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533B1 - 플래쉬버트용접기의강판실두께측정에의한용접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플래쉬버트용접기의강판실두께측정에의한용접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533B1
KR100376533B1 KR10-1998-0056492A KR19980056492A KR100376533B1 KR 100376533 B1 KR100376533 B1 KR 100376533B1 KR 19980056492 A KR19980056492 A KR 19980056492A KR 100376533 B1 KR100376533 B1 KR 100376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steel sheet
electrode
welding
upp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0766A (ko
Inventor
김명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8-005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533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5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92Welding in the rolling direction

Landscapes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연강판의 실제두께를 별도로 측정할 필요 없이 용접기의 동작 중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측정하여, 높이를 미세조정함으로서 용접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불량용접에 의한 재용접 발생시간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래쉬 버트 용접기의 강판 실 두께측정장치에 의한 용접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용접제어장치는 플래쉬 버트 용접기의 입측상부전극과 출측상부전극을 상승/하강시키는 입측상부전극실린더 및 출측상부전극실린더에 절대위치검출센서를 부착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검출값으로부터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의 실제두께차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실제 두께차만큼 이동대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플래쉬 버트 용접기의 강판 실 두께측정에 의한 용접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WELDING BY REAL THICKNESS MEASURE OF PLATE IN FLASH BUTT WELDER}
본 발명은 산세와 압연의 연속설비에 있어서 선,후행 강판을 용접하는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후행 강판의 용접시 강판 선단부의 두께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선후행 강판이 서로 중심에 정확하게 용접되도록 제어하여, 후공정에서의 용접부위 터짐을 방지하고, 재용접횟수를 감소시켜 생산성향상과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플래쉬 버트 용접기(Flash Butt Welder)의 강판 실 두께측정에 의한 용접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1에 보인 바와 같은 냉간압연 설비에서는 연속적인 작업을 위하여 공정라인의 입측에 열연강판의 선,후행 코일을 용접하는 플래쉬 버트 용접기가 구비되며, 상기 플래쉬 버트 용접기는 도2에 보인 바와 같이, 하부콘크리트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선행강판(12)이 물리는 고정대(2)와, 후행강판(11)이 물리며 상기 고정대(2)의 상부 전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업셋트실린더(5)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고 또한 고정대(2)의 하부 전,후면에 각각 고정된 높이조정실린더(6)에의하여 위,아래로 소정범위(약 ±1.5mm) 이동하는 이동대(1)와, 상기 고정대(2)와 이동대(1)에는 각각 강판을 직접적으로 용접하는 전극이 중앙부에 삽입장착되어 4개의 전극(91∼94)이 한조로 구성되는 전극부와, 용접중 발생된 용접부를 강판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깍아주는 플래쉬 트리머부(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극부에서 이동대(1)에 구비된 전극을 각각 입측상부전극(94)과 입측하부전극(91)으로 부르고, 고정대(2)에 구비된 상/하부전극을 각각 출측상부전극(93)과 출측하부전극(92)이라 부른다. 상기, 입측하부전극(91)과 출측하부전극(92)은 각각 이동대(1)와 고정대(2)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고, 입측상부전극(94)과 출측상부전극(93)은 클램프실린더보호판(8a,8b)에 의해 가려진 4개의 클램프실린더에 의하여 상하로 동작하여 강판을 압착하는 것으로, 강판이 상하부전극(91∼94)사이에 물려 압착되었을 때, 전극에 강한 전류를 흘리면서 업셋트실린더(5)를 전진시키면, 이에 따라 이동대(1)가 고정대(2)측으로 이동하면서 후행강판(11)과 선행강판(12)의 용접부를 가압하여 용접시킨다.
상기 입측하부전극(91)과 출측하부전극(92)의 수평레벨은 정확한 용접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며, 이 정확성여부에 따라서 플래쉬 버트 용접기의 용접성이 좌우되는데, 즉 상기 두 전극레벨이 일치하지 않으면 용접부가 냉각압연롤을 통과하면서 터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종래의 입측하부전극(91)과 출측하부전극(92)의 수평레벨 조정방법을 설명하면, 보통 전극(91∼94)은 작업중 마모, 국부적 손상, 기타 용접불량 등의 원인에 의해 주기적(보통 주 1회)으로 교환하게 되며, 전극교환 후에는 새 전극의 두께와 연마정도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수평레벨 일치작업을 수행한다.
이는 특별히 주문제작된 1/100mm까지 측정가능한 수평레벨기(91a, 92a)를 각각 입측하부전극(91)의 상면과 출측하부전극(92)의 상면에 얹어놓고, 상기 수평레벨기(91a, 92a)의 디지털수치를 읽으면서 조작판넬(도시생략)의 높이조정실린더 레버를 업 또는 다운조작하면, 높이조정실린더(6)의 실린더로드(6a)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캠(6b)이 회전운동하여 이동대(1)를 수직상승시키거나, 실린더로드(6a)가 위로 올라가면서 캠(6b)을 회전시켜 이동대(1)를 수직하강시켜, 두 전극이 수평이 되도록 높이를 조정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정실린더(6)의 측단에는 트랜스듀서(6c)가 장착되어 있고, 실린더로드부(6a)의 끝단에는 마그네트(6d)가 설치되어 트랜스듀서의 동작원리에 따라 이동대(1)의 전방 및 후방높이를 측정하고, 이는 전기실내의 용접기 컴퓨터에 입력되어져 자동제어에 이용된다.
상기와 같이, 전극교환후 출측하부전극(92)에 대해 입측하부전극(91)이 정확하게 수평상태가 되면, 상기 전,후방의 두 높이조정실린더(6)에 의한 이동대의 높이를 표시하는 표시기(7a,7b)의 표시값을 소정 기준값(예를 들어, 70)으로 세트하고, 용접기컴퓨터(도시생략)에 의해 제어 받아,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이 동일두께일 때는, 더 이상의 조작 없이 그대로 도3의 (a)와 같이 두 강판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용접하고, 도3(b),(c)와 같이 선행강판(12)과 후행강판(11)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는, 용접기컴퓨터(도시생략)에서 입력된 선행강판의 두께에 대한 후행강판의 두께의 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두께차를 다시 2로 나누어, 그 계산된 값만큼 높이조정실린더(F)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두 강판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한 후, 용접한다.
이와 같이, 플래쉬 버트 용접기는 두 강판의 중심에 맞춰 용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이 동작은 정밀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단순히 정보상의 강판두께에 따라 이동대의 높이가 조정된다. 그런데, 통상 열연강판의 두께는 일정한 범위의 편차를 갖게 되며 특히 강판 선단부와 미부는 그 두께편차가 심하며, 더욱이 특수한 원소를 많이 첨가한 강종일수록 그 편차는 더욱 심해진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정보상의 강판두께에만 의존하여 용접제어하는 종래의 경우, 도3의 (d),(e)와 같이, 실제두께와의 차에 의해서 그 중심에서 벗어나 용접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 때문에, 용접이 정확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냉각압연롤 통과시 불완전하게 용접된 용접부는 터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수의 위치센서를 입측상부전극과 출측상부전극 각각의 상하동작용 실린더에 장착하여 강판 압착시 상부전극의 이동거리로부터 선,후행 강판의 실제두께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에 근거해 높이를 조정하여 선,후행 강판의 중심에서 정확하게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플래쉬 버트 용접기의 강판 실 두께측정에 의한 용접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플래쉬 버트 용접기가 쓰이는 냉연공장의 레이아웃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2는 일반적인 플래쉬 버트 용접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플래쉬 버트 용접기에서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사이의 용접상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래쉬 버트 용접기의 강판 실 두께측정에 의한 용접제어장치의 개략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용접제어장치의 동작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용접제어장치의 제어를 받은 플래쉬 버트 용접기의 전극 클램핑 실린더를 보인 정면도로서, (a) 및 (b)는 각각 강판이 없는 상태의 입측전극 및 출측전극 정면도이고, (c) 및 (d)는 각각 강판이 물린 상태의 입측전극 및 출측전극 정면도이다.
도7의 (a)는 플래쉬 버트 용접기의 전극 클램핑 실린더에 장착되는 절대위치센서의 예를 보인 상세사시도이고,
도7의 (b)는 플래쉬 버트 용접기에 장착된 4개의 위치측정장치와 결합된 표시장치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대 2 : 고정대
11,12 : 강판 5 : 업세트 실린더
6 : 높이조정실린더 91∼94 : 전극
41,42 : 높이조정실린더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플래쉬 버트 용접기의 강판 실 두께측정에 의한 용접제어장치는 상하좌우로 이동가능한 강판입측의 이동대와 강판출측의 고정대 및 상기 이동대 및 고정대에 구비된 네 개의전극으로 이루어진 플래쉬 버트 용접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의 높이를 조정하는 제1,2높이조정실린더와,
상기 제1,2높이조정실린더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대의 상하위치를 검출하는 제1,2위치검출센서와,
출측상부전극 및 입측상부전극을 상승/하강시키는 다수의 상부전극실린더에 설치되어 상부전극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3∼제6위치검출센서와,
상기 제1∼제6위치검출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이동대의 위치와 입측상부전극의 위치와 출측상부전극의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1∼제6표시부와,
제3∼제6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입측상부전극의 검출위치와 상기 출측상부전극의 위치와의 차이로서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의 실제두께차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값에 따라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의 중심이 용접되도록 상기 제1,2높이조정실린더를 제어하여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산출 및 제어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래쉬 버트 용접기의 강판 실 두께측정에 의한 용접제어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래쉬 버트 용접기의 강판 실 두께측정에 의한 용접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구성도로서, 고정대(2) 하측 전,후면에 고정설치되어 입측하부전극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2높이조정실린더(41,42)와, 상기 제1,2높이조정실린더(41,42)에 각각 설치되어 입측하부전극의 위치를 검출하는제1,2위치검출센서(43),(44)와, 상기 제1,2위치검출센서(43),(44)에 의하여 검출된 하부전극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1,2표시부(45),(46)와, 상기 입측상부전극(94)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상부전극실린더(J1∼J4)로 이루어진 입측상부전극실린더부(47)와, 상기 출측상부전극(93)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상부전극실린더(K1∼K4)로 이루어진 출측상부전극실린더부(48)와, 각각 입측상부전극실린더부(47)와 출측상부전극실린더부(48)의 다수 실린더(J1∼J4),(K1∼K4)중 바깥쪽으로 설치된 두 전극실린더(J1,J4),(K1,K4)에 각각 설치되어 입측 및 출측 상부전극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3∼제6위치검출센서(49∼52)와, 상기 제3∼제6위치검출센서(49∼52)에 의하여 검출된 입측상부전극(94)의 양단위치와 출측상부전극(93)의 양단위치를 표시하는 각각 제3∼제6표시부(53∼56)와, 수평레벨이 맞춰진 입측상/하부전극(94,91)과 출측상/하부전극(93,92)에 있어서 강판이 없는 상태에서 상부전극(94,93)을 하강시켜 하부전극(91,92)과 닿았을 때 제3∼제6위치검출센서(49∼52)의 검출위치를 제로로 세팅하고, 선,후행강판(C2,C1)이 놓여진 상태에서 제5,6위치검출센서(51,52)에서 검출된 선행강판(C2)의 양단높이와, 제3,4위치검출센서(49,50)로부터 검출된 후행강판(C1)의 양단높이와의 차를 각각 이등분한 값만큼 상기 입측전극의 제1,2높이조정실린더(41,42)를 상승/하강시키는 제어부(PLC)(57)와, 상기 제어부(57)의 산출 및 제어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58)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선,후행강판(C2,C1)의 실제두께 측정을 위하여 설치된 제3∼제6위치검출센서(49∼52)의 실시예를 보인 입/출측상부전극의 정면구성도로서, 후행강판(C1)의 실제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제3,제4위치검출센서(49,50)는 각각 입측상부전극(94)을 상승/하강시키는 네 개의 입측상부전극실린더(J1∼J4)중 바깥쪽에 위치한 두 개의 입측상부전극실린더(J1,J4)의 안쪽으로 하단부에 도7 (a)의 71과 같은 절연된 환고리형의 마그네틱부재(49c,50c)를 각각 고정하고, 도7 (a)의 72와 같이 상기 환고리형 마그네틱부재(49c,50c)의 중앙에 아무 간섭없이 삽입되는 일정길이의 수신바부재(49b,50b)를 일측에 장착한 도 7(a)의 73과 같은 변환기부재(49a,50a)를 상기 마그네틱부재(49c, 50c)의 수직상부위치에 고정된 프레임(M1)에 장착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기부재(49a, 50a)로부터 인출된 전선은 운전실에 마련된 표시기(53, 54)에 연결되며, 또한 제1,2높이조정실린더(41,42)를 제어하는 제어부(57)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5, 제6위치검출센서(51,52)도 상기 제3,4위치검출센서(49,50)와 마찬가지로 출측상부전극(93)을 상승/하강시키는 네 개의 출측상부전극실린더(K1∼K4)중 바깥쪽의 두 출측상부전극실린더(K1,K4) 하단부 및 상부 프레임(M2)에 고정설치되며, 그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은 운전실에 마련된 표시기(55,56)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어부(57)에 연결된다.
도7 (a)에 상기 위치검출센서(49∼52)의 사시도를 보였고, 도7 (b)에 표시기(53∼56)의 실제 사진을 보였다.
상기와 같이, 강판의 실제 두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센서를 입측상부전극 (94) 및 출측상부전극(93)에 각각 두 개 씩 설치한 것은, 인입되는 강판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것이 이상적이지만, 보통은 약간의 편차를 가지고 있으며, 도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불량으로 양단의 두께가 많이 다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래쉬 버트 용접기의 강판 실 두께측정에 의한 용접제어장치의 동작을 보인 플로우챠트로서, 이 도 5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용접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서로 수평하도록 입측전극(91,94)과 출측전극(92,93)이 설치되고, 수평레벨이 맞춰진 상태에서의 제1,2높이조정실린더(41,42)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2위치검출센서(43,44)의 출력값을 소정값(예를 들어, 70)으로 세팅하여 그 표시부(45,46)에 설정된 값, 즉, 70.00mm 가 표시되도록 하는 과정은 종래와 동일하다.
상기, 수평조정된 상태에서의 제1,2높이조정실린더(41,42)의 위치값 세팅은 -값을 표시할 수 없는 표시부(45,46)에서 후행강판이 선행강판보다 두꺼워 전극의 높이(즉, 이동대의 높이)가 마이너스방향(즉, 하강방향)으로 조정되는 경우, 그 하강폭도 나타낼 수 있도록 소정 양의 값(즉, 40∼150사이)으로 설정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70으로 세팅한다.
이와 같이, 세팅된 용접기에서, 이동대(1)의 강판 인입구측에 설치된 포토센서(10)에 의해 선행강판(12)이 감지되면, 제어부(57)는 정보상의 선행 및 후행강판의 두께값으로부터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위치값(C)을 구한다(S51).
그리고, 정보상의 두께값에 의해 구해진 상기 이동대의 조정위치값(C)이 편차상한값, 예를 들어 1보다 크면(S52), 상기 조정위치값(C)만큼 제1,2높이조정실린더(41,42)를 조정하여 이동대(1)를 상승시키고(S55), 상기 정보상의 조정위치값(C)이 편차하한값, 예를 들어 -1보다 작으면(S53), 상기 조정위치값(C)만큼 제1,2높이조정실린더(41,42)를 조정하여 이동대(1)를 하강시키며, 상기 조정위치값(C)이 편차상한값 "1"과 하한값 "-1"의 사이라면, 이동대(1)를 조정하지 않고 그대로 둔다(S57).
상기와 같이, 정보상의 선행강판두께와 후행강판두께에 의해 용접기의 이동대(1)의 높이를 조정한 후, 도 6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출측상부전극(94,93)을 동시에 하강시켜(S58), 하부전극(91,92)과 접촉시킨다(S59). 그리고, 이때, 상기 제3∼제6위치검출센서(49∼52)에 의한 상기 상부전극(94,93)의 검출위치를 제로로 세팅한다(S60).
그 다음, 출측상부전극(93)을 최대한 상승시킨다(S61). 예를 들어, 상기 플래쉬버트용접기의 상부전극(94,93)은 최대 90mm까지 이동가능하다고 할 때, 상승완료된 출측상부전극(93)의 검출위치는 표시부(53,54) 및 제어부(57)에 90으로 표시되고 입력된다. 상기 상태에서, 선행강판을 출측에 공급하고(S62), 선행강판의 출측공급이 완료되면 상승시켰던 출측상부전극(93)을 하강시켜 강판을 압착하고(S63), 입측상부전극(94)을 상기 출측상부전극(93)과 마찬가지로 최대한 상승시킨 상태에서(S64). 입측, 즉 이동대에 후행강판을 공급한다(S65).
후행강판이 정해진 위치에 오면 상승시켰던 입측상부전극(94)을 하강시켜 후행강판을 압착시킨다(S66).
도6의 (c),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측 및 출측전극(94,93),(91,92)사이에 강판이 압착되면, 제3∼제6위치검출센서(49∼52)에 의해서 검출된 상기 입측상부전극(94)의 전극위치(R1,R2)와, 상기 출측상부전극(93)의 전극위치(Q1,Q2)를 기억한다(S67).
그리고 나서, 상기 전극위치에 근거하여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의 용접할 부분의 실제 두께차(A,B)를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산출한다.
그리고, 정보상의 두께차(C)와 상기와 같이 산출된 실제두께차(A, B)와의 차(A', B')를 산출한다(S68).
그리고, 상기 정보값과 실제값과의 차이(A',B')가 각각 편차상한치(예, 1) 이상인지, 아니면 편차하한치(예, -1) 이하인지, 아니면 편차상한치와 편차하한치의 사이인지를 체크하여(S69∼S71),(S74∼S76), 그 결과에 따라서 편차상한치 이상일 때는 산출된 상기 차이(A',B')만큼 제1,2높이조정실린더(41,42)를 상승조작하여, 이동대(1)를 상승시키고(S72,S77), 편차하한치 이하일때는 산출된 차이(A',B') 만큼 제1,2높이조정실린더(41,42)를 하강조작하여, 이동대(1)를 하강시키고(S72,S78), 편차하한치와 편차상한치의 사이값이라면 이동대(1)를 이동시키지 않고 그대로 둔다(S73, S79).
그리고 나서, 전극(91∼94)에 강한 전류를 흘리면서, 업센트실린더(5)를 조작하여 강판이송방향으로 전진시켜,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을 용접한다(S80).
따라서, 후행강판의 단부는 선행강판의 단부 정중앙부에 용접되게 된다.
예를 들어,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의 실제 정보상의 두께가 동일하게 2.3mm라고 할 때, 이동대(1)는 높이조정없이 고정대(2)와 수평하게 설정된 위치(즉, 표시부(43,44)에는 70.00으로 표시된다)에 그대로 놓이며, 그 후 제3∼제6위치검출센서 (49∼52)에 의하여 실제 측정된 선행강판의 두께가 후면(R2)은 2.3mm이고, 전면(R1)은 2.2mm이며, 후행강판의 후면두께(Q2)는 2.4mm이고, 전면두께(Q1)는 2.54mm로,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의 두께차가 편차범위(-1이상에서 1이하까지)를 벗어나게 차이날 때, 즉, 후행강판이 전면에서는 0.10mm 얇고 후면에서는 0.24mm 더 얇으므로, 정보상의 두께차, "0"와, 실제두께차 "0.10","0.24"의 차의 1/2만큼 이동대(1)를 하강시킨다. 즉, 이동대(1)의 후면은 0.05mm 더 하강되고, 이동대(1)의 전면은 0.12mm 만큼 더 하강된다.
따라서, 두께불량까지도 정확하게 측정되어, 중심에 용접이 이루어지게되며, 이상과 같은 검출위치 및 조정과정은 운전실의 모니터(58)에 출력되어, 운전자가 항상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전극을 상승/하강시키는 상부전극실린더의 실제이동거리를 절대위치센서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하여, 강판의 두께 검출에 이용함으로써, 강판의 두께가 실제로 1/100mm까지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이만큼 높이조정시스템이 미세조정되어 보다 더 정확한 용접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선,후행강판의 중심에 용접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용접부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용접부위가 터짐에 의해 나타나는 강판의 꼬임, 그로 인한 부정기적인 롤의 교환 등을 감소시키며, 용접부의 터짐을 예상한 재용접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서 실질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하좌우로 이동가능한 강판입측의 이동대와 강판출측의 고정대 및 상기 이동대 및 고정대에 구비된 네 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진 플래쉬 버트 용접기의 강판 실두께측정에 의한 용접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의 높이를 조정하는 제1,2높이조정실린더와,
    상기 제1,2높이조정실린더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대의 상하위치를 검출하는 제1,2위치검출센서와,
    출측상부전극 및 입측상부전극을 상승/하강시키는 다수의 상부전극실린더에 설치되어 상부전극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3∼제6위치검출센서와,
    상기 제1∼제6위치검출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이동대의 위치와 입측상부전극의 위치와 출측상부전극의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1∼제6표시부와,
    제3∼제6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입측상부전극의 검출위치와 상기 출측상부전극의 위치와의 차이로서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의 실제두께차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값에 따라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의 중심이 용접되도록 상기 제1,2높이조정실린더를 제어하여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산출 및 제어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버트용접기의 강판 실두께측정에 의한 용접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선,후행강판의 두께정보로부터 선후행강판의 두께차를 산출하여, 상기 차이만큼 이동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강판이 없는 상태에서 입측 및 출측상부전극을 모두 하부전극까지 하강시킨 후 이때의 상부전극위치를 제로로 세팅한 후,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을 공급하여 상,하부전극사이에 압착시킨 후 상기 입측상부전극의 위치에서 출측상부전극의 위치를 감산하여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의 실제두께차를 산출하고,
    상기 정보상의 두께차와 실제두께차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소정 편차범위를 벗어날 때 그 차이만큼 이동대를 더 상승/하강시킨 후 용접하도록 제어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버트용접기의 강판 실두께측정에 의한 용접제어장치.
KR10-1998-0056492A 1998-12-19 1998-12-19 플래쉬버트용접기의강판실두께측정에의한용접제어장치 KR100376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492A KR100376533B1 (ko) 1998-12-19 1998-12-19 플래쉬버트용접기의강판실두께측정에의한용접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492A KR100376533B1 (ko) 1998-12-19 1998-12-19 플래쉬버트용접기의강판실두께측정에의한용접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766A KR20000040766A (ko) 2000-07-05
KR100376533B1 true KR100376533B1 (ko) 2003-08-14

Family

ID=1956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492A KR100376533B1 (ko) 1998-12-19 1998-12-19 플래쉬버트용접기의강판실두께측정에의한용접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5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378A (ja) * 1984-07-04 1986-01-25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ラツシユ溶接機
JPH06304786A (ja) * 1993-04-26 1994-11-01 Nippon Steel Corp 板材の溶接装置及びその方法
JPH10244303A (ja) * 1997-03-04 1998-09-14 Nippon Steel Corp 連続熱間圧延用バー接合機およびバー突き合わせ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378A (ja) * 1984-07-04 1986-01-25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ラツシユ溶接機
JPH06304786A (ja) * 1993-04-26 1994-11-01 Nippon Steel Corp 板材の溶接装置及びその方法
JPH10244303A (ja) * 1997-03-04 1998-09-14 Nippon Steel Corp 連続熱間圧延用バー接合機およびバー突き合わ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766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19524B (zh) 一种焊机参数自动调整方法、系统、终端和存储介质
KR980008369A (ko) 에지드롭을 저감하는 판재의 압연방법 및 압연기
KR100376533B1 (ko) 플래쉬버트용접기의강판실두께측정에의한용접제어장치
US20210001388A1 (en) Rolling mil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01325B1 (ko) 주조 방법 및 주조 장치
KR20010005351A (ko) 슬라브 형상검출 및 다이나믹 폭압연 제어방법
KR100758028B1 (ko) Ccfl용 전극용접장치의 높이보정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33685A (ko) 연속주조장치의 벤더 롤 갭 조정 장치 및 방법
JP2504056B2 (ja) 電縫管溶接の入熱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8290281A (ja) レーザー溶接機
KR100376090B1 (ko) 스트립용접장치용스트립단차조절방법
JPH0829348B2 (ja) H形鋼の矯正方法
JPS6132089B2 (ko)
JPH05277533A (ja) 調質圧延における鋼板表面粗度の制御方法
CN111438227B (zh) 一种热矫直机框架调整方法
CN113976848B (zh) 一种板坯连铸机扇形段辊缝的控制方法及其装置
CN113976849B (zh) 一种板坯连铸扇形段内弧框架零位标定方法及其装置
CN110757145B (zh) 一种批量调整辊道位置的方法
JPS63268507A (ja) 金属管の外径制御方法
JPS60133979A (ja) 多層肉盛溶接装置
JP3519104B2 (ja) プレスブレーキ
JP2825428B2 (ja) 圧延機における板クラウン制御方法
JP6566012B2 (ja) テーパー鋼板の矯正方法
JPS6030590A (ja) 突き合わせ溶接電極高さ自動設定方法
CN115463977A (zh) 一种轧机测厚系统中测厚仪的可靠性验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