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222B1 - 수평 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 Google Patents

수평 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222B1
KR100380222B1 KR10-2000-0060450A KR20000060450A KR100380222B1 KR 100380222 B1 KR100380222 B1 KR 100380222B1 KR 20000060450 A KR20000060450 A KR 20000060450A KR 100380222 B1 KR100380222 B1 KR 100380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common electrode
pixel electrode
liquid crystal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9554A (ko
Inventor
고두현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222B1/ko
Priority to US09/974,842 priority patent/US6657694B2/en
Publication of KR20020029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222B1/ko
Priority to US10/705,830 priority patent/US6784967B2/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8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field sha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Geome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전계 생성 전극을 동일 기판에 형성하여 수평 전계에 의해 액정 분자를 구동하는 수평 전계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의 양끝단 근처에서는 전계의 왜곡이 발생하여 액정 분자의 회전 방향이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전경으로 나타나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공통 전극과 공통 배선이 만나는 부분을 배향막의 배향 방향과 같은 방향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화소 전극과 화소 전극 연결선이 만나는 부분을 공통 전극과 공통 배선이 만나는 부분과 교차하도록 형성한다. 이에 따라,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 사이에 생성되는 전기장은 액정 분자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켜 전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평 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array substrate for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시야각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 분자를 구동하는 제 1 및 제 2 전극이 동일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 전계 구동 방식 액정 표시 장치의 어레이 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전계 생성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두 기판을 두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마주 대하도록 배치하고 두 기판 사이에 액정 물질을 주입한 다음,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액정 분자를 움직임으로써 이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투과율에 의해 화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현재 박막 트랜지스터와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전극이 행렬 방식으로 배열된 능동 행렬 액정 표시 장치(Active Matrix LCD : AM-LCD)가 해상도 및 동영상 구현 능력이 우수하여 가장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하부 기판에 화소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기판에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두 전극 사이에 걸리는 기판에 수직한 방향의 전기장에 의해 액정 분자를 구동하는 방식이다. 이는, 투과율과 개구율 등의 특성이 우수하며, 상판의 공통 전극이 접지 역할을 하게 되어 정전기로 인한 액정셀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는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지 못한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었는데,그 중의 한 예가 수평 전계 구동 방식 즉, IPS(in-plane switching)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IP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기판(1)과 하부 기판(2)이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두 기판(1, 2) 사이에는 액정 분자(3)가 위치한다. 여기서, 화소 전극(4)과 공통 전극(5)은 하부 기판(2)의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어 있어, 두 전극(4, 5)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두 전극(4, 5) 사이에 수평 전계(6)가 생성되고 액정층(3)의 액정 분자는 이 수평 전계(6)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IPS 모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전압을 인가하기 전과 후의 액정 분자의 상 변위 모습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4) 또는 공통 전극(5)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액정 분자(3)의 상 변위가 일어나지 않는다. 여기서, 액정 분자(3)들은 두 전극(4, 5)의 수평 방향에 대해 일정각을 가지고 틀어져 배열되어 있는데, 이는 전계 생성시 액정 분자(3)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4)과 공통 전극(5)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액정 분자(3)는 두 전극(4, 5) 사이에 생성된 수평 전계(6)와 나란하게 배열된다.
이와 같이 IP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동일 평면상에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형성하고, 두 전극 사이에 수평 전계를 생성하여 액정 분자가 수평 전계와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시야각을 넓게 할 수 있다.
이러한 IPS 모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어레이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의 구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3은 종래의 IPS 모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IPS 모드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에서는 가로 방향의 게이트 배선(21)과 세로 방향의 데이터 배선(31)이 직교하여 화소 영역을 정의하고, 게이트 배선(21)과 데이터 배선(31)이 교차하는 위치에는 박막트랜지스터(T)가 형성되어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는 게이트 배선(21)과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22), 데이터 배선(31)과 연결되어 있는 소스 전극(32), 그리고 게이트 전극(22)을 중심으로 소스 전극(32)과 마주 대하고 있는 드레인 전극(3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게이트 전극(22)과 소스 및 드레인 전극(32, 33) 사이에는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액티브층(active layer)(41)이 위치한다.
화소 영역에는 세로 방향을 가지는 다수의 공통 전극(53)이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극(53)의 양끝단에는 게이트 배선(21)과 나란한 공통 배선(51) 및 공통 전극 연결선(5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공통 전극(53)은 상단의 제 1 공통 전극 연결부(54)를 통해 공통 배선(51)과 연결되어 있고, 하단의 제 2 공통 전극 연결부(55)를 통해 공통 전극 연결선(52)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화소 영역에는 세로 방향을 가지며 대응하는 공통 전극(53)과 일정 간격 수평으로 이격되어 있는 화소 전극(63)이 형성되어 있고, 화소 전극(63) 양끝단에는 게이트 배선(21)과 나란한 제 1 및 제 2 화소 전극 연결선(61, 6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63)은 상단의 제 1 화소 전극 연결부(64)를 통해 제 1 화소 전극 연결선(61)과 연결되어 있고, 하단의 제 2 화소 전극 연결부(65)를 통해 제 2 화소 전극 연결선(62)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화소 전극 연결선(61, 62)은 각각 공통 배선(51) 및 공통 전극 연결선(52)과 중첩되어 있고, 제 2 화소 전극 연결선(62)은 드레인 전극(33)과 접촉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공통 전극 연결부(54, 55)와 제 1 및 제 2 화소 전극 연결부(64, 65)는 좌우 모서리가 직각을 이룬다.
도 3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가장 상부에는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배향막은 일정한 방향으로 러빙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어레이 기판으로 이루어진 IP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공통 전극(53)과 화소 전극(63)에 전압이 인가되면, 공통 전극 연결부(54, 55) 및 화소 전극 연결부(64, 65) 근처에서 전계의 왜곡이 일어나 전경(disclin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서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생성되는 전기장과 액정 분자의 배열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 전극(53)과 화소 전극(63)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두 전극(53, 63) 사이에는 수평한 전기장(71)이 생성되지만, 제 1 공통 전극 연결부(54) 및 제 1 화소 전극 연결부(64) 근처에서는 왜곡된 전기장(72, 73)이발생한다. 이러한 전기장(72, 73)은 화소 전극(63)과 공통 배선(51)이 교차하는 부분쪽으로 휘어진다. 따라서, 공통 전극(53)과 화소 전극(63) 사이의 영역을 좌측부터 제 1, 제 2, 제 3 영역(91, 92, 93)으로 칭할 때, 제 1 영역(91) 및 제 3 영역(93)의 연결부 근처에 생성되는 전기장(72)과 제 2 영역(92)의 연결부 근처에 생성되는 전기장(73)의 방향은 좌우대칭을 이룬다.
도 4a에서 전극 사이를 가로지르는 화살표(R)는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의 러빙 방향을 나타내는데, 이는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액정 분자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보통 러빙 방향과 전극이 이루는 각도가 10 내지 20도 정도 되도록 한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전극(53, 63)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액정 분자(80)는 두 전극(53, 63) 사이에 생성된 전기장과 나란하게 배열하기 위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제 2 영역(92)의 연결부 근처에서는 왜곡된 전기장에 의해 액정 분자(80)들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따라서, 이 부분에 위치한 액정 분자의 배열 방향이 다르게 되어 전경이 발생하는데, 이는 화질을 떨어뜨리고 휘도를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야각이 넓으면서 화질이 개선되고 휘도가 향상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수평 전계 구동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수평 전계 구동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각각 전압이 인가되기 전과 후의 액정 분자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수평 전계 구동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서 A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생성된 전기장과 액정 분자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전계 구동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에서 Ⅵ-Ⅵ´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7a와 도 7b는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생성된 전기장과 액정 분자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전계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기판 상에 직각으로 교차하여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박막트랜지스터가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연결되어 있다. 화소 영역에는 데이터 배선과 나란한 방향을 가지는 다수의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배선과 나란한 공통 배선이 다수의 공통 전극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화소 영역에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있으며 대응하는 공통 전극과 일정간격 수평으로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화소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화소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제 1 화소 전극 연결선이 공통 배선과 나란하며 중첩되어 있다. 박막트랜지스터와 공통 전극 및 화소 전극은 일정한 배향 방향을 가지는 배향막으로 덮여 있다. 여기서,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 사이에 생성되는 전기장과 배향 방향이 교차하여 이루는 예각은 배향 방향을 중심으로 한쪽에 모두 위치하는 관계에 있다.
본 발명에서, 공통 배선과 공통 전극이 만나는 부분은 90도 이상의 각을 가지며 배향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1 화소 전극 연결선과 화소 전극이 만나는 부분은 90도 이상의 각을 가지며 공통 배선과 공통 전극이 만나는 부분과 교차하도록 경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화소 전극 연결선과 화소 전극이 만나는 부분은 배향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가 이루어지고, 공통 배선과 공통 전극이 만나는 부분은 공통 배선과 공통 전극이 만나는 부분과 교차하도록 경사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기판은 공통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공통 전극연결선, 그리고 화소 전극을 연결하며 공통 전극 연결선과 중첩되어 있는 제 2 화소 전극 연결선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공통 전극 연결선과 공통 전극이 만나는 부분은 90도 이상의 각을 가지며 배향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화소 전극 연결선과 화소 전극이 만나는 부분은 90도 이상의 각을 가지며 공통 전극 연결선과 공통 전극이 만나는 부분과 교차하도록 경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의 사이의 전기장과 배향 방향이 이루는 예각이 배향 방향을 중심으로 한쪽에 모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액정 분자가 모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경의 발생을 방지하고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S 모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S 모드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평면도와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판(110) 위에 가로 방향의 게이트 배선(121) 및 게이트 배선(121)과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122)이 형성되어 있다. 두 게이트 배선(121) 사이에는 세로 방향을 가지는 다수의 공통 전극(125)이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극(125)의 양끝단에는 게이트 배선(121)과 나란한 공통 배선(123) 및 공통 전극 연결선(12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125)은 상단의 제 1 공통 전극 연결부(126)와 하단의 제 2 공통 전극 연결부(127)를 통해 공통 배선(123) 및 공통 전극 연결선(124)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공통 전극 연결선(124)은 생략할 수도 있다.
게이트 배선(121)과 공통 배선(123), 공통 전극 연결선(124) 및 공통 전극(125)은 불투명한 금속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크롬(Cr),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 몰리브덴(Mo), 탄탈(Ta), 텅스텐(W), 안티몬(Sb) 등이 그 예이다.
게이트 배선(121)과 공통 배선(123), 공통 전극 연결선(124) 및 공통 전극(125)은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실리콘 산화막(SiO2)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130)으로 덮여 있다.
게이트 전극(122) 상부의 게이트 절연막(130) 위에는 비정질 실리콘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 액티브층(active layer)(14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오믹 콘택층(ohmic contact layer)(151, 152)이 형성되어 있다.
오믹 콘택층(151, 152)과 게이트 절연막(130) 상부에는 게이트 배선(121)과 직교하는 세로 방향의 데이터 배선(161), 데이터 배선(161)과 연결되어 있는 소스 전극(162), 그리고 게이트 전극(122)을 중심으로 소스 전극(162)과 마주 대하고 있는 드레인 전극(163)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 배선(161), 소스 전극(162) 및 드레인 전극(163)도 게이트 배선(121)과 마찬가지로 금속과 같은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 배선(161)과 소스 전극(162) 및 드레인 전극(163)은 보호막(170)으로 덮여 있으며, 보호막(170)은 드레인 전극(163)을 드러내는 콘택홀(contact hole)(171)을 가진다. 여기서, 보호막(170)은 게이트 절연막(130)과 마찬가지로 실리콘 질화막이나 실리콘 산화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막(170) 위에는 공통 배선(123) 및 공통 전극 연결선(124)과 각각 중첩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화소 전극 연결선(181, 1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및 제 2 화소 전극 연결선(181, 182) 사이에는 세로 방향을 가지는 다수의 화소 전극(183)이 각 대응하는 공통 전극(125)과 소정 간격 수평으로 이격되어 있다. 화소 전극(183)은 상단의 제 1 화소 전극 연결부(184)와 하단의 제 2 화소 전극 연결부(185)를 통해 제 1 및 제 2 화소 전극 연결선(181, 182)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2 화소 전극 연결선(182)은 콘택홀(171)을 통해 드레인 전극(163)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화소 전극 연결선(181, 182) 중의 어느 하나는 생략할 수 있으며, 제 2 화소 전극 연결선(182)을 생략할 경우에는 화소 전극(183)이 드레인 전극(163)과 연결되도록 한다.
제 1 및 제 2 화소 전극 연결선(181, 182) 및 화소 전극(183)은 주로 ITO(indium-tin-oxide)나 IZO(indium-zinc-oxide) 같은 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는데, 경우에 따라서 금속과 같은 불투명 도전 물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금속과 같은 불투명 도전 물질로 형성할 경우에는 데이터 배선(161), 소스 및 드레인 전극(162, 163)과 같은 공정에서 형성하여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보호층(170)의 콘택홀(171)은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도 5에서 점선으로 이루어진 화살표는 이후 주입되는 액정 분자의 초기 배향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의 러빙 방향을 나타낸다. 러빙 방향은 게이트 배선(121)과 데이터 배선(161)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의 우하부에서 좌상부를 향하는 방향이며, 공통 전극(125) 및 화소 전극(183)과 10 내지 20도의 각을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는 배향막을 러빙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배향막이 일정한 배열 방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는 다른 방법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 광배향과 같은 방법이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화소 전극 연결부(184, 185)와 제 1 및 제 2 공통 전극 연결부(126, 127)의 가장자리는 이후 주입되는 액정층의 액정 분자가 전계 생성시 모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극(125, 183)에 대해 선택적으로 사선을 이룬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화소 전극(183)과 공통 전극(125) 사이의 영역을 좌측부터 제 1, 제 2, 제 3, 제 4 영역이라고 할 때, 액정 분자의 회전 방향이 달라질 수 있는 제 2 및 제 4 영역 상단의 제 1 공통 전극 연결부(126)와 제 1 화소 전극 연결부(184), 그리고 제 1 및 제 3 영역 하단의 제 2 공통 전극 연결부(127)와 제 2 화소 전극 연결부(185)의 가장자리는 사선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전극 구조에 대하여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와 도 7b는 도 5에서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생성되는 전기장과액정 분자의 배열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PS 모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공통 전극(125) 상단의 제 1 공통 전극 연결부(126) 좌측 가장자리가 러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가 이루어져 있고, 우측 가장자리는 직각을 이루고 있다. 한편, 화소 전극(183) 상단의 제 1 화소 전극 연결부(184)는 좌측 가장자리가 직각을 이루고 우측 가장자리가 경사를 이루어 제 1 공통 전극 연결부(126)의 좌측 가장자리와 교차한다. 즉, 제 2 및 제 4 영역의 상단을 이루는 제 1 공통 전극 연결부(126) 및 제 1 화소 전극 연결부(184) 가장자리와 제 1 및 제 3 영역의 하단을 이루는 제 2 공통 전극 연결부(127) 및 제 2 화소 전극 연결부(185)의 가장자리가 사선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공통 전극(125)과 화소 전극(183)에 전압이 인가되면 두 전극(125, 183) 사이에 수평 전계(191)가 형성되는데, 제 1 공통 전극 연결부(126) 및 제 1 화소 전극 연결부(184) 근처에도 상기한 수평 전계(191)와 나란하게 수평 전계(192)가 형성된다.
그러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분자(200)는 모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전경이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는 제 1 공통 전극 연결부(126) 좌측 가장자리와 제 1 화소 전극 연결부(183) 우측 가장자리의 경사 방향이 다르고 경사 정도는 같게 형성하여 연결부 근처의 전기장(192)이 두 전극(125, 183) 사이의 전기장(191)과 나란하게 되도록 하였으나, 경사 정도를 다르게 하여 액정 분자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 및 제 4 영역 상단을 이루는 연결부의 가장자리가 각각 사선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 1 및 제 3 영역 상단을 이루는 연결부의 가장자리도 사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배향막의 러빙 방향을 앞선 실시예와 다른 방향 즉, 앞선 도 5의 러빙 방향과 좌우대칭이 되도록 화소 영역의 좌하부에서 우상부를 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전경이 발생하는 부분이 앞선 실시예와 달라진다. 이러한 경우에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 분자는 대부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 및 제 3 영역의 상단과 제 2 및 제 4 영역의 하단에서는 액정 분자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액정 분자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부분의 연결부 가장자리를 사선으로 형성하여 전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전계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수평 전계 방식을 이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시야각을 넓게 하며, 전경이 발생하는 부분의 공통 전극 및 화소 전극을 사선으로 형성하여 액정 분자가 모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전경을 방지하고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고 직각으로 교차하여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연결되어 있는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화소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데이터 배선과 나란한 방향을 가지는 다수의 공통 전극;
    상기 다수의 공통 전극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배선과 나란한 공통 배선;
    상기 화소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있고, 대응하는 상기 공통 전극과 일정간격 수평으로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화소 전극;
    상기 공통 배선과 나란하며 중첩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화소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제 1 화소 전극 연결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공통 전극 및 화소 전극을 덮고 있고 일정한 배향 방향을 가지는 배향막
    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 사이에 생성되는 전기장과 상기 배향 방향이 교차하여 이루는 예각이 상기 배향 방향을 중심으로 한쪽에 모두 위치하는 관계에 있는 수평 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통 배선과 상기 공통 전극이 만나는 부분은 90도 이상 180도 이하의 각을 가지며 상기 배향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가 이루어진 수평 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전극 연결선과 상기 화소 전극이 만나는 부분은 90도 이상 180도 이하의 각을 가지며 상기 공통 배선과 상기 공통 전극이 만나는 부분과 교차하도록 경사가 이루어진 수평 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전극 연결선과 상기 화소 전극이 만나는 부분은 상기 배향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가 이루어지고, 상기 공통 배선과 상기 공통 전극이 만나는 부분은 상기 공통 배선과 상기 공통 전극이 만나는 부분과 교차하도록 경사가 이루어진 수평 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공통 전극 연결선, 그리고 상기 화소 전극을 연결하며 상기 공통 전극 연결선과 중첩되어 있는 제 2 화소 전극 연결선을 더 포함하는 수평 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 연결선과 상기 공통 전극이 만나는 부분은 90도 이상 180도 이하의 각을 가지며 상기 배향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가 이루어진 수평 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소 전극 연결선과 상기 화소 전극이 만나는 부분은 90도 이상 180도 이하의 각을 가지며 상기 공통 전극 연결선과 상기 공통 전극이 만나는 부분과 교차하도록 경사가 이루어진 수평 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2000-0060450A 2000-10-13 2000-10-13 수평 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0380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450A KR100380222B1 (ko) 2000-10-13 2000-10-13 수평 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US09/974,842 US6657694B2 (en) 2000-10-13 2001-10-12 In-plane switching LCD device having slanted corner portions
US10/705,830 US6784967B2 (en) 2000-10-13 2003-11-13 In-plane switching LCD device having slanted corner por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450A KR100380222B1 (ko) 2000-10-13 2000-10-13 수평 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554A KR20020029554A (ko) 2002-04-19
KR100380222B1 true KR100380222B1 (ko) 2003-04-16

Family

ID=1969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450A KR100380222B1 (ko) 2000-10-13 2000-10-13 수평 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6657694B2 (ko)
KR (1) KR1003802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0192B2 (en) 2003-11-18 2008-1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thin film diode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222B1 (ko) * 2000-10-13 2003-04-1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수평 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JP4368515B2 (ja) * 2000-10-31 2009-11-1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
KR100829785B1 (ko) * 2001-12-11 2008-05-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KR100643039B1 (ko) * 2003-12-11 2006-11-1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KR101149933B1 (ko) * 2004-03-29 2012-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면내 스위칭 모드의 액정표시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1157841B1 (ko) * 2004-12-29 2012-06-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KR101212146B1 (ko) * 2005-12-14 2012-1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JP4997624B2 (ja) * 2006-03-14 2012-08-0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横電界型液晶表示装置
JP4466596B2 (ja) * 2006-03-29 2010-05-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配向転移方法
GB2451552B (en) * 2007-07-20 2010-08-04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in-plane switching m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53955B1 (ko) * 2007-08-08 2014-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TWI364587B (en) * 2008-02-19 2012-05-2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semiconductor array substrate thereof
JP2010145872A (ja) * 2008-12-19 2010-07-01 Sony Corp 液晶パネル及び電子機器
CN101866081B (zh) * 2009-04-15 2015-06-24 统宝光电股份有限公司 影像显示系统
KR20120107721A (ko) * 2011-03-22 2012-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5829A (ko) * 2011-08-05 2013-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 표시 기판의 제조 방법 및 표시 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102866543B (zh) * 2012-09-13 2015-05-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单元、阵列基板以及液晶显示装置
JP6336762B2 (ja) 2014-01-24 2018-06-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6332734B2 (ja) * 2014-02-19 2018-05-30 Tianma Japan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3988A (ja) * 1992-01-29 1993-08-13 Sharp Corp アクテイブマトリックス駆動方式散乱型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9980022593A (ko) * 1996-09-23 1998-07-06 구자홍 액정표시소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3934B2 (ja) * 1996-07-11 1999-11-08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を搭載した電子機器
JP3061119B2 (ja) * 1997-07-15 2000-07-10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2040456A (ja) * 2000-07-28 2002-02-06 Nec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380222B1 (ko) * 2000-10-13 2003-04-1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수평 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3988A (ja) * 1992-01-29 1993-08-13 Sharp Corp アクテイブマトリックス駆動方式散乱型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9980022593A (ko) * 1996-09-23 1998-07-06 구자홍 액정표시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0192B2 (en) 2003-11-18 2008-1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thin film diode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44247A1 (en) 2002-04-18
US20040095543A1 (en) 2004-05-20
US6784967B2 (en) 2004-08-31
US6657694B2 (en) 2003-12-02
KR20020029554A (ko) 200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0222B1 (ko) 수평 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0372577B1 (ko) 광시야각 액정 표시 장치
US6646707B2 (en) Fringe field switching mode LCD
JP4953416B2 (ja) 液晶表示装置
JP4707980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表示板
US768399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slits in the pixel electrode having a curvilinear shape
KR20020021296A (ko) 광시야각 액정 표시 장치
US7688411B2 (en) Multi-doma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2311447A (ja) 液晶表示装置
US7304706B2 (en) IP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edge of the pixel electrode, common electrode, and signal line having stairwise stepped portions
KR100257976B1 (ko) 횡전계방식액정표시장치
JPH10148826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液晶表示装置
KR100783357B1 (ko) 수평 전계 구동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제조 방법
KR100947271B1 (ko) 광시야각 액정표시장치
JP2003107508A (ja) マルチドメイン垂直配向型液晶ディスプレイ
KR101007206B1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18527B1 (ko) 평면 구동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179057B1 (ko)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446380B1 (ko)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
JPH1195235A (ja) 液晶表示装置
KR100686231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998021B1 (ko) 수평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JPH09171175A (ja) 液晶表示素子
KR20060038078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다중 도메인액정 표시 장치
KR20040060010A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