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337B1 -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337B1
KR100377337B1 KR10-2000-0022500A KR20000022500A KR100377337B1 KR 100377337 B1 KR100377337 B1 KR 100377337B1 KR 20000022500 A KR20000022500 A KR 20000022500A KR 100377337 B1 KR100377337 B1 KR 100377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ervice
information
server
rese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9537A (ko
Inventor
권황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베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베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베콤
Priority to KR10-2000-002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337B1/ko
Publication of KR20010099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337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자의 이용실적에 따라 보너스 점수를 부여하는 사업자에서 발행한 보너스 카드로 다기능 공중전화기에서 제공하는 전화통화, 복사, 팩스, 전자메일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서비스의 이용대금을 카드에 누적된 보너스 점수에 대응하는 적립금액으로 지불하도록 한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소비자가 카드를 다기능 공중전화기에 투입하면, 다기능 공중전화기는 투입된 카드의 정보를 판독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보너스 카드를 발급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 중에서 판독된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 검출하고, 검출된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 접속하여 카드의 사용가능 여부를 확인하며; 카드가 사용 가능하면,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카드에 적립된 적립금을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서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카드의 적립금을 다기능 공중전화기로 전송하며; 다기능 공중전화기는 카드의 적립금에 대응하여 소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소비자에게 제공된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서비스 이용정보를 소정의 사용자 서버로 전송하여 서비스의 이용대금을 청구한다.
그러면, 소비자는 카드를 발행한 사업자에 한정되지 않고 보너스 점수에 대응하는 적립금을 보다 폭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와 접속하여 카드의 불량 거래자 정보와 보너스 점수의 환산비율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복합단말기에서 보다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offering service use reserve of a card and method for offering thereof}
본 발명은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의 이용실적에 따라 보너스 점수를 부여하는 사업자에서 발행한 보너스 카드로 다기능 공중전화기에서 제공하는 전화통화, 복사, 팩스, 전자메일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서비스의 이용대금을 카드에 누적된 보너스 점수에 대응하는 적립금액으로 지불하도록 한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신용카드, 공중전화카드, 백화점카드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현금보다 보관이나 사용 및 사용내역의 관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카드의 사용은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카드 중에는 운송 사업자(항공사업자, 해운사업자, 철도사업자...), 통신 사업자(이동통신사업자, 유선통신사업자...), 판매 사업자(정유판매업자, 의류판매업자, 식품판매업자...) 등을 포함한 각종 사업자들이 소비자를 보다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소비자의 구매를 활성화하기 위한 보너스 카드가 포함된다.
보너스 카드는 소비자의 이용실적에 따라 일정비율로 보너스 점수가 부가되는 것으로, 누적된 보너스 점수를 이용하여 각종 사은품이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소비자가 정유회사에서 휘발유나 경유를 구매하는 경우, 정유회사는 소비자가 구매한 휘발유나 경유 값에 대응하는 일정비율의 포인트를 적립한다. 이러한 포인트가 계속 누적되어 일정 기준에 도달하면, 소비자는 정유회사에서 제공하는 각종 사은품(휴지, 차량액세서리 등)이나 서비스(세차, 할인 등)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비자의 이용실적에 따라 보너스 점수를 부여하는 사업자는 소비자마다 보너스 카드를 발급하고, 소비자가 제시하는 보너스 카드로 적립된 보너스 점수를 조회하며, 조회된 보너스 점수에 대응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소비자는 보너스 카드가 발급된 장소에 관계없이, 동일한 사업자에 한해서는 어디서나 보너스 점수를 적립할 수 있으며, 보너스 점수에 대응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보너스 점수는 사업자마다 개별적으로 관리하며, 적립된 보너스 점수는 해당 사업자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즉, 정유회사에서 발급된 보너스 카드는 정유회사에서만 이용할 수 있고, 적립된 보너스 점수도 정유회사에서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택의 폭이 좁으며, 각각의 사업자마다 적립된 보너스 점수의 호환성이 없다.
한편, 최근 들어 통신수단의 가장 대표적인 전화기는 종래 제공되는 단순한 통화장비로서의 전화기 기능에서 벗어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기능들이 전화기에 부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 공중전화기는 전화서비스 업체에서 일반 사용자를 위해 설치한 것으로, 국내 특허출원 제 99-65769 호(발명의 명칭: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혹은, 다기능 공중전화기))에서와 같이 공중전화기에 팩시밀리기능과 전자우편(E-mail) 송/수신기능 및 인터넷기능과 프린트기능을 통합 및 내장하여 여러 가지 복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불특정 지역에서도 사무자동화기기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의 이용실적에 따라 보너스 점수를 부여하는 각종 사업자 서버와 접속하여, 전화통화, 팩스, 복사, 전자메일 등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기능 공중전화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카드에 적립된 적립금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기능 공중전화기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불량 거래자 정보나 보너스 점수를 적립금으로 환산하는 비율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다기능 공중전화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공중전화기의 블록도.
도 3은 다기능 공중전화기에서 카드의 적립금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카드의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의 제공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카드의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의 제공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 서비스 제공자 서버 101,111 : 중앙처리장치
102,112 : 인터페이스부 103,113 : 사업자서버 검출부
104,114 : 카드검증부 105,115 : 적립금 검출부
106,116 : 대금청구부 107,117 : 사업자정보 데이터베이스
108,120 : 서비스 이용정보 데이터베이스
118 : 불량거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119 : 보너스 점수 환산비율정보 데이터베이스
200 : 다기능 공중전화기 201 : 제어부
202 : 카드판독부 203 : 입력부
204 : 표시부 205 : 서비스 제공부
206 : 서비스 이용정보 관리부 207 : 인터페이스부
208 : 통화회로 209 : 전화망 제어부
210 : 모뎀 211 : 통신망 제어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화통화, 팩스, 전자메일, 복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기능 공중전화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의 각종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소비자의 이용실적에 따라 보너스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소비자를 식별하기 위한 카드를 발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서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통신망과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의 정보와,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서 상기 소비자가 이용한 상기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 중에서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 투입된 상기 소비자의 카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사업자 서버를 검출하고, 상기 소정의 사업자 서버와 접속하는 사업자 서버 검출부;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서 판독되어 전송된 상기 소비자의 카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접속된 소정의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 투입된 상기 소비자의 카드의 사용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카드 검증부; 사업자 검출부에서 검출된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카드에 적립된 보너스 점수에 대응하는 적립금을 검출하는 적립금 검출부; 상기 카드의 적립금 중에서 상기 소비자가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서 이용한 상기 서비스의 이용대금을 상기 소정의 사업자 서버로 청구하는 대금 청구부; 및 상기 사업자 서버의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 투입된 상기 소비자의 카드에 대응하는 상기 카드의 사용가능 여부와, 사용 가능한 상기 카드에 적립된 보너스 점수에 대응하는 적립금을 검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서 다운로드된 상기 카드의 적립금을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로 전송하고,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서 상기 소비자가 이용한 상기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서비스의 이용대금을 상기 소정의 사업자 서버로 청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화통화, 팩스, 전자메일, 복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기능 공중전화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의 각종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소비자의 이용실적에 따라 보너스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소비자를 식별하기 위한 카드를 발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서 연결된 시스템에서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가 상기 카드를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 투입하면,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는 투입된 상기 카드의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서 전송된 카드 정보에 의해 소비자의 카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사업자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카드의 사용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 가능한 카드에 적립된 보너스 점수에 대응하는 적립금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카드의 적립금 정보를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 상기 카드의 적립금에 대응하여 상기 소비자에게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소비자에게 제공된 상기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서비스 이용정보를 상기 카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사용자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의 이용대금을 청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를 중심으로 전화통화, 팩스, 복사 및 전자메일 등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와, 소비자의 이용실적에 따라 보너스 점수를 부여하는 사업자 서버(300)가 각각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제어부(201)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다기능 공중전화기(2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카드판독부(202)는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서비스의 이용대금을 지불하기 위해 삽입하는 카드의 정보를 판독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카드는 마그네틱 카드(이하, "MS 카드"로 칭함)와 IC 카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카드정보는 적어도 카드의 종류, 카드를 발행한 사업자, 카드번호를 포함한다.
카드판독부(202)는 삽입된 카드가 MS카드인지 IC카드인지 판별하고, MS카드가 삽입되면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판독하고, IC카드가 삽입되면 특정 메모리번지에 기록된 아스키코드(ASCII code)를 읽어 이 값으로 IC카드의 정보를 판독한다.
입력부(203)는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의 사용자의 각종 조작에 의해 선택된 입력상태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201)에 입력한다.
표시부(204)는 다기능 공중전화기(200)가 현재 작동중인 상태와 각종 표시상태를 표시한다.
서비스 제공부(205)는 입력부(203)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예컨대,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제공하는 전화통화, 팩스, 복사, 전자메일 등의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가 복사 서비스를 선택하면, 서비스 제공부(205)는 사용자가 세팅한 문서를 스캐닝하고, 스캐닝한 문서를 용지에 인쇄하며, 인쇄된 용지를 출력하는 복사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러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종 구성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기 출원된 명세서(1999년 특허출원 제65769호)에 충분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비스 이용정보 관리부(20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카드판독부(202)에서 판독된 카드에 적립된 금액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 서비스의 종류와 이용금액을 포함한 서비스 이용정보를 저장한다.
인터페이스부(207)는 제어부(201)와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면서, 카드판독부(202)와 통화회로(208)의 각종 동작에 대한 제어 및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상태를 인터페이스한다.
통화회로(208)는 일반적인 공중전화기의 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화제어부와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신호 발생부 및 변/복조부와 선로 정합부 등을 포함한다.
전화망 제어부(209)는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와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사이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한다.
모뎀(210)은 다기능 공중전화기(200)로부터 통신망(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혹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을 통해 전송할 팩스데이터 혹은 전자우편 등의 각종 정보, 특히 카드판독부(202)에서 판독된 카드정보를 디지털신호로 변조하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팩스데이터 혹은 전자우편 및 인터넷 검색결과 등의 각종 정보, 특히 카드판독부(202)에서 판독된 카드에 적립된 적립금 정보를 아날로그형태로 복조한다.
통신망 제어부(211)는 모뎀(210)과 통신망을 인터페이스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카드투입구(도시 안됨)로 투입된 카드에 적립된 금액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의 제어부(201)는 카드투입구로 카드가 삽입되면(S301), 카드판독부(202)를 제어하여 투입된 카드의 정보를 판독한다(S302). 카드판독부(202)는 투입된 카드가 MS카드이면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판독하고, IC카드이면 특정 메모리번지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판독하여 이를 제어부(201)에 입력한다.
카드판독부(202)는 판독된 카드정보에 따라 투입된 카드의 종류가 보너스 카드인지 확인하고(S303), 투입된 카드가 보너스 카드가 아니면 카드 적립금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종료한다.
투입된 카드가 보너스 카드이면, 제어부(201)는 투입된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모뎀(210)을 제어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에 연결한다. 이에 따라 모뎀(210)은 통신망 제어부(211)를 제어하여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에 접속하고, 카드판독부(202)에서 판독된 카드정보를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로 전송한다(S304).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는 다기능 공중전화기(200)로부터 카드정보가 수신되면, 카드에 대응하는 사업자 서버와 접속하여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인지 조회하고, 사용 가능한 카드인 경우에는 카드에 적립된 적립금을 조회하며, 그 결과를 다기능 공중전화기(200)로 전송한다.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의 제어부(201)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에서 카드투입구에 투입된 사용자의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라고 판정되었는지 확인하고(S305), 사용 가능한 카드라고 판정되었으면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카드의 적립금을 표시부(204)에 표시한다(S306).
카드에 적립된 사용 가능한 금액을 표시부(204)에 표시한 후, 제어부(201)는 입력부(203)를 통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서비스를 선택하였는지 확인하고(S307), 서비스 제공부(205)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308).
서비스 이용정보 관리부(206)는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이용정보, 즉 서비스의 종류와 이용금액을 저장하고(S309), 서비스의 이용금액이 카드에 적립된 금액을 초과하는지 확인한다(S310).
확인결과, 서비스의 이용금액이 카드에 적립된 금액을 초과하면 제어부(201)는 서비스의 제공을 종료하고(S311), 서비스의 이용금액이 카드에 적립된 금액을 초과하지 않으면 서비스 이용금액이 차감된 카드의 적립금을 표시부(204)에 표시한다.
서비스 이용금액이 카드에 적립된 금액을 초과하여 서비스의 제공이 종료되면, 제어부(201)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로 전송한다(S312).
또한, 카드판독부(202)에서 판독된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인지 확인하는 단계 305(S305)에서 카드의 사용이 불가능하다고 판정되면, 제어부(201)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부(204)에 표시한 후(S313), 종료한다.
또한, 사용자가 소정의 서비스를 선택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307(S307)에서의 확인결과, 사용자가 서비스를 선택하지 않으면 서비스 이용정보 관리부(206)에서 저장한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로 전송하는 단계 312(S312)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며,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카드 적립금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는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판독된 카드의 사용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과, 카드에 누적된 보너스 점수에 대응하는 적립금을 검출하는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실시예가 존재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카드의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의 제공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의 중앙처리장치(101)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인터페이스부(102)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를 통신망에 연결하는 부분으로,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카드정보를 수신하거나, 카드에 대응하는 사업자 서버에서 카드의 적립금을 수신하여 다기능 공중전화기(200)로 전송한다.
사업자 서버 검출부(103)는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 중에서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수신된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사업자 서버를 사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07)에서 검출한다.
카드검증부(104)는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 투입된 카드에 대응하여 검출된 사업자 서버에서 카드의 사용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적립금 검출부(105)는 사업자 서버 검출부(103)에서 검출된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서 카드에 누적된 보너스 점수에 대응하는 적립금을 다운로드한다. 여기서, 카드의 적립금은 카드에 대응하는 사업자의 서버에서 카드에 누적된 보너스 점수를 일정비율로 환산한 사용 가능한 금액이며, 보너스 점수를 사용 가능한 적립금으로 환산하는 비율은 각각의 사업자마다 상이할 수 있다.
대금 청구부(106)는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의 이용대금을 청구하는 부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된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서비스 이용정보 데이터베이스(108)에서 검출하여 이를 카드에 대응하는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고, 서비스의 이용대금을 청구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의 중앙처리장치(101)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카드정보가 수신되면(S501), 수신된 카드종류에 대응하는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 접속한다(S502).
즉, 사업자 서버 검출부(103)는 중앙처리장치(101)의 제어에 따라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수신된 카드정보에 포함되는 카드의 발행 사업자를 사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07)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소정의 사업자 서버와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한다.
여기서, 사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07)에는 카드를 발행한 사업자명과, 사업자 서버의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는 통신망을 통하여 소비자의 이용실적에 따라 보너스 점수를 부여하는 사업자 서버와 접속하여 사업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 투입된 카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사업자 서버와 접속되면, 카드검증부(104)는 소정의 사업자 서버로 카드의 조회를 요구하고(S503), 카드의 사용이 가능한지 확인한다(S504).
즉, 카드검증부(104)는 중앙처리장치(101)의 제어에 따라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수신된 카드정보에 포함된 카드번호를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 전송하고, 소정의 사업자 서버는 기 저장된 거래고객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카드번호를 참조하여 해당 카드의 사용자가 불량 거래자인지 확인하여 그 결과를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로 전송하며, 카드검증부(104)는 조회결과에 따라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 투입된 카드의 사용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해당 카드가 사용 가능하다고 판정되면, 적립금 검출부(105)는 중앙처리장치(101)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사업자 서버로 카드에 적립된 금액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S505),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서 카드의 적립금정보를 다운로드한다(S506).
즉, 적립금 검출부(105)는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 카드의 적립금 정보를 요청하고, 소정의 사업자 서버는 기 저장된 거래고객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카드번호를 참조하여 해당 카드에 누적된 보너스 점수를 검출하며 검출된 보너스 점수를 기 설정된 일정비율에 따라 실제 사용 가능한 금액으로 환산하며, 적립금 검출부(105)는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서 환산된 적립금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적립금 검출부(105)를 통하여 카드의 적립금 정보가 다운로드되면, 중앙처리장치(101)는 다운로드된 적립금을 인터페이스부(102)를 통하여 다기능 공중전화기(200)로 전송한다(S507).
다기능 공중전화기(200)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에서의 카드 조회결과, 즉 카드의 사용가능여부와 카드의 적립금에 따라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된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로 전송한다.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의 중앙처리장치(101)는 카드의 적립금을 다기능 공중전화기(200)로 전송한 후,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된 서비스의 이용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하고(S508),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서비스 이용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며(S509),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수신되는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한다(S510).
대금 청구부(106)는 서비스 이용정보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된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소정의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고(S511), 소정의 사업자 서버로 서비스의 이용대금을 청구한다(S512).
여기서, 대금 청구부(106)는 서비스 이용정보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된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실시간으로 해당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여 기 저장된 카드의 보너스 점수를 갱신하도록 요구하며, 해당 사업자 서버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이용정보에 따라 카드의 보너스 점수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보너스 점수를 부여하는 사업자에서 발급된 카드의 적립금을 이용하여 다기능 공중전화기에서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카드의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의 제공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의 중앙처리장치(111)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인터페이스부(112)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를 통신망에 연결하는 부분으로,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카드정보를 수신하거나, 카드의 적립금을 다기능 공중전화기(200)로 송신한다.
사업자 서버 검출부(113)는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 중에서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수신된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사업자 서버를 사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7)에서 검출한다.
이때, 사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7)에는 소비자의 이용실적에 따라 보너스 점수를 부여하고 카드를 발행하는 사업자명과, 사업자 서버의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하여 사업자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한다.
카드검증부(114)는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 투입된 카드의 사용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부분으로, 카드의 사용자를 불량 거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8)에서 검색하여 카드의 사용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불량 거래자정보 데이터베이스(118)에는 각각의 사업자에 대응하여 거래가 불량한 카드의 번호와 사용자가 저장되며, 소비자의 이용실적에 따라 보너스 점수를 부여하는 각각의 사업자 서버와 접속하여 사업자 서버에 저장된 불량 거래자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한다.
적립금 검출부(115)는 카드검증부(114)에서 사용이 검증된 카드의 적립금을 검출하는 부분으로, 사업자 서버에서 카드에 누적된 보너스 점수를 다운로드하고, 보너스 점수 환산정보 데이터베이스(119)에서 환산비율을 검출하여 다운로드된 보너스 점수를 실제 사용 가능한 금액으로 환산한다.
이때, 각각의 사업자마다 보너스 점수를 실제 사용 가능한 금액으로 환산하는 비율이 상이하므로, 보너스 점수 환산정보 데이터베이스(119)에는 각각의 사업자에 일대일 대응하여 보너스 점수 환산비율이 저장되며, 소비자의 이용실적에 따라 보너스 점수를 부여하는 사업자 서버와 접속하여 보너스 점수 환산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한다.
대금 청구부(116)는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의 이용대금을 청구하는 부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된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서비스 이용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서 검출하여 이를 카드에 대응하는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고, 서비스의 이용대금을 청구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의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제공자 서버(100)의 중앙처리장치(111)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카드정보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하고(S701), 카드검증부(114)는 수신된 카드정보에 대응하여 카드의 사용자가 불량 거래자인지 확인한다(S702).
즉, 카드검증부(114)는 중앙처리장치(111)의 제어에 따라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수신된 카드정보에 포함되는 카드번호가 불량 거래자정보 데이터베이스(118)에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카드번호가 불량 거래자정보 데이터베이스(118)에 존재하면 카드의 사용이 불가능하다고 판정한다.
카드검증부(114)에서 카드의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정되면, 사업자 서버 검출부(113)는 중앙처리장치(111)의 제어에 따라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수신된 카드정보에 포함된 카드의 발행 사업자를 사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7)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소정의 사업자 서버와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한다(S703).
카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사업자 서버와 접속되면, 적립금 검출부(115)는 접속된 소정의 사업자 서버로 카드에 누적된 보너스 점수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S704),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서 보너스 점수정보를 다운로드한다(S705).
적립금 검출부(115)는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서 카드의 보너스 점수가 다운로드되면, 보너스 점수 환산정보 데이터베이스(119)에서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 대응하는 환산비율 정보를 검출하고, 다운로드된 보너스 점수를 검출된 비율로 환산하여 실제 사용 가능한 금액을 검출한다(S706).
중앙처리장치(111)는 적립금 검출부(115)에서 검출된 카드의 적립금을 인터페이스부(112)를 통하여 다기능 공중전화기(200)로 전송하고(S707),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된 서비스의 이용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S708).
중앙처리장치(111)는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서비스의 이용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며(S709), 다기능 공중전화기(200)에서 서비스의 이용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서비스 이용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S710).
대금 청구부(116)는 서비스 이용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해당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고(S711), 서비스의 이용대금을 청구한다(S712).
여기서, 대금 청구부(116)는 서비스 이용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실시간으로 해당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여 사업자 서버에 기 저장된 카드의 보너스 점수를 갱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보너스 점수를 부여하는 사업자에서 발급된 카드의 적립금을 이용하여 다기능 공중전화기에서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카드의 사용가능 여부와, 보너스 점수 환산비율 정보를 저장하여 보다 신속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자의 이용실적에 따라 보너스 점수를 부여하는 각각의 사업자에서 발급한 보너스 카드를 이용하여 전화통화, 팩스, 복사, 전자메일 등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기능 공중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업자에 한정되지 않고 보너스 점수에 대응하는 적립금을 보다 폭넓게 사용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전화통화, 팩스, 전자메일, 복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기능 공중전화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의 각종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소비자의 이용실적에 따라 보너스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소비자를 식별하기 위한 카드를 발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서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통신망과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의 정보와,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서 상기 소비자가 이용한 상기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 중에서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 투입된 상기 소비자의 카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사업자 서버를 검출하고, 상기 소정의 사업자 서버와 접속하는 사업자 서버 검출부;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서 판독되어 전송된 상기 소비자의 카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접속된 소정의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 투입된 상기 소비자의 카드의 사용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카드 검증부;
    사업자 검출부에서 검출된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카드에 적립된 보너스 점수에 대응하는 적립금을 검출하는 적립금 검출부;
    상기 카드의 적립금 중에서 상기 소비자가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서 이용한 상기 서비스의 이용대금을 상기 소정의 사업자 서버로 청구하는 대금 청구부; 및
    상기 사업자 서버의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 투입된 상기 소비자의 카드에 대응하는 상기 카드의 사용가능 여부와, 사용 가능한 상기 카드에 적립된 보너스 점수에 대응하는 적립금을 검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서 다운로드된 상기 카드의 적립금을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로 전송하고,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서 상기 소비자가 이용한 상기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서비스의 이용대금을 상기 소정의 사업자 서버로 청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정보는,
    적어도 상기 소비자가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서 이용한 상기 서비스의 종류와, 상기 서비스의 이용금액을 포함하는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립금 검출부는,
    상기 카드에 적립된 보너스 점수에 대응하는 적립금정보를 상기 소정의 사업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검출하는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립금 검출부는,
    상기 카드에 적립된 보너스 점수를 상기 소정의 사업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상기 보너스 점수를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환산비율을 대입 연산하여 적립금을 검출하는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검증부는,
    상기 카드의 사용가능 여부를 상기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서 검색하는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검증부는,
    상기 카드의 사용가능 여부를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불량 거래자 정보에서 검색하는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4 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사업자와 거래하는 소비자 중에서 불량 거래자의 정보와, 상기 보너스 점수를 사용 가능한 상기 적립금으로 환산하는 비율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사업자로부터 전송된 상기 불량 거래자 정보와 상기 보너스 점수 환산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업데이트하는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시스템.
  8. 전화통화, 팩스, 전자메일, 복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기능 공중전화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의 각종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소비자의 이용실적에 따라 보너스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소비자를 식별하기 위한 카드를 발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서 연결된 시스템에서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가 상기 카드를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 투입하면,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는 투입된 상기 카드의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서 전송된 카드 정보에 의해 소비자의 카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사업자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카드의 사용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 가능한 카드에 적립된 보너스 점수에 대응하는 적립금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카드의 적립금 정보를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 상기 카드의 적립금에 대응하여 상기 소비자에게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소비자에게 제공된 상기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서비스 이용정보를 상기 카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사용자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의 이용대금을 청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정보는,
    적어도 상기 소비자가 상기 다기능 공중전화기에서 이용한 상기 서비스의 종류와, 상기 서비스의 이용금액을 포함하는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정보는,
    적어도 상기 카드의 종류와, 상기 카드를 취급하는 사업자와, 상기 카드번호를 포함하는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립금 검출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 중에서 판독된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사업자 서버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카드의 사용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카드가 사용 가능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상기 카드에 적립된 적립금을 상기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서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립금 검출단계는,
    판독된 상기 카드 정보가 기 저장된 불량 거래자 정보에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단계;
    상기 카드 정보가 상기 불량 거래자 정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 중에서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사업자 서버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소정의 사업자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카드에 적립된 상기 보너스 점수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보너스 점수가 다운로드되면, 상기 보너스 점수를 기 저장된 환산비율에 대입 연산하여 적립금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사업자와 거래하는 소비자 중에서 불량 거래자의 정보와, 상기 보너스 점수를 사용 가능한 상기 적립금으로 환산하는 비율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에서 전송된 상기 불량 거래자 정보와 상기 보너스 점수 환산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0-0022500A 2000-04-27 2000-04-27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77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500A KR100377337B1 (ko) 2000-04-27 2000-04-27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500A KR100377337B1 (ko) 2000-04-27 2000-04-27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537A KR20010099537A (ko) 2001-11-09
KR100377337B1 true KR100377337B1 (ko) 2003-03-26

Family

ID=1966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500A KR100377337B1 (ko) 2000-04-27 2000-04-27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535A (ko) * 2000-05-15 2001-11-26 이우일 온라인 누적 적립카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465335B1 (ko) * 2002-09-18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럭스게이트를 구비한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537A (ko) 200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55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5998164B2 (ja) カード支払いシステムのためのダイナミックな通貨変換
US71315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repaid account replenishment
WO19970045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ummaries of prepaid instrument transaction activity
NO315626B1 (no) System for beordring og betaling av tjenester ved hjelp av telekommunikasjonsnett
KR20020022035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프린팅 시스템 및 프린팅 요금징수 방법
JP2002103752A (ja) 携帯情報端末を用いた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課金方法
WO2003013045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roduct orders placed through a network
KR101321131B1 (ko)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389667B1 (ko)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데이터 제공 방법
KR20000007062A (ko) 사이버 티켓 구매 시스템 및 그 구매 방법
KR20010100376A (ko) 전자 상거래 중개방법 및 시스템
EP1385322A1 (en) Voice communication connection/charging proxy support system
KR100377337B1 (ko) 카드 적립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4107001B2 (ja) 対象機器の利用促進システム
KR20050037941A (ko) 콜백 url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지로고지 및자가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132901A (ja) 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媒体
JP2870434B2 (ja) コードレス情報サービス装置
JP2002163575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レンタル商品の予約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422171B1 (ko) 공중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식권 발급시스템
JP2005327167A (ja) 文字情報販売システム
JP2001306955A (ja) 有料情報送信方法および装置
JPH041379B2 (ko)
KR20020058994A (ko) 휴대용 단말기와 이동 통신 사업자간 전자 신용 결제 방법및 시스템
JP2002312138A (ja) 街頭設置型印刷装置および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