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011B1 - 루프 장착형 마이크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루프 장착형 마이크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011B1
KR100379011B1 KR10-2000-0080815A KR20000080815A KR100379011B1 KR 100379011 B1 KR100379011 B1 KR 100379011B1 KR 20000080815 A KR20000080815 A KR 20000080815A KR 100379011 B1 KR100379011 B1 KR 100379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loop
bearing
slid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1222A (ko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0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011B1/ko
Publication of KR20020051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microphones or ear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 장착형 마이크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잡음 및 반사음의 유입이 적고 음성신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휴대폰 사용시 마이크 조작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루프 장착형 마이크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마이크 인출장치는 브라켓(26)에 의해 루프 인너패널(20)에 장착되고 모터축(30)의 단부에는 구동기어(32)가 장착된 스텝모터(24)와, 베어링(36, 64)이 내장되고 브라켓(38, 68)에 의해 상기 루프 인너패널(20)에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베어링캡(34, 66)과, 일단에는 상기 구동기어(32)와 치합되는 종동기어(42)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류(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은 베어링 결합부(44, 46)를 통해서 상기 베어링캡(34, 66)에 결합되는 스크류축(40)과, 상기 스크류축(40)의 리드 스크류(41)와 나사결합되어 스크류의 회전시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48)와, 힌지(63)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더(48)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단부에는 마이크(56) 및 집성기(58)가 구비된 마이크 조립체(52)와, 상기 마이크 조립체(52)가 루프 트림(22)외부로 인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62)이 형성된 가이드(6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루프 장착형 마이크 인출장치{DEVICE FOR WITHDRAWING A MIKE INSTALLED IN A ROOF TRIM}
본 발명은 루프 장착형 마이크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마이크를 루프 트림내에 장착한 다음 필요시에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루프 장착형 마이크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통신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휴대폰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차량의 운전 중에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운전중에 휴대폰을 사용하게 되면, 통화 내용에 신경을 쓰기 때문에 사고를 초래할 위험이 높으며 그로 인해 각국에서는 운전중에 휴대폰 사용을 금지하는 법을 시행하거나 입안 중에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소위 핸즈프리장치로서 운전중에도 차안에 설치된 마이크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다. 통상, 인스트르먼트 패널(2)에는 휴대폰 거치대(4)가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시에는 마이크(10)와 이어폰(12)이 연결된 와이어(8)를 휴대폰(6)에 꽂아서 통화할 수 있다. 종래에 마이크는 스티어링휠(12)의 스포크부(10a, 10b)나 인스트르먼트(2)패널의 중앙부(10c)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핸즈프리장치의 마이크는 운전중에 손으로 이어폰을 쥐고 귀에 삽입하여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운전을 방해하게 되며 유입되는 소음이나 반사음에 의해 잡음과 에코현상이 일어나기도 하고 감도가 약하기 때문에 신호의 분석이 어려워 통화에 장애를 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필요시에만 루프 트림으로부터 자동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운전에 방해를 받지 않고도 고품질의 통화가 가능하며, 마이크가 운전자의 입 근처에 위치하기 때문에 잡음 및 소음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음성전달이 가능한 루프 장착형 마이크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용 마이크의 장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마이크 인출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이크 인출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마이크 인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루프 인너패널 22:루프트림
24:스텝모터 30:모터축
32:구동기어 34, 66:베어링캡
36, 64:베어링 40:스크류축
42:종동기어 44, 46:베어링 결합부
48:슬라이더 50:가이드 레일
52:마이크 조립체 56:마이크
59:와이어 60:가이드
62:가이드홈 63:힌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루프 장착형 마이크 인출장치는 브라켓에 의해 루프 인너패널에 장착되고 모터축의 단부에는 구동기어가 장착된 스텝모터와, 베어링이 내장되고 브라켓에 의해 상기 루프 인너패널에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베어링캡과, 일단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은 베어링 결합부를 통해서 상기 베어링캡에 결합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의 리드 스크류와 나사결합되어 스크류의 회전시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힌지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더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단부에는 마이크 및 집성기가 구비된 마이크 조립체와, 상기 마이크 조립체가 루프 트림외부로 인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 장착형 마이크 인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마이크 인출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마이크 인출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휴대폰용 마이크를 루프 트림(22)에 내장한 상태에서, 필요시에만 운전자의 입 근처로 인출하여 사용함으로써 통화품질을 높이고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이크 인출장치를 예시하였다.
이것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스텝모터(24)와, 이 스텝모터(24)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축(40)과, 베어링(36, 64)을 개재하여 스크류축(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캡(34, 66)과, 스크류축(40)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결합된 상태로 이동하는 슬라이더(48)와, 힌지(63)에 의해서 이 슬라이더(48)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마이크 조립체(52)와, 마이크 조립체(52)가 루프 트림(22)밖으로 인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62)이 형성된 가이드(60)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밧데리의 전기가 공급되어 작동하게 되는 스텝모터(24)는 브라켓(26)에 의해 루프 인너패널(20)에 장착된다. 조립시에는 브라켓(26)에 형성된 체결홀(26a)에 나사(28)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모터축(30)의 단부에는 구동기어(32)가 장착되어 있다.
스크류축(40)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캡(34, 66)에는각각, 베어링(36, 64)이 내장되어 있으며, 조립시에는 브라켓(38, 68)에 형성된 체결홀(38a, 68a)에 나사(70)를 끼워 루프 인너패널(20)에 고정시킨다. 또한, 베어링캡(34, 66)의 상부에는 가이드 레일(5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35, 65)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축(40)의 일단에는 구동기어(32)와 치합되는 종동기어(42)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의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류(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48)의 내주면에도 상기 리드 스크류(41)와 동일 나사산을 갖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축(40)의 회전시에는 리드 스크류(41)를 타고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크류축(40)의 양단에 형성된 베어링 결합부(44, 46)에는 베어링(36, 54)의 인너 레이스와의 마찰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너어링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슬라이더(48)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케 하면서 반경방향으로의 회전은 제지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50)의 양단을 베어링캡(34, 66)의 고정홀(35, 65)에 고정시키고 중앙부는 슬라이더(48)에 형성된 관통홀(48a)에 삽입 설치한다.
힌지(63)에 의해서 슬라이더(48)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마이크 조립체(52)의 내부에는 휴대폰과 연결된 와이어(59)가 삽입되어 있으며, 그의 단부에는 마이크(56) 및 집성기(58)가 구비되어 있다. 이 마이크 조립체(52)는 가이드(60)에 형성된 가이드홈(62)을 통해서 루프 트림(22)외부로 인출되도록 안내된다. 조립시에 가이드(60)는 플랜지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홀(60a)에 삽입 체결되는 나사에 의해서 루프 트림(22)에 고정된다.
다음에,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마이크 인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개략도이다.
초기에 마이크 조립체(52)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트림(22)내에 삽입되어 있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탑승자가 휴대폰 사용을 위해 도시하지 않은 조작 스위치를 작동하게 되면,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밧데리의 전류가 스텝모터(24)로 전달되면, 스텝모터(24)가 작동되면서 모터축(30)을 개재하여 구동기어(32)를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기어(32)는 종동기어(42)와 치합되어 있으므로, 종동기어(42)를 통해 스크류축(40)의 회전이 시작된다. 스크류축(40)의 양단은 베어링(36, 64) 및 베어링캡(34, 66)을 개재하여 루프 인너패널(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위치에서만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축(40)의 회전으로 슬라이더(48)는 가이드 레일(50)에 의해서 반경방향으로의 회전이 제지된 상태에서 리드 스크류(41)를 따라 이동하기 시작하면서, 마이크 조립체(52)는 도 4b에 도시된 같이 가이드(60)의 가이드홈(62)을 타고 내려오기 시작한다. 정해진 시간 동안 스텝모터(24)가 작동되고 정지하는 시점에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 조립체(52)의 인출이 완료되어 힌지(63)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자신의 체형 및 자세에 맞게 마이크(56)를 움직여 통화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동체 감지센서 등을 채용하여 탑승자의 위치를 파악한 다음, 마이크 조립체(52)를 탑승자의 입 근처로 정밀하게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마이크를 루프 트림내에 장착한 다음 필요시에만 인출하여 사용함으로써, 잡음 및 반사음의 유입이 적고 음성신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휴대폰 사용시 마이크 조작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브라켓(26)에 의해 루프 인너패널(20)에 장착되고 모터축(30)의 단부에는 구동기어(32)가 장착된 스텝모터(24)와,
    베어링(36, 64)이 내장되고 브라켓(38, 68)에 의해 상기 루프 인너패널(20)에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베어링캡(34, 66)과,
    일단에는 상기 구동기어(32)와 치합되는 종동기어(42)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류(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은 베어링 결합부(44, 46)를 통해서 상기 베어링캡(34, 66)에 결합되는 스크류축(40)과,
    상기 스크류축(40)의 리드 스크류(41)와 나사결합되어 스크류의 회전시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48)와,
    힌지(63)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더(48)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단부에는 마이크(56) 및 집성기(58)가 구비된 마이크 조립체(52)와,
    상기 마이크 조립체(52)가 루프 트림(22)외부로 인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62)이 형성된 가이드(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장착형 마이크 인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양단은 상기 베어링캡(34, 66)의 고정홀(35, 65)에 끼워지고 중앙부는 상기슬라이더(48)에 형성된 관통홀(48a)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48)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케 하면서 반경방향으로의 회전은 제지하는 가이드 레일(5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장착형 마이크 인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축(40)의 양단에 형성된 베어링 결합부(44, 46)에는 베어링(36, 54)의 인너 레이스와의 마찰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너어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장착형 마이크 인출장치.
KR10-2000-0080815A 2000-12-22 2000-12-22 루프 장착형 마이크 인출장치 KR100379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815A KR100379011B1 (ko) 2000-12-22 2000-12-22 루프 장착형 마이크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815A KR100379011B1 (ko) 2000-12-22 2000-12-22 루프 장착형 마이크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222A KR20020051222A (ko) 2002-06-28
KR100379011B1 true KR100379011B1 (ko) 2003-04-08

Family

ID=2768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815A KR100379011B1 (ko) 2000-12-22 2000-12-22 루프 장착형 마이크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071B1 (ko) * 2002-08-27 200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마이크 위치 조절장치
KR100700310B1 (ko) * 2005-07-21 2007-03-27 최철규 차량의 핸즈프리장치
DE102009015293A1 (de) * 2009-04-01 2010-10-14 Christian Schemm Mikrofonhaltevorrichtung
GB2491636A (en) 2011-06-10 2012-12-12 Clockaudio Ltd Lift/lower microphone actuator with stepping mot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6450U (ja) * 1991-03-29 1992-10-19 宏 吉原 自動車電話用受話器
JPH0558228A (ja) * 1991-08-30 1993-03-09 Nissan Motor Co Ltd 成形天井材へのマイクロフオン取付構造
JPH07212882A (ja) * 1993-12-23 1995-08-11 Alcatel Mobil Commun Fr マイクロホン固定装置
US5574793A (en) * 1992-11-25 1996-11-12 Hirschhorn; Bruce D. Automated conference system
KR970005946A (ko) * 1995-07-28 1997-02-19 자동차용 핸드프리 마이크 고정장치
KR20010038904A (ko) * 1999-10-28 2001-05-15 류정열 차량용 휴대폰의 핸드프리 마이크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6450U (ja) * 1991-03-29 1992-10-19 宏 吉原 自動車電話用受話器
JPH0558228A (ja) * 1991-08-30 1993-03-09 Nissan Motor Co Ltd 成形天井材へのマイクロフオン取付構造
US5574793A (en) * 1992-11-25 1996-11-12 Hirschhorn; Bruce D. Automated conference system
JPH07212882A (ja) * 1993-12-23 1995-08-11 Alcatel Mobil Commun Fr マイクロホン固定装置
KR970005946A (ko) * 1995-07-28 1997-02-19 자동차용 핸드프리 마이크 고정장치
KR20010038904A (ko) * 1999-10-28 2001-05-15 류정열 차량용 휴대폰의 핸드프리 마이크 지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222A (ko) 200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289B1 (ko) 차량용 에이브이엔 모니터 작동장치
KR100379011B1 (ko) 루프 장착형 마이크 인출장치
CN210212261U (zh) 带有手机支架的门护板及汽车
US75553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atting and displaying numbers
KR100561948B1 (ko) 차량용 핸즈프리 및 그 제어방법
KR101946823B1 (ko)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KR101851144B1 (ko) 사운드 수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081488A1 (en) Pop-up device for vehicle
KR20160104310A (ko) 핸즈프리 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CN201312341Y (zh) 蓝牙免提
CN207510368U (zh) 一种安全带预紧器钢管导向机构
KR200249979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휴대폰 경보장치
CN218161145U (zh) 用于时钟弹簧的消音结构
JPH07222274A (ja) 車載用スピーカの配線構造
CN215120770U (zh) 车载蓝牙接收器
CN210912253U (zh) 一种具有支撑伸缩的功能ipad支架
CN218703015U (zh) 一种基于专用短程通信的车载信息装置
JP3892757B2 (ja) 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装置
CN217672447U (zh) 车载支架和车辆
KR200205606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전화기
CN220220410U (zh) 仪表板和车辆
KR20040021905A (ko)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된 이어폰
CN215706048U (zh) 一种汽车内饰用内嵌式中控升降机
KR200243216Y1 (ko) 차량용 핸즈프리세트
KR100457083B1 (ko) 일체형 핸즈프리 배선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