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220B1 - 하우징 - Google Patents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220B1
KR100386220B1 KR10-2000-0038538A KR20000038538A KR100386220B1 KR 100386220 B1 KR100386220 B1 KR 100386220B1 KR 20000038538 A KR20000038538 A KR 20000038538A KR 100386220 B1 KR100386220 B1 KR 100386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housing
exposure
holes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5199A (ko
Inventor
우에노히토시
마키사카유키나리
Original Assignee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15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복수의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우징(1)은 디스크형 기록매체 구동장치의 트레이부를 구성한다. 하우징(1)은 각 부재로서의 상부하우징(22)과 하부하우징(23)을 구비한다. 상부하우징(22)은 천정벽(25)과 보스부(27)를 구비한다. 보스부(27)는 천정벽(25)으로부터 돌출설치하고 나사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하우징(23)은 저벽(29)을 구비한다. 저벽(29)에는 보스부(27)와 대향합치하는 관통구멍(32)과, 관통구멍(32)을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노출구멍(33)을 형성한다. 저벽(29)과 보스부(27) 사이에는 스페이서(46)가 배치된다. 하우징(22,23)은 관통구멍(33)을 통하여 나사구멍(28)에 나사맞춤하는 나사(24)에 의해서 고정한다. 스페이서(46)의 가장자리부가 노출구멍(33)을 통하여 노출한다.

Description

하우징{HOUSING}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스페이서를 사이에 서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구비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예를 들면, Digital Versatile disc(이하 DVD라 부름)이나, Compact disc(이하 CD라 부름) 등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꺼내기 위하여 사용되거나,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능기기로서의 디스크형 기록매체 구동장치는 케이스체와 이 케이스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자유롭게 설치된 트레이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체는 노트형의 포터블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 부착된다. 트레이부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얹어놓아 상기 케이스체내로 출입한다. 트레이부는 부재로서의 상부하우징과, 비교적 두께가 얇은 부재로서의 하부하우징과, 이들의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턴테이블과 광학식의 픽업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하우징은 하부하우징을 향하여 돌출하고, 동시에 나사구멍을 갖는 보스부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하우징은 나사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은 관통구멍을 지나 보스부의 나사구멍에 나사맞춤하는 나사에 의하여 서로 고정된다.
턴테이블은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유지하여 회전구동한다. 픽업부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꺼낸다. 상기 턴테이블이나 픽업부는 탄성체에 의하여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과의 사이에 지지된다.
또 하부하우징과 탄성체의 사이에는 양 하우징의 맞붙임 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한 등의 여러가지 이유에 의하여 비교적 두께가 얇은 스페이서가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는 예를 들면 원환상(圓環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 하우징을 서로 고정하는 나사 등이 그 중앙을 통과함으로써 적정한 위치에 위치결정되고, 탄성체와 하부하우징 사이에 배치된다.
상술한 구성의 종래 디스크형 기록매체 구동장치를 조립하는 경우에, 상부하우징의 소정위치에, 탄성체와 함께 턴테이블이나 픽업부를 얹어놓고, 스페이서를 다시 탄성체상에 얹어놓는다. 그리고, 하부하우징을 상부하우징에 대하여 위치결정하여, 상기 나사를 나사구멍에 나사맞춤시켜 양 하우징을 서로 고정하여 조립하고 있었다.
그러나 하부하우징과 스페이서는 함께 비교적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보스부 등에 의하여 스페이서를 적정한 위치에 위치결정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이 때문에 상술한 조립작업중에 있어서, 예를 들면 하부하우징을 상부하우징에 위치결정하는 경우 등에 하부하우징이 스페이서에 접촉하는 등하여 스페이서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일이 있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스페이서가 어긋난 것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조립후의 디스크형 기록매체 구동장치가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정보를 재생하는 경우 등에 확실하게 소망의 정보를 재생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생길 염려가 있었다.
또, 조립작업을 행하는 작업원이 스페이서가 위치어긋나지 않도록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하여, 특히 하부하우징의 위치결정하는 경우에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하였다. 이 때문에, 상술한 조립작업의 효율이 저하하여 조립작업에 걸리는 공정수가 증대하여 디스크형 기록매체 구동장치 자체의 코스트가 높아지는 경향으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부재를 서로 고정하는 경우에, 이들의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하우징을 하부하우징의 저면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중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동실시형태의 하우징의 스페이서가 적정위치로부터 어긋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품과 비교예에 관하여 턴테이블의 회전수를 변화시켰을 때의 하우징의 가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중의 본 발명품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6은 도 4중의 비교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을 구비한 트레이부를 갖는 디스크형 기록매체 구동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디스크형 기록매체 구동장치의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하우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스페이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우징 22: 상부하우징(제 1 부재)
23: 하부하우징(제 2 부재) 24: 나사(고정수단)
25: 천정벽(제 1 벽) 28: 나사구멍(고정수단)
29: 저벽(제 2 벽) 33: 노출구멍
39: 턴테이블(진동원) 41: 링부재(탄성체)
46: 스페이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하우징은 평탄한 제 1 벽을 갖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벽에 스페이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평탄한 제 2 벽을 갖는 제 2 부재를 서로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하는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서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부재의 제 2 벽에 상기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가 노출하는 노출구멍이 복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본 발명의 하우징은 청구항 1 기재의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서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복수의 노출구멍이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의 노출하는 정도가 서로 대략 같게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본 발명의 하우징은, 청구항 2 기재의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원환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노출구멍이 상기 고정수단을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등간격이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본 발명의 하우징은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구비하고 동시에 이들 부재가 서로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진동원을 지지하는 탄성체가 배치되고,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중 적어도 한쪽과 상기 탄성체 사이에 마찰계수가 작은 스페이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본 발명의 하우징은, 청구항 4 기재의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서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부재의 제 2 벽에 상기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가 노출하는 노출구멍이 복수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 2 부재의 제 2 벽에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였을 때에, 이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가 노출하는 노출구멍이 복수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고정하였을 경우에, 각각의 노출구멍으로부터 노출한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를 확인함으로써,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여 있는가의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노출구멍 각각이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였을 경우에 그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가 노출하는 정도가 대략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노출구멍에서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가 노출한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스페이서가 원환상으로 형성되고 노출구멍이 고정수단을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에 따라서 서로 등간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면, 각각의 노출구멍에서 노출하는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의 정도가 보다 더 같게 된다. 이 때문에 각각의 노출구멍에서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가 노출한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가 여부를 보다 확실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그런데, 데이터파일장치 및 화상파일장치 등의 정보기록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에는 상술한 DVD 등과 같이 보다 큰 기록밀도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디스크형 기록매체 구동장치에서는 상술한 턴테이블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회전시킬 경우에 생기는 진동에 의하여 상술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경우의 신뢰성이 저하할 염려가 있었다.
특히, DVD 등의 큰 기록밀도로 정보가 기록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정보를 재생하거나, 상술한 DVD 등에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 확실히 소망의 정보를 확실히 재생하거나, 기록하는 것은 곤란하게 될 염려가 있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디스크형 기록매체 구동장치는, 큰 기록밀도로 정보가 기록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정보를 확실히 재생하거나, 상술한 DVD 등에 확실히 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상술한 턴테이블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회전시켰을 경우에 생기는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진동원을 지지하는 탄성체와,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중 적어도 한쪽과 상기 탄성체 사이에 마찰계수가 작은 스페이서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진동원이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스페이서와 부재가 서로 미끄러지는 것으로 되어, 진동원이 발생하는 진동이 부재에 전달하기 어렵게 된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 2 부재의 제 2 벽에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였을 경우에, 이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가 노출하는 노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고정하였을 경우에 각각의 노출구멍에서 노출한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를 확인함으로써,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가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하우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등에 도시하는 하우징(1)은 예를 들면 CD나 DVD 등의 디스크형 기록매체(2)(도 7에 도시함)의 정보를 재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능기기로서의 디스크형 기록매체 구동장치(10)(도 7 및 도 8에 도시)의 트레이부(12)를 구성한다.
디스크형 기록매체(2)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설치된 중앙구멍(3)과, 그 중앙구멍(3)의 외주측에 위치하고, 동시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부(4)를 구비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디스크형 기록매체 구동장치(10)는 북형, 혹은 노트형의 포터블 컴퓨터나 이동체 정보단말 등의 전자기기에 부착된다. 디스크형 기록매체 구동장치(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체(11)와 트레이부(1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체(11)는 상술한 전자기기에 부착된다. 케이스체(11)는 상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나사 등에 의하여 연결되는 상부섀시(13)와 하부섀시(14)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섀시(13)는 판금을 접어구부리는 등 하여 형성되어 있고, 평탄한 벽(15)과 이 벽(15)의 둘레가장자리에 연결되는 주벽(16)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섀시(14)는 판금을 접어구부리는 등 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부섀시(13)의 벽(15)에 간격을 두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평탄한 벽(17)과, 이 벽(17)의둘레가장자리에 연속해 있는 주벽(1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벽(16, 18)은 섀시(13, 14)가 서로 연결되었을 경우에 서로 연속한다.
또 상부섀시(13) 및 하부섀시(14)의 벽(15, 17)의 도면중 자기앞에 위치하는 둘레가장자리에는 주벽(16, 18)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주벽(16, 18)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둘레가장자리에는 섀시(13, 14)가 서로 연결되었을 경우에 케이스체(11)의 내부와 외부를 서로 연통하는 개구부(19)가 형성된다. 케이스체(11)는 개구부(19)를 통하여 트레이부(12)를 도면중의 화살표시(K)에 따르는 전후방향에 따라서, 내부에 출입 자유롭게 지지한다.
더우기, 하부섀시(14)에는 상술한 전자기기와 디스크형 기록매체 구동장치(10)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보하기 위한 커넥터 등이 실장된 도시하지 않는 프린트기판이 부착되어 있다.
트레이부(12)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하우징(1)과, 이 하우징(1)의 앞부분에 부착되는 앞면패널(20)과, 하우징(1)내에 수용되는 구동유닛(21) 등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은 제 1 부재로서 상부하우징(22)과 제 2 부재로서의 하부하우징(23)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하우징(22)과 하부하우징(23)은 서로 나사(24) 등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부하우징(22)은 예를 들면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벽으로서의 평탄한 천정벽(25)과 이 천정벽(25)의 둘레가장자리에 연속하는 주벽(26)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부하우징(22)은 하우징(22, 23)이 서로 연결되었을 경우에 천정벽(25)에서 하부하우징(23)의 후술하는 저벽(29)을 향하여 돌출한 보스부(27)(도 2에 도시한다)를 복수 구비하고 있다. 보스부(27)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나사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더우기, 나사(24) 및 나사구멍(28)은 본 명세서에 기록한 고정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하부하우징(23)은 예를 들면 비교적 두께가 얇은 판금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벽으로서의 평탄한 저벽(29)과 이 저벽(29)의 둘레가장자리에 연속하는 주벽(30)을 구비하고 있다. 저벽(29)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저면(29a)으로부터 오목, 즉 저면(29a)으로부터 상부하우징(22)을 향하여 형성된 오목부(31)가 복수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1)는 나사(24)의 나사머리(24a)의 두께보다 깊게 상기 저벽(29)의 저면(29a)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오목부(31)는 하우징(22, 23)이 서로 연결되었을 경우에 보스부(27)에 상대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오목부(31)의 중앙에는 상기 보스부(27)의 나사구멍(28)에 대향 합치하는 관통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32)은 하우징(22, 23)이 서로 연결되면 나사구멍(28)과 서로 동축으로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각각의 오목부(31)에는 복수의 노출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노출구멍(33)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벽(29)을 관통하고 있다. 노출구멍(33)은 상기 관통구멍(32)을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에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노출구멍(33)은 나사(24) 및 나사구멍(38)을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에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예에 있어서, 노출구멍(33)은 상기 관통구멍(32)을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에 따라 3개 설치되어 있다.
또, 도시예에 있어서, 하부하우징(23)의 저벽(29)은 두께가 대략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31)에 있어서는 저벽(29)을 구성하는 하부하우징(23)의 모재가 상부하우징(22)을 향하여 접근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부하우징(22)과 하부하우징(23)이 서로 연결되면, 천정벽(25)과 저벽(29)과는 서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한다. 상부하우징(22)과 하부하우징(23)이 서로 연결되면, 주벽(26)의 내측에 주벽(30)이 위치하여 주벽(26, 30)이 서로 포개어 맞추어진다.
하우징(1)은 상부하우징(22)과 하부하우징(23)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19)의 개구 및 케이스체(11)의 안길이에 대응하는 얇은 상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섀시(14)의 서로 상대하는 주벽(18)과 상대하는 트레이부(12)의 양측부(12a, 12b)에는 각각 안내레일(34a, 34b)이 부착된다. 안내레일(34a, 34b)은 상기 트레이부(12)의 측부(12a, 12b) 각각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설치된다.
안내레일(34a, 34b)은 각각 측부(12a, 12b) 각각의 길이방향에 따라 이동 자유롭게 트레이부(12)에 부착된다. 안내레일(34a, 34b)은 각각 케이스체(11)의 안길이방향에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하부섀시(14)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트레이부(12)는 도면중의 화살표시(K)에 따라, 상기 개구부(19)를 통하여 케이스체(11)의 밖에 노출한 상태와, 상기 케이스체(11)의내부에 수용된 상태에 걸쳐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 상부하우징(22)의 천정벽(25)의 상면측에는 디스크수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수용부(35)는 천정벽(25)의 상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35a)상에 디스크형 기록매체(2)를 얹어놓아 수용한다. 상부하우징(22)에는 구동유닛(21)의 후술하는 턴테이블(39)과 픽업부(40)를 노출하는 구동유닛 노출창(36)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유닛 노출창(36)은 턴테이블(39)을 디스크수용부(35)의 저면(35a)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시켜 동시에 픽업부(40)를 디스크수용부(35)의 저면(35a)상에 얹어놓는 디스크형 기록매체(2)의 기록부(4)에 상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1)내에는 구동유닛(21)의 턴테이블(39)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스핀들모터 등을 실장한 도시하지 않는 프린트기판이 수용되어 있다. 이 프린트기판과, 하부섀시(14)에 고정된 프린트기판은 플렉시블(가요성) 프린트기판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앞면패널(20)에는 스위치(37)가 부착되어 있다. 스위치(37)는 가압조작되는 등에 의하여 트레이부(12)를 케이스체(11)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등 하여, 트레이부(12)의 인출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구동유닛(21)은 하우징(1)에 부착되는 섀시(38)와, 진동원으로서의 턴테이블(39)과, 광학식의 픽업부(40)를 구비하고 있다. 턴테이블(39)은 섀시(38)에 부착되어 있다. 턴테이블(39)은 디스크형 기록매체(2)의 중앙구멍(3)에 끼워맞춤하여 디스크형 기록매체(2)를 회전구동한다. 픽업부(40)는 섀시(38)에 디스크형 기록매체(2)의 직경방향에 따라 이동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구동유닛(21)은 턴테이블(39)이 디스크수용부(35)의 저면(35a)으로부터 돌출하고, 동시에 픽업부(40)가 디스크형 기록매체(2)의 기록부(4)에 서로 대향하도록 하우징(1)에 부착된다.
섀시(38)에는 외방향을 향하여 돌출한 클릭부(45)가 복수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클릭부(45)는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섀시(38)가 하우징(1)에 부착되었을 경우에 그 내측에 보스부(27)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클릭부(45)에는 탄성체로서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링부재(41)가 부착된다.
링부재(41)는 각각 도 2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환상으로 형성된 링본체(42)와, 이 링본체(42)의 외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클릭부 부착부(43)와, 링본체(42)의 양단면에 설치된 지지돌기(44)를 구비하고 있다. 링본체(42)는 그 내측에 보스부(27)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클릭부 부착부(43)는 클릭부(45)에 끼워진다. 지지돌기(44)는 링본체(42)의 양측면 각각의 천정벽(25) 또는 저벽(29)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링부재(41)를 클릭부 부착부(43)가 클릭부에 끼워지면, 그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클릭부(45)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클릭부(45)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링부재(41)가 클릭부(45)에 고정되어서 하우징(1)내에 부착되는 경우에 지지돌기(44)와 저벽(29) 사이에는 도 2 등에 도시하는 스페이서(46)가 배치된다.스페이서(46)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원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이 비교적 마찰계수가 작게 되도록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46)의 표면은 적어도 저벽(29)에 대한 마찰계수가 작게 되도록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46)는 그 내측에 보스부(27)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스페이서(46)는 내측에 보스부(27)가 통과하여 하우징(22, 23)이 서로 고정되었을 경우에 가장자리부가 노출구멍(33)을 통과하여 외부에 노출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46)는 하우징(22, 23)이 서로 고정되어 링부재(41)와 하부하우징(23)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노출구멍(33)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하는 면적 즉 정도가 서로 같게 되는 적정위치에 위치한다.
상술한 구성의 트레이부(12)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우선 섀시(38)에 턴테이블(39)과 픽업부(40)를 부착하는 등 하여 구동유닛(21)을 조립한다. 그후, 구동유닛(21)의 섀시(38)의 클릭부(45) 각각에 링부재(41)를 부착한다. 링부재(41)의 내측에 보스부(27)를 통과하여 구동유닛(21)을 상부하우징(22)에 부착한다.
그리고, 스페이서(46)를 그 내측에 보스부(27)를 통과한 상태에서 링부재(41)의 지지돌기(44)상에 배치한다. 하부하우징(23)을 상부하우징(22)에 대하여 오목부(31)와 보스부(27)가 서로 대향합치하도록 위치결정하여, 나사(24)를 관통구멍(32)을 통과하여 나사구멍(28)에 끼워넣는다. 이때, 스페이서(46)가 상술한 적정위치에 위치하면 각 노출구멍(33)을 통과하여 가장자리부의 외부에 노출하는 면적 즉 정도가 서로 대략 같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하우징(22, 23)은 나사(24) 및 나사구멍(28)에 의하여 서로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하우징(1)에 의하면, 하우징(22, 23)을 서로 고정하였을 경우에, 스페이서(46)의 가장자리부가 노출구멍(33)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한다. 이 때문에, 하우징(22, 23)을 서로 고정하였을 경우에 각각의 노출구멍(33)으로부터 노출한 스페이서(46)의 가장자리부를 확인함으로써, 스페이서(46)가 적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가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
또, 노출구멍(33) 각각이 스페이서(46)가 적정위치에 위치하였을 경우에 그 스페이서(46)의 가장자리부가 노출하는 면적, 즉 정도가 대략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노출구멍(33)으로부터 스페이서(46)의 가장자리부의 노출한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스페이서(46)가 적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노출구멍(33) 각각으로부터 노출하는 스페이서(46)의 가장자리부의 면적, 즉 정도가 다른 경우에서는 스페이서(46)가 적정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더우기, 스페이서(46)가 원환상으로 형성되고, 노출구멍(33)이 관통구멍(32), 즉 나사(24) 및 나사구멍(28)을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을 따라서 서로 등간격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페이서(46)가 적정위치에 위치하면, 각각의 노출구멍(33)으로부터 노출하는 스페이서(46)의 가장자리부의 면적 즉 정도가 보다 더 같게 된다. 이 때문에, 각각의 노출구멍(33)으로부터 스페이서(46)의 가장자리부의 노출한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스페이서(46)가 적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가 여부를 보다 더 확실히 확인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스페이서(46)가 하부하우징(23)과의 사이의 마찰계수가 작게 되도록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턴테이블(39)이 회전하는 경우에 생기는 진동이 섀시(38) 등을 통하여 링부재(41)에 전달되더라도 스페이서(46)가 하부하우징(23)의 저벽(29)에 대하여 상술한 진동에 따라 미끄러지게 된다. 이 때문에, 상술한 진동이 하부하우징(23) 즉 하우징(1)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 사실은 도 4에 표시하는 측정결과로부터도 명백하다. 도 4에 결과를 표시한 측정에서는, 턴테이블(39)의 회전수를 변화시켰을 때의 하부하우징(23) (하우징(1))의 가속도, 즉 진동을 측정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실선(이하 본 발명품이라 부름)은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의 하우징(1)의 진동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하고, 1점쇄선(이하 비교예라 부름)은 상술한 스페이서(46)를 설치하지 않는 하우징의 진동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의하면 가장 큰 하우징의 가속도에 있어서는 본 발명품은 비교예의 약 2할 정도 작게 되어 있고, 예를 들면 디스크형 기록매체 구동장치(10)에서 사용되는 소정회전수(R)에 있어서는 본 발명품은 비교예의 약 4할 정도 작게 되어 있다.
이 사실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모식도를 사용하여 설명할 수가 있다. 도 5에 도시한 모식도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의 하우징(1)을 도시하고, 도 6에 도시한 모식도는 상술한 스페이서(46)를 설치하고 있지 않는 하우징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상술한 도 2 등에 도시한 하우징(1)과 동일구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있어서는 턴테이블(38)의 회전에 의하여 생기는 도면중에 화살표시(S)에 따른 진동에 의하여 스페이서(46)와 하부하우징(23)이 서로 미끄러지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턴테이블(39)의 진동이 하부하우징(23)에 전달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는 턴테이블(39)의 회전에 의하여 생기는 도면중의 화살표시(S)에 따른 진동에 의하여 링부재(41)와 하부하우징(3)이 서로 밀접한 채 섀시(38)가 진동하는 것으로 되고, 턴테이블(39)의 진동에 따라 링부재(41)가 탄성변형을 반복하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턴테이블(39)의 진동에 따른 탄성변형에 의하여 생기는 링부재(41)의 탄성복원력이 하부하우징(23)에 작용한다. 턴테이블(39)의 회전에 따른 진동이 하부하우징(23)에 전달되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제 2 실시형태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구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페이서(46)는 위치결정부(51)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위치결정부(51)는 스페이서(46)의 안쪽 가장자리부로부터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링부재(41)의 내주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페이서(46)의 가장자리부가 노출구멍(33)을 통하여노출하는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스페이서(46)가 적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음에 더하여, 스페이서(46)의 위치결정부(51)가 링부재(41)의 내주에 걸어맞춤하기 때문에, 스페이서(46)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페이서(46)를 적정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하우징(1)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가 있다. 따라서, 하우징(1)의 조립에 소요되는 공정수 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기능기기로서의 디스크형 기록매체 구동장치(10)의 코스트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46)의 위치결정부(51)는 스페이서(46)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위치결정부(51)는 링부재(41)의 외주에 걸어맞춤한다. 또한, 상술한 위치결정부(51)는 스페이서(46)의 안쪽 가장자리부와 바깥쪽 가장자리부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도 경우에 따라서는, 스페이서(46)를 적정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하우징(1)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가 있어, 하우징(1)의 조립에 소요되는 공정수 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가능기기로서의 디스크형 기록매체 구동장치(10)의 코스트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 2 부재의 제 2 벽에,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였을 경우에 이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가 노출하는 노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고정하였을 경우에, 각각의 노출구멍으로부터 노출한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를 확인함으로써,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가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노출구멍 각각이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였을 경우에 이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가 노출하는 정도가 대략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노출구멍으로부터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의 노출한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스페이서가 원환상으로 형성되고, 노출구멍이 고정수단을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에 따라서 등간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면 각각의 노출구멍으로부터 노출하는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의 정도가 보다 더 같게 된다. 이 때문에, 각각의 노출구멍으로부터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의 노출한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보다 확실히 확인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진동원을 지지하는 탄성체와,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중에서 적어도 한쪽과, 상기 탄성체와의 사이에 마찰계수가 작은 스페이서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진동원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스페이서와 부재가 서로 미끄러짐으로써, 진동원이 발생하는 진동이 부재에 전달되기 어렵게 된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 2 부재의 제 2 벽에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였을 경우에 이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가 노출하는 노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고정하는 경우에 각각의 노출구멍으로부터 노출한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를 확인함으로써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평탄한 제 1 벽을 갖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벽에 스페이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평탄한 제 2 벽을 갖는 제 2 부재를 서로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하는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서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부재의 제 2 벽에 상기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가 노출하는 노출구멍이 복수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서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복수의 노출구멍이,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의 노출하는 정도가 서로 대략 같게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원환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노출구멍이 상기 고정수단을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4.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구비하고, 또한 이들 부재가 서로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진동원을 지지하는 탄성체가 배치되고,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중 적어도 한쪽과 상기 탄성체 사이에 마찰계수가 작은 스페이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적정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서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부재의 제 2 벽에 상기 스페이서의 가장자리부가 노출하는 노출구멍이 복수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KR10-2000-0038538A 1999-07-09 2000-07-06 하우징 KR100386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597599A JP3947327B2 (ja) 1999-07-09 1999-07-09 筐体
JP99-195975 1999-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199A KR20010015199A (ko) 2001-02-26
KR100386220B1 true KR100386220B1 (ko) 2003-06-02

Family

ID=16350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538A KR100386220B1 (ko) 1999-07-09 2000-07-06 하우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47327B2 (ko)
KR (1) KR100386220B1 (ko)
TW (1) TW480476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591A (ko) * 1997-09-04 1999-04-06 윤종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고정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591A (ko) * 1997-09-04 1999-04-06 윤종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고정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24361A (ja) 2001-01-26
KR20010015199A (ko) 2001-02-26
TW480476B (en) 2002-03-21
JP3947327B2 (ja) 200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61144B2 (ja)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機構
KR100529437B1 (ko) 디스크 유지 장치
EP0030754A1 (en) Centering element and drive unit for interchangeable information discs in a system for writing or reading information
US6205111B1 (en) Disk driving apparatus for reliably centering a meter-layer optical disk on which information is recorded
KR100386220B1 (ko) 하우징
JP2000149363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ディスク保持装置
US4631620A (en) Magnetic disk cartridge
KR100468757B1 (ko) 디스크 클램핑 장치와 이를 구비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
JP2991028B2 (ja) ピックアップ駆動機構
JPH09326147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ディスククランピング装置
JP2006252623A (ja) 記録ディスク載置装置、記録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および記録ディスク装置
JP2007058918A (ja) トラバースシャーシへのスピンドルモータの取付け構造
JP2002208202A (ja)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KR100297748B1 (ko) 디스크플레이어의진동방지장치
JP4300481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H1186396A (ja) ディスク装置
KR100828347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KR100468746B1 (ko) 디스크 클램핑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JP2002208203A (ja)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JP2653343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のディスク回転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151059Y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클램핑 장치
JP2001143345A (ja) ディスククランパー
JP2536662Y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0048441A (ja) チャッキング機構及びこのチャッキング機構を備える検査装置
JP2008186529A (ja) ピックアップトラバース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