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480B1 - 트래픽과 송신전력에 의거한 전송속도의 변화를 포함하는이동통신 제어 - Google Patents

트래픽과 송신전력에 의거한 전송속도의 변화를 포함하는이동통신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480B1
KR100389480B1 KR10-2000-0082579A KR20000082579A KR100389480B1 KR 100389480 B1 KR100389480 B1 KR 100389480B1 KR 20000082579 A KR20000082579 A KR 20000082579A KR 100389480 B1 KR100389480 B1 KR 100389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information transmission
transmission rate
radio channel
sta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732A (ko
Inventor
우메다나루미
야마오야스시
첸란
Original Assignee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62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inform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Abstract

이동통신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제1 내지 제3 부분(404, 410, 4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분(404)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중 한쪽 또는 양쪽에 있어서 무선채널의 트래픽을 측정한다. 상기 제2 부분(410)은 사용중인 무선채널의 통신품질을 측정한다. 상기 제3 부분(413)은 사용중인 무선채널의 트래픽과 송신측의 송신전력이 최대 송신전력에 도달했는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측의 송신전력 및 정보전송 속도를 결정한다.

Description

트래픽과 송신전력에 의거한 전송속도의 변화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제어{Mobile communications control including change of bit rate based on traffic and transmit pow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통신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대개 이동 전화기인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사이에 형성된 무선 통신채널상에서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정보전송 속도(informationtransmission bit rate)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은 송신전력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주어진 통신 품질이 만족되는 최소 레벨로 줄인다. 송신전력 제어장치는 다른 이동국에 포함된 통신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어, 통신 품질을 향상하고, 전체 시스템의 용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소비 전력을 저감하고, 이동국에 설치된 배터리도 절약할 수 있다.
특히,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전력 제어장치는 간섭의 감소에 따라 직접적으로 결정되는 가입자 용량의 증가 때문에 간섭을 감소시켜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CDMA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수신된 CIR(Carrier Interference Ratio)이 주어진 타겟 CIR과 같게 되도록 이동국의 송신전력이 제어되고, 이동국에서 수신된 CIR이 주어진 타겟 CIR과 같게 되도록 기지국의 송신전력이 제어되는 제안이 있다. 여기서, CIR은 소망의 신호와 간섭신호 사이의 비율이고, 스프레딩 코드를 이용하여, 송신측상의 스프레딩 코드(spreading code)에 의해 확산된 신호를 포함하는 수신신호의 디스프레딩(despreading)에 의해 얻어진 소망하는 신호전력을, 간섭신호 전력으로 나누는 것에 의해 계산된다.
도 1은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기지국(1001)에서 수신된 CIR이 타겟 CIR보다 낮을 때, 기지국(1001)은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송신전력 제어신호 "1"을 송신한다. 이동국(1002)은 송신전력 제어신호 "1"을 수신한 후, 예컨대 1㏈ 정도 송신전력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기지국(1001)에서 수신된 CIR이 타겟 CIR보다 높을 때, 기지국(1001)은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송신전력 제어신호 "0"을 송신한다. 이동국(1002)은 송신전력 제어신호 "0"을 수신한 후, 예컨대 1㏈ 정도 송신전력을 감소시킨다.
CDMA에 있어서, 증가된 다수의 이동국이 동일한 셀내에서 동시에 통신할 때, 간섭이 증가하고, 증가된 송신전력은 타겟 CIR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전송 증폭기의 특성 때문에 제한된 송신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이동국의 수가 어떤 수를 초과하여 동시에 통신하면, 이동국은 송신전력을 타겟 CIR로 증가시킬수 없다.
종래, 호 승인 제어(call admission control)는,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이동국의 수가 용량에 따른 범위내로 떨어지도록 실행된다. 그래서, 이동국의 평균 수는 통신시 용량 범위내로 떨어진다. 그러므로, 회로 전환 통신시에는, 소정의 드레시홀드치 내에서 통신 호가 끊어지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주파수를 감소시키고, 패킷통신시 패킷이 송신되지 않으므로 스루풋이 크게 감소하고, 가끔 정보가 전혀 송신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이동통신에 있어서, 특히 이동국과의 간섭 전력과 소망의 신호 전력의 크기는, 이동국의 이동과 수신된 신호 레벨의 불안정, 즉 페이딩(fading)에 의해 순간적으로 변한다. 핸드오버(handover)에서 모든 이동국이 호 승인 및 채널 할당시 주어진 품질을 충족시키더라도, 주어진 CIR과 통신 품질은 이동국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간섭과 수신하는 소망의 전력 감소 때문에 얻어질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전력에는 한계가 있다. 기지국에 근접해서 위치된 이동국은 그 범위내에서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그렇지만, 기지국에 떨어져 위치된 이동국은 최대 송신전력에서도 주어진 통신품질을 항상 충족시키지 못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주어진 통신품질을 충족하지 않는 무선채널을 이용하는 호는 강제로 끊어진다. 상기의 경우에는, 충분한 송신전력을 사용할 수 없고, 트랙픽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주파수가 발생한다.
트래픽이 시스템의 용량에 비해 많지 않은 때에도, 이동국이 기지국에서 떨어져 위치된 경우, 셀 주변 또는 이동국이 빌딩의 내부에 위치되어 수신된 레벨이 높지 않은 다른 경우에는, 최대 송신전력에서 주어진 통신품질을 사용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 주어진 통신품질을 충족할 수 없는 무선채널을 사용하는 호는 강제적으로 끊어진다. 패킷 통신에 있어서, 타겟 CIR은 얻어지지 않고, 패킷 손실율이 증가하여, 스루풋은 크게 감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어진 통신품질을 충족하지 않는 호는 끊어진다. 그래서, 종래 기술은 통신시 호 해제의 비율이 높고, 서비스의 등급이 낮다. 통화시 호 해제의 비율을 높이기 위해 동시 통화채널의 수가 감소되면, 시스템 용량은 감소한다. 패킷통신에 있어서, 스루풋은 감소되고, 지연은 증가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불편을 극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통신이 계속되고, 서비스의 등급이 개선될 수 있도록, 주어진 통신품질이 충족되지 않으면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서 주어진 통신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이동통신 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종래 방법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제어시스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업 링크(up-link) 신호의 송신전력 제어와 정보 전송 속도 제어시 기지국 동작의 플로우 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업 링크(up-link) 신호의 송신전력 제어와 정보 전송 속도 제어시 이동국 동작의 플로우 차트,
도 5는 본 발명이 CDMA에 적용될 때 사용된 기지국 구성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이 CDMA에 적용될 때 사용된 이동국 구성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제어시스템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이동통신 제어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한쪽 또는 양쪽에서 무선채널의 트래픽을 측정하는 제1 부분과; 사용중인 무선채널의 통신품질을 측정하는 제2 부분과; 송신측의 송신전력과 사용중인 무선채널의 트래픽에 의거한 정보 전송속도 및 송신측의 송신전력이 최대 송신전력에 도달하였는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동통신 제어시스템에서 무선채널의 트래픽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중인 무선채널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수신레벨 측정회로와; 각 무선채널의 통신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하나의 무선채널과 관련된 수신 CIR을 측정하는 수신 CIR(Carrier Interference Ratio) 측정회로와; 이동국의 송신전력과, 사용중인 무선채널의 트래픽에 의거해서 정보 전송 속도 및 이동국의 송신전력이 최대 송신전력에 도달하였는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기지국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기지국에 의해 달성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동통신 제어시스템에서 무선채널의 통신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중인 무선채널의 수신 CIR(Carrier Interference Ratio) 과; 송신전력과, 송신전력에 대한 제어신호에 따라 기지국에서 전송된 이동국의 정보 전송 속도를 제어하고, 기지국에 대해서 사용중인 무선채널의 트래픽과 이동국의 송신전력이 최대 송신전력에 도달하였는가에 관한 정보에 의거해서 정보 전송 속도가 저감되는 것을 도모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국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트래픽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중인 무선채널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단계와; 무선채널의 통신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무선채널의 수신 CIR(Carrier Interference Ratio)을 측정하는 단계와; 이동국의 송신전력과 무선채널의 트래픽과 이동국의 송신전력이 최대 송신전력에 도달하였는가에 관한 정보에 의거한 정보 전송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무선채널의 통신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중인 무선채널의 수신 CIR(Carrier Interference Ratio)을 측정하는 단계와; 이동국의 송신전력과, 송신전력에 대한 제어신호에 따라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정보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와; 사용중인 무선채널의 트래픽과, 이동국의 송신전력이 최대 송신전력에 도달하였는가에 관한 정보에 의거한 정보 전송 속도가 기지국에 대해서 변화되도록 도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결합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제어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제1 기지국(103)은 제1 셀(105)을 형성하고, 제2 기지국(104)은 제2 셀(106)을 형성한다. 제1 이동국(101)과 제2 이동국(102)은 각각 무선채널에 의해 제1 기지국(103)에 접속된다. 제1 이동국(101)의 송신전력은, 제1 기지국(103)에서제1 이동국(101)의 수신 CIR이 타겟 CIR과 같게 되도록 제어된다. 제2 이동국(102)의 송신전력은, 제1 기지국(103)에서 제2 이동국(102)의 수신 CIR이 타겟 CIR과 같게 되도록 제어된다.
제1 기지국(103)의 송신전력은, 제1 및 제2 이동국(101, 102)에서 제1 기지국(103)의 수신 CIR이 타겟 CIR과 같게 되도록 각각 제어된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기지국(104)은 이동국이 제2 셀(106)에 위치될 때 송신전력 제어를 행하고, 이러한 이동국은 송신전력 제어를 행한다. 도 2에는 2개의 기지국만 나타내지만,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은 복수의 기지국과 복수의 이동국을 가지는 시스템의 예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무선채널은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무선채널은 통신에 사용된 주파수 대역을 표시한다. CDMA에 있어서, 복수의 코드가 주파수 대역에서 다중화 된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은 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된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은 시분할 원칙으로 공유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본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uplink) 신호의 송신 전력 제어 및 그 정보전송 속도 제어에 관한 각 기지국의 작용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기지국이 무선 채널들의 트래픽(traffic)이 높은지 여부를 판별한다(202). 만일 상기 단계(202)의 답이 '예'이면, 상기 기지국은 자신의 셀에 위치한 모든 이동국들에게 트래픽이 높다는 것을 알린다(203). 이러한 통보는 상기기지국과 통신하는 모든 이동국들에게 정확하게 정보를 보내는 방법으로 행해진다. 다음으로, 상기 기지국은 각 이동국의 수신 CIR(204)을 측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기지국은 각 이동국에 대해 상기 수신 CIR이 주어진 일정 시간동안 타겟 CIR을 조금이라도 만족시키지 못하는지를 판별한다(205).
만일 상기 단계(205)에서 이동국의 수신 CIR이 주어진 일정 시간동안 타겟 CIR을 조금이라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에게 관련 무선 채널의 정보전송 속도가 감소되어야 한다고 통보한다(206). 그러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관련 무선 채널의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한다(207). 그런 다음,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의 수신 CIR을 측정한다. 만일 상기 수신 CIR이 타겟 CIR과 같거나 그보다 낮으면, 상기 송신 전력은 변하지 않는다. 반대로, 만일 상기 수신 CIR이 타겟 CIR보다 높으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에게 상기 송신 전력을 감소하도록 요구하는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보낸다(209).
반대로, 상기 단계(205)에서, 만일 이동국의 수신 CIR이 주어진 일정 시간동안 조금이라도 타겟 CIR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은 정보전송 속도를 바꾸지 않고, 또 상기 수신 CIR이 타겟 CIR보다 낮거나 그와 같은 때에는 송신 전력을 바꾸지 않는다. 만일 이동국의 수신 CIR이 타겟 CIR보다 높으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에게 송신 전력을 감소하도록 요구하는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보낸다(209).
아래에서는 트래픽이 높지 않을 때 행해지는 시퀀스에 관한 설명이다. 먼저, 상기 기지국은 각 이동국의 수신 CIR을 측정한다(210). 다음으로, 상기 기지국은각 이동국에 대해 상기 수신 CIR이 주어진 일정 시간동안 타겟 CIR을 조금이라도 만족하지 못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211). 만일 상기 단계(211)에서 상기 수신 CIR이 주어진 일정 시간동안 타겟 CIR을 조금이라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하자는 제안이 있는지를 판별한다(212). 만일 그러한 제안이 있으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에게 정보전송 속도는 감소될 것이라고 알려주고(213), 관련 무선 채널의 정보전송 속도를 줄인다(214).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의 수신 CIR을 측정한다(215). 다음 단계(216)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에게 상기 수신 CIR이 타겟 CIR보다 높으면 상기 송신 전력을 감소하고, 상기 수신 CIR이 상기 타겟 CIR보다 낮으면 상기 송신 전력을 높이도록 요구하는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보낸다. 만일 상기 수신 CIR이 상기 타겟 CIR과 같으면, 상기 송신 전력은 변하지 않는다.
반대로, 상기 단계(211)에서, 만일 이동국의 수신 CIR이 주어진 일정 시간동안 조금이라도 타겟 CIR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감지되지 않거나, 또는 만일 상기 단계(212)에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제안이 전혀 없으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계(216)에서 상술한 송신 제어를 행한다.
상기 기지국이 트래픽이 높든지 말든지 관계없이 관련 이동국에게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보낸 후에는, 상기 시퀀스는 시작 단계(201)로 되돌아 가고, 상술한 동작이 되풀이된다.
CDMA에서, 상기 단계(202)의 판별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상기 기지국은 무선 채널들의 토털 수신 전력 레벨을 측정하고, 그것을 미리 정해진 드레시홀드레벨과 비교한다. 만일 상기 토털 수신 전력 레벨이 상기 드레시홀드 레벨보다 높거나 그와 같으면, 상기 무선 채널들의 토털 수신 전력 레벨은 높은 것으로 판별한다. 반대로, 만일 상기 토털 수신 전력 레벨이 상기 드레시홀드 레벨보다 낮으면, 상기 무선 채널들의 토털 트래픽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본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uplink) 신호의 송신 전력 제어 및 그 정보전송 속도 제어에 관한 각 이동국의 작용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채널들의 토털 트래픽이 높다는 것을 통보 받았는지를 판별한다(302). 만일 상기 단계(302)의 답이 '예'이면, 상기 이동국은 상기 송신 전력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303). 그런 다음,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하라는 지시를 받았는지를 판별한다(304). 만일 상기 단계(304)의 답이 '예'이면,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한다(305). 반대로, 만일 상기 단계(304)의 답이 '아니오'이면, 상기 시퀀스는 시작 단계(301)로 되돌아간다.
반대로, 상기 단계(302)에서, 만일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채널들의 트래픽이 높다는 것을 통보 받지 않았으면, 상기 이동국은 상기 송신 전력 제어신호(306)에 따라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그런 다음, 상기 이동국은, 상기 송신 전력이 최대에 도달한 후에,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동안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별한다. 상기 단계(307)의 답이 '예'이면,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에게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하자는 제안을 보낸다(308). 그런다음,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하라는 지시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309). 만일 상기 단계(309)의 답이 '예'이면,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한다(310). 이 후, 시퀀스는 시작 단계(301)로 되돌아간다. 만일 상기 단계(307,309)의 답이 '아니오'이면, 시퀀스는 시작 단계(301)로 되돌아간다.
상기 기지국 및 이동국의 상술한 작용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무선 채널의 트래픽이 높고 그래서 일정 시간동안 주어진 정보전송 속도로, 예정된 통신 품질이 충족되지 못하는 경우에, 수신측은 송신측에게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라고 지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주어진 통신 품질을 충족시키기 위해 송신측 및 수신측 모두에서 정보전송 속도는 감소된다. 따라서, 통신은 계속될 수 있다.
둘째, 수신측의 수신 레벨이 감소하고 그래서 일정 시간동안 주어진 정보전송 속도로, 예정된 통신 품질이 충족되지 못하는 경우에, 주어진 통신 품질을 충족시키기 위해 송신측 및 수신측 모두에서 정보전송 속도는 감소된다. 따라서, 통신은 계속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CDMA에 적용될 경우에 사용되는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기지국의 구성은 복수의 이동국을 운용할 수 있고, 이동국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단순화하기 위해, 도 5는 하나의 채널(제 1 채널)에 관한 전체의 구조와 제 2 채널에 관한 일부의 구조를, 나머지 채널들에 관한 각각의 구조는 생략하고, 나타낸다. 안테나(401), 안테나 공유 유닛(402), 수신 신호 분배 회로(403)및 송신 신호 조합 회로(419)는 모든 무선 채널들에 의해 공유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안테나(401), 상기 안테나 공유 유닛(402), 상기 수신 신호 분배 회로(403), 수신 레벨 측정 회로(404), 제 1 수신 상관 유닛(405) 및 제 1 복조기(406)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401)는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안테나 공유 유닛(402)은 송신 및 수신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401)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수신 신호 분배 회로(403)는 수신 신호를 상기 수신 레벨 측정 회로(404) 및 상기 제 1 수신 상관 유닛(405) 등에게 분배한다. 상기 수신 레벨 측정 회로(404)는 상기 수신 신호 분배 회로(403)로부터의 상기 수신 신호의 전체 수신 레벨을 측정한다. 상기 제 1 수신 상관 유닛(405)은 상기 수신 신호 분배 회로(403)로부터의 상기 수신 신호와 기지국 제어 유닛(413)에 의해 특정되는 스프레딩 코드(spreading code)와의 사이에 상관(correlation)을 행하고, 상기 상관에 기초하여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고, 디스프레딩(despreading)을 행한다. 상기 제 1 복조기(406)는 상기 제 1 수신 상관 유닛(405)의 출력신호를 복조하고, 그 결과로서 코드화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 1 복조기(406)는, 상기 기지국 제어 유닛(413)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스프레딩 게인(spreading gain)을 변화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상기 기지국은 제 1 디코더(decoder)(407), 송신 전력 제어신호 판독 회로(408), 제 1 수신 CIR 측정 회로(410) 및 제 1 채널 제어 유닛(41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디코더(407)는 상기 제 1 복조기(406)로부터의 상기 코드화된 신호를 해독하고 그 결과로서 정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 1 디코더(407)는, 상기 기지국 제어 유닛(413)에 의한 지시에 따라, 본래의 1비트의 정보를 재생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본래의 1비트의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비트를 해독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나아가, 상기 제 1 디코더(407)는 본래의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 여러번 송신된 패킷(packet)을 해독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송신 전력 제어신호 판독 회로(408)는 상기 디코더(407)로부터 출력된 상기 정보 신호로부터 상기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추출한다. 상기 수신 CIR 측정 회로(410)는 상기 제 1 복조기(406)를 통해 상기 수신 CIR을 측정한다. 상기 제 1 채널 제어 유닛(411)은 상기 송신 전력 제어신호 판독 회로(408)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그렇게 결정된 상기 송신 전력에 따라 제 1 증폭기(417)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1 채널 제어 유닛(411)은, 상기 제 1 수신 CIR 측정 회로(410)의 출력과 타겟 CIR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이동국에 송신되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신호 멀티플렉싱 회로(414)로 상기 송신 전력 제어신호를 보낸다.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상기 기지국은, 상술한 기지국 제어 유닛(413), 상기 신호 멀티플렉싱 회로(414) 및 상기 제 1 증폭기(417)에 덧붙여, 제 2 수신 상관 유닛(412), 제 1 인코더(encoder)(415) 및 제 1 변조기(4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지국 제어 유닛(413)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기지국 제어 유닛(413)의 제 1 기능은 상기 수신 레벨 측정 회로(404)에 의해 측정되는수신 레벨을 참조로 하여 무선 채널의 현재 트래픽을 인식하는 것이다. 제 2 기능은 상기 수신 상관 유닛과 상기 변조기에게 스프레딩 코드를 지시하는 것이다. 제 3 기능은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복조기(406) 및 상기 제 1 변조기(416)에서의 스프레딩 게인을 변경하는 것이다. 제 4 기능은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비트의 정보를 복수의 비트로 나타내는 것이다. 제 5 기능은 복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패킷을 형성하고, 상기 패킷을 여러번 송신하는 것이다.
상기 신호 멀티플렉싱 회로(414)는 송신되는 정보와, 상기 제 1 채널 제어 유닛(411)에 의해 생성되어 이동국으로 송신되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정보와, 이동국으로 전송되는 다양한 제어 정보를 다중화한다. 상기 제 1 인코더(415)는 상기 신호 멀티플렉싱 회로(414)의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부호화한다. 또한, 상기 제 1 인코더(415)는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해 1비트의 정보를 복수의 비트로 나타내는 기능과, 복수의 비트를 패킷으로 조립하고 상기 기지국 제어 유닛(413)의 지시에 따라 상기 패킷을 여러번 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변조기(416)는 상기 부호화된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기지국 제어 유닛(413)에 의해 특정되는 스프레딩 코드에 의해 상기 변조된 신호를 확산한다. 또한, 상기 제 1 변조기(416)는 상기 기지국 제어 유닛(413)의 지시에 따라 상기 스프레딩 게인을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증폭기(417)는 상기 제 1 채널 제어 유닛(411)에 의해 특정된 송신 전력을 얻기 위해 상기 변조된 신호를 증폭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상기 기지국은 제 2 증폭기(418)와 상술한 송신 신호조합 회로(419)를 구비하는데, 상기 송신 신호 조합 회로는 제 1 증폭기(417) 및 제 2 증폭기(418)를 포함하는 복수의 증폭기로부터의 송신 신호들을 조합하고, 상기 조합된 신호를 상기 안테나 공유 유닛(402)에 공급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정보는 상기 정보 신호에 동반된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정보는 다른 채널에 의해 송신되어 질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기지국의 구성 및 도 3에 도시된 그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텝 202 : 기지국은, 수신레벨 측정회로(404)에서 무선채널의 수신레벨을 측정한다. 그런식으로 측정된 수신레벨은 기지국 제어유닛(413)으로 보내진다. 상기 유닛(413)은 유닛(404)에 의해 측정된 수신레벨을 주어진 드레시홀드 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무선채널의 트래픽이 하이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스텝 203 : 상기 수신레벨이 드레시홀드 레벨보다 높아 트래픽이 하이상태로 결정되면, 상기 기지국 제어유닛(413)은 신호 멀티플렉싱 회로(414)에 트래픽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보낸다. 상기 신호 멀티플렉싱 회로(414)는 상기 정보를 정보신호로 다중화한다. 상기 다중화된 신호는 인코더, 변조기 및 증폭기를 경유하여 이동국에 전송된다.
스텝 204 : 제1 수신 CIR 측정회로(410)는 제1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CIR을 측정하고, 수신 CIR을 제1 채널 제어유닛(411)에 보낸다.
스텝 205 : 상기 제1 채널 제어유닛(411)은 상기 수신 CIR을 타겟 CIR과 비교한다. 수신 CIR이 주어진 일정시간 동안 타겟 CIR을 조금이라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채널 제어유닛(411)은 그 상황을 기지국 제어유닛(413)에 통보한다.
스텝 206 : 기지국 제어유닛(413)은, 신호 멀티플렉싱 회로(414)를 포함하는 전송시스템을 경유하여 제1 이동국에, 정보전송 속도가 감소될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보낸다.
스텝 207 : 제1 복조기(406) 및 제1 디코더(407) 중 한쪽 또는 양쪽은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제어된다. 동시에, 제1 변조기(416) 및 제1 인코더(415) 중 한쪽 또는 양쪽은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제어된다.
스텝 208 : 정보전송 속도는 기지국과 이동국의 양쪽에서 감소되고, 그 다음 제1 수신 CIR 측정회로(410)는 관심있는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수신 CIR을 측정한다. 그런식으로 측정된 수신 CIR이 제1 채널 제어유닛(411)으로 보내진다.
스텝 209 : 채널 제어유닛(411)은 수신 CIR을 타겟 CIR과 비교한다. 상기 수신 CIR이 타겟 CIR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채널 제어유닛(411)은 송신전력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음을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제1 이동국에 보낸다. 반대로, 상기 수신 CIR이 타겟 CIR보다 큰 경우에, 채널 제어유닛(411)은 이동국에 송신전력을 감소시킬 것을 명령하는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제1 이동국에 보낸다.
스텝 210 : 제1 수신 CIR측정회로(410)는 제1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수신 CIR을 측정하고, 그런 식으로 측정된 수신 CIR을 제1 채널 제어유닛(411)으로 보낸다.
스텝 211 : 제1 채널 제어유닛(411)은 상기 수신된 CIR을 타겟 CIR과 비교한다. 상기 수신된 CIR이 주어진 일정 시간동안 조금이라도 타겟 CIR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제1 채널 제어유닛(411)은 그 사실을 기지국 제어유닛(413)에 통보한다.
스텝 212 : 제1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시킬 것을 제안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안은 채널 제어유닛(411)을 경유하여 기지국 제어유닛(413)으로 통보된다.
스텝 213 : 제1 이동국에 의해 정보전송 속도의 감소가 제안된 경우에, 상기 기지국 제어유닛(413)은 신호 멀티플렉싱 회로(414)를 포함하는 전송시스템을 경유하여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시킬 것을 제1 이동국에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제1 이동국에 보낸다.
스텝 214 : 제1 복조기(406) 및 제1 디코더(407)의 한쪽 또는 양쪽은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제어된다. 동시에 제1 변조기(416) 및 제1 인코더(415)의 한쪽 또는 양쪽은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제어된다.
스텝 215 : 정보전송 속도는 기지국 및 이동국의 양쪽에서 감소되고, 그 다음 제1 수신 CIR측정회로(410)는 관심있는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수신 CIR을 측정한다. 그런 식으로 측정된 상기 수신 CIR은 제1 채널 제어유닛(411)으로 보내진다.
스텝 216 : 채널 제어유닛(411)은 수신 CIR을 타겟 CIR과 비교한다. 상기 수신 CIR이 상기 CIR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채널 제어유닛(411)은 송신전력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음을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제1 이동국에 보낸다.
반대로, 상기 수신된 CIR이 타겟 CIR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채널 제어유닛(411)은 이동국에 송신전력을 감소시킬 것을 명령하는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제1 이동국에 보낸다.
도 6은, 본 발명이 CDMA에 적용된 경우에 사용되는 이동국의 구성에 대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에 나타낸 이동국은, 안테나(501), 안테나 공유유닛(502), 수신 상관 유닛(503), 복조기(504), 디코더(505), 송신전력 제어신호 판독회로(506), 수신 CIR측정회로(508), 제어유닛(509), 신호 멀티플렉싱 회로(510), 인코더(511), 변조기(512) 및 증폭기(513)를 포함한다.
안테나(501)는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안테나 공유유닛(502)은 전송 및 수신에 있어서 안테나(501)를 공유하는데 사용된다. 수신 상관 유닛(503)은, 안테나 공유유닛(502)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제어유닛(509)에 의해 특정된 스프레딩 코드간의 상관을 취하고, 상기 상관에 기초한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고, 디스프레딩을 수행한다. 복조기(504)는 수신 상관 유닛(503)의 출력신호를 복조하고 결과적으로 부호화된 신호를 출력한다. 변조기(504)는 또한 제어유닛(509)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스프레딩 게인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디코더(505)는 복조기(504)로부터의 부호화된 신호를 해독하고, 결과적인 정보신호를 출력한다. 디코더(505)는, 또한 본래의 비트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비트를 해독하여, 본래의 1비트 정보를 재생성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된다. 더욱이, 디코더(505)는 원래의 정보를 재생성하기 위해 복수회 전송되는 패킷을 해독하는 기능을 가진다. 송신전력 제어신호 판독회로(506)는 디코더(505)에 의해 정보신호 출력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추출한다.
수신 CIR측정회로(508)는, 복조기(504)를 통해 수신된 CIR을 측정한다. 제어유닛(509)은 송신전력 제어신호 판독회로(506)의 출력을 조회함으로써 그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결정하고, 대응하는 명령을 증폭기(513)에 보낸다. 또한 제어유닛(509)은 수신 CIR측정회로(508)의 출력으로부터 기지국에 보내질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것을 신호 멀티플렉싱 회로(510)에 공급한다. 더욱이, 제어유닛(509)은 현재의 무선채널 및 그의 최대 송신전력 레벨과 관련된 이동국의 송신전력 레벨을 인식하고 조정한다. 또한, 제어유닛(509)은 현재의 정보전송 속도를 조정하고, 필요하면 정보전송 속도의 변동에 대한 명령으로서의 스프레딩 게인의 변화명령을 복조기(504) 및 변조기(512)에 공급한다. 더욱이, 제어유닛(509)은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비트로 1비트의 정보를 나타낸다. 게다가, 제어유닛(509)은 복수의 비트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패킷을 형성하고, 상기 패킷을 복수회 전송한다.
신호 멀티플렉싱 회로(510)는 전송될 정보 제어유닛(509)에 의해 생성되고 이동국에 전송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 및 이동국에 설정될 다양한 제어정보를 다중화한다. 인코더(511)는 신호 멀티플렉싱 회로(510)로부터 다중화된 신호를 부호화한다. 인코더(511)는 또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비트로 1비트 정보를 나타내는 기능과, 복수의 비트를 하나의 패킷으로 모으고 상기 패킷을제어유닛(509)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복수회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변조기(512)는 부호화된 신호를 변조하고, 제어유닛(509)에 의해 특정된 스프레딩 코드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스프레딩한다. 상기 변조기(512)는 또한 제어유닛(509)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스프레딩 게인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증폭기(513)는 제어유닛(509)에 의해 특정된 송신전력을 얻기 위해 변조된 신호를 증폭한다.
도 6에 나타낸 구성에서, 송신전력 제어정보는 정보신호를 수반한다. 선택적으로, 송신전력 제어신호는 또 다른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이동국의 구성 및 도 4에 나타낸 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텝 302 : 이동국의 제어유닛(509)은 안테나(501)에서 디코더(505)에 이르는 수신시스템을 경유하여 기지국에 의해 보내진 신호로부터의 정보를 판독한다. 그 다음 제어유닛(509)은 무선채널의 트래픽이 하이상태임을 나타내는 보고가 있었는지를 결정한다.
스텝 303 : 송신전력 제어신호 판독회로(506)는 기지국에 의해 보내진 수신신호로부터 이동국에 전해진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판독하고, 그것을 제어유닛(509)에 공급한다. 그 다음 제어유닛(509)은 송신전력 제어신호가 나타내는 송신전력을 증폭기(513)에 통보한다.
스텝 304 : 제어유닛(509)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정보전송 속도에 있어서의 감소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포함하는지를 분별한다.
스텝 305 :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유닛(509)은 복조기(504) 및 디코더(505)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시킬 것을 지시하고, 제1 변조기(416) 및 제1 인코더(415)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시킬 것을 지시한다.
스텝 306 : 송신전력 제어신호 판독회로(506)는 기지국에 의해 보내진 수신신호로부터 이동국에 대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판독하고, 그것을 제어유닛(509)에 공급한다. 그 다음, 제어유닛(509)은 증폭기(513)에 송신전력 제어신호가 나타내는 송신전력을 통보한다.
스텝 307 : 제어유닛(509)은, 송신전력이 최대전력에 도달한 후에 소정의 일정시간 동안 송신전력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스텝 308 : 송신전력이 최대전력에 도달한 후 소정의 일정시간동안 송신전력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된다고 결정된 경우, 제어유닛(509)은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시킬 것을 제안하는 제어신호를 전송시스템을 경유하여 기지국에 보낸다.
스텝 309 : 제어유닛(509)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이동국에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스텝 310 :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유닛(509)은 복조기(504) 및 디코더(505)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시킬 것을 지시하고, 제1 변조기(416) 및 제1 인코더(415)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시킬 것을 지시한다.
정보전송 속도를 변화시켜, 기지국 및 이동국의 양쪽에서 통신품질을 변화시키는 제1 내지 제3 방법을 설명한다.
제1 방법은, CDMA에서 동일한 스프레딩 밴드내의 스프레딩 게인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정보전송 속도는 감소되지만, 간섭에 대한 저항은 상승한다. 따라서, 신호는 더 높은 CIR에서 수신될 수 있다.
제2 방법은, 복수의 비트를 사용하여 1 비트의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동일한 정보비트가 복수회 전송되고, 수신신호는 상기 각각 수신된 동일 정보비트로부터 재생성된다. 이 경우, 정보전송 속도는 감소되지만, 간섭에 대한 저항은 상승한다. 따라서 높은 통신품질이 낮은 CIR에서조차 보장될 수 있다.
제3 방법은, 복수의 비트를 하나의 패킷으로 모으고, 상기 패킷을 복수회 보내는 것이다. 수신신호는 각각 수신된 동일 패킷으로부터 재생성된다. 이 경우, 정보전송 속도는 감소되지만, 간섭에 대한 저항은 상승한다. 따라서 낮은 CIR에서 높은 통신품질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방법 중 어느 방법 및 그들 방법의 어떤 결합을 적용할 수 있다. 제1 방법에서, 변조기와 복조기는 스프레딩 게인을 변화시키도록 지시된다. 제2 및 제3 방법에서, 인코더와 디코더는 복수의 비트로 1비트 정보를 나타내도록 또는 복수의 비트로 형성된 패킷을 복수회 보내도록 지시된다.
정보전송 속도를 감소시키는 다른 방법을 적용하여 통신품질은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앞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국의 송신전력은 제어된다. 선택적으로, 송신전력은 기지국에서 제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동국은 수신 CIR로부터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기지국은 이동국에 의해 보내지는 송신전력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송신전력을 변화시킨다. 즉, 기지국과 이동국의 기능이 교체된다.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CDMA가 무선전송 시스템으로서 사용된다. 무선채널의 트래픽이 인식되고, 최대 송신전력이 무선채널에 대해 설정되었는지에 대해 결정될 수 있는 경우에는 FDMA 또는 TDMA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서는 무선채널의 트래픽이 높은 경우에 통신이 단절되었고, 따라거 제공되는 통신품질은 만족스러운 것이 아니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전송 속도가 제공되는 통신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감소한다. 따라서, 통신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통신이 연속적이고 서비스의 등급도 향상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셀 주변에 위치된 이동국 및 관련 기지국의 한쪽 또는 양쪽이 최대 송신전력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조차도, 제공되는 통신품질이 달성될 수 없을 때는 통신이 단절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신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통신이 연속적이고 서비스 등급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패킷 통신에 적용될 때, 처리량이 어느 범위까지 보장될 수 있어, 전송지연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변경 및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본 출원은 1999년 12월28일 출원된 일본 우선출원 NO. 11-375793에 기초하고 있고, 그 전체내용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장치와, 이 이동국 장치와 무선채널을 이용하여 무선 접속되는 기지국 장치를 포함하고, 무선채널의 트래픽 상황에 따라 정보전송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무선채널의 트래픽의 상황을 파악하는 수단과,
    무선채널의 트래픽의 상황에 따라 정보전송속도를 결정하는 수단과,
    무선채널의 트래픽의 상황에 따라 결정된 정보전송속도로 통신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2.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장치와, 이 이동국 장치와 무선채널을 이용하여 무선 접속되는 기지국 장치를 포함하고, 무선 채널의 트래픽 상황에 따라 정보전송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무선채널의 트래픽의 상황을 파악하는 수단과,
    통신중의 무선채널의 통신품질을 측정하는 수단과,
    무선채널의 트래픽의 상황과 통신중 무선채널의 통신품질의 쌍방에 따라, 정보전송속도와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수단과,
    무선채널의 트래픽의 상황과 통신중 무선채널의 통신품질의 쌍방에 따라 결정되는 정보전송속도와 송신전력에 의해 통신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채널의 트래픽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통신품질이 소정치보다 저하된 경우에, 송신전력을 유지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채널의 트래픽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통신품질이 소정치보다 저하된 경우에, 정보전송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채널의 트래픽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최대송신전력에서 송신중에, 소정시간 계속하여 송신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경우에, 정보전송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접속은 CDMA 방식을 이용한 접속이고, 상기 정보전송속도를 제어하는 수단은 스프레딩 게인(spreading gain)을 제어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제어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전송속도를 제어하는 수단은, 동일한 정보 비트를 복수회 전송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전송속도를 제어하는 수단은, 동일한 패킷을 복수회 전송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접속은 CDMA 방식을 이용한 접속이고, 상기 무선채널의 트래픽의 상황을 파악하는 수단은 무선채널의 총수신전력을 측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0.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채널의 통신품질은 수신 CIR(Carrier Interference Rati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1. 대향하는 무선국 장치와 무선채널을 이용하여 무선접속되고, 무선채널의 트래픽 상황에 따라 정보전송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무선국 장치로서,
    무선채널의 트래픽의 상황을 파악하는 수단과,
    상기 파악한 트래픽의 상황에 따라 정보전송속도를 결정하는 수단과,
    무선채널의 트래픽의 상황에 따라 결정된 정보전송속도로 통신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국 장치.
  12. 대향하는 무선국 장치와 무선채널을 이용하여 무선접속되고, 무선채널의 트래픽 상황에 따라 정보전송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무선국 장치로서,
    무선채널의 트래픽의 상황을 파악하는 수단과,
    통신중의 무선채널의 통신품질을 측정하는 수단과,
    상기 트래픽의 상황과 통신중 무선채널의 통신품질의 쌍방에 따라 정보전송속도와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결정된 정보전송속도와 송신전력에 기초하여, 통신을 행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국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전송속도와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수단은, 무선채널의 트래픽이 혼잡하지 않고 송신전력이 최대일 때에, 소정기간 송신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경우에 정보전송속도를 저하시키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국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국 장치는 기지국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국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국 장치는 이동국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국 장치.
  16. 대향하는 무선국 장치와 무선채널을 이용하여 무선접속되고, 무선채널의 트래픽의 상황에 따라 정보전송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무선국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무선채널의 트래픽의 상황을 파악하는 수순과,
    무선채널의 트래픽의 상황에 따라 정보전송속도를 결정하는 수순과,
    무선채널의 트래픽의 상황에 따라 결정된 정보전송속도로 통신하는 수순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국 장치의 제어방법.
  17. 대향하는 무선국 장치와 무선채널을 이용하여 무선접속되고, 무선채널의 트래픽의 상황에 따라 정보전송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무선국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무선채널의 트래픽의 상황을 파악하는 수순과,
    통신중 무선채널의 통신품질의 측정을 행하는 수순과,
    무선채널의 트래픽의 상황과 통신중 무선채널의 통신품질의 쌍방에 따라, 정보전송속도를 결정하는 수순과,
    무선채널의 트래픽의 상황과 통신중 무선채널의 통신품질의 쌍방에 따라 결정된 정보전송속도로 통신하는 수순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국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0-0082579A 1999-12-28 2000-12-27 트래픽과 송신전력에 의거한 전송속도의 변화를 포함하는이동통신 제어 KR100389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579399A JP3618071B2 (ja) 1999-12-28 1999-12-28 移動通信制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基地局及び移動局
JP99-375793 1999-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732A KR20010062732A (ko) 2001-07-07
KR100389480B1 true KR100389480B1 (ko) 2003-06-27

Family

ID=1850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579A KR100389480B1 (ko) 1999-12-28 2000-12-27 트래픽과 송신전력에 의거한 전송속도의 변화를 포함하는이동통신 제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09905B2 (ko)
EP (1) EP1113589B1 (ko)
JP (1) JP3618071B2 (ko)
KR (1) KR100389480B1 (ko)
CN (1) CN1276668C (ko)
DE (1) DE6004226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1441D0 (en) * 2000-08-31 2000-10-18 Nokia Networks Oy Changing bandwidth
US6985739B2 (en) * 2000-12-15 2006-01-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mission and congestion control in a CDMA-based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7006483B2 (en) 2001-02-23 2006-02-28 Ipr Licensing, Inc. Qualifying available reverse link coding rates from access channel power setting
FR2822011B1 (fr) * 2001-03-08 2003-06-20 Cit Alcatel Procede d'admission des appels dans un systeme de telecommunication
JP4547832B2 (ja) * 2001-05-02 2010-09-2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lanシステムおよびその通信方法
US7961616B2 (en) * 2001-06-07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gestion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934555B2 (en) * 2001-06-29 2005-08-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oftware analysis tool for CDMA system
US7046640B2 (en) * 2001-06-29 2006-05-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oftware analysis tool for CDMA system
US7103021B2 (en) 2001-09-25 2006-09-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of data rate control information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US7522563B2 (en) * 2001-11-28 2009-04-21 Millennial Net, Inc. Network protocol
US7376390B2 (en) 2001-12-07 2008-05-20 Ntt Docomo, Inc. Radio control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communication program,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895982B2 (ja) * 2001-12-20 2007-03-22 株式会社東芝 移動通信端末装置
JP4054650B2 (ja) * 2002-10-03 2008-02-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リソース割当方法、及びこのリソース割当方法が適用される基地局、移動局、無線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
JP4071598B2 (ja) 2002-10-04 2008-04-0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及びこれらに用いて好適な無線局
SE0203056D0 (sv) * 2002-10-11 2002-10-11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pparatu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EP1587337B1 (en) * 2003-01-23 2012-09-19 Fujitsu Limited Communication resource management device
JP2004320240A (ja) 2003-04-14 2004-11-11 Ntt Docomo Inc 伝送制御装置、無線基地局、及び伝送レート制御方法
CN1934883A (zh) * 2004-03-22 2007-03-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分组数据的调度方法
US8139523B2 (en) 2004-11-10 2012-03-20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and radio base station
JP2006311519A (ja) * 2005-03-31 2006-11-09 Maspro Denkoh Corp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725329B2 (ja) * 2006-01-17 2011-07-13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携帯ip電話制御方法および携帯ip電話制御システム
KR100964577B1 (ko) * 2006-06-02 2010-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4672774B2 (ja) * 2006-09-28 2011-04-20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の災害時における縮退運用を行う無線基地局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8345591B2 (en) * 2007-07-20 2013-01-0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plurality of physical layers to retain quality of service in a wireless device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JP5108450B2 (ja) * 2007-10-22 2012-12-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無線端末
JP5053876B2 (ja) * 2008-01-28 2012-10-24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145164B2 (en) * 2008-02-28 2012-03-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ling a signaling message the relates to transmission rate restrictions
JP2009218746A (ja) * 2008-03-07 2009-09-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データ収集装置
JP5294743B2 (ja) 2008-07-16 2013-09-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5565082B2 (ja) 2009-07-31 2014-08-06 ソニー株式会社 送信電力決定方法、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531767B2 (ja) 2009-07-31 2014-06-25 ソニー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310603B2 (ja) * 2010-03-05 2013-10-09 富士通株式会社 移動機、及び電力制御方法
JP5905749B2 (ja) * 2012-03-06 2016-04-20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
US8918136B2 (en) * 2012-11-29 2014-12-23 At&T Mobility Ii Llc Adjustment of transmit power parameter
EP2949148A4 (en) * 2013-01-25 2016-08-31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DEVICE FOR CAPACITY MANAGEMENT
US11228958B2 (en) * 2020-04-15 2022-01-1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transmission of recommended bit rate queri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1653A (ja) * 1994-10-24 1996-07-12 N T T Ido Tsushinmo Kk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
KR19980046880A (ko) * 1996-12-13 1998-09-15 양승택 음성 부호화기의 전송률 결정방법
WO1999001944A2 (en) * 1997-07-01 1999-01-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ignal power in a communication system
WO1999055112A1 (fr) * 1998-04-17 1999-10-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de communication radio et procede permettant de regler la vitesse de transmission
KR100313914B1 (ko) * 1998-10-09 2001-12-20 서평원 이동통신시스템의패킷데이터전송속도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946674B (en) 1993-09-08 1995-05-02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data rate in a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
US5822318A (en) 1994-07-29 1998-10-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in a variable rate communication system
JP2606595B2 (ja) 1994-08-29 1997-05-07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ジタル無線通信方式
US5873028A (en) 1994-10-24 1999-02-16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H08289367A (ja) 1995-04-14 1996-11-01 Oki Electric Ind Co Ltd 移動通信システム
AU3260195A (en) * 1995-08-31 1997-03-1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a radio transmitt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5734646A (en) * 1995-10-05 1998-03-31 Lucent Technologies Inc.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providing load and interference based demand assignment service to users
KR19990076826A (ko) 1995-12-27 1999-10-25 찰스 엘. 무어, 주니어 Tdma를 사용한 고전력의 간결한 메시지 서비스
FI102023B (fi) * 1996-11-26 1998-09-3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kuormitustavoitteen muodostamiseksi ja radiojärjestelmä
EP1320277B1 (en) 1996-12-27 2006-09-20 NTT DoCoMo, Inc. Call admission control method and mobile station device for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202658B2 (ja) 1997-06-20 2001-08-27 日本電気株式会社 可変レートcdma送信電力制御方式
JP3013822B2 (ja) * 1997-11-20 2000-02-28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システム
JP4048510B2 (ja) 1998-03-05 2008-02-20 富士通株式会社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基地局
JP3109589B2 (ja) 1998-03-18 2000-11-20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端末の送信パワー調整方法及び装置
US6400954B1 (en) 1998-05-15 2002-06-04 Tl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systems for mode selection based on access network capacity
US6252865B1 (en) * 1998-10-02 2001-06-26 Qualcomm,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st power control of signals transmitted on a multiple access channel
US6668159B1 (en) * 1998-11-30 2003-1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rminal bitrate indicator
KR100615374B1 (ko) * 1999-03-12 2006-08-2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전력제어 채널상에 전력을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1653A (ja) * 1994-10-24 1996-07-12 N T T Ido Tsushinmo Kk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
KR19980046880A (ko) * 1996-12-13 1998-09-15 양승택 음성 부호화기의 전송률 결정방법
WO1999001944A2 (en) * 1997-07-01 1999-01-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ignal power in a communication system
WO1999055112A1 (fr) * 1998-04-17 1999-10-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de communication radio et procede permettant de regler la vitesse de transmission
KR100313914B1 (ko) * 1998-10-09 2001-12-20 서평원 이동통신시스템의패킷데이터전송속도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13589A2 (en) 2001-07-04
EP1113589A3 (en) 2003-10-15
CN1276668C (zh) 2006-09-20
CN1304224A (zh) 2001-07-18
DE60042261D1 (de) 2009-07-09
JP3618071B2 (ja) 2005-02-09
US6909905B2 (en) 2005-06-21
US20010017882A1 (en) 2001-08-30
EP1113589B1 (en) 2009-05-27
JP2001189693A (ja) 2001-07-10
KR20010062732A (ko)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480B1 (ko) 트래픽과 송신전력에 의거한 전송속도의 변화를 포함하는이동통신 제어
US5878350A (en) Schem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s during soft handover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636551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rate
US5574983A (en) Base station device and mobile station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the site diversity effect in soft handover state
JP3192839B2 (ja) 初期送信電力の決定方法
US6137789A (en) Mobile station employing selective discontinuous transmission for high speed data services in CDMA multi-channel reverse link configuration
US6577875B1 (en)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method with uplink interference ceiling
US7532888B2 (en)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during soft handover
CN100375564C (zh) 用于估算无线电网络功能所用的频率间测量的系统和方法
KR100276698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셀룰러이동통신시스템에서소프트핸드오프시의순방향링크전력제어방법및장치
US20040166899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controller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control method therefor
EP1138171B1 (en) Handover determination and power control adjustment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with frequency hopping
EP1526652A1 (en) A method for setting a power offset for power control of a downlink shared channel in a mobile radiocommunication system
EP1113693B1 (en)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degradation of circuit quality
CA2387167C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and a network element
KR20000035247A (ko) 착신 단락 및 가입자 수용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cdma 송신 전력 제어
US6445684B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adjustment of CDMA wireless device power lev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