 후, 다음에 손잡이수단부(220)의 조절버튼(100)을 눌러 내부지지대(80)를 뽑아 필요한 길이에서 놓으면 그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고정핀에 의해 외부 지지대의 홈에 삽입되어 구성된다. 이때 유아를 시트에 앉히고 안전벨트의 브라켓(55)을 시트전방의 고리결착부(45)에 삽입하여 체결하고 벨트의 길이는 시트의 하부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다음에 유모차에서 자동차의 카시트를 사용할 시, 수직바(170)에 장착된 조절손잡이(90)을 누르면서 상부로 당겨 바퀴다리부(210)가 몸체부(200)에 삽입되어 바퀴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카시트가 더럽혀지지 않는다. 또한 유모차에서 카시트로의 변환은 카시트에서 유모차로 변환될 때 이루어지는 작동의 역순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또한 차양막(35)은 몸체부의 측면에 장착된 소켓(15)을 이용 조립과 분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필요시 편리한 사용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는 바퀴를 접는 바퀴다리작동부(190) 없이 바퀴축에 브레이크 버튼(85)을 장착하여 펴고 접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브레이크 버튼(85)을 누르면 앞바퀴다리부 축부의 스프링(95) 탄성력을 극복하여 지지홈(105)에서 돌출보(115)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바퀴를 접거나 펼칠수 있게 된다.또, 브레이크 버튼(85)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바퀴를 펼치게 되면 스프링(95)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보(115)가 지지홈(105)속에 미끄러지면서 결착되어 바퀴가 고정된다.그리고 방안이나 기타 장소에서 유아용 의자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앞바퀴다리부(120)와 뒷바퀴다리부(130)가 접혀 있는 상태에서 뒷바퀴다리부의 축부에 장착된 받침대(125)를 펼쳐 바닦면에 대해 지지되도록 하므로서 안정된 자세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본 발명은 유아의 안전을 최상목적으로 생각하여 몸체부에 장착되는 쿠숀부는 발포우레탄, 스폰지 등을 이용 시트부를 형성하며 그 위에 고급화하게 디자인된 인조피혁등의 섬유커버재를 사용하여 마무리를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를 안락의자 역할이 가능하도록 앞,뒷바퀴다리부(120,130)의 각 축에 장착되는 반원형상의 지지대(155)와, 상기 지지대를 축부에 결착하기 위해 결착수단부인 나비너트(165)로 구성하여 필요시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는 손쉽게 변환이 가능하며 조립부품이 적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유아가 앉는 부분인 몸체부를 일체형으로 성형한 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다.또한, 유아의 안정성을 위해 시트부분 전체를 쿠숀부로 형성하여 매우 안전한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로 제공하게 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유아용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섬유커버재(10)로 시트를 덮어 형성되면서 등받이 양측으로 높이를 달리하여 벨트(65)가 통과할 수 있게 뚫은 다수의 홀(75)을 형성한 쿠숀수단부(20)와,
    상기 쿠숀수단부(20)의 장착이 이루어지게 바닦면에 고리결착부(45)의 양측으로 밑면요홈부(40)를 형성 하면서 일측은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면서 전면의 양측에 소켓(15)을 형성한 후면요홈부(30)의 배면에 고리부(175)를 형성하고 이 사이에 상,하로 배치된 상,하부가이드대(60,70)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된 외부지지대(50)의 상단에 인출조절용 조절버튼(100)을 구비한 손잡이수단부(220)로 구성된 몸체부(200)와,
    상기 몸체부(200)의 밑면요홈부(40)의 전,후방 4곳에 바퀴를 구비하여 스프링(95)을 탄압하여 지지홈(105)에서 돌출보(115)가 누름작동으로 벗어나게 설치한 브레이크버튼(85)에 의해 내측으로 절첩되는 앞바퀴다리부(120)와 후면요홈부(30)의 배면 하단에 상향으로 접혀지고, 힌지(135)로 연결 설치되면서 브레이크대(145)를 구비한 뒷바퀴다리부(130)를 설치하여 구비한 바퀴다리부(210)와,
    상기 바퀴다리부(210)의 앞바퀴다리부(120) 축부에 일단이 일정 각도와 길이로 경사지게 연결 설치된 긴 접이식바(140)와, 뒷바퀴다리부(130)의 축부에 일단이 일정 길이와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 설치된 짧은 접이식바(150)와, 상기 긴 접이식바(140)와 짧은 접이식바(150)간을 수평보조바(180)로 일정 부분에서 연결되고 타단에 일정 기울기로 설치되는 수직바(170)에 조절손잡이부(160)를 상,하 이동하게 조립되는 조절손잡이(90)를 장착한 구성의 바퀴다리작동부(190)와,
    상기 몸체부(200)의 후면요홈부(30) 전면 양측의 소켓(15)에 조립되는 지지바(25)에 일측의 일정범위를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하게 형성한 투명비닐의 차양막(35)과,
    상기 후면요홈부(30)의 후면에 형성한 고리부(175)를 거쳐 쿠숀수단부(20)의 홀(75)을 관통하는 벨트(65)로 연결 설치되면서 고리결착부(45)에 체결되는 브라켓(55)으로 구성된 안전벨트부(23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다리부(210)에는 안락의자 기능이 가능하게 나비너트(165)로 앞,뒷바퀴다리부(120,130)의 축부 각각에 체결되는 반원형상의 지지대(155)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
KR1019990016391A 1999-05-07 1999-05-07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 KR100390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391A KR100390876B1 (ko) 1999-05-07 1999-05-07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391A KR100390876B1 (ko) 1999-05-07 1999-05-07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763A KR19990064763A (ko) 1999-08-05
KR100390876B1 true KR100390876B1 (ko) 2003-07-10

Family

ID=3742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391A KR100390876B1 (ko) 1999-05-07 1999-05-07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8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1552A (en) * 2011-02-28 2012-12-12 Phillip Pain Multi-purpose apparatus
WO2018213463A1 (en) * 2017-05-17 2018-11-22 Illa Designs, LLC Car seat carr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597B1 (ko) * 2007-07-12 2009-07-21 이상엽 유모차
CN118004262A (zh) * 2022-11-09 2024-05-10 珠海阳光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载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1552A (en) * 2011-02-28 2012-12-12 Phillip Pain Multi-purpose apparatus
GB2491552B (en) * 2011-02-28 2013-11-20 Phillip Pain Multi-purpose apparatus
WO2018213463A1 (en) * 2017-05-17 2018-11-22 Illa Designs, LLC Car seat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763A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9600A (en) Multi-mode child restraint system
US4733909A (en) Multi-mode child restraint system
JP4855035B2 (ja) ベビーカー
CN111907578B (zh) 多人座婴幼儿推车
JP4757594B2 (ja) ベビーカー
KR950007778B1 (ko) 안전시트 겸용 유모차
JPH02106448A (ja) 子供用椅子を合体した車シート構造
KR101677214B1 (ko) 유모차
GB2482611A (en) Adjustable child seat and stroller apparatus
KR100390876B1 (ko)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
CN203110967U (zh) 一种用于儿童安全支撑物的基座
GB2216850A (en) Improvements in sun canopies for perambulators & pushchairs
KR20230012949A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EP0832811B1 (en) Bicycle baby-seat
GB2481138A (en) A stroller with a longitudinally slidable and detachable second seat
GB2419520A (en) Child support for a buggy
JPS5832067B2 (ja) 乳母車のハンモツク
KR20180046305A (ko) 유모차
CN111634320B (zh) 婴儿载具
US5730493A (en) Built-in baby seat for transport in vehicles
CN213262560U (zh) 背靠角度调整机构及其幼儿载具
US9463820B2 (en) Foldable pushchair suitable for transporting newborns
KR200421621Y1 (ko) 유모차 및 카시트 겸용 다목적 선셰이드
CN215663618U (zh) 童车
CN220147191U (zh) 提篮拆换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