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828B1 - 파이프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프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828B1
KR100379828B1 KR1019960054804A KR19960054804A KR100379828B1 KR 100379828 B1 KR100379828 B1 KR 100379828B1 KR 1019960054804 A KR1019960054804 A KR 1019960054804A KR 19960054804 A KR19960054804 A KR 19960054804A KR 100379828 B1 KR100379828 B1 KR 100379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pipe
edge
pipe body
conve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8026A (ko
Inventor
류지 야스다
히데유키 사사키
히로유키 이나바
Original Assignee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2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8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3Header boxes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0Making tubes with riveted seams or with non-welded and non-soldered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0Making tubes with riveted seams or with non-welded and non-soldered seams
    • B21C37/102Making tubes with riveted seams or with non-welded and non-soldered seams of coated strip material (making multi-wal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0Making tubes with riveted seams or with non-welded and non-soldered seams
    • B21C37/108Making tubes with riveted seams or with non-welded and non-soldered seams without continuous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sheet during the bending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02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 F28F9/0204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 F28F9/0209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having only transversal partitions
    • F28F9/0212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having only transversal partitions the partitions being separate elements attached to header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판 재료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파이프에 있어서, 한쪽 가장자리부(27)와 다른쪽 가장자리부(29)가 그에 의해 파이프 몸체(21)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이어지고, 이음 볼록부(33)는 파이프 몸체(21)의 한쪽 가장자리부(27) 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이음 오목부(35)는 이음 볼록부(33)가 이음 오목부(35)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다른쪽 가장자리부(29)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음 오목부(35)의 상단부(35a)는 벤딩되고 파이프 몸체(21)에 형성된 홈진 부분(37)에 수납된다.

Description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원통형이 되도록 판 재료를 형성화하고 한쪽 가장자리와 다른쪽 가장자리 부분들을 서로 이음으로써 제조되는 파이프 및 이와같은 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콘덴서 또는 그와 유사한 열 교환기에 있어서, 제1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탱크 몸체는 알미늄 파이프 부재(13)로 만들어지고 있다.
종래에는 이와같은 파이프는 판 부재(11)를 원통형으로 형성화하고 제16도의 R로 표시된 바와같이 한쪽 가장자리 부분(11a)과 다른쪽 가장자리 부분(11b)을 서로 브레이즈 용접(brazing)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만일 종래의 파이프 부재(13)가 브레이즈 용접을 위하여 브레이징 노안에서 고온으로 가열되면, 파이프 부재(13)의 각각의 반쪽 원통형 부들의 한쪽가장자리 부분(11a)과 다른쪽 가장자리 부분(11b)은 제1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힌지로서 점(A)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데, 그 이유는 압출 몰딩에 의해 발생한 응력이 파이프 부재(13)에서 해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쪽 가장자리 부분(11a)과 다른쪽 가장자리 부분(11b)을 서로 확실하게 브레이즈 용접하는 것은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파이프 부재(13)의 한쪽 가장자리 부분(11a)과 다른쪽 가장자리 부분(11b)은 그것들이 서로 브레이즈 용접되기 전에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진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에 있는 점들에서 스포트 용접(W) 되었다.
따라서, 파이프 부재(13)의 한쪽 가장자리 부분(11a)과 다른쪽 가장자리 부분(11b)은 진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에 있는 점들에서 스포트 용접(W) 되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파이프 부재(13)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많은 단계들이 요구되는 것이 종래의 제조방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문제를 해결하고 한쪽 및 다른쪽 가장자리 부분들이 스포트 용접 등을 행할 필요없이 소정의 위치에서 서로 확실히 접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파이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라서, 원통형이 되도록 판 재료를 형성화함으로서 형성된 파이프 몸체; 파이프 몸체의 제1 가장자리 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이음 볼록부; 파이프 몸체의 제2 가장자리 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이음 오목부로 구성된 파이프가 제공되며; 여기에서 이음 볼록부는 제1 및 제2 가장자리 부들을 서로 이어서 파이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음 오목부에 끼워진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라서, 연결부를 통하여 서로 나란하게 한쌍의 반쪽 원통형 부를 몰딩하는 단계; 제1 원통형 부의 제1 가장자리 부에 이음 볼록부와 홈진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이음 볼록부와 홈진 부분의 대응 위치에 제2 원통형부의 제2 가장자리 부에 후크부를 형성하는 단계; 한쌍의 반쪽 원통형 부의 표면을 만들기 위하여 그 내측으로 부터 연결부 돌기를 만드는 단계; 대면하는 한쌍의 반쪽 원통형 부들을 서로 접하게 만드는 단계; 및 이음 볼록부와 홈진 부분에 이음 오목부를 끼우기 위하여 이음 볼록부의 외측을 따라 후크부를 벤딩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파이프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첨부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파이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파이프는 응축기 등의 열 교환 탱크로 사용되고, 냉매용 통로를 분할하기 위한 분할부(23)는 알미늄으로 만들어진 파이프 몸체(21)의 한쪽 측면에 형성된다.
파이프 몸체(21)는 원통형이고 알미늄으로 만들어진 패치 단부(25)는 파이프 몸체(21)의 대향 단부에 끼워지고 그 위에 브레이즈 용접된다.
파이프 몸체(21)의 한쪽 가장자리부(27)와 다른쪽 가장자리부(29)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브레이즈 용접(R) 된다.
더욱이, 다수의 이음부(31)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이프 몸체(21)의 축선 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형성된다.
각각의 이음부(31)들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몸체(21)의 한쪽 가장자리부(27)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이음 볼록부(33)와 파이프 몸체(21)의 다른쪽 가장자리부(29)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이음 오목부(35)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이음 오목부(35)의 상단부(35a)는 파이프 몸체(21)에 형성된 홈진 부분(37)에 수납된다.
사기 파이프는 이하에서 서술되는 바와같은 방법으로 생산된다.
우선, 알미늄으로 만들어진 평탄판은 제4도에 도시된 몰드 단계에서 한쌍의 반쪽 원통형부(39)들내로 몰드된다.
한 쌍의 반쪽 원통형부(39)들은 아크 형상으로 연결된 연결부(41)를 통해 서로 나란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동시에 밖으로 돌출한 평탄부(43)는 반쪽 원통형부(39)들의 각각의 가장자리들에 이어서 형성된다.
더욱이, 동시에 홈진 부분(37)은 반쪽 원통형부(39)중의 하나의 가장자리측에 형성된다.
전술된 몰드 단계에서, 평탄판은 몰딩을 압축하도록 하기 위하여 주어진 금속 몰드들 사이에 끼워진다.
다음에, 제5도에 도시된 벤딩 단계에서, 평탄부(43)는 플랜지부(45)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반쪽 원통형부(39)의 개방 방향으로 벤딩된다.
그 후, 제6도에 도시된 절단 단계에서, 홈진 부분(37) 양측에서의 플랜지부(45)의 홈진 부분(37)에 상당하는 부분이외의 다른 부분들, 즉 제6도에서 해치된 부분은 홈진 부분(37)측에 이음 볼록부(33)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절단된다.
또한, 이음-오목부 형성부(47)는 홈진 부분(37)에 대향한 가장자리측에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다.
이와같은 절단 단계에서, 트리밍(trimming)이 프레스 기에 의해 행해진다.
다음에, 제7도에 도시된 후크부 몰딩 단계에서, 이음-오목부 형성부(47)는 후크부(49)를 형성할 수 있도록 판 두께에 상당하는 정도로 밖으로 밀려진다.
그 다음에, 제8도에 도시된 대면(curling) 단계에서, 연결부(41)는 서로 대면하는 반쪽 원통형부(39)를 만들 수 있도록 내측으로 부터 밖으로 밀려진다.
이와같은 대면 단계에서, 반쪽 원통형부(39)는 금속 몰드(도시되지 않음)내에 수납되고, 연결부(41)는 금속 몰드의 아크부에 대하여 펀치에 의해 밀려진다.
마지막으로, 제9도에 도시된 컬링 단계에서, 서로 대면하는 반쪽원통형부(39)의 한쌍은 서로 접하게 만들어지고, 동시에 후크부(49)는 이음 오목부(35)와 같은 형상이 되도록 이음 볼록부(33)의 외측을 따라 벤딩되고, 따라서 이음 오목부(35)는 이음 볼록부(33)와 홈진 부분(37)에 끼워진다.
이 컬링 단계에서,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형성된 파이프 부재(51)는 서로 대면할 수 있도록 배치된 금속 몰드(53)내에 수납되고, 금속 몰드(53)는 이동된다.
반원 아크부(55)는 금속 몰드(53) 각각에 형성되고, 컬링부(57)는 금속몰드(53)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컬링에 대하여, 양 금속 몰드(53)는 일정한 각도, 예를들어 10도 만큼 제9도의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같이 이동된다.
다시 말해서,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후크부(49)의 상단부가 컬링부(57)의 벽부(59)에 접촉된 후에, 금속 몰드(53)는 후크부(49)가 이음 볼록부(33)를 따라 컬링되고 이음 오목부(35)가 이음 볼록부(33)에 끼워질 수 있도록 폐쇄된다.
그 다음에, 브레이즈 용접 단계에서, 한쪽 가장자리부(27)와 다른쪽 가장자리부(29)는 서로 브레이즈 용접되고, 이음 볼록부(33)와 이음 오목부(35)도 서로 브레이즈 용접된다.
이 브레이즈 용접 단계에서, 브레이즈 용접은 예를들어 비부식성 플럭스가 브레이즈 용접될 부분들에 도포되고 브레이즈 용접될 부분들이 질소 분위기에서 가열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된다.
전술된 바와같이 제조된 이와같은 파이프에서, 만일 파이프 몸체(21)의 한쪽 가장자리부(27)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이음볼록부(33)가 파이프 몸체(21)의 다른쪽 가장자리부(29)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이음 오목부(35)에 끼워진다면, 한쪽 가장자리부(27)와 다른쪽 가장자리부(29)는 소정의 위치에서 서로 확실히 접하게 된다. 따라서, 한쪽 가장자리부(27)와 다른쪽 가장자리부(29)는 스포트 용접을 받지 않고도 일정한 위치에서 서로 확실히 접할 수 있다.
더욱이, 이음 오목부(35)가 파이프 몸체(21)에 형성된 홈진 부분(37)에 수납되기 때문에, 이음 오목부(35)의 상단부는 파이프로 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어떠한 장애가 되는 돌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파이프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된 파이프에 대하여, 이음 볼록부(33)와 이음 오목부(35)를 서로 이음으로써, 한쪽 가장자리부(27)와 다른쪽 가장자리부(29)는 소정의 위치에서 서로 확실히 접하게 된다. 서로 접촉하는 이와같은 상태는 고온에서도 유지되기 때문에, 한쪽 가장자리부(27)와 다른쪽 가장자리부(29)는 서로 확실히 브레이즈 용접되고, 이음 볼록부(33)와 이음 오목부(35)도 서로 확실하게 브레이즈 용접된다.
더욱이, 전술된 방법으로 제조된 파이프에서, 서로 대면하는 반쪽 원통형부(39)의 한쌍이 서로 접하도록 만들어 졌을때, 후크부(49)는 이음 볼록부(33)의 외측을 따라 벤딩되고 홈진 부분(37)내에서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이음 오목부(35)가 파이프 몸체(21)에 형성된 홈진 부분(37)에 수납되는 것과 같이 파이프를 용이하고 확실히 제조할 수 있다.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음 볼록부(61)는 탄성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이음 오목부(63)에 끼워지고후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제2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이음 볼록부(61)가 탄성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이음 오목부(63)에 끼워지기 때문에, 이음 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제12도 및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파이프 몸체(21)는 원통형이고, 폐쇄부(64)는 파이프 몸체(21)의 양 단부에 형성된다. 제1 실시예의 파이프 몸체(21)와 공통되는 부분들 또는 엘레먼트들은 제1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한 참고 부호에 의해 표시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3도는 확대된 이음부(31)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음 오목부(35)의 측면부(35b)의 파이프 축선 폭(H1)은 상단부(35a)의 파이프 축선 폭(H2)보다 크게 설정된다.
더욱이, 상단부(35a)는 측면부(35b)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단부의 대향 가장자리(35c)는 측면부의 대향 가장자리(35d)에서 분리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파이프에서, 이음 오목부(35)의 측면부의 파이프 축선 폭(H1)은 상단부의 파이프 축선 폭(H2)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단부(35a)의 강성은 측면부(35b)의 강성보다 훨씬 작게 된다.
상단부의 대향 가장자리(35c)는 측면부의 대향 가장자리(35d)에서 분리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단부(35a)의 강성이 측면부(35b)의 강성보다 작다는 사실과 관련하여 상단부(35a)가 조인트부(35e)로 부터 소정의 형상으로 벤딩될 수 있도록 약해진다.
따라서, 상단부(35a)는 소정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벤딩될 수 있다.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이음부(31)에서, 이음 오목부(35)의 측면부(35b)의 폭은 넓게 만들어지고 한쌍의 상단부(35a)가 측면부(35b) 위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반면에, 홈진 부분(37)은 상단부(35a) 한쌍에 대응하는 위치들에서 한쪽 가장자부(27)에 형성되고, 한쌍의 상단부(35a)는 각각 홈진 부분(37)을 향해 벤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쌍의 상단부(35a)는 이음부(31)내의 이음 오목부(35)의 측면부(35b) 위에 형성되고 상단부(35a)는 각각 파이프 몸체(21)의 한쪽 가장자리부(27)에 형성된 홈진 부분(37)을 향해 벤딩되기 때문에, 한쪽 가장자리부(27)는 다른쪽 가장자리부(29)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이프 몸체(21)를 형성하기 위한 판 재료(65)는 알미늄 피복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브레이징(brazing) 층(66)은 외측으로 만들어질 표면위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분할부(23)가 파이프 몸체(21)위에 형성된 경우를 전술된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물론 어떠한 분할부(23)도 가지지 않은 파이프 몸체(21)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한쪽 가장자리부(27)와 다른쪽 가장자리부(29)가 서로 브레이즈 용접되고 이음 볼록부(33)와 이음 오목부(35)가 서로 브레이즈 용접된 경우가 위에서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들어 한쪽 가장자리부(27)와 다른쪽 가장자리부(29)는 용접에 의해 서로 조인트될 수 있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진 이음 볼록부(33)와 이음 오목부(35)가 용접에 의해 서로 조인트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에서, 파이프 몸체의 한쪽 가장자리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이음 볼록부가 파이프 몸체의 다른쪽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일체적으로 형성된 이음 오목부내로 끼워질 때, 한쪽 가장자리부와 다른쪽 가장자리부는 소정의 위치에서 확실히 서로 접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결과적으로, 한쪽 가장자리부와 다른쪽 가장자리부가 스포트 용접 등을 행함이 없이 소정의 위치에서 서로 확실하게 접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음 오목부의 상단부가 파이프 몸체에 형성된 홈진 부분에 수납됨으로서, 이음 오목부의 상단부가 어떤 장해가 되는 돌기가 되지 않는 파이프가 얻어질 수 있도록 파이프 몸체로 부터 돌출되지 않게 한 것이다.
이음 볼록부와 이음 오목부가 한쪽 가장자리부와 다른쪽 가장자리부의 소정의 위치에서 확실히 서로 접하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끼워진 때, 이 인접상태는 고온에서도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한쪽 가장자리부와 다른쪽 가장자리부를 서로 확실히 브레이즈 용접하고 이음 볼록부와 이음 오목부를 서로 확실히 브레이즈 용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음 오목부의 측면부의 축선 폭이 상단부의 축선 폭보다 크게 만들어질 때, 상단부는 소정의 형상으로 확실하게 벤딩될 수 있다.
더욱이, 다수의 상단부가 이음 오목부의 측면부 위에서 축선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이들 상단부가 파이프 몸체의 한쪽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홈진 부분을 향해 벤딩될 때, 한쪽 가장자리부와 다른쪽 가장자리부는 서로 좀 더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서로 대면하는 반쪽 원통형부의 한쌍은 서로 접하게 만들어진 때, 후크부가 이음 볼록부의 외측을 따라 벤딩되고 후크부의 상단부는 홈진 부분에서 위치 결정된다. 결과적으로, 이음 오목부의 상단부가 파이프 몸체에 형성된 홈진 부분에 수납되는 파이프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이음 부분의 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파이프의 측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파이프의 이음 부분이외의 다른 부분들의 측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 단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벤딩 단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절단 단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의 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후크부 몰드단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대면 단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컬링(curling)단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10도는 후크부가 벤딩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13도는 제12도의 파이프의 이음부를 도시하는 확대 측면도이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이음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15도는 파이프 몸체를 형성하기 위한 파이프 재료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16도는 종래의 파이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17도는 종래의 파이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18도는 종래의 파이프가 스포트-용접(spot-wold)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파이프 부재가 적용된 열교환기의 정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파이프 몸체 23; 분할부(partition portion) 25; 패치(patch) 단부 27; 한쪽 가장자리부 29; 다른쪽 가장자리부 31: 이음부 33: 이음 볼록부 35; 이음 오목부 35a; 상단부 37: 홈진 부분 39; 반쪽 원통형부 41; 연결부 43; 평탄부 45; 플랜지부 47; 이음-오목-부 형성부 49; 후크부 51; 파이프 부재 53; 금속 몰드 55; 아크부 57; 컬링부 59; 벽부 61; 이음 볼록부 63; 이음 오목부 64; 폐쇄부

Claims (15)

  1. 판 재료를 원통형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서 형성된 파이프 몸체(21);
    파이프 몸체(21)의 제1 가장자리부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이음 볼록부(33);
    상기 파이프 몸체(21)의 제2 가장자리부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이음 오목부(35); 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 볼록부(33)가 상기 제1 및 제2 가장자리부를 서로 조인트하기 위하여 상기 이음 오목부(35)내로 끼워져 상기 파이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오목부(35)의 상단부(35a)가 상기 파이프 몸체(21)에 형성된 홈진 부분(37)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 재료가 알미늄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 재료가 알미늄 피복 재료와 상기 알미늄 피복 재료에 형성된 브레이징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 가장자리부가 서로 브레이즈 용접되고; 상기 이음 볼록부(33)와 상기 이음 오목부(35)가 서로 브레이즈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볼록부(33)가 상기 파이프 몸체(21)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이음 오목부(35)내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오목부(35)가 그 베이스에 형성된 측면부(35b)와 그 상단에 형성된 상단부(35a)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부의 파이프 축선폭(H1)이 상기 상단부의 파이프 축선 폭(H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8. 제7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단부(35a)가 상기 이음 오목부(35)의 상기 측면부(35b)상에서 파이프 축선 방향으로 정렬 형성되고 다수의 홈진 부분(37)은 상기 다수의 상단부(35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파이프 몸체(21)의 상기 제1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35a)가 상기 홈진 부분(37)에 수납될 수 있도록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9. 제1항어 있어서, 상기 파이프 몸체(21)에 형성된 냉매용 통로를 분할하기 위한 분할부(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몸체(21)의 양 단부들에 형성된 폐쇄부(6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볼록부(33)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이음 오목부(35)내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12. 연결부(41)를 통해 서로 나란하게 한쌍의 반쪽 원통형부(39)들을 몰딩하는 단계;
    제1 원통형부의 제1 가장자리부에 이음 볼록부(33)와 홈진 부분(37)을 형성하는 단계;
    이음 볼록부(33)와 홈진 부분(37)의 대응 위치에서 제2 원통형부의 제2 가장자리부에 후크부(49)를 형성하는 단계;
    반쪽 원통형부(39) 한쌍이 서로 대면하도록 만들기 위해 그 내측으로 부터 연결부를 돌출시키는 단계;
    대면하는 반쪽 원통형부의 한쌍이 서로 접하도록 만드는 단계;
    이음 볼록부(33)와 홈진 부분(37)에 이음 오목부(35)를 끼우기 위해 이음 볼록부(33)의 외측을 따라 후크부(49)를 벤딩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반쪽 원통형부(39)의 한쌍이 알미늄으로 만들어진 평탄부(43)로 부터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후크부 형성 단계가 제2 원통형부의 제2 가장자리부에 외향 돌출 평탄부(43)를 형성하는 단계; 이음-오목부 형성부(47)를 형성하기 위하여 플랜지부(45) 부분을 절단하는 단계; 판 두께에 상당하는 정도로 이음-오목부 형성부(47)를 밖으로 미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제조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또한 제1 가장자리부와 제2 가장자리부 및, 이음 볼록부(33)와 이음 오목부(35)를 브레이즈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제조 방법.
KR1019960054804A 1995-11-17 1996-11-18 파이프및그제조방법 KR100379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99675 1995-11-17
JP29967595A JP3348413B2 (ja) 1995-11-17 1995-11-17 熱交換器用ヘッダーパイ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026A KR970028026A (ko) 1997-06-24
KR100379828B1 true KR100379828B1 (ko) 2003-08-14

Family

ID=1787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804A KR100379828B1 (ko) 1995-11-17 1996-11-18 파이프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348413B2 (ko)
KR (1) KR100379828B1 (ko)
GB (1) GB230719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413B1 (ko) * 2008-07-23 2009-05-26 대원인물 주식회사 초경 나이프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3787A (en) * 1982-12-16 1985-04-30 Wilhelm Hegler Corrugated sheathing hos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88959A (de) * 1969-03-26 1970-04-15 Fischer Ag Georg Einstellbares Stützelement zur Verstärkung von nachgiebigen Rohren, insbesondere von Rohren aus Kunststoff
BE756718A (fr) * 1969-10-09 1971-03-01 Kabel Metallwerke Ghh Tube metallique
GB1550629A (en) * 1976-11-25 1979-08-15 Steel Precision Eng Ltd Making metal tubes
GB2244015B (en) * 1990-03-14 1993-10-27 Hadley Sections Limited Tube and method of form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3787A (en) * 1982-12-16 1985-04-30 Wilhelm Hegler Corrugated sheathing ho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413B1 (ko) * 2008-07-23 2009-05-26 대원인물 주식회사 초경 나이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145294A (ja) 1997-06-06
JP3348413B2 (ja) 2002-11-20
GB9623875D0 (en) 1997-01-08
GB2307196B (en) 1999-03-17
KR970028026A (ko) 1997-06-24
GB2307196A (en) 199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8628A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217515B1 (ko) 적층형 열교환기의 열교환용 도관 및 그 제조방법
KR0144564B1 (ko)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의 열교환요소의 배열에 단부판을 밀봉장착하기 위한 방법
US4369837A (en) Tube for tube-plate heat exchangers
JPH05172488A (ja) 熱交換器用ヘッダ−パイプの仕切板組付構造及び組付方法
JP2001289590A (ja) 熱交換器
US5799397A (en) Pipe with closure portion, heat exchanger head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for
KR100247888B1 (ko) 열 교환기
GB2299037A (en) Flat tube for a soldered heat exchanger and a method for its production
US5924457A (en) Pip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379828B1 (ko) 파이프및그제조방법
JP4766787B2 (ja) 熱交換器のタンク構造
JPH02309196A (ja) 熱交換器およびそのヘッダの製造方法
EP0761337B1 (en) Pipe with closure portion, heat exchanger head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for
JP2703384B2 (ja) 熱交換器用チューブのuターン部の製造方法及びこのチューブを用いた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3328108B2 (ja) パイプの製造方法
KR100363747B1 (ko) 자동차용 오일쿨러
JPH08327266A (ja) 熱交換器用チューブ
JPWO2003052337A1 (ja) チューブ、チューブの製造方法、熱交換器用チューブ、熱交換器用チューブの製造方法、熱交換器、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919007B2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3657743B2 (ja) パイ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69304B2 (ja) パイプ
JPH02176397A (ja) 熱交換器
JP2004233014A (ja) 熱交換器およびその偏平チューブならびにそのヘッダの製造方法
JP3207321B2 (ja) アルミニウム材製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