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134B1 -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134B1
KR100389134B1 KR10-2001-0000373A KR20010000373A KR100389134B1 KR 100389134 B1 KR100389134 B1 KR 100389134B1 KR 20010000373 A KR20010000373 A KR 20010000373A KR 100389134 B1 KR100389134 B1 KR 100389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odule
bus
trunk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7374A (ko
Inventor
박주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0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134B1/ko
Publication of KR20020057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데이터메일 처리 기능을 위해 회선용량을 확장하고 버스구조의 성능을 개선하며 시스템 보드의 기능을 개선한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데이터메일의 처리를 위한 전체적인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메인(Main) 모듈과; 대국으로부터 도래되는 호접속요구에 응답하여 음성데이터채널을 형성하여 그 음성데이터채널에 의해 음성메일이 전달되도록 하는 복수의 트렁크 모듈 및; 상기 트렁크 모듈로부터의 음성통화채널의 셋업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트렁크모듈에 의한 음성데이터채널의 형성을 제어하는 다수의 음성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Main) 모듈의 IOU보드와 상기 트렁크 모듈과 상기 음성모듈의 MPU보드간에는 비동기 시리얼 포트를 이용하여 통신 및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트렁크 모듈과 상기 음성모듈의 MPU보드간에는 비동기 시리얼포트의 이중화연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Main) 모듈의 IOU보드와 MPU보드간에는 상기 VME_BUS 32비트로 연결된 것이다.

Description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System for processing voice and data mail}
본 발명은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및 데이터 메일(Mailing)을 처리하기 위한 회선의 용량확장과 시스템버스구조의성능개선 및 시스템 보드의 기능개선이 실현된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선/무선 형태의 다수의 가입자단말을 수용하고서 발신가입자와 착신가입자의 사이에서 호를 교환해주는 교환기에 대해서는 발신가입자 및 착신가입자에게 보다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설계가 이루어지는 상황인 바, 그 부가적인 서비스에는 발신가입자가 등록한 음성메시지를 VMS(Voice Mailing System)에서 착신가입자가 확인하도록 해주는 음성사서함 서비스라든지, 발신가입자가 등록한 단문메시지를 SMS(Short Message Mailing System)가 착신가입자측에게 전달하여 확인하도록 하는 문자메시지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도 1은 종래의 음성 및 데이터메일을 처리하는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은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의 전체적인 기능제어를 담당하는 마스터 모듈(Master Module; MM)(10)과, 그 마스터 모듈(10)에 신호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슬레이브 모듈(Slave Module; SM-01,SM-02,SM-03,SM-04)(20a,20b,20c,20d)로 구성된다.
상기 마스터 모듈(10)은 해당하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를 관장하면서, 각 슬레이브 모듈(20a∼20d)에 시스템에 관련된 각종의 정보를 전송하고 그 슬레이브 모듈(20a,20b,20c,20d)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게 되고, 또한 그 마스터모듈(10)은 시스템콘솔정합이라든지 시스템 경보(Alarm)제어, 시스템차원의 진단 및 설치(Install)기능, 디지털중계선정합및 시그널링처리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슬레이브 모듈(20a,20b,20c,20d)은 64가입자 회선에 대한 호를 처리하고 DTMF신호를 수신하여 호를 제어하며 음성(PCM voice)를 압축 및 복원(ADPCM)시켜 저장 및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마스터 모듈(10)과 슬레이브 모듈(20a∼20d)에서 MPU(Main Processor Unit)(102;202)는 해당하는 마스터 모듈(10)과 슬레이브 모듈(20a∼20d)의 주제어프로세서로서 호처리, 파일관리, 데이터전송에 관련된 제어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그 MPU(102;202)는 활성화(Active)/비활성화(Standby)의 이중화구조로 설계되어 활성화 MPU의 장애시 비활성화 MPU로 자동적으로 전환되게 된다.
또, HIU(Host Interface Unit)(104;204)는 각 모듈(10;20a∼20d)에 장착된 주제어프로세서로서의 MPU(102;202)와의 통신 및 호스트 컴퓨터(도시 생략)와의 데이터 송신/수신을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DSU(Disk Scsi Control Unit)(106;206)는 대응하는 모듈(10;20a∼20d)의 디스크(Disk)제어 프로세서로서, 저장매체(Storage medium)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그 저장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기능을 행하게 된다.
MTU(Message Transfer Unit)(108;208)는 각 모듈(10;20a∼20d)간 데이터 또는 메시지 및 제어 이벤트(Event)의 송신/수신기능을 행하면서, LAN(Local Area Network)정합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LAN의 속도는 10Mbps로 각 모듈(10;20a∼20d)간에는 동축선으로 연결된다.
또, 슬레이브 모듈(20a∼20d)에서 VPU(210)는 그 슬레이브 모듈(20a∼20d)에서 가입자 정합(Interface)과 DTMF검출, 톤(Tone) 검출 및 PCM과 ADPCM간 변환기능을 담당하게 되고, 가입자 정합포트는 8회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스터 모듈(10)에서 TSU(Time Switching Unit)(110)는 그 마스터 모듈(10)의 MPU(102)의 제어에 의해 채널스위칭기능(즉, 도 1의 마스터 모듈에서 'SHW'로 표시된 부분)과 텔레포니(Telephony) 디바이스의 제어기능(즉, 도 1의 마스터 모듈에서 'TD_BUS'로 표시된 부분)을 담당하게 되고, 그 스위칭 용량은 1024 ×1024 타임슬롯으로 구성된다.
또, EIU(E1 Interface Unit)(112)는 그 마스터 모듈(10)에서 중계선 E1(Cept)회선에 연결된 교환기와의 E1(Cept)정합을 담당하게 되고, 그 회선용량은 4개의 E1링크로 120채널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RIU(R2 Interface Unit)(114)는 상기 마스터 모듈(10)에서 중계선 E1(Cept)회선을 통해 R2신호처리에 의해 교환기와 R2정합을 담당하게 되고, 그 처리용량은 16채널로 구성된다.
CCU(Common Channnel Signalling unit)(116)는 상기 마스터 모듈(10)에서 중계선 E1(Cept)회선을 통해 No.7시그널링기능의 MTP처리부분을 주로 담당하게 된다.
또, 각 모듈(10;20a∼20d)에서 HDU(Hard Disk Unit)(118;212)는 메시지,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디스크로 구성되는 보조기억장치로서, 그 용량은 1.2Gbytes이다.
상기 마스터 모듈(10)에서 FDU(Floppy Disk Unit)(120)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렉서블(Flexible)디스크로 구성된 보조기억장치로서, 그 용량은1.44Mbytes이다.
또, 상기 마스터 모듈(10)에서 CTU(Cartridge Tape unit)(122)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 시퀀셜 마그네틱 테이프(Sequencial magnetic tape)로 구성된 보조기억장치이다.
또, 상기 마스터 모듈(10)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20a∼20d)에서 VME버스(VME-BUS)(130;230)는 상기 MPU(102;202)를 포함하는 각 보드간 데이터를 송신/수신하기 위한 각 모듈의 주 통신 병렬버스를 나타내는 바, 그 VME버스(130;230)의 통신데이터 비트의 크기는 16비트의 폭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스터 모듈(10)에서 TD_BUS(132)는 상기 TSU(110)와 EIU(112), RIU(114) 및 CCU(116) 보드간에 통신을 위해 제공되는 직렬버스이다.
또, SCSI_BUS(134;232)는 상기 마스터 모듈(10)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20a∼20d)에서 DSU(106;206)와 HDU(118;212), FDU(120), CTU(122) 보드의 보조기억장치간에 통신을 위해 제공되는 수단으로서 병렬버스로 구성된다.
LAN(136;234)은 상기 마스터 모듈(10)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20a∼20d)의 MTU(108;208)보드간 통신을 위해 제공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링크이다.
또, 도 1에서 'SHW'는 상기 마스터 모듈(10)의 TSU(110)보드의 스위칭부분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20a∼20d)의 VPU(210) 보드간에 상호 연결되어 음성데이터채널패스(Voice Data Channel Path)로 사용되는 링크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일예에 따른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에서는 상기 마스터 모듈(10)의 디지털 중계선 기능인 상기 EIU(112)에서 임의의호(Call)가 검출되면 그 마스터 모듈(10)의 TSU(110) 보드의 기능을 통해 상기 MPU(102)에게 통보된다.
그러면, 그 MPU(102)는 상기 호에 대한 음성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각 슬레이브 모듈(20a,20b,20c,20d)의 MPU(202)보드에게 현재의 가입자 호가 등록된 상태이고 비사용중인 가입자 통신기능인 VPU(210)보드에게 하나의 음성통화채널을 셋업(Set-up)하도록 요구하게 된다.
상기 각 슬레이브 모듈(20a,20b,20c,20d)의 MPU(202)는 상기 요구에 대한 응답신호가 통보되면 상기 마스터 모듈(10)의 MPU(102)에게 음성통화채널의 요구에 관련된 정보를 받아서 그 마스터 모듈(10)의 TSU(110) 보드에게 음성통화채널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여 그 TSU(110)의 스위칭부분을 통해 해당하는 채널을 셋업하도록 제어하게 되면 상기 호에 대한 음성통화채널은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음성통화채널을 통해 해당하는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이 갖는 메일기능에 대한 안내방송에 따라 호발생자에게 요구하는 기능을 서비스하게 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에서는 상기 슬레이브 모듈(20a,20b,20c,20d)에서 가입자 보드인 VPU(210)의 음성통화채널포트의 수가 8포트이기 때문에 가입자 회선용량이 각 슬레이브 모듈(20a,20b,20c,20d)마다 총 64회선을 초과하지 못하게 되고, 그러한 이유에서 상기 VPU(210)의 음성통화채널포트의 수는 총 240회선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상태이다.
따라서, 회선용량의 밀도가 낮아서 상기한 종래의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의 회선용량을 확장하는 경우에는 그 전체적인 시스템의 수가 증가되어야만 된다는 불리함이 있게 된다.
또, 각 모듈(10;20a∼20d)의 VME_BUS(130;230)의 데이터 버스 구조가 16비트의 폭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버스의 구조가 상당히 제한되어 데이터처리 성능의 향상에 상당한 제약을 받게 된다.
더구나, 도 1에서 각 모듈(10;20a∼20d)간 메시지 및 데이터전달을 행하는 기능인 상기 MTU(108;208)의 LAN처리속도가 10Mbps의 전송속도로 동축선에 의해 구축됨에 따라 정보전달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초래된다.
특히, 성능에 좌우되는 보조기억장치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기능인 DSU(106;206)보드의 SCSI_BUS(134;232)구조의 폭이 8비트 전송데이터로 구현됨에 따라 해당하는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의 주기능인 메일기능의 음성 데이터 기록 및 재생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전체적인 성능의 저하가 초래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음성/데이터메일의 최적화처리를 위해 회선용량을 확장(즉, 240회선에서 960회선으로 증설)하고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에 구비되는 각 보드의 성능향상과, 시스템버스구조(VME_BUS, SCSI_BUS, LAN)의 성능개선 및 시스템 보드의 기능개선이 이루어진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데이터메일의 처리를 위한 전체적인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메인(Main) 모듈과; 대국으로부터 도래되는 호접속요구에 응답하여 음성데이터채널을 형성하여 그 음성데이터채널에 의해 음성메일이 전달되도록 하는 복수의 트렁크 모듈 및; 상기 트렁크 모듈로부터의 음성통화채널의 셋업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트렁크모듈에 의한 음성데이터채널의 형성을 제어하는 다수의 음성모듈로 이루어진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인(Main) 모듈에서 2매의 MPU(Main Processor Unit)와 2매의 LAU(Local Area Network Unit) 및 1매의 DSU(Disk Scsi Control Unit)는 VME_BUS로 연결되고, 상기 1매의 DSU와 2매의 HDU(Hard Disk Unit) 및 각 1매의 FDU(Floppy Disk Unit)/DTU(Digital Audio Tape Unit)가 SCSI_BUS로 연결되며, 상기 2매의 MPU는 이중화버스(D-CH)에 의해 연결된다.
또, 상기 트렁크 모듈에서 2매의 MPU와 2매의 PPU(Peripheral Processor Unit), 1매의 LAU 및 1매의 DSU는 VME_BUS로 연결되고, 상기 2매의 PPU와 2매의 TSU(Time Switching Unit), 2매의 EIU(E1 Interface Unit), 2매의 RIU(R2 Interface Unit), 2매의 CCU(Common Channel Signalling Unit)는 TD_BUS로 연결되며, 상기 DSU와 2매의 HDU는 SCSI_BUS로 연결되고, 상기 2매의 MPU는 이중화버스(D-CH)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음성모듈에서 2매의 MPU와 8매의 VPU(Voice Processor Unit), 1매의 LAU, 2매의 DSU는 VME_BUS로 연결되고, 제 1 DSU와 2매의 HDU는 SCSI_BUS에 의해 연결되며, 제 2의 DSU와 12매의 HDU는 16비트 SCSI_BUS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2매의 MPU는 상호 이중화버스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메인(Main) 모듈의 IOU보드와 상기 트렁크 모듈과 상기 음성모듈의 MPU보드간에는 비동기 시리얼 포트를 이용하여 통신 및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트렁크 모듈과 상기 음성모듈의 MPU보드간에는 비동기 시리얼포트의 이중화연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Main) 모듈의 IOU보드와 MPU보드간에는 상기 VME_BUS 32비트로 연결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에 의하면, 마스터 모듈과 복수의 트렁크 모듈 및 다수의 음성모듈의 사이에서 회선용량이 960회선으로 확장되면서 각 모듈에 적용되는 VME_BUS가 16비트에서 32비트로 확장되고 SCSI_BUS도 8비트에서 16비트로 확장됨에 따라 메일기능의 음성데이터 기록 및 재생에 관한 성능이 개선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마스터 모듈, 20; 20a,20b,20c,20d: 슬레이브 모듈,
30: 메인(Main) 모듈, 40;40a,40b: 트렁크 모듈,
50;50a,50b,50c,50d: 음성모듈,
102,202,300,400,500: MPU(Main Processor Unit),
106,206,306,406,504,506: DSU(Disk Scsi control Unit),
210,508: VPU(Voice Processor Unit),
110,408: TSU(Time Switching Unit).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의 전체적인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30으로 나타낸 메인(Main) 모듈은 해당하는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의 중앙처리제어장치로서, 타 모듈의 프로세서와의 메시지교환이라든지 대량의 파일을 송신/수신하고 각종의 명령어 입력 및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자료 출력 등의 시스템콘솔정합기능을 수행하며 입력/출력 디바이스와 정합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외부/내부 LAN을 통해 대량의 메시지 및 데이터 송신/수신을 관장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또, 참조부호 40(40a,40b)로 나타낸 트렁크 모듈(Trunk Module)은 대국간 중계선 채널을 정합시키고 국간 신호(CAS/CCS)를 처리하며 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재생하여 시스템기준클럭을 제공하고 중계선 정합장치(EIU)와 신호장치(CCU/RIU), 회의통화장치(CNF), 스위칭장치(TSU), 텔레포니 디바이스 버스정합장치(PPU), 가입자 관리 및 음성처리요구 및 패스 셋업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참조부호 50(50a,50b,50c,50d)로 표시된 음성모듈(Voice Module)은 각기 240가입자 회선에 대한 호를 처리하고 DTMF신호를 수신하여 그 호를 제어하며 음성(PCM voice)을 압축 및 복원(ADPCM)하여 저장 및 재생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또, 도 2에서 상기 메인(Main) 모듈(30)과 상기 트렁크모듈(40;40a,40b) 및 음성모듈(50;50a,50b,50c,50d)에서 MPU(300;400;500)는 해당하는 모듈의 주제어프로세서로서, 호처리, 파일관리 데이터전송에 관련된 제어기능을 담당하게 되고, 특히 활성화/비활성화의 이중화구조로 구성하여 활성화 MPU가 장애인 경우 비활성화 MPU로 자동전환되도록 설계되며, 그 MPU(300;400;500)의 성능을 최고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 프로세서(예컨대 모토롤라사의 MC68040/40㎒)의 내부에 구성된 명령어(Instruction)/데이터 캐시(Data Cache)메모리를 모두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트렁크 모듈(40)에서 PPU(Peripheral Processor)(402)는 상위 MPU(400)와 32비트의 VME_BUS에 의해 상호 정합되어지면서, 텔레포니 디바이스(TSU,EIU,RIU,CCU,CNF)와 TD_BUS에 의해 정합되어 그 텔레포니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메인(Main) 모듈(30)에서 IOU(Input/Output Interface Unit)(302)는 상기 MPU(300)와 VME_BUS에 의한 정합을 통해 음성메일장치와 호스트 컴퓨터간의 통신을 행하기 위해 상기 트렁크모듈(40)과 상기 음성모듈(50)과는 비동기(Asynchronous)시리얼 라인을 통해 패스를 형성하면서, 운용자터미널포트 및 시리얼프린트포트, 원거리유지보수포트를 제공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해주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LAU(Local Area network Unit)(304;404;502)는 각 모듈(30;40;50)에 장착되어 패스트 이더넷(Fast Ethernet)제어기로서, 초당 10Mbit 및 100Mbit를 모두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그 LAU(304;404;502)기능보드는 각 모듈(30;40;50)의 VME-BUS에 연결되어 각 모듈간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대량으로 송신/수신하는 기능을 행하게 되고, LAN정합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DSU(Disk Scsi Control Unit)(306;406;504;506)는 각 모듈(30;40;50)에 장착된 디스크제어프로세서로서,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그 저장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게 되며, 성능의 향상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구성과는 달리 8비트에서 16비트 데이터버스구조를 채택하게 된다. 또, 그 DSU(306;406;504;506)는 각 모듈(30;40;50)의 VME_BUS에서 SCSI_BUS로 상호 정합하는 기능을 담당하면서, 성능 및 디스크 레이드(Raid)기능인 미러복사(Mirror copy)를 위해 이중의 SCSI_BUS로 구성된다.
또, 도 2에서 TSU(Time Switching Unit)(408)는 상기 트렁크모듈(40)의 PPU(402)의 제어에 의해 채널스위칭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바, 2.048Mbps의 직렬 8비트 데이터를 다중화(Multiplexing)하여 8.192Mbps 병렬음성 8비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 데이터를 다시 짝수 1024, 홀수1024 타임슬롯(Time Slot)을 다중화하여 16.384Mbps 8비트 병렬데이터로 변환처리하게 되며, 최대 2048 ×2048 타임슬롯에 대해 스위칭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VPU(Voice Processor Unit)(508)는 상기 음성모듈(50)에서 가입자정합, DTMF인식기능, 톤검출 및 PCM과 ADPCM간의 변환기능을 담당하면서, 가입자정합포트는 32채널로 구성된다.
EIU(E1 Interface Unit)(410)는 상기 트렁크 모듈(40)에서 CEPT방식의 PCM중계선과 해당하는 시스템 사이의 정합을 제공하는 디지털중계선(Digital Trunk)으로 구성되고, 대국으로부터 2049Kbps의 PCM 30 신호로부터 클럭과 데이터를 재생하고 다중화된 PCM서브하이웨이(Sub high way)를 PCM 30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대국으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그 중계선 회선용량은 8개의 E1링크로 240채널을 수용하게 된다.
또, RIU(R2 Interface Unit)(412)는 상기 트렁크 모듈(40)에서 상기 PPU(402)로부터 TD_BUS를 통해 지정된 동작모드정보에 따라 타임스위치기능인 TSU(408)로부터 제공되는 직렬PCM데이터를 타임슬롯에 맞게 하나의 서브하이웨이단위의 32채널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과, 국간신호방식인 R2 MFC를 처리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며, 그 처리용량은 보드 당 32채널로 구성된다.
CCU(Common Channel Signalling Unit)(414)는 상기 트렁크 모듈(40)에서 중계선 E1(CEPT) 회선을 통해 No.7시그널링기능의 MTP처리부분을 주로 담당하게 된다.
상기 각 모듈(30;40;50)에서 HDU(Hard Disk Unit)(308;416;510)는 메시지,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디스크로 형성된 보조기억장치로서, 9.0Gbytes의 용량을 가지면서 성능의 향상을 위해 8비트에서 16비트 데이터폭을 지원하는 와이드(Wide) SCSI정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Main) 모듈(30)에서 FDU(Floppy Disk Unit)(310)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렉시블 디스크로 구성된 보조기억장치로서, 대략 1.44Mbyte의 용량을 갖게 된다.
또, 상기 메인(Main) 모듈(30)에서 DTU(Digital Audio Tape Unit)(312)는 실행파일(Execution File) 및 데이터 백업(Backup)/리스토어(Restore)의 기능을 담당하는 보조기억장치로서, 그 정합버스는 SCSI_BUS이다.
CNF(CoNFerence)(418)는 상기 트렁크 모듈(40)에서 회의통화(3자 통화)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서 VME_BUS(600)는 상기 메인(Main) 모듈(30)과 상기 트렁크 모듈(40) 및 음성모듈(50)에서 상기 MPU(300;400;500)를 포함하는 각 보드간 데이터통신을 위한 각 모듈의 주 통신 병렬버스이고, 그 버스의 통신데이터 비트는 32비트 폭으로 구성된다.
또, TD_BUS(602)는 상기 트렁크 모듈(40)에서 상기 PPU(402)보드와 상기 EIU(410), 상기 RIU(412), 상기 CCU(414) 및 TSU(408)간에 통신하는 직렬버스이다.
상기 SCSI_BUS(604)는 상기 메인(Main) 모듈(30)과 상기 트렁크 모듈(40) 및음성모듈(50)에서 상기 DSU(306;406;504;506)와 HDU(308;416;510), FDU(310) 및 DTU(312)보드의 보조기억장치간에 통신하는 수단으로서의 병렬버스로 구성된다.
LAN(606)는 상기 메인(Main) 모듈(30)과 상기 트렁크 모듈(40) 및 음성모듈(50)에서 LAU(304;404;502)보드간 통신을 위한 이더넷 링크이다.
또, 도 2에서 'SHW'(Sub high Way)는 상기 트렁크 모듈(40)의 TSU(408)보드와 상기 EIU(410), 상기 RIU(412), 상기 CCU(414), 상기 CNF(418)간 신호처리를 위해 연결되어지며, 상기 음성모듈(50)의 VPU(508)보드간 상호 연결되어 음성데이터채널패스로 사용되는 경로이다.
D-CH(Duplicated Channel)은 상기 메인(Main) 모듈(30)과 상기 트렁크 모듈(40) 및 음성모듈(50)의 주 프로세서 기능인 MPU(300;400;500)보드간 이중화 데이터를 메모리에 동시에 기록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병렬버스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에서는 상기 메인(Main) 모듈(30)과 상기 트렁크 모듈(40) 및 음성모듈(50)의 LAU(304;404;502)보드간 대량의 메시지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기 위한 이더넷연결수단과, 상기 트렁크 모듈(40)의 TSU(408)보드와 상기 음성모듈(50)의 VPU(508)간 음성처리데이터를 상호 전달하기 위한 SHW연결수단, 상기 메인(Main) 모듈(30)의 IOU(302)와 상기 트렁크 모듈(40)과 상기 음성모듈(50)의 MPU(400;500) 보드간 시리얼포트 연결수단이 포함된다.
또, 도 2의 상기 메인(Main) 모듈(30)에는 2매의 MPU(300)와 2매의 LAU(304) 및 1매의 DSU(306)가 상기 VME_BUS(600)로 연결되고, 상기 1매의 DSU(306)와 2매의HDU(308) 및 각 1매의 FDU(310)/DTU(312)가 SCSI_BUS(604)로 연결되며, 상기 2매의 MPU(300)는 이중화버스(D-CH)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트렁크 모듈(40)에서 2매의 MPU(400)와 2매의 PPU(402), 1매의 LAU(404) 및 1매의 DSU(406)는 VME_BUS(600)으로 연결되고, 상기 2매의 PPU(402)와 2매의 TSU(408), 2매의 EIU(410), 2매의 RIU(412), 2매의 CCU(414)는 TD_BUS(602)로 연결되며, 상기 DSU(406)와 2매의 HDU(416)는 SCSI_BUS(604)로 연결되고, 상기 2매의 MPU(400)는 이중화버스(D-CH)에 의해 연결된다.
또, 상기 음성모듈(50)에서 2매의 MPU(500)와 8매의 VPU(508), 1매의 LAU(502), 2매의 DSU(504;506)은 VME_BUS(600)으로 연결되고, 제 1 DSU(504)와 2매의 HDU는 SCSI_BUS(604)에 의해 연결되며, 제 2의 DSU(506)와 12매의 HDU는 SCSI_BUS(604)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2매의 MPU(500)는 상호 이중화버스(D-CH)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에 따르면, 도 1의 종래 기술에 비해 가입자 회선용량이 240회선에서 960회선으로 확장되고, 대국으로부터 상기 트렁크 모듈(40;40a,40b)의 디지털 중계선 기능인 EIU(410)보드를 통해 임의의 호에 대한 신호처리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트렁크 모듈(40; 40a,40b)중에서 해당하는 트렁크 모듈의 PPU(402)의 호접속기능을 통해 상기 해당하는 트렁크 모듈의 주 제어기능인 MPU(400)에 호접속요구가 통보된다.
그러면, 상기 해당하는 트렁크 모듈의 MPU(400)는 상기 호접속요구에 대한 음성데이터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음성모듈(50;50a,50b,50c,50d)의 주제어기능인 MPU(500)에게 현재 가입자의 호가 등록된 상태이고 가입자 음성데이터채널 처리기능인 VPU(508)에 현재 비사용중인 하나의 음성통화채널을 셋업하도록 요구하게 된다.
그 음성통화채널셋업요구가 상기 음성모듈(50;50a,50b,50c,50d)중 해당하는 음성모듈의 MPU(500)에 통보되면 상기 음성모듈(50;50a,50b,50c,50d)의 해당하는 MPU(500)는 상기 해당하는 트렁크 모듈(40)의 해당 MPU(400)보드에게 하나의 음성통화채널을 요구한 정보를 받아서 상기 해당하는 트렁크 모듈의 TSU(408)에게 음성통화채널에 대한 정보를 인지시켜 상기 TSU(408)의 스위칭에 의해 해당 채널을 셋업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호접속요구에 대한 음성통화채널의 형성은 완료되고, 그 음성통화채널을 통해 그 시스템이 갖춘 메일 기능에 대한 안내방송에 따라 호 발생자에게 요구하는 기능을 서비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에 의하면 가입자 회선용량이 시스템당 960회선으로 확장되고, 그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하나의 시스템장치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확장된 시스템 장치의 음성모듈중에서 하나의 모듈로서 수용가능하게 됨에 따라 사용 및 운용면에서 공간적 확보가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종래의 분산된 시스템을 동보하여 운용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중운용방식을 통해 하나의 시스템장치로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5)

  1. 음성/데이터메일의 처리를 위한 전체적인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메인모듈; 대국으로부터 도래되는 호접속요구에 응답하여 음성데이터채널을 형성하여 그 음성데이터채널에 의해 음성메일이 전달되도록 하는 복수의 트렁크 모듈 및; 상기 트렁크 모듈로부터의 음성통화채널의 셋업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트렁크모듈에 의한 음성데이터채널의 형성을 제어하는 다수의 음성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 모듈은, 2매의 MPU(Main Processor Unit)와 2매의 LAU(Local Area Network Unit) 및 1매의 DSU(Disk Scsi Control Unit)는 32비트 VME_BUS로 연결되고, 상기 1매의 DSU와 2매의 HDU(Hard Disk Unit) 및 각 1매의 FDU(Floppy Disk Unit)/DTU(Digital Audio Tape Unit)가 16비트 SCSI_BUS로 연결되며,
    상기 트렁크 모듈은, 2매의 MPU와 2매의 PPU(Peripheral Processor Unit), 1매의 LAU 및 1매의 DSU는 32비트 VME_BUS로 연결되고, 상기 2매의 PPU와 2매의 TSU(Time Switching Unit), 2매의 EIU(E1 Interface Unit), 2매의 RIU(R2 Interface Unit), 2매의 CCU(Common Channel Signalling Unit)는 TD_BUS로 연결되며, 상기 DSU와 2매의 HDU는 16비트 SCSI_BUS로 연결되고, 상기 2매의 MPU는 이중화버스(D-CH)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음성모듈은, 2매의 MPU와 8매의 VPU(Voice Processor Unit), 1매의 LAU, 2매의 DSU는 32비트 VME_BUS로 연결되고, 제 1 DSU와 2매의 HDU는 16비트 SCSI_BUS에 의해 연결되며, 제 2의 DSU와 12매의 HDU는 16비트 SCSI_BUS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2매의 MPU는 상호 이중화버스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의 IOU보드와 상기 트렁크 모듈과 상기 음성모듈의 MPU보드간에는 비동기 시리얼 포트를 이용하여 통신 및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트렁크 모듈과 상기 음성모듈의 MPU보드간에는 비동기 시리얼포트의 이중화연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모듈의 IOU보드와 MPU보드간에는 상기 VME_BUS 32비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
KR10-2001-0000373A 2001-01-04 2001-01-04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 KR100389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373A KR100389134B1 (ko) 2001-01-04 2001-01-04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373A KR100389134B1 (ko) 2001-01-04 2001-01-04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374A KR20020057374A (ko) 2002-07-11
KR100389134B1 true KR100389134B1 (ko) 2003-06-25

Family

ID=2769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373A KR100389134B1 (ko) 2001-01-04 2001-01-04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1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614A (ko) * 1992-12-02 1994-07-27 정장호 음성 사서함 시스템
KR950016155A (ko) * 1993-11-12 1995-06-17 김광호 멀티노드 음성 사서함의 음성 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KR970056705A (ko) * 1995-12-28 1997-07-31 정장호 음성 우편 시스템
KR970056704A (ko) * 1995-12-23 1997-07-31 김광호 음성우편시스템의 음성인식 서비스장치
KR20000031513A (ko) * 1998-11-06 2000-06-05 윤종용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다수 가입자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614A (ko) * 1992-12-02 1994-07-27 정장호 음성 사서함 시스템
KR950016155A (ko) * 1993-11-12 1995-06-17 김광호 멀티노드 음성 사서함의 음성 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KR970056704A (ko) * 1995-12-23 1997-07-31 김광호 음성우편시스템의 음성인식 서비스장치
KR970056705A (ko) * 1995-12-28 1997-07-31 정장호 음성 우편 시스템
KR20000031513A (ko) * 1998-11-06 2000-06-05 윤종용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다수 가입자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374A (ko) 200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80651B2 (en) Telecommunication switch with programmable communications services
CA1157551A (en) Electronic audiocommunication system
JPH07212878A (ja) ディジタル交差接続装置、システム及びデータ伝送方法
US4737950A (en) Multifunction bus to user device interface circuit
GB2186762A (en) 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CA1253602A (en) Data base creation in stored program controlled switching systems
KR100389134B1 (ko) 음성/데이터메일 처리시스템
JP3869207B2 (ja) サブレートスイッチング遠隔通信スイッチ
JPH08331616A (ja) 非同期転送モードを用いたマルチプロセッサ制御方式のデジタル構内交換機
US6091736A (en) Message storing and reproducing system separately comprising processors and storages
JP3875490B2 (ja) 遠隔通信スイッチノードのためのリソースインタフェイスユニット
JPS6321388B2 (ko)
KR100325389B1 (ko) 사설 교환 시스템에 음성 사서함 기능 제공장치
JPH09214601A (ja) 交換システムの中に組み込まれた多数の無線スイッチユニット
JP3635450B2 (ja) Dma制御装置間接続システム
KR100204876B1 (ko) 음성 사서함 서비스 시스템의 다중화 방법 및 그장치
JP2698347B2 (ja) ボイスメールシステム及びボイスメールシステムを構成するコンピュータの制御方法
JP3533612B2 (ja) 電子交換機の制御方式
JP3459082B2 (ja) マルチコネクション制御方式
JP2940251B2 (ja) 通話路スイッチ切替えシステム
JP2522118B2 (ja) 光加入者線搬送方式および装置
JP2737258B2 (ja) 加入者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着信転送方式
JP2970604B2 (ja) 音声蓄積再生システム
JPH0993641A (ja) 無線回線閉塞制御方式
JPS6259446A (ja) 通信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