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1245B1 - 자동차용 도어록 기구의 해제 로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록 기구의 해제 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1245B1
KR100381245B1 KR10-2000-0073940A KR20000073940A KR100381245B1 KR 100381245 B1 KR100381245 B1 KR 100381245B1 KR 20000073940 A KR20000073940 A KR 20000073940A KR 100381245 B1 KR100381245 B1 KR 100381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rod
door
lock bod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517A (ko
Inventor
홍정우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3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1245B1/ko
Publication of KR20020044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4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the rods being linked to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4Burglar prevention, e.g. protecting against opening by unauthorised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의 스트라이커에 맞물려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도어록 본체와, 도어의 내, 외부에 설치된 내부 또는 외부 핸들을 연결하여 핸들의 조작력을 도어록 본체로 전달함으로써 도어록 본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자동차용 도어록 기구의 해제 로드에 관한 것이며, 일측이 핸들에 연결되는 제 1 로드 부재; 일측이 도어록 본체에 연결되는 제 2 로드 부재; 및 제 1 및 제 2 로드 부재의 직경보다 조금 작은 폭의 내경을 가지며 제 1 및 제 2 로드 부재의 타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이 그 양측에 형성되고, 제 1 또는 제 2 로드 부재에 상측으로 향하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 1 또는 제 2 로드 부재가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고정홈과 그 상측을 소통시키는 개구홈이 그 양측 상면을 따라 형성된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록 기구의 해제 로드{Release rod of a door lock device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잠그는 도어록 기구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핸들의 조작에 따라 도어록 본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도어 핸들과 도어록 기구를 연결하는 해제 로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 사용되는 도어록 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체의 스트라이커(미도시)에 맞물려서 도어(1)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도어록 본체(2)와, 도어록 본체(2)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운전자 또는 탑승객에 의해 조작되는 내, 외부 핸들(3, 4), 내, 외부 핸들(3, 4)의 조작력을 도어록 본체(2)로 전달하는 해제 로드들(5, 6), 및 외부 핸들(4)의 조작력이 해제 로드(6)를 통해 도어록 본체(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핸들 록(7)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자동차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도어록 기구의 내부 핸들(3) 또는 외부 핸들(4)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해제 로드(5, 6)가 당겨져 도어록 본체(2)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운전자 또는 탑승객은 도어(1)를 열고 자동차에서 내리거나 탈 수 있다. 또한,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동차로부터 완전히 하차할 경우에는 핸들 록(7)을 잠금 상태로 하여 타인이 외부 핸들(4)을 조작해 도어(1)를 여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의 도어록 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자동차의 외부에서 타인이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핸들 록이 설치되어 있지만, 자동차의 외부에서 자동차의 외부 패널과 도어 글래스 사이의 틈새로 통해 그 끝을 U형으로 구부린 철사와 같은 도구를 도어의 내부로 삽입하여 해제 로드를 상방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자동차의 도어록 본체의 잠금 상태는 쉽게 해제된다.
따라서, 절도범이 마음만 먹으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고 자동차 실내로 침입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외부에서 철사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록 본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록 기구의 해제 로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도어록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기구의 해제 로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 로드의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제 1 로드 부재 14 : 제 2 로드 부재
16 : 연결 부재 16a : 고정홈
16b : 개구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의 스트라이커에 맞물려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도어록 본체와, 도어의 내, 외부에 설치된 내부 또는 외부 핸들을 연결하여 핸들의 조작력을 도어록 본체로 전달함으로써 도어록 본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자동차용 도어록 기구의 해제 로드로서, 일측이 핸들에 연결되는 제 1 로드 부재; 일측이 도어록 본체에 연결되는 제 2 로드 부재; 및 제 1 및 제 2 로드 부재의 직경보다 조금 작은 폭의 내경을 가지며 제 1 및 제 2 로드 부재의 타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이 그 양측에 형성되고, 제 1 또는 제 2 로드 부재에 상측으로 향하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 1 또는 제 2 로드 부재가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고정홈과 그 상측을 소통시키는 개구홈이 그 양측 상면을 따라 형성된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기구의 해제 로드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기구의 해제 로드는제 1 로드 부재(12), 제 2 로드 부재(14), 및 연결 부재(16)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로드 부재(12)와 제 2 로드 부재(14)는 연결 부재(1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타측은 내, 외부 핸들과 도어록 본체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연결 부재(16)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양측면으로부터 중앙을 향하도록 한 쌍의 고정홈(1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홈들(16a)에 제 1 및 제 2 로드 부재(12, 14)의 타측단이 각각 억지끼움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연결 부재(16)의 상면에는 고정홈들(16a)과 연결 부재(16)의 상측을 소통시키는 개구홈들(16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홈(16b)의 폭은 제 1 및 제 2 로드 부재(12, 14)의 직경보다 조금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여기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본원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한 당업자라면 정상적인 상태에서 잠금과 해제 동작을 할 때, 즉 도 2에서 제 1 로드 부재(12)와 제 2 로드 부재(14)의 연결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 부재(12, 14)가 연결부재(16)의 고정홈(16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그 연결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운전자나 탑승객이 내부 핸들 또는 외부 핸들을 당기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 로드는 종래의 해제 로드와 동일하게 핸들의 조작력을 도어록 본체로 전달하여, 도어록 본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나, 만약 자동차의 외부에서 철사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를 강제로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에 가해지는 힘은 상방으로 향한다. 이에 따라, 제 1 로드 부재(12) 또는 제 2 로드 부재(14)의 타측단이 개구홈(16b)을 통해 연결 부재(16)의 고정홈(16a)으로부터 이탈되어, 외부로부터 가하는 힘이 도어록 본체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 결과, 자동차의 외부에서 철사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를 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록 기구의 해제 레버는, 외부로부터 철사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록 본체의 잠금 상태를 강제로 해제할 경우 그 중간 부분이 분리됨으로써 도어록 본체로 힘을 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에서 도어를 강제로 해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자동차 또는 자동차의 실내에 보관된 물건의 도난 또는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차체의 스트라이커에 맞물려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도어록 본체와, 도어의 내, 외부에 설치된 내부 또는 외부 핸들을 연결하여 핸들의 조작력을 도어록 본체로 전달함으로써 도어록 본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자동차용 도어록 기구의 해제 로드에 있어서,
    일측이 핸들에 연결되는 제 1 로드 부재;
    일측이 도어록 본체에 연결되는 제 2 로드 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 부재의 직경보다 조금 작은 폭의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 부재의 타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이 그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로드 부재에 상측으로 향하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제 1 또는 제 2 로드 부재가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고정홈과 그 상측을 소통시키는 개구홈이 그 양측 상면을 따라 형성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록 기구의 해제 로드.
KR10-2000-0073940A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도어록 기구의 해제 로드 KR100381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940A KR100381245B1 (ko)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도어록 기구의 해제 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940A KR100381245B1 (ko)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도어록 기구의 해제 로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517A KR20020044517A (ko) 2002-06-15
KR100381245B1 true KR100381245B1 (ko) 2003-04-26

Family

ID=2768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940A KR100381245B1 (ko)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도어록 기구의 해제 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12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517A (ko) 200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4193B2 (en) Vehicle door inner handle cable connection
KR100381245B1 (ko) 자동차용 도어록 기구의 해제 로드
US20030111849A1 (en) Door lock and door latch connecting device of a vehicle
US11536058B2 (en) Structure for connecting door latch cable to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JP2529567Y2 (ja) ドアロックのケーブル連結構造
KR19990005644U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개폐장치
JPH0364673B2 (ko)
KR20190068342A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0392000B1 (ko) 자동차 도어래치의 록킹 해제장치
KR0172215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
KR100204964B1 (ko) 차량용 인사이드 도어 핸들
KR200148271Y1 (ko) 자동차 도어록 장치의 스트라이커
KR100424883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KR200342314Y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래치 장치
KR100380499B1 (ko) 도난 방지용 도어로크 장치
KR100246515B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9990040426A (ko) 자동차용 도어잠금장치 어셈블리
KR200165692Y1 (ko) 자동차의 도어로크 하우징 구조
JP2540341Y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200220792Y1 (ko) 도난 방지 후드 래치
KR19980059686A (ko) 자동차 도어 록 스토퍼
KR20200098091A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도어 래치 케이블 연결구조
JPH0516431U (ja) 自動車の後部開閉体のロツク構造
KR100380452B1 (ko)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
KR19990026987U (ko) 자동차도어용 안전노브의 도난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