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993A -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993A
KR20120056993A KR1020100118519A KR20100118519A KR20120056993A KR 20120056993 A KR20120056993 A KR 20120056993A KR 1020100118519 A KR1020100118519 A KR 1020100118519A KR 20100118519 A KR20100118519 A KR 20100118519A KR 20120056993 A KR20120056993 A KR 20120056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reinforcing rib
guardrail
dimensional structure
composi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준
Original Assignee
박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준 filed Critical 박병준
Priority to KR1020100118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6993A/ko
Publication of KR2012005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금속 가드레일을 대체하여 부식, 열화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복합재료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교량 또는 도로의 일측에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에 설치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지지대가 개재된 상태에서 고정 볼트로 결합되는 복합재료 패널로 이루어지는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 패널(10)은 도로 쪽을 향하며 차량이 부딪히는 전면(11)과 평판 상태로 이루어진 후면(12) 및 상기 전면(11)과 후면(12) 사이의 공간(S)을 가로질러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보강 리브(13)가 카본섬유?유리섬유?아라미드섬유?폴리에틸렌 섬유?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하는 소재 중의 하나 또는 2종 이상이 혼용된 일방향 복합재료 섬유와, 이 섬유와 동일 소재 중의 하나 또는 2종 이상이 혼용된 직물이나 부직포 또는 매트와, 상온 경화 또는 저온 성형(60~80℃)이 가능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에폭시?비닐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Description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 {Three-dimension type guard rail made of composite material with vertical reinforcing rib}
본 발명은 기존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금속 가드레일을 대체하여 부식, 열화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복합재료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기존 설치되어 있는 금속 가드레일의 단점인 내환경성을 향상시키며, 이를 통한 내구성 향상, 경량화를 통한 설치의 간편성 및 리브를 갖는 복합재료 구조물 형태를 일체로 성형하여 충돌시 발생하는 금속 파편에 의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반발력을 형상시켜서 충돌시 차량의 이탈 각도 감소 및 이탈 속도를 향상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운전자의 보호 또한 최대한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분야에서 도로 안전 시설물을 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할 경우, 강재(鋼材)와 콘크리트를 주 건설 재료로 이용하여 오래전부터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강재와 콘크리트에 대한 설계 및 시공에 관한 모든 사항들에 모든 작업자가 익숙해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도 1은 종래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일반적인 금속 가드레일을 도시한 것으로, 종래의 가드레일은 도로의 일측면에 타설된 기초 콘크리트(5)에 지주(3; 철 기둥)를 설치하고 상기 지주(3)에는 그 일측에 파형 형상으로 구성된 파형 강판(1)을 지지대(2)가 개재된 상태에서 고정 볼트(4)로 고정하여 가드레일을 구성한다.
이러한 기존의 가드레일은 적당한 강성과 인성을 가져 차량 충돌시 소성변형은 크나 파손부분의 대체가 쉽고 설치장소에 따라서는 시선 유도의 효과도 있어야 한다. 국내에서 사용 중인 대부분의 가드레일은 압연 강재를 이용한 W-빔 형태이다.
그러나 상기 강재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설치한 금속 가드레일은 수분, 염분 및 자외선에 의하여 금속 가드레일의 부식을 유발시켜 금속 가드레일의 안전 등급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없어 주기적인 보수, 보강이 필요하며,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 및 유지 보수비용이 높아 매우 비경제적이다. 또한, 금속 가드레일의 성능저하를 사전에 탐지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이러한 탐지에도 많은 비용과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내환경성 및 내구성을 반영구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복합재료와 같은 내환경성이 보장된 재료를 사용한 안전 가드레일의 적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설치되어 있는 금속 가드레일을 대체할 수 있는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프레스 성형이나 인발 성형을 거쳐 제작된 가드레일로 요구로 하는 충격강도에 대해 복합재료 섬유배열을 최적화한 복합재료 가드레일을 제공하는 데 있고, 보강 리브 구조를 갖는 일체형으로 인발 공정을 통하여 연속 생산된 복합재료 가드레일을 제공하여 도로 폭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설치할 수 있으며, 금속 가드레일의 단점인 내환경성을 향상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경량화 및 일체 성형을 통해 조립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하며, 경제적인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 또는 도로의 일측에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에 설치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지지대가 개재된 상태에서 고정 볼트로 결합되는 복합재료 패널로 이루어지는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 패널은 도로 쪽을 향하며 차량이 부딪히는 전면과 평판 상태로 이루어진 후면 및 상기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가로질러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보강 리브가 카본섬유?유리섬유?아라미드섬유?폴리에틸렌 섬유?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하는 소재 중의 하나 또는 2종 이상이 혼용된 일방향 복합재료 섬유와, 이 섬유와 동일 소재 중의 하나 또는 2종 이상이 혼용된 직물이나 부직포 또는 매트와, 상온 경화 또는 저온 성형(60~80℃)이 가능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에폭시?비닐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재료 가드레일은 적용 하중에 따른 최적의 복합재료 가드레일을 생산하여 일체 성형이 가능하고, 기존의 금속 가드레일에 비해 무게가 가벼워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며, 단위 설치길이를 연장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내환경 특성이 우수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이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인력 및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금속 가드레일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재료 가드레일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 패널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 패널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 패널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 패널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 패널의 전,후면 및 보강 리브의 두께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 패널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 패널의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가드레일의 설치구조 및 복합재료 패널이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교량 또는 도로의 일측에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5)에 설치된 기둥(3)과, 상기 기둥(3)의 상부에 지지대(2)가 개재된 상태에서 고정 볼트(4)로 결합되는 복합재료 패널(10)로 이루어지는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 패널(10)은 기존의 파형 강판 대신 도로 쪽을 향하며 차량이 부딪히는 전면(11)과 평판 상태로 이루어진 후면(12) 및 상기 전면(11)과 후면(12) 사이의 공간(S)을 가로질러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보강 리브(13)가 복합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재료 패널(10)은 카본섬유?유리섬유?아라미드섬유?폴리에틸렌 섬유?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하는 소재 중의 하나 또는 2종 이상이 혼용된 일방향 복합재료 섬유와, 이 섬유와 동일 소재 중의 하나 또는 2종 이상이 혼용된 직물이나 부직포 또는 매트와, 상온 경화 또는 저온 성형(60~80℃)이 가능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에폭시?비닐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소재가 인발성형과정 또는 압출과정을 거쳐 연속적으로 생산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되어 시공된다.
상기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수지는 일방향 복합재료 섬유와 복합재료 직물 (부직포 또는 매트)을 각각 피복함과 동시에 이들 일방향 복합재료 섬유와 직물의 층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기 일방향 복합재료 섬유와 직물의 층은 인발성형기나 압출성형기의 성형 금형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면서 수지가 피복되어 소정의 프로파일 형태로 복합재료 패널의 전면과 후면 및 보강 리브가 일체로 성형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재료 패널(10)은 섬유와 직물(부직포 또는 매트)이 다층이 되도록 교대로 적층됨으로써 소정의 두께를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한 섬유로 이루어진 강화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나 매트에 결합재인 수지를 함침시켜 만든 프리프레그(Prepreg)를 사용하여 원하는 형태의 복합재료 패널을 성형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면(11)이 돌출된 산(a)과 함몰된 골(b)을 갖는 파형(波形)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단면 형태나 마름모 형태 등 전,후면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는 어떠한 단면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실시 예에서는 다만 기존 가드레일의 파형 강판과 유사한 외형을 갖는 패널을 형상화한 것임을 밝혀둔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복합재료 패널(10)의 전면(11) 중간의 골(b) 부분에는 복합재료 패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14)이 후면(12)까지 관통형성되어 있어, 기둥(2)에 볼트(4)로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면(11)은 충돌시 1차적으로 충격을 받게 되는 부분이며, 전면(11)의 산(a) 부분에서 충격력이 최고점을 이루게 되므로 이 부분에서 후면(12)을 향하여 보강 리브(13)가 뻗어 있어 이 보강리브(13)가 충격을 후면(12)으로 전달하면서 분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재료 패널(10)을 이루는 전면(11), 후면(12) 및 보강 리브(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섬유와 직물 및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재료에 의해 제작되며, 이들 각 부위에 적용되는 섬유와 직물의 종류 및 배치방향 및 적층 두께 등은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 패널(10)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전,후면(11,12) 사이에 연결되는 보강 리브(13)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와는 달리 전면(11)과 후면(12) 사이의 공간(S)에 복수 개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 보강 리브(13)는 전면(11)의 산(a) 정점에 위치하는 제1보강 리브(13-1)와, 제1보강 리브(13-1)의 상하로 제1보강 리브(13-1)와 이격되며 대칭위치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보강 리브(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보강 리브(13-1)와 제2보강 리브(13-2)는 그 두께를 달리 즉, 제1보강 리브(13-1)가 제2보강 리브(13-2)보다 얇게 형성되어 전면(11)이 자동차와 충돌하게 될 때 전면(11)의 돌출된 산(a) 부분이 받는 충격에너지를 제1보강 리브(13-1)가 1차로 흡수하고, 2차로는 제2 보강 리브(13-2)가 흡수하면서 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 패널(10)을 도시한 단면도로, 본 실시 예에서는 전,후면(11,12) 사이에 연결되는 보강 리브(13)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와는 달리 전면(11)과 후면(12) 사이의 공간(S)에 복수 개가 평행하게 형성되되, 이 보강 리브(13)는 전면(11)의 산(a) 정점에는 위치하지 않고, 이 산(a)의 정점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하로 대칭위치에 2개의 보강 리브(13)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전면(11)이 자동차와 충돌하게 될 때 전면(11)의 돌출된 산(a) 부분이 받는 충격에너지를 상,하측의 보강 리브(13)가 절반씩 흡수하면서 충격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 패널(10)을 도시한 단면도로, 본 실시 예에서는 전,후면(11,12) 사이의 공간(S)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13)가 평단면(flat) 형태가 아니고, 충격을 받았을 때 압축 또는 파단이 이루어지도록 주름(corrugation)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기본적으로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의 보강 리브 배치구조와 동일하나,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의 주름 형태의 보강 리브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의 보강 리브 배치구조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상으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슬롯(14)의 주변을 보강하기 위하여 전면(11) 또는 후면(12)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보강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보강부 대신 별도의 보강판을 복합소재 또는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한 후 패널(10)의 전,후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강부는 기둥에 볼트로 연결되는 부위로 높은 응력이 집중되므로 충분한 강도를 부여하고 충격 하중을 기둥에 전달하며, 순차적인 충격 에너지 흡수 및 변형량이 적은 복합재료의 취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 패널(10)의 전,후면 두께를 보여주기 위한 확대 단면도로, 본 발명에서는 보(beam)의 개념을 도입하여, 차량 충돌시 받게 되는 인장 하중 작용면인 후면(12) 및 압축 하중 작용면인 전면(11)의 하중에 대한 내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전면(11)과 후면(12)의 두께(t1: t2) 비를 대략 2.5 : 1 ~ 3.5 : 1로 설계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복합재료 패널(10)의 전,후면(11,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에 발포 폼(F)이 충진되어 있는데, 발포 폼(F)은 평상시 복합재료 패널(10)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하고, 차량 충돌시에는 충격력을 흡수하고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 패널(10)을 도시한 배면도로, 본 발명에서 상기 패널(10) 중간 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패널을 기둥에 볼트(4)로 고정하기 위한 슬롯(14)이 복합재료 패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차량 충돌시 복합재료 패널(10)에 측방향으로의 충격이 가해질 때 인접한 슬롯(14) 사이의 살 부분이 차례대로 파단되면서 충격에너지를 다단계에 걸쳐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복합재료 패널(10)은 요구로 하는 성능에 맞도록 섬유를 주응력 방향(가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최적의 구조물을 생산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슬롯(14)을 후가공하여 기둥에의 고정 외부 온도로 인한 열팽창 및 수축에 의한 열 응력을 기본적으로 해소하도록 되어 있고, 이 슬롯(14)을 복합재료 패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인접되게 형성하여 복합재료 패널(10)에 측방향으로의 충격이 가해질 때 인접한 슬롯(14) 사이의 살 부분이 차례대로 파단되면서 충격에너지를 다단계에 걸쳐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낮은 변형률을 갖는 복합소재 패널의 충격흡수기능을 보완할 수 있으며, 패널과 기둥 사이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추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복합재료 패널(10)의 제작 공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일방향 복합재료 섬유 및 직물을 수지에 연속적으로 함침시켜서, 준비된 금형을 통과시켜 가열을 한 후 경화시켜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인발 공정이다. 직선 구간은 인발 공정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제작하고, 곡선 구간을 진공 성형이나 오토클레이브 성형을 하여 제작하여 도로의 곡선 구간의 곡률에 맞추어서 제작한다. 일반적으로 복합재료는 하중의 방향에 따라서 섬유의 방향을 배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인장 강도 및 인장 탄성 계수를 높이기 위한 일 방향 섬유를 주로 사용하고 그리고 일 방향 섬유의 횡 방향 쪼개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조된 직물을 필요한 두께 부위와 제품의 전, 후면에 적용한다.
리브 구조 형태를 갖는 복합재료 패널(11)은 단면형상이 일정하므로,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대량으로 연속적으로 생산이 가능하여, 기존의 금속 파형 강판(1)보다 연결 부위를 줄일 수 있다.
현재 설치되어 있는 강재 안전 가드레일은 인장 강도와 연신율이 높아서 충격에 대한 에너지를 높은 변형률로 흡수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보호한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한 복합재료는 비 강성, 비 강도가 매우 높은 반면, 연신율이 작아서 금속 가드레일과 다른 기계적인 물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을 조합하여 1차 충격 에너지를 복합재료 패널의 보강 리브에서 흡수하고, 2차 잔류 충격에너지를 슬롯과 지지대에서 흡수한 후, 최종적으로 패널의 전,후면에서 흡수함으로써 금속보다 높은 취성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차량 이탈각도를 줄이고, 충돌 후 차량의 속도를 금속 가드레일에 비하여 높일 수 있어서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복합재료 패널은 내식성이 우수하여 염화칼슘의 사용으로 인한 부식 저항을 크게 높일 수 있어 가드레일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1 : 파형 강판 2 : 지지대
3 : 지주(기둥) 4 : 고정 볼트
5 : 기초 콘크리트 8 : 스페이서
10 : 복합재료 패널 11 : 전면
12 : 후면 13 : 보강 리브
14 : 슬롯

Claims (9)

  1. 교량 또는 도로의 일측에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에 설치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지지대가 개재된 상태에서 고정 볼트로 결합되는 복합재료 패널로 이루어지는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 패널(10)은 도로 쪽을 향하며 차량이 부딪히는 전면(11)과 평판 상태로 이루어진 후면(12) 및 상기 전면(11)과 후면(12) 사이의 공간(S)을 가로질러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보강 리브(13)가 카본섬유?유리섬유?아라미드섬유?폴리에틸렌 섬유?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하는 소재 중의 하나 또는 2종 이상이 혼용된 일방향 복합재료 섬유와, 이 섬유와 동일 소재 중의 하나 또는 2종 이상이 혼용된 직물이나 부직포 또는 매트와, 상온 경화 또는 저온 성형(60~80℃)이 가능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에폭시?비닐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합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11)은 돌출된 산과 함몰된 골을 갖는 파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 패널(10)의 전면(11) 중간의 골(b) 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13)이 후면(12)까지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13)는 전면(11)과 후면(12) 사이의 공간(S)에 복수 개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13)는 전면(11)의 산(a) 정점에 위치하는 제1보강 리브(13-1)와, 제1 보강 리브(13-1)의 상하로 대칭위치에 형성되는 제2보강 리브(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13)는 충격을 받았을 때 압축 또는 파단이 이루어지도록 주름(corrugation)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S)에는 발포 폼(F)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롯(14)은 복합재료 패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복합재료 패널(10)에 측방향으로의 충격이 가해질 때 인접한 슬롯(14) 사이의 살이 차례대로 파단되면서 충격에너지를 다단계에 걸쳐 흡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11)과 후면(12)의 두께(t1: t2)는 2.5 : 1 ~ 3.5 : 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
KR1020100118519A 2010-11-26 2010-11-26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 KR20120056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519A KR20120056993A (ko) 2010-11-26 2010-11-26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519A KR20120056993A (ko) 2010-11-26 2010-11-26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993A true KR20120056993A (ko) 2012-06-05

Family

ID=4660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519A KR20120056993A (ko) 2010-11-26 2010-11-26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69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7201A1 (zh) * 2012-01-19 2013-07-25 湖南金鸿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肋形护栏板
WO2013107202A1 (zh) * 2012-01-19 2013-07-25 湖南金鸿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中空护栏板
CN108396644A (zh) * 2017-12-18 2018-08-14 河北恒瑞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smc复合材料及使用该材料的人行道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7201A1 (zh) * 2012-01-19 2013-07-25 湖南金鸿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肋形护栏板
WO2013107202A1 (zh) * 2012-01-19 2013-07-25 湖南金鸿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中空护栏板
CN108396644A (zh) * 2017-12-18 2018-08-14 河北恒瑞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smc复合材料及使用该材料的人行道系统
CN108396644B (zh) * 2017-12-18 2024-01-19 河北恒瑞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smc复合材料及使用该材料的人行道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1673A (en) Resin shock absorber
Das et al. Applications of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FRP) in civil engineering
JP4420830B2 (ja) 衝撃吸収部材
CN102535334B (zh) 波形护栏板
CN102900036A (zh) 高速公路缓冲防撞护栏
CN105462170A (zh) 一种纤维增强汽车保险杠及其制备方法
KR20120056993A (ko) 보강 리브를 갖는 3차원 구조의 복합재료 가드레일
CN108166389B (zh) 一种高速公路桥梁双层防撞护栏及使用方法
CN105568897B (zh) 一种公路复合材料夹芯防撞护栏
CN105178177A (zh) 一种公路桥梁自适应多向变位复合结构伸缩装置
KR20120056989A (ko)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보강 가드레일
CN102535368B (zh) 中空护栏板
KR100660942B1 (ko) 교량 상판용으로 제작된 frp그리드 패널과 이를 이용한교량설치방법
NZ565361A (en) Structural elements made from syntactic foam sandwich panels
CN201531002U (zh) 树脂基复合材料防撞护栏构件
CN101613998B (zh) 高强柔性树脂基体复合材料防撞护栏
CN204875506U (zh) 一种公路桥梁自适应多向变位复合结构伸缩装置
KR20170038395A (ko) 하이브리드 임팩트 빔
KR101164333B1 (ko)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CN109624449A (zh) 一种抗冲击曲杆点阵夹层板结构
JP6783592B2 (ja) 段差用スロープ
CN212270677U (zh) 复合材料组合式桥梁护栏
CN204955595U (zh) 连续纤维增强热塑性编织板
CN204773848U (zh) 连续纤维增强热塑性板材
CN211285426U (zh) 一种城市道路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