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577B1 - 리번 또는 시트상의 열성형가능한 재료용 열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리번 또는 시트상의 열성형가능한 재료용 열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577B1
KR100378577B1 KR1019970701677A KR19970701677A KR100378577B1 KR 100378577 B1 KR100378577 B1 KR 100378577B1 KR 1019970701677 A KR1019970701677 A KR 1019970701677A KR 19970701677 A KR19970701677 A KR 19970701677A KR 100378577 B1 KR100378577 B1 KR 100378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ate
article
thermoformed
plate
thermo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에트로 파도바니
Original Assignee
아이에스에이피 오엠브이 그룹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스에이피 오엠브이 그룹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아이에스에이피 오엠브이 그룹 에스피에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폐쇄 열성형 및 개방의 작동을 위해 상호 접근가능하고 이동가능한 암형판(12)과 상대형판 또는 수형판(13)이 설비된 열성형기(10), 열성형 재료의 암형판(12)과 상태형판(13)의 사이에의 공급기, 암형판과 상대형판의 폐쇄후 즉시 열성형 재료를 절단하는 절단수단, 형판(12)에 열성형된 물품들(15)을 위한 일 이상의 작업장 또는 처리장, 열성형된 물품(15) 성형물을 암형판(12)으로부터 적출하여 그것을 일이상의 작업장 또는 처리장에 운반하거나 아니면 그들을 받이 템플릿(17)에 이송하하기 의하여 그의 각 구멍과 순차적으로 작동되게 배열된 적출헤드(16), 각 적출헤드와 아니면 그의 각각의 받이 템플릿과 각 열성형 물품(15)을 작업 또는 처리장들을 통한 반송중 물품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하는 보유수단, 으로 이루어지는 열성형장치.

Description

리본 또는 시트상(狀)의 열 성형 가능한 재료용 열성형장치
해당기술에 있어서 알려져 있듯이,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의 특허제1,175,178호 및 제1, 218,634호 참조- 열성형된 복수의 대상물의 형성성품을 열성형기의 웅(雄型, male die)과 자형(雌型, female die)사이에 도입된 흡인 플레이트을 사용하여 자형으로부터 추출하고, 다음에 이를 순서대로 그 성형영역으로부터 이간이동 시켜서 이들 물품을 이들 물품에 대하여 적측이나 라벨첨부등의 일련의 개입(intervening)작업을 행하기 위한 추출 또는 제거수단의 상에 재치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또한, 웅형에 대하여 교호하게 횡이동 조작되게 배치된 더블 자형을 구비한 열성형기도 이미 제안되어서, 상기 교호의 횡이동중에 있어서, 2개의 흡인 플레이트가 교호히 열 성형 된 물품형성형물을 각각의 자형으로부터 추출하고, 계속하여 이 성형물을 각각이 상기물품이 그중에서 열 성형 된 자형의 자 요부형상으로 수치설계 및 배치된 복수의 구멍을 가지는 복수의 지그를 구비한 스텝 컨베이어의 부분을 형성하는 천공된 지그에 운송한다. 상기 컨베이어는 열성형기와 작동 연결되고이 열성기의 작업속도와 동일한 패이스로 이동하고 상기 열성형 프로세스의 직후에 물품을 받아들이고, 또한 그 왕복이동 중에 있어서, 이들 물품을 그 자형 중에 있어서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유지하여 이들에 의해 열성직후의 재료를 안정화하기 위한 시간을 연장함과 아울러 열성형된 복수의 물품을 이들 물품에 대하는 일련의 상기 개입 작업을 위해 규칙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출원인의 1992년 2월 3일 출원의 이탈리아 특허제 92A000012호에는 "일성형가능하고 리본재료로부터 얻어진 중공유기물품을 열성형하여 적층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개재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4,464,329호(Whiteside)외)는 플레이트 컨베이어의 복수의 플레이트가 웅형과 자형사이를 통과하고 또한 이들 플레이트가 형의 폐쇄 행정중에 있어서 2개의 형의 사이에서 프레스 되고, 또한 자형에 대하여 상대 이동가능한 중간부형과 협동하는 열성형기를 개시하고 있다. 각 플레이트 또는 지그에는 형성된 물품을 위한 수용 시이트가 설치되어 있고 또는 이들 각각 시이트의 주변부의 주위에는 물품의 자형으로부터의 추출 중, 또는 그 적하하는 스테이션으로의 운송 중, 또는 상기 컨베이어로부터의 떼어냄 중에 있어서, 그 열 성형된 물품에 탄성 맞물림하고 이를 그 위치에 규제 유지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는 가소재로 된 가스킷이 설치되어 있다.
지금까지 제안된 해결수단은 많은 점에 있어서 만족할지라도, 열성형된 단수 또는 복수의 물품을 열성형기에 작동 연결된 스텝 컨베이어의 일부를 구성하는 수용 템플릿(형판)또는 지그에 확실히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않고, 즉 이 경우, 열성형된 아직 안정화되지 않은 물품의 각각의 수용 시이트로부터 관성력에 의해 이동 및 변형하기도 하며 이에 의해 그 후의 그들 물품에 대하는 연속 작업 또는 개입 작업을 위해 필요한 물품을 정확한 위치결정 상태가 상실할 가능성이 있다.
즉, 첨부의 도1-6에는 각각의 운송 플레이트 또는 지그(4 및 5)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다른 시이트(관통구)(2 및 3)(후에는 용기의 림(1a)이 맞닿을 수 있는 주변부요부(3a)가 설치되어 있다)내에 재치된 상태의 베이커등의 물품((1)등의 돌출 림을 구비한 머리가 잘린 원추형상의 용기가 나타나 있다. 각 플레이트 또는 지그가 물품을 제조하는 열성형기의 작동속도와 동일한 패이스로 신속하게 이동되는 경우에, 그 지그내의 물품은 전방으로의 이동과 정지될 때의 양방에 있어서, 반복적으로 가속운동을 받는다. 그리고, 물품이 가속운동을 받을 때는 항상 각 물품(1)의 중심(G)이 지그(4 및 5)의 배치위치의 평면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물품에서는 상향의 회전 탄력도 작용하고, 이에 의해 물품이 암(bG)에 비례하여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향이 있다. (도 1 및 도 4참조). 이 경사 때문에 (도 2 및 도 5중의 각도 α), 이와 같은 탄력에 의해, 안정화중의 용기(1)의 측벽, 또는 림이 충돌하기도 하고 혹은 상기 축심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변위(도 3 및 도6)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의해 거의 항상, 스텝 바이 스텝(step by step)의 운전중에 있어서, 혹은 다양한 작업 스테이션에 위치할 때에, 정확히 일정의 세트 형태를 유지해야만하는 용기에 대하여 연속 작업 또는 개입 작업의 결과가 손상되어 버린다.
미국특허4, 464, 329호에 있어서 제안되고 있는 해결수단의 경우, 형의 추출작업이 운송용 플레이트 또는 지그의 위치결정 조작과 분리되어 있지 않으며, 그 이유에 의해 제조와 조작이 상당히 복잡하여 코스트가 높은 3부형(웅, 자 및 부중간형)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상기 Whiteside 기타의 해결방법에 있어서는 성형 형 공정 중에 막나온 상기 링크 개스킷이 열성형형의 고온의 가장자리부와 접촉상태로 유지되고 따라서 가스킷이 열사이클의 반복을 받고 급속하게 열화하여 그 가소성을 상실하고, 적은 회수의 열 사이클 후에 있어서도 경화하여 열성형형을 나온 정도로 아직도 완전히 안정화되고 있지 않은 물품에 대하여 스코링(scoring)등의 손상을 야기하고 이에 의해(특별히, 이에 따라서 상당히 고가인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한)불량품의 수가 확실히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주요목적은 열성형 장치에 있어서 특히 문제가 된 결점을 제거 또는 대폭적으로 감소하고, 이에 의해 열성형된 물품의 형으로부터의 신속한 떼어냄 혹은 이들 물품을 연속적인 떼어냄과 단수 또는 복수의 처리 및 작업 스테이션의 운송에 의해 템플릿 또는 지그로 안정화하여 처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복수의 작업 스테이션으로의 반송을 하기 위해 열성형으로 부터 추출된 직후에 안정화 중의 복수의 물품을 그 세트 상태를 유지 할 때까지 수취하기 위한 템플릿 또는 지그를 가지는 스텝 컨베이어을 가지는 열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에서 명백하게 되듯이, 이들 및 그 기타의 과제는 폐쇄, 열 성형 및 개방 조작을 위해 근접 및 이간 가능한 자형과 대향 형 또는 웅 형을 구비한 열성기와, 상기 자형과 대향형사이의 열성형 재료의 피더와, 상기 자형과 대향형사이의 폐쇄직후에 상기 열성형재료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과, 상기 형내에 열성된 물품용의 단수 또는 복수의 작업 또는 처리 스테이션과, 그 각 개방 작동에 수반한 상기 자형으로부터 열성된 물품을 추출하고 또 이와 같이하여 추출된 물품을 수용 템플릿으로 운송하기 위해 상기 단수 또는 복수의 처리 스테이션으로 운송하기 위해 배치된 복수의 추출 수단과, 상기 각 열성형물품을 상기 각 추출 수단(헤드)또는 각각의 수용 템플릿에 맞물리게 하여서 작업 또는 처리 스테이션을 통한 운송 중에 있어서의 상기 물품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보장하는 유지수단을 가지는 열성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리본 또는 시트의 열 성형가능한 재료용 열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내지 도6은 종래의 운송 플레이트에 설치된 시이트내의 물품의 돌출 림을 구비한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7은 열성형물품을 위한 추출 플레이트와 2개의 표면상의 템플릿을 구비한 교호 이동 컨베이어를 가지는 열성형기의 개략의 측방 입면도.
도 8은 도 7의 열성형기의 자형과 컨베이어와 추출 플레이트의 부분 평면도.
도 9는 4개의 암을 구비한 회전식 컨베이어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형성형된 물품을 위한 추출 플레이트와 물품 수용 템플릿을 구비한 우선 1방향(전방 이동)으로 이동하고 그 후 다른 방향(복귀(return))으로 순번으로 이동하는 체인 컨베이어(추출 및 복귀이동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지만 반대의 반향으로 이동)를 구비한 열성형 기의 개략의 단면 측방 입면도.
도 11은 도10의 열성형기와 컨베이어 추출 플레이트의 부분 평면도.
도 12 및 13은 각각 도 10 및 도 11과 유사의 입방 단면도이고 여기에서는 컨베이어는 2개의 원형으로 동축 및 동평면상의 트랙에 따라 배치, 이동되는 템플릿을 구비하고 있다.
도 14 및 15는 각각 도 10 및 11과 유사의 측방 입면도와 상방 단면도로, 형용의 추출 플레이트 또는 컨베이어로서 작용하는 3개의 플래이트 또는 템플릿을 구비한 회전식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다.
도 16은 템플릿에 설치된 열성형 물품용의 수용 시이트의 상세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체인 상에 탑재된 템플릿을 구비한 컨베이어을 가지는 열성형기를 나타낸 개략의 전방 입면도로, 상기 컨베이어 템플릿은 형에 의해 열성형된 물을 위한 추출 플레이트로도 작용한다.
도 18은 도 17의 컨베이어 템플릿을 확대한 상세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유지 칼라를 구비한 시이트를 가지는 컨베이어 템플릿과 여기에 재치된 용기의 부분 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템플릿의 상세를 확대한 도면.
도 21은 도 19의 것과 유사하지만, 용기의 림을 수용하기 위한 환상 요부를 구비한 다른 컨베이어 템플릿의 부분 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단면을 확대한 상세도.
도 23 및 도 24는 도 19 및 도 21의 용기의 원형, 직사각형 또 정사각형의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5는 열성형물품용의 템플릿 시이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6은 도 25의 단면도.
도 27은 열성형 물품용의 수용 템플릿용의 다른 실시형태을 도시한 단면도.
도 28은 도 27의 상세도.
도 29는 용기기를 유지하기 위한 컨베이어 칼라를 구비한 수용 시이트를 가지는 템플릿을 도시한 단면도.
도 30은 도 29의 상세도.
도 31 내지 도 34는 도 34의 각각의 상세한 도면을 나타낸 것으로 열성형물품용의 규제를 위한 탄성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 템플릿의 2개의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35는 진공유지 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 템플릿에 설치된 열성형물품용이 수용 시이트의 부분 단면도.
도 36은 도 35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37은 탄성 유지 수단을 구비한 열성형 물품의 수용 시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8은 도 37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39 및 도 40은 도 37 및 도 38의 열성형 물품의 원형 및 직사각형을 도시한 평면도.
도 41은 기계식 유지 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 템플릿의 변형예의 도면.
도 42 및 도 43은 도 41의 플레이트 또는 템플릿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44 및 도 45는 도 41 및 도 43의 플레이트에 재치가능한 열성형 물품의 원형 및 직사각형의 평면도.
도 46 및 도 47은 위치 유지용의 공기수단을 구비한 열성형물품을 위한 템플릿 컨베이어 판을 위한 지그 시이트을 도시한 도면.
도 48 및 도 49는 컨베이어 플레이트에 설치된 열성형물품용의 수용 시이트의 2개의 다른 실형태의 2개의 부분 단면도.
도 50은 상승식 푸쉬로드을 가지는 컨베이어 템플릿의 수용 시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51은 열성형품의 림용지지 요부를 구비한 수용 시이트의 부분 단면도.
도 52는 열성형물품용에 컨베이어 템플릿에 설치된 수용 시이트의 부분 단면도.
도 53은 도 52의 변형예의 도면.
첨부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 또는 구성요소는 동일 한 참조번호로 표시했다.
우선,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실시형태에 있어서, 10으로 개략도시되어 있는 것이 열성형장치이며, 이는 수직이동 가능한 자형(12)이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11)를 가지고 있다. 상기 자형(12)의 상방애는 열성형기술있어서 통상 그러하듯이, 자형에 대하여 하방 및 상방 이동가능 하고 또한 이와 동시에 형의 폐쇄와 개방에 필요한 작동을 함과 아울러 양형(12, 13)사이에서 이들의 힘이 개방상태에 있을 때 적당한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리본 또는 플레이트(14)형상의 열성형 가능한 재료의 절단을 행하는 웅형 또는 대향형(13)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자형(12)내에의 열성형에 의해 얻어진 물품(15)(통상, 용기-베이커,컵, 통, 뚜껑등)은 상기 양 형(12, 13)의 개방 또는 왕복 이동 제거 후, 자형으로부터 추출되어야 하지만, 이 조작은 양형의 개방 행정중에 자형의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는 추출부재(E)(각 열성 형 물품에 대하여 1개)가 제공됨으로써 용이하게 행해진다. 이들 물품은 예를 들면, 상술한 이탈리아 특허 제 1,175, 178 및 제 1, 218,634호에 기재되어 있는 흡인 플레이트등의 상기 양 형(12 및 13)과 동기하여 작동하여 자형(12)내에 존재하는 모든 성형품을 떼어내고 또한 이들을 이들 성형품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물품(15)의 수해 등가인 수만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수용 시트 또는 구멍(18)을 구비한 지그 또는 템플릿(17)으로 운송하는 추출 플레이트(16)를 사용하여 상기 형(12)으로부터 떼어진다.
상기 템플릿(17)은 컨베이어(19)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컨베이어는 2개의 교호로 이동 가능한 템플릿을 가지고 이들 템플릿은 각각 상기 형(12)쪽으로 한번, 다른 방향으로 한번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한쪽의 템플렛릿이 상기 자형에 대하여 측방으로 이동할 때에, 다른 쪽의 템플릿이 그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추출 플레이트(16)로부터 성형품을 수용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측방위치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17)은 물품을 예를 들면, 물품의 살균 및 적중 스테이션등의 취급 및 처리 스테이션으로 이송한다.
도 9의 실시형태는 서로 90° 의 각도로 배치하고 추출 플레이트(16)의 하방으로 순번으로 위치하여 두며 이 플레이트로 부터 운송해야 하는 물품(15)을 받아들이는 소정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4개의 템플릿을 가지는 회전식 컨베이어(20)에 관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상기 템플릿(17)이 스텝 컨베이어(24)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이 스텝 컨베이어는 그 컨베이어의 양단부에 있어서 각각의 체인 휠(26)의 주위로 회전하고 또한 복수와 템플릿(17)을 적재함과 더불어 상기 추출 플레이트(16)의 이동 궤적 바로 아래에 위치한 상부 런(run)과 상기 상부 런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부 런(28)을 구비한 2개의 체인(25)을 가지고 있다. 상기 컨베이어(25)의 그 상부 런(27)과 그 하방 연장부와의 양방에 따라서 또는 상기 단부 체인 휠(26)의 장소에서 템플릿에 배치된 물품(15)용 복수의 작업 및 취급 스테이션을 설치할 수가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예는 수평으로 또는 원형 형상으로 복수의 템플릿(17)을 상기 추출 플레이트(16)의 하방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순번대로 이동시키는데 적합한 컨베이어(29)에 관한 것이다.
소망의 장소에서는 각 템플릿을 예를 들면, 각각 32 및 33에 의해 표시하는 2개의 슬라이드 또는 케리지를 개재하여 한 쌍의 고정된 원형의 측방 트랙(30, 31)사에 용이하게 적재시킬 수 있고 전형적으로는, 케이블, 체인 또는 적당한 링크 수단에 의해 상기 원형 컨베이어(29)상의 전의 템플릿 혹은 그후의 템플릿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맞물려 있다. 상기 템플릿 열은 물론 여러 템플릿을 순번으로 상기 추출 플레이트(16)의 하방에 위치시키는 패이스로 스텝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인출된다.
도 14-16에 나타난 실시형태는 서로 120° 이간되어 또한 각각의 단부에 추출 플레이트(16)를 지지하는 3개의 암(36)을 구비한 회전식 컨베이어(35)에 관한것이다. 따라서, 각 추출 플레이트(16)는 3개의 다른 작동위치, 즉, 개방된 상기 형(12)과 (13)사이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위치와, 예를 들면, 상기 무품(15)에 대하여 라벨 첨부, 보어, 그 기타의 처리 또는 기계가공을 특정의 작업 스테이션(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 행하는 중간위치와, 또한 상기 물품(15)이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난 것에 유사한 적중 유닛(SA)에 적층된 종단위치(모두 상기 추출 플레이트(16)의 궤적에 따라서 위치한다)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도 1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추출 플레이트(16)는 상술한 흡인식의 것과는 다른 타입의 것이어도 좋고, 이들은 그 사이에 각각의 물품(15)의 자유 림과 맞물려서 이를 확실히 유지가능하도록 작은 내부각도를 가지는 적도 쇼울더부(16d)를 형성하는 2개의 환상 경사면(16a, 16b)을 제공하는 형태로 그 두께 방향에 따라서 수용구멍(16a)을 형성한다.
상기 후자는 상기 추출부재(E)에 의해 들어올려져서 눌러져 그 림과 함께 상기 경사면(16b)에 따라서 접동하고 상기 쇼울더부(16d)와 스넵식으로 맞물림 위치 결정되고 다음에, 각각의 추출 플레이트(16)의 중간과 최종의 스테이션을 가지는 작업로를 다라서 운송된다. 최종 스테이션에 도달할 때, 상기 용기의 베이스 부를 적당한 트러스 장치(도 14)에 의해 가벼게 눌러지므로써 용기는 그 수용이트로부터 떨러진 다음 상기 적중 장치(SA)로 이동한다.
유사한 구조가 도 17 및 18에 나타나 있으며, 여기서는 도 14-16에 나타난 것과 유사의 복수의 추출플레이트가 상기 컨베이어(24)의 타입의 체인 컨베이어(37)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컨베이어는, 예를 들면, 그 상방 연장부가 개방 상태의 양형(12, 13)사이에 연장하고 또한 물품을 탑제하고 또한 그후, 특정의 수의 작업 또는 취급 스테이션으로 순차 이송되는 여러 플레이트(16)을 순차적으로 이송한다.
도 19-24는 각각의 수용구멍(18)에서 상기 추출 플레이트(16)로부터 이간된 이간면에 있어서, 테이퍼 칼라(38)를 가진 템플릿(17)을 나나내며, 상기 테이퍼 칼라내에 있어서, 물품(15)은 그 림이 상기 템플릿의 기타의 면에 대하여 직접 맞닿거나(도19 및 20)혹은 적당한 환상 요부(39)와 맞닿음이 가능한 시이트 위치와 정확히 시이트 위치에 낙하할 수 있다. 이 테이퍼 칼라는 평면에서 보아서 원형형상의 것과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양 방의 물품(15)의 보지에 있어서의 안정화와 정확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다.
도시되어 있듯이, 실제로, 상기 암(bG)과 상기 물품(15)의 중심(G)에 있어서의 관성력에 의한 상향의 회전 탄력, 상기 칼라(38)에 의해 제공된 형상 맞물림 형태와, 전 높이(h)를 가지는 상기 템플릿의 두께에 의해 완전히 무효화된다. 여기서 상기 높이(h)는 상기 물품(15)의 형상과, 그 물품의 벽부와 각각의 수용 시트(16a)의 내경 사이의 클리어런스(g)의 양방의 계수로서 결정된다.
도 25-26에 나타난 실시형태는 템플릿(17)에 각각의 2개의 직경을 가지는 구멍(18)내에 설치가능 한 어댑터 칼라(39)에 관한 것이고, 그 내경은 상방 테이퍼부(40)에 대하여 예를 들면 3° -10° , 바람직하기로는, 약 5° 의 부의 각도(α)를 가지는 하방 절제 중간부(41)와, 상기 하방 절제부에 있어서의 환상 쇼율더부(42)와, 또한 그 후, 관형 단부(4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추출 플레이트(16)에 의해 추출된 물품(15)은 각각의 칼라(39)와 그 림사이에 적재되고 상기 테이퍼부(40)에 따라서 접동하고 그 테이퍼부(40)와 스넵 맞물림하여 여기서 그 적절한 위치에서 "탄성적 규제 상태"로 보지된다.
도 27∼30의 템플릿(17)은 수용테이퍼 상부(44)를 구비한 구멍(18)과, 접속 하부(45)를 가지고 있지만, 그 내경은 그 림의 근방에 있어서 물품(15)의 외부크기보다도 약간 작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도, 물품(15)은 "탄성적으로 규제"되어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수용구멍내에 안정적으로 세트되어 있고 이로부터는 하래로부터 위로 충분한 트러스트을 가하지 않는 한, 상방으로 뒤집혀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템플릿(17)의 수용 시트(18)의 내경과, 물품(15)사이에는 클리어런스(g)가 없기 때문에, 템플릿(17)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한 칼라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31-34의 실시형태는 도 19-22의 것과 유사하게 되어 있지 만, 단, 여기서는 칼라(38)의 하부(46)는 이 칼라에 적당히 고정되고, 또한 물품의 외면에 대하여 적도의 압력을 부과하도록 구성된 변형 가능한 탄성재료 형성되어 있다.
도 35 및 36은 상기 칼라(38)에 형성되어서, 열성형된 물품(15)을 안정상태로 유지하는 작용을 가지는 진공 통기로(도시되어 있지 않고, 적장한 흡기수단과 연통하고 있다)를 위한 복수의 구멍을 나타내고 있다.
도 37 및 38은 위치고정 될 때 각 물품(15)의 축심에 대하여 경 방향 또는 횡 방향의 평면(바람직하기로는 수직)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템플릿(17)으로 부터 일정 거리 간격으로 부착된 칼라(38)내에 배치된 적당한 형상의 래칫(48)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래칫(48)은 예를 들면, 단수 또는 복수의 스프링(49)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를 야기한다.
도 39-45는 편심기계식 보지 장치(50)를 나타내며 이 유지 장치는 각각 템플릿(17)상에 각각의 수용구멍(18)에 부착되어 있고 예를 들면 이들이 부착된 템플릿(17)에 직교하는 축심위 주위로의 회전에 의해 물품(15)의 림에 맞물리는 작동위치와, 비 작동 개방위치사이에 걸쳐서 이동가능하다. 이 유지장치(50)의 조작은 예를 들면, 공기 잭(jack)등의 적당한 운동원과, 각 보지 장치(50)와 일체 회전하는 일체 피니온(52)에 의해 조작되는 래크수단에 의해 행해진다.
도 46-47의 실시형태는 유지수단으로서의 메니폴드(CL)를 통하여 각각의 수용 시이트(18)중의 바른 위치에 있고 또한 이 림이 템플릿(17)에 맞닿은 상태의 물품(15)에 대하여 트러스트 압력을 부여하는 공기 분류 발생기 수단(53)에 관한 것이다.
도 48 및 49에서는 커버(15)를 위한 위치 유지 수단이 나타나 있고 이는 각 수용 시트(18)에 형성된 2개의 지름을 가지는 지지 쇼울더부(57)이지 만, 혹은 상기 커버의 플렌지(60)의 내경부에 맞물리는 환상 돌출부(59)(도 49)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있다.
도 50 및 도 51은 상기 여러 작업 또는 처리 스테이션으로의 운송중에 있어서 상하 반전 상태로 유지된 물품(15)을 위한 유지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도 50은 더미 수용 시이트(18a)에 있어서 템플릿(17)의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일종의 푸쉬 로드(61)를 나타내고 반면, 도 51에 있어서는 반전된 물건(15)의 자유 림이 맞닿는 더미 수용 시이트(18)와 환상 슬롯(62)이 설치되어 있다. 제거는 예를 들면 푸쉬 로드(56)에 의해 행해진다.
도 52 및 도 53은 그 베이스에서 오리피스(55)를 구비한 컵 유지 수단(54)을 나타내고 있다. 컵(54)은 칼라(38)와 유사한 방법으로 물품(15)을 받어들여 이들 완전히 포위하기 위해( 플렌지 된 또는 컬된 림을 가지지 않을 지라도)템플릿(17)의 가 수용구멍(18)에 해당하고 또한 상기 올리피스(55)를 통하여 푸쉬 로드(56)에 의해 작용시키므로써 이 컵(54)은 이것으로부터 용이하게 추출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기술적 해결구성으로 부터 이해되었듯이, 본발명에 이하면, 불특정의 일련의 형태 때문에 확실, 안정적 또는 균일한 위치결정을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안정화의 과정에 있는 물품에 대하여 특정의 마무리 및 장식 작업을 극히 정확하게 또한 불량품 없이 행해질 수가 있다.
상술된 발명은 각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보호범위내에있어서 여러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4)

  1. 폐쇄, 열성형 및 개방 작동을 하기 위해 왕복방향으로 근접 및 이간 가능한, 하나이상의 자형(12)과 웅형(13)을 구비한 형성형기(10)와;
    리본 또는 플레이트(14)형상의 열성형 재료를 각 자형(12)과 웅형(13)사이에 공급하는 피더와;
    자형(12)과 웅형(13)과 연합하여 상기 자형(12)과 웅형(13)리 폐쇄직후에 상기 리본 또는 플레이트재료를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자형(12) 또는 웅형(13)중에서 열성형된 물품(15)을 위한 하나이상의 작업 또는 처리 스테이션과;
    상기 자형(12)으로부터 열성형된 형성형품을 인출하고 이를 단수 또는 복수의 작업 또는 처리 스테이션에 운송하던 가 혹은 이를 상기 자형(12)의 시이트 형상과 동일한 시이트 형상을 가지고, 또한 상기 열성형 된 물품(15)을 단수 또는 복수의 작업 처리 스테이션을 통과하여 운송되도록 구성된 템플릿(17)으로 운송하도록 구성된 추출 플레이트(16)를
    을 구비한 열성형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운동에 대항하기 위해 상기 추출 플레이트 및 상기 템플릿에 유지수단이 마련되어적소의 위치에 물품을 유지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플레이트는 상기 각 자형(12)과 웅형(13)사이에 이들 형의 각 개방작업에 따라서 순차 끼워진 플레이트 형상의 추출 플레이트(1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복수의 지지 암을 구비한 회전식 컨베이어(20)를 가지며, 상기 각 암은 열성형품이 계단식으로 또는 상기 형의 개폐속도와 동기하여, 상기 회전식 컨베이어의 주위에 배치된 상기 단수 또는 복수의 작업 또는 처리 스테이션을 통하여 운송되는 사이에 이 열성부품(15)을 그 적절한 세트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상기 유지수단을 구비한 플레이트 형상의 템플릿(17)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장치.
  4. 각 플레이트 형상의 템플릿(17)을 위한 상기 유지수단은 추출되어야 하는 각 열성형물품용에 상기 플레이트형상 추출 헤드를 통하여 구멍 또는 시이트를 가지고 있고, 상기 구멍은 그 두께를 따라서 가공되어서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개구되고 또는 그 사이에, 림부착 열성형물품(15)의 트러스트에 의한 끼움을 허용하고 또한 이는 그 림에 있어서 탄성규제되어 확실히 위치 보존된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소 하방향의 입사각도를 구비한 적도 쇼울더부(16d)를 형성하는 2개의 환상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이 장치는 각각 한 쌍의 체인 휠에 감겨짐과 더블어, 그 연장부(27)가 상기 각 자형(12) 또는 웅형(13)에 따라서, 혹은 그 범위(encumbrance)를 넘어서 연장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템플릿 컨베이어(24)와, 상기 템플릿 컨베이어(24)상에서 서로 일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각각이 열성형품(15)을 그 운송 중에 있어서 적정 세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상기 유지수단을 구비한 복수의 추출 플레이트(16)를 지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수 또는 복수의 작업 또는 처리 스테이션을 통하여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자형(12)의 개폐 속도로 계단식(stepwise)이동하여 추출 플레이트(16)로부터 형성형물 또는 열성형물품을 받아들이기도 하고 또한 이를 템플릿 컨베이어(24)에 따라서 상기 단수 또는 복수의 작업 또는 처리 스테이션으로 운송하기 위한 템플릿 컨베이어(2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컨베이어(24)는 2개의 교호히 이동 가능한 템플릿(17)을 가지고, 이 템플릿은 각각 상기 자형(12)의 쪽으로 한번, 다른 쪽으로 한번 이동하여 이에 의해 일방의 템플릿이 각각 상기 자형(12)에 대하여 측방으로 이동할 때에 타방의 템플릿이 그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추출 플레이트(16)로부터 성형품을 수용가능 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컨베이어(24)는 상기 또는 각 체인(25)이 감겨진 한 쌍의 체인 휠(26)과, 상기 템플릿 컨베이어(24)위에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있으며, 또한 각각이 열성형물품(15)을 그 운송 중에 있어서 적정세트 상태로 유지하는 상기 유지수단을 구비한 복수의 플레이트 형상의 템플릿(17)을 가지는 단수 또는 복수의 체인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유지수단을 구비한 상기 템플릿 컨베이어(24)는 상기 단수 또는 복수의 작업 또는 처리 스테이션을 통하여 이동하는 각각의 템플릿(17)을 위한 작동지지 슬라이드(32) 또는 캐리지(33)의 열(train)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각 템플릿상의 상기 유지수단은 각 수용구멍내에 위치하여 각 열성형 물품(15)의 상기 단수 또는 복수의 추출 플레이트(16)에 면하는 각 템플릿(17)의 표면상에서의 정확한 위치 결정하는 머리가 잘린 원추형상의 칼라(3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38)는 열성형품(15)의 외면에 대하여 적절한 유지 압력을 부여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38)는 그 칼라내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내경으로 향하여 이동하고 각각의 수용 시트내의 열성물품(15)의 외면에 맞물림 가능한 복수의 탄성 바이어스된 래칫(4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38)는 상기 열성형물품(15)에 대하여 그를 각각의 수용 시이트내에 있어서, 또는 림이 상기 템플릿(17)에 맞닿은 상태로 적절한 세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흡인 작용을 부여하는 흡인 오리피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열성형된 림부착 물품(15)을 위한 플랜지 수용부에 있어서, 각 템플릿(17)은 상기 단수 또는 추출 플레이트(16)의 면하는 템플릿(17)의 표면에 형성되 있고, 이에 배치된 각각의 물품(15)의 림에 맞물리는 주위부 요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성형 장치.
  15. 제 9항에 있어서,
    각 템플릿(17)의 상기 유지수단은 각 수용 시이트내에 배치가능하고 또한 테이퍼 하방부와, 부의 각도(α)를 가지는 하절단 중간부와, 상기 하절단부의 하류측의 환상 쇼울더부에 의해 형성된 내경을 가지고 상방으부터 플렌지부착 열성형물품을 받아들이고 이의 하절단부에서 그 림에 스넵 맞물리는 것이 가능한 2개의 직경을 가지는 어댑터 칼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열성형 장치.
  16. 제 9항에 있어서,
    각 템플릿(17)의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열성형물품의 하부분을 위한, 또는 그 림의 근방까지 수용해야하는 열성물품(15)외부 치수보다도 약간 적은 내경을 가지고, 열성형물품(15)이 그 중에서 탄성규제 되고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용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 장치.
  17. 제 9항에 있어서,
    각 템플릿(17)의 상기 유지수단은 복수의 기계식 맞물림부(50)를 가지고, 이 맞물림부의 각각이 템플릿(17)의 각 수용 구멍이 부착됨과 합께 플렌지부착 열성형물품(15)의 림에 맞물리는 작용위치와, 비 작용개방 위치사이에 이동가능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는 적당한 작동원에 의해 조작되는 래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장치.
  19.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물품(15)의 각각을 각 템플릿(17)의 수용 구멍에 싱크하기 위한 공기 분류(5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는 그 베이스부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오리피스를 구비한 열성형물품(15)을 위한 컵 형상의 수용 부재(54, 6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열성형물품(15)을 상기 컵 형상 부재(54, 61)로부터 그 컵 형상의 부재의 저부에 형성된 하나이상의 오리피스를 통하여 작용함으로써 푸쉬로드(5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장치.
  2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템플릿(17)의 각 수용 시이트 사이에 배치된 얕은 열성형물을 위한지지 쇼울더부을 가지고 이 쇼울더부는 2개의 직경이 혹은 상기 물품의 림의 내경에 맞물리는 환상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장치.
  2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각 템플렛(17)의 표면으로부터 각각의 더미 수용 시이트와 상승 이동하는 푸쉬로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장치.
  2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하 반전형태의 중공 물품(15)이 맞닿는 하나이상의 환상요부와, 상기 물품(15)의 떼어내기 위한 가동 푸쉬 로드(5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성형장치.
KR1019970701677A 1994-09-14 1995-09-01 리번 또는 시트상의 열성형가능한 재료용 열성형장치 KR100378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VR94A000082 1994-09-14
IT94VR000082A IT1268286B1 (it) 1994-09-14 1994-09-14 Apparecchiatura di termoformatura di materiali termoformabili in nastro o lastr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8577B1 true KR100378577B1 (ko) 2003-06-12

Family

ID=1142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1677A KR100378577B1 (ko) 1994-09-14 1995-09-01 리번 또는 시트상의 열성형가능한 재료용 열성형장치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20020127295A1 (ko)
EP (1) EP0781193B1 (ko)
JP (1) JPH10505556A (ko)
KR (1) KR100378577B1 (ko)
CN (1) CN1112288C (ko)
AT (1) ATE213455T1 (ko)
AU (1) AU692304B2 (ko)
BR (1) BR9508926A (ko)
CA (1) CA2199807C (ko)
DE (2) DE69525537T2 (ko)
DK (1) DK0781193T3 (ko)
ES (1) ES2173193T3 (ko)
HU (1) HU219110B (ko)
IT (1) IT1268286B1 (ko)
MX (1) MX9701981A (ko)
NO (1) NO971160L (ko)
PL (1) PL179052B1 (ko)
PT (1) PT781193E (ko)
RO (1) RO119603B1 (ko)
RU (1) RU2159181C2 (ko)
WO (1) WO1996008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89111B1 (it) * 1996-05-28 1998-09-25 Isap Omv Group Spa Apparecchiatura di prelievo e lavorazione di oggetti termoformati da una macchina termoformatrice
IT1293955B1 (it) * 1997-06-13 1999-03-11 Isap Omv Group Spa Dispositivo a piastra per il prelievo e l'allontanamento di una stampata di oggetti termoformati da una pressa di termoformatura
DE19848627B4 (de) 1998-10-22 2004-12-23 Gabler Maschinenbau Gmbh Stapelvorrichtung für eine Thermoformvorrichtung
JP4422839B2 (ja) * 2000-01-13 2010-02-24 東レ・デュポン株式会社 開放型ポリイミド成形品の製造方法
FR2843094B1 (fr) * 2002-08-02 2004-10-15 Arcil Procede et machine de formage integre pour la fabrication de pots non demoulables sans perte notable de materiau.
WO2005089984A1 (ja) * 2004-03-23 2005-09-29 Sintokogio, Ltd. 鋳型造型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金型装置
US20060096960A1 (en) * 2004-11-09 2006-05-11 Mobile Tool Management, Inc. Method of marking and tracking objects
CN102582067B (zh) * 2012-01-20 2014-10-01 汕头市明发机械有限公司 翻转模热成型机的接杯装置
CN112045973A (zh) 2015-08-31 2020-12-08 转化器生产有限责任公司 形成的具有平滑边缘的热塑性制品
ITUA20163156A1 (it) * 2016-05-04 2017-11-04 Mondini S R L Apparecchiatura per la termoformatura di contenitori plastici
CN109399201A (zh) * 2018-11-09 2019-03-01 瑞安市卓瑞机械有限公司 制品杯盒翻转吸料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7695A (ko) * 1992-02-03 1993-09-20 파도바니 피에트로 바탕이 열가소성 판재로 형성되는 중공 물건의, 열성형 및 치쌓기의 방법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2454A (en) * 1959-03-30 1961-07-18 Owens Illinois Glass Co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blown plastic containers
FR2416856A1 (fr) * 1978-02-14 1979-09-07 Poullain Bernard Dispositif de prehension de corps creux en particulier de pots d'horticulture
IT1175178B (it) * 1983-11-15 1987-07-01 Omv Spa Off Mecc Veronese Estrattore di oggetti ottenuti con termoformatrici
US4684012A (en) * 1984-07-06 1987-08-04 Fedders Machine And Tools Co., Inc. Blow molding pallet assembly
US4807421A (en) * 1985-07-19 1989-02-28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Equipment for handling various containers
PT81912B (pt) * 1985-10-28 1992-11-30 Remy & Cie E P Transportador de recipientes
DE3928301A1 (de) * 1989-08-26 1991-02-28 Illig Maschinenbau Adolf Vorrichtung zum entnehmen von warmgeformten gegenstaend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aus einer kombinierten form/stanzstation einer thermoformmaschine
IT1262775B (it) * 1993-01-12 1996-07-04 Isap Omv Group Spa Testa di prelievo e trasferimento di oggetti cavi, particolarmente perapparecchiature termoformatrici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7695A (ko) * 1992-02-03 1993-09-20 파도바니 피에트로 바탕이 열가소성 판재로 형성되는 중공 물건의, 열성형 및 치쌓기의 방법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T77192A (hu) 1998-03-02
EP0781193A1 (en) 1997-07-02
NO971160D0 (no) 1997-03-13
ITVR940082A1 (it) 1996-03-14
ATE213455T1 (de) 2002-03-15
IT1268286B1 (it) 1997-02-27
CA2199807C (en) 2007-04-24
JPH10505556A (ja) 1998-06-02
WO1996008357A1 (en) 1996-03-21
EP0781193B1 (en) 2002-02-20
DK0781193T3 (da) 2002-06-03
AU692304B2 (en) 1998-06-04
DE69525537T2 (de) 2002-10-31
CN1162286A (zh) 1997-10-15
DE29514719U1 (de) 1995-11-02
CN1112288C (zh) 2003-06-25
AU3520495A (en) 1996-03-29
US20020127295A1 (en) 2002-09-12
DE69525537D1 (de) 2002-03-28
PL179052B1 (en) 2000-07-31
PL319138A1 (en) 1997-07-21
RU2159181C2 (ru) 2000-11-20
ES2173193T3 (es) 2002-10-16
RO119603B1 (ro) 2005-01-28
BR9508926A (pt) 1997-11-25
PT781193E (pt) 2002-07-31
ITVR940082A0 (it) 1994-09-14
NO971160L (no) 1997-05-13
HU219110B (hu) 2001-02-28
CA2199807A1 (en) 1996-03-21
MX9701981A (es) 199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8577B1 (ko) 리번 또는 시트상의 열성형가능한 재료용 열성형장치
US5578331A (en) Automated apparatus for preparing contact lenses for inspection and packaging
EP1075419B1 (en)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of carton set up
US5749205A (en) Autom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olidating products for packaging
CN217260865U (zh) 用于制造具有多个饮料罐的合装包的工作工具和工业机器人
US9333696B2 (en) Plate and apparatus for forming a plastic material flanged hollow article
CN108750235B (zh) 激光加工二维码在线切割打标检测包装自动化生产方法
US20070059152A1 (en) Methosand device for handling rod-shaped objects
MXPA97001981A (en) Thermoformation apparatus for thermoformable materials in the form of tape or h
CN212684447U (zh) 一种吹瓶机的上料装置
EP0531922B1 (en) Positioning and indexing molded hollow plastic articles
RU97105845A (ru) Термоформ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рмоформуемых материалов в форме ленты или листа
CN213473635U (zh) 用于制造包装单元的包装系统
EP16314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objects from forming means
US5919496A (en) Flanging apparatus particularly for hollow articles obtained by thermoforming sheet material
EP063545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sing glass articles
US6192778B1 (en) Cutting apparatus for separating packages from a line
EP0666794B1 (en) Flanging apparatus particularly for hollow articles obtained by thermoforming sheet material
CN115503991B (zh) 容器的盖关闭装置、容器的盖关闭方法
GB2239450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enesting containers
AU2809099A (en) Autom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olidating products for pack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