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571B1 - 수지충격흡수체 - Google Patents

수지충격흡수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571B1
KR100384571B1 KR1019950004249A KR19950004249A KR100384571B1 KR 100384571 B1 KR100384571 B1 KR 100384571B1 KR 1019950004249 A KR1019950004249 A KR 1019950004249A KR 19950004249 A KR19950004249 A KR 19950004249A KR 100384571 B1 KR100384571 B1 KR 100384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resin
compressive
absorber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4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494A (ko
Inventor
후루사와히로노부
고쿠부도키오
가마타사카시
우에노히토시
Original Assignee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31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16F7/121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the members having a cellular, e.g.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of foam-like material, i.e. microcellular material, e.g. sponge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 F16F3/08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rubber
    • F16F3/087Units comprising several springs made of plastics or the like material
    • F16F3/0873Units comprising several springs made of plastics or the like material of the same material or the material not being specified
    • F16F3/0876Units comprising several springs made of plastics or the like material of the same material or the material not being specified and of the same shape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의 굴곡 모둘러스가 500 내지 20,000 kg/cm2인 수지로 제조된 압박 변형부를 포함하고, 항복 강도는 2 내지 25 톤/m2이며, 압박에너지 흡수 효율은 50% 이상인 수지 충격 흡수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는 그 반응력에 대해 높은 에너지 흡수 효율, 우수한 원상 복귀성을 지니고, 흡수체가 부식, 물 및 풍화에 대해 내성을 지니므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흡수체는 바다, 지반, 지반위에서 사용하는데 적당하다. 또한, 충격 흡수체는 블록 충격 흡수체에 요구에 부응하여 쉽게 연장될 수 있고, 경량이고 구조가 간단하며 넓은 영역에 걸쳐 균일한 쿠션 득성을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시 충격 흡수체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광범위한 용도, 예를 들면 길 및 부두의 측벽, 다리 방파제, 빌딩의 바닥 및 벽, 그리고 자동차와 같이 충격 에너지의 흡수 및 완충이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하고자 하는 완충재로서의 용도를 가진 수지 충격 흡수체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종래의 충격 흡수체는 금속 스프링, 마찰 완충재, 유압 완충재, 고무 성형체및 이들의 조합체이다. 금속 스프링은 완충 성능은 우수하나 에너지를 거의 흡수하지 못한다. 마찰 완충재 및 유압 완충재는 통상적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비쌀 뿐 아니라, 매우 높은 변형율 의존성 및 불량한 원상 복귀성 면에서 문제를 제공한다. 또한, 이들 완충재는 수 중에서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녹(rust) 및 물로부터 보전시켜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설치 환경이 제한적이다. 고무 성형체는 우수한 윈상 복귀성을 갖는 반면, 구성 재료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율이 낮다. 따라서 만족할만한 충격 흡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생성된 중량(重量)의 고무가 대형 고무 성형체로 형성되지 않도록 방지하면서 다량의 고무를 함유하는 고무 성형체를 제조해야 한다. 이들 종래의 충격 흡수체는 소영역에 걸쳐 가해진 압축 하중을 완충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반면, 길의 측벽, 그리고 빌딩의 바닥 및 벽과 같이 넓은 영역에 걸쳐 균일한 쿠션 특성을 필요로 하는 구조체에는 적합하지 않다.
상기 언급한 종래 문제점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 단순한 구조, 반응력에 대한 높은 에너지 흡수 효율, 및 우수한 원상 복귀성을 가진 수지충격 흡수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흡수체는 녹, 물 및 풍화에 대해 내성을 지니기 때문에 보전 필요성이 없으므로, 지반 위 및 바다 속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연장 조립이 가능하며, 넓은 영역에 걸쳐 균일한 쿠션 특성을 제공할수 있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압축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부분(이하 '압축 변형부' 또는 '유의적 변형부'로 칭함)을 포함하는 충격 흡수체를 제공하는데, 이 변형부는 굴곡 탄성율이 500∼20,000 kg/cm2인 수지로 제조된다. 상기 흡수체는, 압축 변형부가 변형되었을 때 압축 시점에서의 압축 응력-변형 곡선이 하기 요건에 부합될 수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a) 20∼250 kN/m2(2∼25 톤/m2)의 항복 강도, 및
(b) 50% 이상의 압축 에너지 흡수 효율.
충격 흡수체의 압축 변형부(유의적 변형부)는 압축 하중 하에서 변형되고, 20% 이하의 압축 변형율에서 항복점이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수지 충격 흡수체는 굴곡 탄성율이 500∼20,000 kg/cm2,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0,000인 수지로 제조된다. 흡수체는 볼록형 압축 변형부를 다수개 갖는다. 굴곡 탄성율이 500∼20,000 kg/cm2인 수지로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폴리아미드 탄성중합체, 폴리우게탄 탄성중합체 이들의 혼합물, 및 성형 폴리우레탄과 같은 경화성 수지가 있다. 이 중에서도 우수한 내후성 및 내수성을 가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 및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명시된 범위 내의 굴곡 탄성율을 가긴 것이라면 어떠한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굴곡 탄성율이 500 kg/cm2이하인 수지를 사용하면 불충분한 스프링 상수를 가진 충격 흡수체가 형성된다. 이 경우 만족스러운 에너지 흡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구성 부재의 벽 두께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에서 벗어난 크고 무거운 충격 흡수체가 형성된다.
한편, 굴곡 탄성율이 20,000 kg/cm2이상인 수지를 사용하면, 반복적인 사용을 견뎌내기에 충분한 가요성을 갖지 못하는 과도하게 단단한 충격 흡수체가 형성되어, 압축 하중 하에서 가능한 응력 집중으로 인해 쉼게 파손되게 된다. 강성을 저하시키기 위해 압축 변형부의 두께를 감소시키면 충격 흡수체의 가요성은 향상될 수 있으나, 큰 압축 하중이 가해지면 그 압축 변형부의 구성 부재가 원상 복귀될 수 없을 정도로 종이같이 국소적으로 구부러져 탄성을 잃게 되는데, 이것 역시 본 발명의 목적에서 벗어난 것이다.
대표적으로, 굴곡 탄성율이 500∼20,000 kg/cm2인 수지를 사용하면, 충격 흡수체의 응력 상승 기간이 단축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후술되는 압축 변형부의 형태 등을 변형시킴으로써 충격 흡수체의 항복 응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고무 성형체와는 달리 벽 두께가 실질적으로 증가하는 일없이 경량의 충격 흡수체를 얻을 수 있으며, 충격 흡수체는 압축 과정 동안 응력 집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는, 상기 언급된 범위의 굴곡 탄성율을 가진 수지로부터 이하에 기재되는 형태로 제조되고, 전체 흡수체에 의해 충격 에너지가 흡수될 수있는 구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스프링 부재(A)를 포함한다. 볼록형 압축 변형부(1)는 아치형, 사다리꼴, 돔형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는, 예를 들어 다수개의 스프링 부패(A)를 수직 방향 및 횡 방향으로 배열하고, 그 부재들을 제4도(충격 흡수체의 부분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제로 일체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평행부(2)를 스프링 부재(A)의 압축 변형부(1) 상부에 형성시킬 수 있고, 또는 스프링 부재(A)의 평행부(2) 및/또는 평판(3)에 구멍(4)을 뚫을 수도 있다. 이로써, 일체적 성형된 충격 흡수체를, 압축 변형부의 상부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다른 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충격 흡수체 어셈블리의 압축 과정 동안 압축 변형부의 상부 사이에 적당한 접착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스프링 부재(A)에서, 평판(3)은 충격 에너지 수용부를 형성하고 압축 변형부(1)는 탄성 변형 또는 휨(buckling) 변형이 이루어져충격 에너지를 완화시키거나 흡수하는 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압축 변형부(1)는 평판(3)과 경사를 이루도록 위치하는 다리 또는 벽을 포함한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 사다리꼴, 아치형 또는 돔형일 수 있다. 압축 변형부(1)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집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충격 흡수능을 부여하기 위해, 압축 변형부의 하부 또는 상부에 평판을 일체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의 실제 이용 시에는, 한쌍의 흡수체를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의 상부에 연결시키고, 적용 부위애 따라 달라지는 잠재적 총격 강도 및 충격 빈도에 따라 충격 흡수체의 연결 쌍들을 필요한 만큼의 다층으로 중첩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충격 흡수체가 실제 용도에서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압축되었을 때, 압축 응력-변형 곡선 상에서 항복 강도가20~250 kN/m2이핀 압축 에너지 흡수 효율은 50% 이상이 되어야 한다.
압축 응력-변형 곡선(이하 "S-S 곡선"으로 칭함)은, 압축 하중이 제7도애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흡수체의 상부 및 하부면에 가해질 때 응력(압축 하중/하중수용 부위)과 압축 변형율(길이의 감소분× 100%/원래 길이) 사이의 상호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처음 압축 단계에서, S-S 곡선은 압축 변형율에 거의 비례하여 급격하게 상승한다. 그 후, 곡선은 항복점에 도달할 때까지 서서히 상승하는 곡선을 그린다. 이 지점에서 충격 흡수체의 압축 변형부가 항복하여, 압축 변형부의 형태 에 따라 응력이 다소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충격 흡수체가 더욱 압축되면 스프링 부재의 간격이 감소하여 S-S 곡선이 다시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 단계에서, 응력은 압축 변형율의 작은 상승에도 급격히 증가한다.
S-S 곡선에서, 항복 강도는 곡선이 처음 급격히 상승한 후 도달하게 되는 최대 응력값(C 지점에서의 응력)에 해당한다. 압축 에너지 흡수 효율은 제7도의 X 영역을 Y 영역으로 나눔으로써 구해진 백분율에 해당하고, X 영역은 S-S 곡선 및 최종 상승 곡선 중의 일 지점으로부터 수평축까지 그린 수직선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서, 이때 최종 상승 곡선 중의 일 지점은 S-S 곡선 상에서 항복점과 상기일 지점 사이의 최대 응력 지점에 상응하며, 이 지점에서 압축 응력 증가분/압축 변형을 증가분의 비율은 2 kN/m2/%이고, Y 영역은 압축 변형율과 이에 해당하는 최대 응력값을 곱한 값이다.
항복 강도가 반드시 최대 응력과 일치할 필요는 없다. 이 항복 강도는 충격흡수체에 충돌하는 물체가 수용하는 최대 응력에 가까우며, 최대 응력의 기준으로서 간주된다. 항복 강도가 불충분하면, 충격 흡수체가 실질적으로 충격 에너지 흡수체로서 작용하지 않는다. 한편, 항복 강도가 과다하게 높으면 충격 흡수체가 물체와의 충돌시 큰 반응력을 발생시키므로, 충돌한 물체로부터 충격을 충분히 완화시킬 수 없다. 전술한 설명에서 명백히 알 수 있듯이, 압축 에너지의 흡수 효율이 상승하려면 X 영역이 Y 영역과 가능한 한 유사해야 한다(즉, X 영역의 형태가 가능한한 장방형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S-S 곡선의 처음 상승이 가능한 한 급격히 이루어져야 하며, 항복점 이후 응력 감소가 최소화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에 요구되는 물리적 특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충격 흡수체의 항복 강도가 20∼250 kN/m2이고 압축 에너지 흡수 효율이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인 경우에는 충격 에너지의 충분한 완화가 이루어져 충돌한 물체에 대해 과다한 반응력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는 이 요건을 충족시킨다.
제8도는 고무 성형체와 같은 종래 충격 흡수체의 S-S 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곡선의 처음 상승은 느리고 항복점은 비교적 높은데, 이는 충격 흡수체가 항복시 큰 반응력을 발생시킴을 의미한다. 또한, 응력은 항복점 이후에 비교적 크게 감소하고, 최종 상승은 비교적 적은 압축 변형율에 대응하여 시작한다.
제10도는, 특이적 굴곡 탄성율을 가진 수지로 제조되고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 및 구조를 가진 본 발명 충격 흡수체의 S-S 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처음 응력증가는 급격이 이루어지며, 항복 강도는 바람직하다. 항복점 이후에는, 마지막 급격한 상승이 이루어질 때까지 압축 변형율의 증가와 무관하게 응력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는, 충격 흡수체가 50% 이상, 심지어는 75% 이상의 극히 높은 압축 에너지 흡수 효율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 에너지 흡수 효율은 초기 S-S 곡선이 급격히 상승할 때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수지의 굴곡 탄성율과 압축 변형부의 형태 및 벽 두께는, S-S 곡선이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의 압축 변형율 하에서 항복점을 갖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는 동일한 형태 및 크기의 볼록형 압축 변형부를 가진 다수개의 스프링 부재가 배열되어 있는데, 형태 및 크기가 다른 2개 이상의 유형을 가진 다수개의 볼록형 압축 변형부를 임의로 배열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형태 및 크기가 다른 압축 변형부로 이루어진 다른 구조의 충격 흡수체 단위를 서로에 대해 배치하여 블록 충격 흡수체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충격 흡수체는 평판없이 압축 변형부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압축 변형부의 상부 및/또는 하부 상에 평판을 구비시켜 충격 흡수체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에 블록형 압축 변형부를 배열시키기 위한 평판이 없는 충격 흡수체와, 그러한 흡수체로 구성된 블록 충격 흡수체를 중량면에서 가볍고 조립이 간단한 예로서 제시하였다.
일례는 특정 폭을 가진 다수개의 파형 충격 흡수 스트립이 서로 연결되어,볼록부와 오목부가 충격 적용부에서 관측했을 때 바둑판 형태를 형성하는 수지 충격 흡수체로서, 상기 다수개의 충격 흡수 스트립은 파형부의 경사부 중심에서 서로 일체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이루며, 인접하는 스트립들은 서로 접촉하고 있다.
이 수지 충격 흡수체는 중심 부근에서 충격 흡수 스트립(일련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외면(또는 내면) 상에 일체적으로 구비된 보강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격 흡수체에 사용된 수지의 ASTM D638에 따른 파단 인장 연신율은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지 충격 흡수체는 팽창 성형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는 상기 언급한 수지 충격 흡수채들을 연결시키거나, 이들 흡수체들과 수평적 또는 수직적으로, 또는 이들 양 방향으로 배열된 보강틀을 연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그러한 배열에서, 충격 에너지는 바둑판 형태를 형성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볼록부 상에 분산된다. 충돌한 물체의 충격 에너지가 블록 충격 흡수체의 측면 상에 가해지면, 에너지는 충격 흡수체의 여러 층에 분산되고 흡수됨으로써 충격 에너지가 완화된다.
이하에서는, 수지 충격 흡수체의 상기 언급한 예를 제13도 내지 제19도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수지 충격 흡수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수지 충격 흡수체(11)는 특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다수개의 고정부(13)를 포함하며, 이들 고정부(13)는 흡수체가 부착될 구조체의 평면(12)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지 충격 흡수체(11)는 고정부(13)와 평행 관계로 충격 적용부 상에 구비된 다수개의 하중 수용부(14) 및 고정부(13)와 인접한 하중 수용부(14)를 연결시키는 각 충격흡수부(압축 변형부, 15)를 포함한다. 사각형의 고정부(13)와 사각형의 하중 수용부(14)는 장방형의 충격 흡수부(15)를 통해 연결되고, 파형 충격 흡수 스트립을 형성한다. 그러한 다수개의 충격 흡수 스트립은 O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어 충격 적용면에서 볼 때 볼록부(돌출부)와 오목부(함몰부)가 바둑판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충격 흡수부(15)의 경사부의 중심(제17도에서 도면 부호 17로 지칭)에서 서로 하나로 연결됨으로써 다측면 셀(제15도에서 도면 부호 18로 지칭)을 가진 수지 충격 흡수체(11)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는 상기 언급한 구조를 기본으로 한다. 제14도에 도시된 보강틀(16)은 선택 사양이다. 구멍(13a,14a)은 고정부(13) 및 하중 수용부(14)에 각각 형성된다. 이들 구멍은 수지충격 흡수체(11)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볼트를 통과시키는 데 사용된다.
제14도, 제15도 및 제16도는 각각 수지 충격 흡수체(11)의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제15도에 도시된 다측면 셀(18)은, 충격 적용 방향(제16도에서 화살표 방향, 이하 압축 변형부의 높이 방향인 "압축 방향"으로 칭함)으로 70%(셀의 압축 상태의 높이×100/셀의 원래 놀이(H)) 이상 변형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도 가질 수 있고, 높은 굴곡 강성을 가진 수지로 제조된다. 굴곡 강성의 증가 용이성 및 성형 단순성 면에서 볼 때, 제15도에 도시된 육각형 또는 팔자형(도시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각 다측면 셀(18)의 경사형 충격 흡수부(15)는 고정부(13) 및 하중 수용부(14) 보다 중심부가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틀(16)은 압축 방향의 거의 수직 중심에서 수지 충격 흡수체(11) 주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강틀(16)은 그 수직 중심에서 다측면 셀(18)을 제한하고, 최외곽에 배치된 충격 흡수 스트립들을 연결시킨다. 보강틀(16)은 수지 충격 흡수체(11)의 중량을 크게 증가시키는 일 없이 충격 에너지 흡수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평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재료가 절약되며, 이로써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를 연결시키기 위한 구멍(16a,16a')은 보강틀(16), 또는 수지 충격 흡수체(11) 양면 상의 각 셀 구조 중심에 형성된다. 제16도에 도시된 돌출부(19)는 각 구멍(16a') 주위 영역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각 다측면 셀(18)의 크기를 결정하는 돌출부 및 오목부의 수는 각 셀(18)의 크기와 관련이 있는 충돌 예상 물체의 크기 뿐 아니라 수지의 굴곡 강도에 따라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 및 오목부의 수는 충돌 물체의 충격 에너지를 몇개 셀(18)의 하중 수용부(14) 상에 균일하게 가하고 분산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적어야 한다. 수지 충격 흡수체(11)가 소수의 돌출부 및 오목부를 가질 때 흡수체의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먼지 및 외부 물질은 사용 환경에서 셀 구조 내에 존재하지 않으며, 쉽게 제거된다.
수지 또는 유리 섬유 벨트 또는 망을 수지 충격 흡수체 내에 보강물로서 삽입할 수도 있다. 수지 충격 흡수체를 적층시켜 후술되는 블록 수지 충격 흡수체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2 개의 인접 흡수체들 사이에 수지 또는 유리 섬유 벨트 또는망을 삽입하여 흡수체 블록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충격 흡수에 적합한 물리적 특성을 가진 수지 물질을 사용하고 수지 충격 흡수제의 셀 구조를 특정화하는 경우, 수지 충격 흡수제는 높이 방향으로의 압축 하중하에 50% 이상 변형되고,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면 원래 높이의 90% 이상까지 원상 복귀된다.
본 발명의 수지 충격 흡수체는 사출 성형법, 압축 성형법, 및 성형판을 이용한 간접 성형법을 비롯한 임의의 방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두께가 10 mm를 초과하고 중량은 10 kg 이상인 수지 충격 흡수체를 제조할 경우에는 팽창 성형법이 비용 면에서 유리하다. 팽창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수지 충격 흡수체는 미소한 포옴을 갖는다. 그러나, 이들 포옴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있어 어떠한 문제도 유발시키지 않는다.
이용 가능한 팽창 성형법 중 하나는 수지와 화학적 발포제를 미리 반죽하여 성형 시 수지가 팽창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방법은 N2가스와 용융수지의 혼합물, 또는 N2가스와 용융 수지와 화학적 발포제의 혼합물을 압출기로부터 압출시키는 단계, 압출된 혼합물을 가압 하에 1 회 저장하는 단계, 및 그 혼합물을 주형 내에서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성형법에 따르면 용융된 수지가 주형 내에 사출될 때 수지가 탈압되어 용응된 수지 중애 존재하는 미소한 N2가스 기포가 팽창하여 팽창이 달성된다.
이 성형법을 이용할 때에는, 생성된 생성물 중에 큰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두께 변화에 민감한 부분을, 두께 변화가 서서히 이루어져 용융된 수지가 평활하게 유동하도록 설계해야 한다. 또한, 노치의 테두리는 응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제14도에서 "R"로 지칭된 바와 같이 둥글게 해야 한다.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 리브를 형성시키는 것은 흡수체의 중량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이하에는 블록 충격 흡수체를 조립하기 위해 수지 충격 흡수체를 연결시키는 방법을 기재하였다.
수지 충격 흡수체(11)를 길이 방향(제13도의 0 방향) 횡방향(P 방향) 및 적층 방향(Q 방향)으로 연결시키는 방법의 예로는 접착제 결합법, 열 융합 결합법, 및 금속 또는 플라스틱 리벳을 사용하여 연결시키거나 또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연결시키는 방법이 있다. 화살표 S는 충격 강도 적용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또 다른 방법은 각 수지 충격 흡수체(11)에 돌출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구멍을 형성시키기나 또는 자체 연결형 돌출부와 오목부를 형성시킴으로써, 1 회의 빠른 동작에 의해 흡수체(11)가 횡방향, 길이 방향 및 적층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또한, 충격 흡수체(11)는 벨트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수비 충격 흡수체(11)를 적층시킬 때에는, 먼저 제1층의 충격 혼수체(11)를 수평직으로 연결시킨 후, 제2층의 흡수제(11)가 제1층을 구성하는 충격 흡수체의 경계 상에 배치되도록 제2층의 흡수체(11)를 제1층 상에 적층시킨다. 이 방법에 따르면, 충격 흡수제(11)를 수평 방향으로는 연결시키지 않고 단지 적층 방향으로만 국소적 연결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조립된 블록 충격 흡수체는, 상기언급된 빙식으로 제1층 흡수체 상에 제2층 흡수체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 공간은 강도 및 양호한 외관을 확보하기 위해 짜은 충격 흡수 부재로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 작업 효율은. 이동 가능한 틀 상에 다수개의 수지 충격 흡수체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이들을 임시 고정시킨 상태에서 작업부위로 운반하는 경우에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블록 충격 흡수체는 보강틀(16) 없이 수지 충격 흡수체(11)를 사용해도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지 벨트를 특정 (列)의 하중 수용부로부터 또 다른 열의 하중 수용부로 연장시켜 방향 0로의 연결을 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판을 충격 흡수체(압축 변형부) 상에 배치할 경우, 평판은 보강재로서 작용하여, 압축 하중(충격 에너지)이 충격 흡수체에 가해질 때 평평하게 횡방향으로 배치된 압축 변형부에 의해 아기되는 압축 방향으로의 겉보기 스프링 상수의 저하를 방지한다. 효과적인 보강을 위해시는, 평판 재료로서 굴곡 탄성율이 50,000kg/cm2이상인 물질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한 높은 굴곡 탄성율을 가진 물질로 제조된 판을 충격 흡수체와 일체적 으로 연결시키면, 압축 변형율이 증가할 때에도 스프링 부재를 구성하는 압축 변형부가 횡방향으로 평평하게 위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충격 흡수체는 탁월한 충격 흡수능을 가지고, 완전 균일한 변형성 및 우수한 원상 복귀성을 갖는다.
평판은 알루미늄 또는 유사 금속, 합성 수지, 및 FRP(보강된 플라스틱) 등의임의의 물질로 제조할 수 있다. 보강 효과, 내수성 및 내부식성 성형성 등을 고려할 때 FRP 판이 가장 바람직하다.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평판상에 보강 리브를 구비시킬 수도 있으며,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평판 내에 구멍을 형싱시킬 수도 있다.
블록 충격 흡수체는, 각 적용 부위에 요구되는 충격 에너지 흡수능이 충족되도록 여러 개의 충격 흡수체와 평판을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적체 형태로 성충화시켜 조립한다. 집적화법의 예로는 접착제 결합법, 융합 결합법, 금속 또는 플라스틱 리벳, 볼트와 너트를 사용한 결합법, 그리고 상하 방향, 길이 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결 또는 결합시키기 위한 기타 방법이 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1 회의 빠른 동작으로 흡수체 및 평판을 횡방향,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연결결키기 위해, 흡수체 및 평판 중에 연결 구멍 및 연결 돌출부를 형성시키거나, 또는 자체 연결형 돌출부 및 오목부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충격 흡수체의 압축 변형부는 모양, 구조 및 두께 면에서 제한되지 않으며, 적용 부위 및 적용 목적에 따라 적당히 조절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항복 강도 및 압축 에너지 흡수 효율을 얻고, 중량을 감소시키며, 반복 사용 후 높은 원상 복귀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압축 변형부의 형태를 지름(B)에 대한 높이(H)(제2도 참고)의 비율이 0.3 내지 1.5가 되도록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B 비율이 0.3 이하인 경우에는, 압축 변형부의 높이가 불충분해진다. 그 결과, 평판부의 중량비가 높아져 중량 감소가 어려워진다. 한편, H/B 비가 1.5 이상인 경우에는 충분히 높은 굴곡 강성을 갖기에는 압축 변형부가 너무 커진다. 따라서, 압축 변형부가 불규칙적으로 배치되고 불량한 인상 복귀성을 갖게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반복적인 사용을 견디어내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지의 종류 및 압축 변형부의 형태와 구조를, 압축시 50% 이상 압축된 충격 흡수체가 하중을 제거했을 때 원제 높이의 90% 이상까지 원상 복귀될 수 있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선박에는 충격 흡수체로서 고무 타이어를 사용한다. 고무 충격 흡수체 역시 기타 완충 목적을 위해 제조된 것이다. 그러나, 이들 고무 충격 흡수체는 무겁고, 거의 수 %의 적은 압축 하중 하에서도 과다한 응력(반응력)을 발생시키며, 매우 적은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므로 흡수체와 충돌하는 물체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는 적당한 굴곡 탄성율을 가진 수지의 탄성과 충격 흡수체의 특이적 형태 및 구조를 조합함으로써 달성된 소위 대쉬폿(dashpot) 및 스프링의 에너지 흡수 성능에 의해 충격 에너지를 매우 효율적으로 흡수한다. 따라서, 흡수체는 충격에 의해 야기된 충돌 물체의 손상을 최소화시킨다.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는,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 및 압착 성형법 등의 선택적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다수개 충격 흡수체의 조립체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리벳을 사용하여 각 충격 흡수체를 상하 방향, 횡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연결시켜 이들을 원하는 크기로 조립한다. 대안적으로, 볼트 또는 돌기 및 이들의 연결 구멍 또는 홈을 흡수체 단위에 미리 형성시키고, 상기단위를 볼트 또는 자체 스냅에 의해 연결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적당한 방법은 열 융합 결합법으로 충격 흡수체를 일체적으로 연결시키는 방법이다. 가장 간단하고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각 충격 흡수체 단위에 연결 구멍 또는 자체 연결형 돌출부와 오목부를 행성시키고, 길이 방향, 횡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이들 유닛을 조립하여 연장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수지 충격 흡수체는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면 충격 흡수체의 각 평판부에 형성된 구멍과 볼트를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다른 구조체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 목적으로는 다를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유형의 수지는 앞에서 예시하였다. 수지의 품질은, 첨가제, 예를 들면 안정화제(예, 산화 방지제 및 자외선 흡수제), 안료, 카본 블랙, 충전제(예, 탈크 및 유리 비드), 보강 섬유(예, 금속 섬유 유리 섬유및 탄소 섬유), 대전 방지제, 가수제 지연제 발포제 및 박리제를 용도및 목적에 따라 필요한 만큼 첨가하여 개선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는 특정의 굴곡 탄성율을 가진 수지로 제도되며, 특이적 형태 및 구조를 갖는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는 우수한 충격 에너지 흡수 성능을 가지고. 중량이 가벼우며, 용도 및 목적에 적합한 크기로 용이하게 연장될 수 있고, 부식, 물 및 풍화에 대해 우수한 내성을 지니므로 바다 내 또는 지반 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우수한 특성으로 볼 때,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는 넓은 표면적에 걸쳐 균일한 쿠션 특성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인 구조체, 예를 들면 길 및 부두 측벽 상의 완충재, 그리고 빌딩의 쿠션 바닥으로서 광범위한 용도를 갖는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영역 및 기술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조절 및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 1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의 압축 변형부 8개를 포함하는 21(폭)cm x 21(길이) cm x 3.3(높이) cm 크기의 충격 흡수체를, 도요 보세키 가부시 키가이샤 제품인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 "PELPRENE P-280B" (검정색)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하였다.
이 흡수체를 80% 이하로 수직 압축시켰다. 이 충격 흡수체 다수개를 수지 리벳을 사용하여 길이 방향,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연결시켜 101 cm × 101 cm × 99 cm 크기의 검정색 충격 흡수체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의 유리한 특징은 얻어진 블록 충격 흡수체, 그리고표 1에 요약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고하면 명백히 알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스미토모 케미칼 컴패니, 리미티드 제품인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SUMITOMO TPE3255"로부터 충격 흡수체를 사출 성형하여 블록 충격 흡수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수지, 즉 "PELPRENE P-280B"(검정색)으로제5도에 도시된 벌집형 충격 흡수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9도에 도시된 형태로 사출 성형된 시판용 클로로프렌 충격 흡수체를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1에 제시하였다. 표 1에서의 각 평가 항목은 이하에 정의된바와 같다.
단위 부피당 중량 : 블록 충격 흡수체의 최데 길이(m) × 폭(m) × 높이(m)의 값인 블록 충격 흡수체의 부피로 그 중량(kg)을 나눈 값.
· 굴곡 탄성율 . 굴곡 탄성율 측정치에 대한 통상적인 기준으로서 ASTMD790에 따라 측정.
· 항복 응력 : 50 mm/분의 일정한 압축 하중 속도 하에, 응력은 초기 압축 단계에서는 압축 변형율과 거의 비례적으로 급격히 상승한 후, 항복점애 도발할 때까지 서서히 상승한다(제7도 참고). 항복 응력은 이 항복점에서의 응력에 해당한다.
· 항복점에서의 압축 변형율(%) : 항복 강도에 상응하는 압축 변위(cm)를 압축 전 측정된 압축 방향으로의 원래 길이(cm)로 나눠서 구한 백분율.
· 최종 상승시 압축 변형율 : (1) 항복 강도와 (2) 항복점 후 서서히 상승하는 S-S 곡선에 의해 도달한 최대 응력값의 변형율 중 어느 것이 더 큰 지와 무관하게 최종 급격 상승 단계에서 S∼S 곡선이 도달하는 압축 변형율.
· 압축 에너지 흡수 효율(%) : S-S 곡선 및 최종 상승 곡선 중 일 지점에서수평축까지 그려진 수직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곡선에서 최종 응력 상승이 시작되는 저점의 압축 변형율과 상응하는 최대 응력값을 곱한 값으로 나누어서 구한 백분율로서 상기 최종 상승 곡선 중 일 지점은 S-S 곡선 상에서 항복점과 상기 일지점 사이의 최대 응력에 해당하며 이때 압축 응력의 증가분/압축 변형을 증가분의 비율은 2N/m2/%이다.
· 단위 부피당 흡수된 에너지(kN·m/m3) : 흡수된 에너지 양을 충격 흡수체의 부피로 나눈 값.
· 단위 중량당 흡수된 에너지(kN·m/kN) ·흡수된 에너지 양을 충격 흡수체의 중량으로 나눈 값.
· 단위 부피당 흡수된 에너지/항복 강도(반응력)(kN·m/m3/kN) : 단위 부피당 흡수된 에너지 양을 항복 강도로 나눈 값.
[표 1]
표 1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는 종래의 충격 흡수체보다 가볍고, 종래의 충격 흡수체보다 많은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한편, 보다 적은 반응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충격 흡수체가 부식, 물 및 풍화에 대해 우수한 내성을 지니기 때문에 바다 및 지반 위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보전 필요성이 없다.
제10도는 실시예 1의 충격 흡수체의 S-S 곡선이고, 제11도는 비교예 1의 충격 흡수체의 S-S 곡선이다. 비교예 1의 충격 흡수체는 매우 높은 항복 강도를 가지고, 충격 적용시 상당히 큰 반응력을 발생시키며, S-S 곡선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불량한 압축 에너지 흡수 효율을 나타내 보인다. 이와 대조적으로, 실시예 1의 충격 흡수체는 적당한 항복 강도를 가지고, 충돌된 물체에 대해 극심한 반응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높은 압축 에너지 흡수 효율을 나타내 보이는데, S-S 곡선 형태는 비교예 1의 것에 비해 장방형에 보다 가깝다.
실시예 1의 충격 흡수체를 콘크리트 벽에 설치하고 그 충격 흡수체에 1 톤 차량을 10 km/시간의 속도 및 10 °의 입사각으로 충돌시켰다. 차량의 범퍼는 다소 손상되었으나, 충격 흡수체는 원래 형태로 복귀되었고 눈에 띠는 손상도 없었다.
실시예 4
정면 관측시 육각형이고 단면은 사다리꼴인 셀(제15도 및 제16도 참조)로 구성된 충격 흡수체를,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인 폴리에스테르 탄성 중합체 "PELPRENE P-280B"(검정색)를 N2가스를 사용한 저압 팽창 성형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흡수체의 크기는 1 m(폭) × 1 m(길이) × 20 Cm(높이)이고, 평균 리브 두께는 10 mm이었다. 충격 흡수체에 보강틀은 없었다.
충격 흡수체의 각 셀은 하중 수용면으로서 상면과 고정면으로서 하면을 포함하고, 이들 상면과 하면은 충격 흡수부로 연결시켰다. 셀은, 고정면과 하중 수용면을 충격 적용부에서 봤을 때 바둑판 형태를 형성하도록 배열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수지 충격 흡수체는 5 층으로 적층시키고, 금속 삽입 수지 볼트와 너트를사용하여(워셔와 함께) 연결시킴으로써 1 m(폭) × 1 m(길이) × 1 m(높이)의 블록 충격 흡수체를 조립하였다.
실시예 5
각 충격 흡수체가 중심 부근에 보강틀을 구비한 점(제13도 참조)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수지 충격 흡수체를 사용하여 실시에 4에서와 동일한 블록 충격 흡수체를 조립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충격 흡수체를 5 층으로 적층시켜 블록 충격 흡수체를 조립하였는데, 이 흡수체는 최외곽 테두리를 포함하여 각 충돌 방향의 중심 부근에 보강틀을 구비하였다.
표 2는 실시예 4 및 5의 블록 충격 흡수체의 평가 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표 2의 각 새로운 평가 항목은 이하에 정의된 바와 같다.
조립체 중량에 대한 반응 부재 중량의 비율 : 반응에 관여하는 부재의 중량을 블록 조립체의 중량으로 나누어서 구한 백분율 반응에 관여하는 부재는 상면 및 하면을 제외한 각 셀의 부분, 즉 압축 변형부로 간주한다.
· 이음매 갯수 : 폭, 길이 및 높이가 각각 1 m인 블록 충격 흡수체를 조립 하는데 필요한 이음매의 갯수.
· 굴곡 탄성율 : ASTN D790에 따라 측정.
· 파단 인장 연신율 : ASTM D638에 따라 측정.
· 단위 부피당 흡수된 에너지(kN·m/m3) : 압축 반응력이 특정값(실시예 4및 5의 경우 200 kN/m2)에 도달할 때까지 흡수된 에너지의 양을 충격 흡수체의 부피로 나눈 값.
· 단위 중량당 흡수된 에너지 : 압측 반응력이 특정값(실시예 4 및 5의 경우 200 kN/m2)에 도달할 때까지 흡수된 에너지의 양을 충격 흡수체의 중량으로 나눈 값.
· 원상 복귀율(%) : 80%의 압축을 유도하는 하중을 가하고 제거한 후 측 정한 블록 충격 흡수체의 높이를 원래 높이로 나눈 백분율.
[표 2]
표 2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듯이, 실시예 4, 5 및 6의 충격 흡수체는 종래의 충격 흡수체에 비해 훨씬 가볍고, 조립이 용이하며, 높은 충격 에너지 흡수 성능을 제공한다. 보강틀을 갖춘 충격 흡수체(실시예 5)는 특히 종래의 충격 흡수체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은 충격 에너지 흡수 성능을 나타내 보였다.
각 충돌 방향의 거의 중심에 벨트 보강재가 설치된 수지 충격 흡수체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체(실시예 6)는 실시예 5의 출격 흡수체보다 높은 충격 에너지 흡수성능을 나타내 보였다.
제18도는 실시예 4, 5 빛 6의 충격 흡수체의 압축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실시예 충격 흡수체에 해당하고, b는 실시예 5의 충격 흡수체에 해방하며, c는 실시예 6의 충격 흡수체에 해당한다. 이들 실시예의 S-S 곡선은 응력의 직선형 증가를 나타내 보이지 않으며, 충격 흡수에 대해 적당한 곡선을 이루고 있다. 특히, 실시예 5의 충격 흡수체는 처음 압축 단계에서 급격한 응력 상승을 나타내보이는 S-S 곡선을 가지며, 비교적 높은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데 적합하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블록 충격 흡수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실시예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틀이 설치된 4 개의 수지 충격 흡수체를 수평으로 배열하고 연결시킨 후(제19(a)도), 6개 층으로 수직 적층시킨 것이다(제19(b)도).조립체는 총 24 개의 충격 흡수체를 포함한다. 또한, 조립체의 강화 또는 이음매의 강화를 위해 수지 벨트(20)를 구비시켰다. 블록을 조립하는 데 사용된 볼트와 너트는 제19도에 도시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 하중 수용부와 고정부는, 충돌 충격이 가해진 구조가 평면이라는 가정 하에 평행 관계로 배치된다. 굴곡면을 가진 구조에 흡수체를 적용시키기위해, 하중 수용부와 고정부에 유사한 굴곡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는 충돌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구조의 표면 상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직접 설치 시에는, 내후성을 부여하기 위해 처리된 기판 상에 충격 흡수체를 설치한 후, 충격 흡수체를 수용하는 기판을 구조체의 표면 상애 미리 고정된 인도 부재에 부착시킨다.
본 발명에서 각 파형 충격 흡수 스트립의 돌출부와 오목부는 사다리꼴이다. 충격 흡수 스트립의 골이 반드시 이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충격 흡수부는 기어 톱니와 같은 굴곡형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는 길 및 부두의 측벽, 다리 방파제, 빌딩의 바닥과 벽, 그리고 자동차와 같이 충격 에너지의 흡수 및 완충이 요구되는 부위 상에서 완충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을 기초할 때, 본 발명의 충격 흡수체는 반응력에 대한 높은 에너지 흡수 효율 및 우수한 원상 복귀성을 가지며, 흡수체가 부식, 물 및 풍화에 대해 내성을 지니므로 보전할 필요성이 없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흡수체를 바다와 지반 위 및 지반 상부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체는, 중량이 가법고, 구조가 단순하며, 연장된 영역에 걸쳐 균일한 쿠션 성능을 나타내 보일 수 있는 블록 충격 흡수체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연장시킬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각각 본 발명 충격 흡수체의 스프링 부재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4도는 본 발명 충격 흡수체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 충격 흡수체의 스프링 부재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6도는 본 발명 충격 흡수체의 한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 충격 흡수체의 압축 응력-변형 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제8도는 종래 충격 흡수체의 압축 응력-변형 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제9도는 비교예 1의 충격 흡수체에 사용된 스프링 부재의 사시도이다.
제 10도는 실시예 1의 흡수체의 압축 응력-변형 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제11도는 비교예 1의 흡수체의 압축 응력-변형 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제12도는 평판을 포함하는 충격 흡수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흡수체의 사시도이다.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제15도는 제13도에 도시된 흡수체의 정면도이다.
제16도는 제13도에 도시된 흡수체의 우측면도이다.
제17도는 본 발명 흡수체의 경사부의 중앙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제18도는 실시예 4(a), 실시예 5(b) 및 실시예 6(C)의 흡수체의 압축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블록 충격 흡수체 구조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4)

  1. 굴곡 탄성율이 500∼20,000kg/Cm2인 수지로 제조되었으며, 20% 이하의 압축 변형율에서 항복점이 나타나는 압축 변형부를 포함하고;
    항복 강도가 20∼250 kN/m2이며;
    압축 에너지 흡수 효율이 50% 이상이고;
    충격 적용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특성 폭을 가진 파형의 긴 충격 흡수체 스트립을 다수개(이들 다수의 충격 흡수체 스트립은 다수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교대 배열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는 충격 적용부에서 봤을 때 바둑판 형태를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충격 흡수체 스트립은 이들 스트립이 서로 접하게 되는 스트립 경사부의 수직 중심부에서 서로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것임) 포함하는 것인, 수지 충격 흡수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의 측면상에 보강틀이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특징인 수지 충격 흡수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변형부를 형성하는 수지의 파단 인장 연신율이 30% 이상인 것이 특징인 수지 충격 흡수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충격 흡수체는 높이 방향으로의 압축 하중 하에서 50% 이상 변형되고,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면 원래 놀이의 90%이상까지 원상 복귀되는 것이 특징인 수지 충격 흡수체.
KR1019950004249A 1994-03-30 1995-03-02 수지충격흡수체 KR100384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61342 1994-03-30
JP06134294A JP3629718B2 (ja) 1994-03-30 1994-03-30 樹脂製衝撃吸収ブロ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494A KR950031494A (ko) 1995-12-18
KR100384571B1 true KR100384571B1 (ko) 2003-09-13

Family

ID=13168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4249A KR100384571B1 (ko) 1994-03-30 1995-03-02 수지충격흡수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551673A (ko)
JP (1) JP3629718B2 (ko)
KR (1) KR100384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05064U1 (de) * 1995-03-25 1996-07-25 Heerklotz Siegfried Flächiger Polsterkörper
US6085878A (en) * 1996-12-13 2000-07-1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Impact absorber made of resin
JPH10169686A (ja) * 1996-12-13 1998-06-23 Toyobo Co Ltd 樹脂製衝撃吸収部材
JP4088354B2 (ja) 1997-02-27 2008-05-21 株式会社日立グローバルストレージテクノロジーズ 情報記録再生装置
US6249925B1 (en) * 1997-06-30 2001-06-26 Japan Highway Public Corporation Bridge of shock-absorbing construction
US6029962A (en) 1997-10-24 2000-02-29 Retama Technology Corporation Shock absorbing component and construction method
US6726285B2 (en) * 2000-07-03 2004-04-27 Herman Miller, Inc. Cellular chair construction
US6994814B2 (en) * 2001-11-22 2006-02-07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ethod for manufacturing injection-molded foamed article
DE20207605U1 (de) * 2002-05-15 2003-01-16 Pfau Karl Heinz Federungsmatte zur Unterfederung von Sitzen
JP4173694B2 (ja) * 2002-06-18 2008-10-29 株式会社ケーヒン 車両用隔壁
US6595503B1 (en) * 2002-08-16 2003-07-22 Jian-Rung Cheng Cushioning device with U-shaped strip portions
TW542319U (en) * 2002-11-07 2003-07-11 Deng-Ren Yang Pulling force type buffering shock absorbing structure
KR100707040B1 (ko) * 2003-03-31 2007-04-1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바닥재용 적층체
DE10343261B4 (de) * 2003-09-17 2016-01-14 Framas Kunststofftechnik Gmbh Stoßdämpfende Abstandshalteranordnung
KR100466411B1 (ko) * 2004-07-28 2005-01-13 유철리 레진 가드레일
KR100570328B1 (ko) * 2004-11-08 2006-04-11 김철홍 모듈 조립형 완충구조
KR100630715B1 (ko) 2004-11-10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장치용 댐퍼
KR100697025B1 (ko) * 2005-06-09 200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EP1785072A1 (de) 2005-11-11 2007-05-16 Rummel-Matratzen GmbH & Co. KG Federelement in Polsterplatten von Matratzenkernen
KR100792266B1 (ko) * 2006-11-24 2008-01-07 방현수 충격흡수장치
NL1034678C2 (nl) * 2007-11-13 2009-05-14 Maxi Miliaan Bv Voertuigstoel alsmede een steun geschikt voor in een voertuig.
KR101013901B1 (ko) * 2007-12-18 2011-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단 에너지 완충구조를 갖는 범퍼장치
KR100897334B1 (ko) * 2008-04-30 2009-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격 흡수판
EP2423971A4 (en) * 2009-04-21 2013-05-15 Mitsubishi Electric Corp SOLAR BATTERY MODULE
US9241850B2 (en) 2011-09-02 2016-01-26 Ferno-Washington, Inc. Litter support assembly for medical care units having a shock load absorber and methods of their use
JP6290641B2 (ja) * 2014-02-06 2018-03-07 帝人株式会社 樹脂製衝撃吸収部材
JP2015175430A (ja) * 2014-03-14 2015-10-05 帝人株式会社 樹脂製衝撃吸収部材
WO2015119206A1 (ja) * 2014-02-06 2015-08-13 帝人株式会社 樹脂製衝撃吸収部材及び車両用部品
US10145443B2 (en) 2015-01-26 2018-12-0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Compliant elastomeric shock absorbing apparatus
WO2017214147A1 (en) * 2016-06-06 2017-12-14 Giacomini Jean Phillipe Mechanical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vibration reduction
CN109788851B (zh) 2016-09-29 2022-05-27 斯迪尔科斯公司 柔顺的座椅结构
US10220736B2 (en) * 2016-10-25 2019-03-05 Viconic Defense Inc. Seat impact energy absorbing system
TR201707444A2 (tr) * 2017-05-22 2017-07-21 Univ Istanbul Teknik Modüler darbe sönümleyi̇ci̇ yapi
CN111868409B (zh) * 2018-03-22 2023-02-28 东丽株式会社 复合结构体
CN109018188A (zh) * 2018-07-16 2018-12-18 江苏科技大学 一种环形波浪状周期浮筏及其制作方法
US10982451B2 (en) 2018-11-07 2021-04-20 Viconic Sporting Llc Progressive stage load distribution and absorption underlayment system
US11585102B2 (en) 2018-11-07 2023-02-21 Viconic Sporting Llc Load distribution and absorption underpayment system
US11858393B2 (en) * 2018-12-03 2024-01-02 Archem Inc. Cushion member, cushion member manufacturing method, and passenger seat
US20220082146A1 (en) * 2019-02-15 2022-03-17 Nok Corporation Cushioning rubber, reaction force adjusting method thereof, and pedestal
IT201900004645A1 (it) * 2019-03-28 2020-09-28 Vivi Srl Elemento ammortizzante per dispositivi di appoggio di parti del corpo umano
US11324323B2 (en) * 2019-09-18 2022-05-10 Steelcase Inc. Body support member with lattice structure
CN112026703B (zh) * 2020-07-31 2021-10-29 东风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吸能器
CN114658782B (zh) * 2022-03-24 2023-02-10 大连理工大学 一种性能增强的双向缓冲吸能超材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9200A (en) * 1992-03-05 1995-04-25 Zingher; Arthur R. Printed-circuit-like array of springs with non-linear force vs deflec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6295A (en) * 1968-10-14 1970-04-14 Msl Ind Inc Shock absorber bumper
US3879025A (en) * 1973-11-06 1975-04-22 Us Army Flat element spring
US3995901A (en) * 1974-06-24 1976-12-07 E. 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Energy-absorbing systems
JPH0253023A (ja) * 1988-08-18 1990-02-22 Dainippon Ink & Chem Inc 液晶デバイス
US5280890A (en) * 1992-01-22 1994-01-25 Miner Enterprises, Inc. Radial elastomer compression spr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9200A (en) * 1992-03-05 1995-04-25 Zingher; Arthur R. Printed-circuit-like array of springs with non-linear force vs defl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494A (ko) 1995-12-18
JP3629718B2 (ja) 2005-03-16
US5551673A (en) 1996-09-03
JPH07269622A (ja) 199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4571B1 (ko) 수지충격흡수체
US6085878A (en) Impact absorber made of resin
US3995901A (en) Energy-absorbing systems
EP2316711B1 (en) FRP panel for automobile
US6659518B2 (en) Bumper bar for a motor vehicle with an intermediate web
KR101162799B1 (ko) 에너지 흡수재, 범퍼 시스템 및 범퍼 조립체
KR20040078599A (ko) 차량 범퍼 구조
CN1558846A (zh) 缓冲梁和包括缓冲梁的缓冲装置
CN102202942A (zh) 带有吸能器的车辆保险杠系统
JP2015504812A (ja) 中空断面を有する繊維複合補強材が内蔵されているバンパーバックビーム及びこれを有するバンパー
US20060181090A1 (en) Vehicle bumper beam comprising a crosspiece and two shock absorbers
JP3218694B2 (ja) 樹脂製衝撃吸収体
US6249925B1 (en) Bridge of shock-absorbing construction
JP5062956B2 (ja) 自動車用外板部材
US20050196233A1 (en) Blocks for absorption of collision energy
KR20120056989A (ko)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보강 가드레일
JPS5843845A (ja) 曲げ強さを有する部品、特に車両用のバンパ
JPH10169686A (ja) 樹脂製衝撃吸収部材
KR101164333B1 (ko)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JP3808822B2 (ja) 橋梁の衝撃吸収体
JPH10169687A (ja) 樹脂製衝撃吸収体及びそれを用いた衝撃吸収方法
JPH11351305A (ja) 衝撃吸収体及びそれを用いた衝撃吸収方法
KR20120056993A (ko)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
JP2003184032A5 (ko)
JP3437089B2 (ja) 橋梁の衝撃吸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