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437B1 -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437B1
KR100376437B1 KR10-2000-0059223A KR20000059223A KR100376437B1 KR 100376437 B1 KR100376437 B1 KR 100376437B1 KR 20000059223 A KR20000059223 A KR 20000059223A KR 100376437 B1 KR100376437 B1 KR 100376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drum
wire
cam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8291A (ko
Inventor
정수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9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437B1/ko
Publication of KR20020028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외측에 스페어 타이어를 탑재할 수 있게 하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구성은, 스페어 타이어를 적치하기 위한 서포트브라켓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기 위한 드럼과, 상기 드럼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샤프트를 갖추어 차체에 장착되는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30)에 연결된 캠(42)과, 상기 캠(42)의 요철형 외표면을 감싸도록 연결되어 설정토크에 부합하는 탄성력으로 그 캠(42)에 장착된 링형 스프링(44) 및, 상기 샤프트(6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링형 스프링(44)에 전달하는 플레이트스프링(46)으로 이루어진 과토크방지수단(4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과토크방지수단에 의해 스페어타이어가 차체에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탑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와이어를 지지하는 드럼, 그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기어 등이 미리 설정된 부하 내에서 힘을 받으므로 장착성 개선으로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Spare tire carrier assembly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의 외측에 스페어 타이어를 탑재할 수 있게 하는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게하게는 과토크방지수단에 의해 스페어타이어가 차체에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탑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와이어를 지지하는 드럼, 그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기어 등이 미리 설정된 부하 내에서 힘을 받으므로 장착성이 개선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페어 타이어 및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는 주행중 예기치 못한 타이어의 파손에 대응하기 위해 차량에 예비로 휴대하는 타이어 및 그 타이어를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장치를 가리킨다.
대체적으로 상기 스페어 타이어는 차량의 트렁크나 차체의 외측에 보관하고 있으며, 특히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는 스페어 타이어를 차체의 외측에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로써 4륜 구동차량의 리어도어나 트럭의 하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차체의 외측에 스페어 타이어를 보관할 수 있도록 차체에 설치되는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에 관련된 것으로,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100)가 도1에 도시된다.
이는 차량의 차체에 볼트부재 등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스(110)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에는 제1드럼(120), 제2드럼(130) 및 구동기어(140)가 수용되어 이들을 관통하도록 끼워지는 샤프트(190)에 의해 회전구동력이 제공되며, 상기 제1드럼(120), 제2드럼(130) 및 구동기어(140)의 각각은 중앙에 관통구멍(122)(132)(142)을 형성하고, 이들중 구동기어(140)를 통해 샤프트(190)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된다. 즉, 샤프트(190)에 형성된 캠(192)을 통해 제공된 회전구동력이 구동기어(140)에 전달되면 이 회전구동력은 구동기어(140)의 일측에 형성된 외접기어(144)에 맞물리도록 된 제2드럼(130)의 내접기어(134)를 통해 제2드럼(130)에 전달되고, 상기 제2드럼(130)에 리벳(미도시)을 매개로 일체로 고정된 제1드럼(120)에 회전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드럼(120)과 제2드럼(130) 사이에는 와이어(150)가 감길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150)는 상측단부(152)가 상기 제1드럼(120)의 홈(124)에 끼워 고정됨으로써 샤프트(190)의 회전에 의해 제1드럼(120)과 제2드럼(130) 사이에서 와이어(150)가 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150)의 하측단부가 서포트브라켓(160)에 연결되는바, 상기 서포트브라켓(160)은 대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부서포트브라켓(162)과, 상기 상부서포트브라켓(162)에 하단부가 끼워진 하부서포트브라켓(164)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서포트브라켓(164)의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한 끼움브라켓(166)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서포트브라켓(160)에 얹혀지는 타이어의 구멍을 통해 상기 끼움브라켓(166)이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50)의 하측단부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은 스토퍼(170)가 코킹결합됨으로써 와이어(150)가 상부서포트브라켓(162)에 고정된 하부가이드(154)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와이어(150)의 상측단부(152)에 근접한 부분에는 상부가이드(156)가 갖추어져 이 상부 가이드(156)가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형성된 홈(112)에 끼워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상부서포트브라켓(162)의 저면과 스토퍼(170) 사이의 와이어(150)에는 탄성코일스프링과 컵형 스프링이 설치된다.
그리고, 판형 커버(180)를 케이스(110)에 고정하는바, 이는 일측 단부가 케이스(110)의 일측에 끼워져 그 케이스(110)에 끼워진 제1드럼(120), 제2드럼(130) 및 구동기어(140)를 감싸면서 타측 단부가 케이스(110)의 타측에 끼워 고정됨으로써 내수성을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100)는 케이스(110)가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고, 이를 이용하여 스페어 타이어를 차량에 탑재하기 위하여는, 우선 상부서포트브라켓(162)을 하부서포트브라켓(164)쪽으로 밀어 넣은 상태로 하부서포트브라켓(164)을 폭이 적은 부분을 통해 타이어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으로 끼워 넣은 후, 서포트브라켓(160)의 상부면이 타이어의 휠에 대한 오목한 부분에 대응하도록 돌린다.
이 상태에서 샤프트조립체(194)를 통해 샤프트(190)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구동력이 구동기어(140)를 통해 제1드럼(120)과 제2드럼(130)에 전달되며, 따라서 와이어(150)가 감기면서 서포트브라켓(160)과 스페어 타이어가 함께 상승하고, 상기 와이어(150)가 일정한 정도 감기게 되면, 스페어 타이어의 상부면이 차체에 형성된 구조물(미도시)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샤프트(190)를 조금 더 회전시키면, 와이어(150)의 하측단부에 고정된 스토퍼(170)가 컵형 스프링과 탄성코일스프링을 밀어 서포트브라켓(160)을 통해 스페어 타이어가 구조물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가 차체에 탑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탑재된 스페어 타이어를 필요에 의해 사용하기 위하여는, 상기의 과정과 반대의 순서로 스페어 타이어를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로부터 분리한 후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샤프트(190)를 회전시키는 힘이 운전자 또는 그 밖의 사용자 마다 다르게 나타나는바, 이는 스페어 타이어와 차체 구조물 사이의 밀착력이 다르게 나타남을 의미하고, 너무 적은 밀착력을 가지도록 샤프트(19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중 스페어 타이어의 흔들림 또는 진동을 유발하여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와이어(150)를 절손시킬 염려가 있었으며, 너무 큰 밀찰력을 가지도록 샤프트(19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그 과부하에 의하여 제1드럼(120)과 제2드럼(130)을 지지하고 있는 리벳을 파손시키거나 구동기어(140)를 파손시킬 염려가 있었다.
둘째, 도3에 도시한 것처럼, 와이어(150)를 감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제1드럼(120)과 제2드럼(130)을 리벳을 매개로 일체화하고 그 와이어(150)의 상측단부(152)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1드럼(120)에 홈(125)을 형성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이는 상기한 첫째의 문제점에 기인하여 리벳의 파손, 홈(125)의 파손 등 강도와 내구성이 취약했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커버(180)에 의해 케이스(110)의 내부에 장착된 제1드럼(120), 제2드럼(130) 및 구동기어(140)의 내수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상기 커버(180)의 가장자리부분과 케이스(110) 사이에 틈이 형성되고, 따라서 효과적인 내수성 확보가 곤란하였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하부서포트브라켓(164)에 형성된 끼움브라켓(166)을 매개로 타이어가 서포트브라켓(160)의 상부에 제대로 얹히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끼움브라켓(166)이 타이어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고 타이어가 빠져 나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스토퍼를 4각의 코킹결합에 의해 와이어(150)의 하측 단부에 고정하고 있으나, 하부서포트브라켓(164)의 좌우 유동에 의해 4각 코킹결합부의 노칭부분에서 와이어(150)가 절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항상 일정한 힘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가 차체에 탑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드럼 및 구동기어 등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럼을 일체화하고 와이어가 고정되는 부분의 형상을 변경하여 드럼의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그 수명을 향상시키도록 된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의 가장자리와 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제거함에 의해 내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서포트브라켓의 끼움브라켓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와 스토퍼의 결합구조를 변경함에 의해 와이어가 절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2는 종래의 스페어 타이러 캐리어에 사용된 스토퍼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에 사용된 드럼을 도시한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에 사용된 드럼을 도시한 상세도;
도6은 본 발명의 요부인 과토크방지수단을 상세하게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에 사용된 커버를 도시한 상세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의 서포트브라켓에 와이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의 하부서포트브라켓과 스토퍼를 각각 도시한 외관사시도 및 단면도;
도11 및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를 전제척으로 도시한 정면 및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2 : 플랜지부
20 : 드럼 27 : 홈
28 : 내접기어 30 : 구동기어
40 : 과토크방지수단 42 : 캠
42a : 몸체부 42b : 캠부
43a : 요철형 외표면 44 : 링형 스프링
44a : 돌출부 44b : 오목부
46 : 플레이트스프링 46a : 몸체
46b : 구멍 47 : 연장편
47a : 절곡단부 50 : 커버
52 : 고무코팅 60 : 샤프트
70 : 와이어 80 : 서포트브라켓
82 : 상부서포트브라켓 84 : 하부서포트브라켓
90 : 스토퍼 92 : 구멍
94 : 돌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스페어 타이어를 적치하기 위한 서포트브라켓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기 위한 드럼과, 상기 드럼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샤프트를 갖추어 차체에 장착되는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된 캠과, 상기 캠의 요철형 외표면을 감싸도록 연결되어 설정토크에 부합하는 탄성력으로 그 캠에 장착된 링형 스프링 및,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링형 스프링에 전달하는 플레이트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과토크방지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1)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써, 종래와 유사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는 케이스(10)를 갖는다. 상기 케이스(10)는 대략의 U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개방된 단부의 양측이 각각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12)를 형성하여 볼트부재 등을 매개로 차체에 고정되며,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는 구멍(14)(15)을 형성함에 의해 후술하는 샤프트(60)가 그 구멍(14)(15)을통해 끼워지고, 후술하는 와이어(70)의 상부가이드(74)가 끼워지는 홈(16)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0)에는 일체로 된 드럼(20)과 구동기어(30)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기어(30)의 일측에 과토크방지수단(40)이 갖추어진다.
상기 드럼(20)은, 도5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중앙에 샤프트(60)가 관통하는 구멍(22)을 형성하고, 제1원판(24), 제2원판(25) 및 상기 제1원판(24)과 제2원판(25) 사이에 일체로 고정되어 와이어(70)가 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원통부(26)로 구성되며, 상기 제1원판(24)과 제2원판(25)의 각각에는 동일한 위치에 와이어(70)의 상측단부(72)가 끼워져 고정되는 홈(27)과 그 홈(27)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적정길이 형성된 슬롯형 홈(27a)을 마련하고, 상기 제2원판(25)에는 내접기어(28)를 형성한다.
상기 구동기어(30)는, 상기 드럼(20)의 제2원판(25)에 형성된 내접기어(28)에 맞물리도록 된 외접기어(34)를 일측에 형성하고, 중앙에 후술하는 캠(42)의 일측이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는 구멍(32)을 형성한다.
상기 과토크방지수단(40)은 캠(42), 링형 스프링(44) 및 플레이트스프링(46)으로 이루어지며, 도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캠(42)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요철형 외표면(43a)을 갖는 몸체부(42a)와, 상기 몸체부(42a)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된 캠부(4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철형 외표면(43a)은 몸체부(42a)의 원주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캠부(42a)는 상기 구동기어(30)의 구멍(32)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캠(42)의 중앙부에는상기 샤프트(60)가 관통되는 구멍(43b)을 형성한다.
상기 링형 스프링(44)은 사각단면을 가지는 긴 막대를 대략의 링형으로 구부리고 그 단부는 자유로운 상태로 유지하도록 형성되는바, 이 링형 스프링(44)은 상기 캠(42)의 요철형 외표면(43a)을 감싸면서 그 캠(42)의 외표면부에 적정한 탄성력을 가하도록 밀착되며, 또한 상기 링형 스프링(44)이 캠(42)의 외표면부에 밀착되는 부분에는 그 캠(42)의 요철형 외표면(43a)의 골 내부로 끼워지도록 돌출되는 돌출부(44a)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링형 스프링(44)을 캠(42)의 몸체부(42a)에 대한 외표면부에 밀착하도록 끼운 경우, 링형 스프링(44)의 탄성력보다 적은 힘으로 그 링형 스프링(44)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캠(42)과 링형 스프링(44)이 일체로 거동하는 반면, 링형 스프링(44)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그 링형 스프링(44)을 회전시키고 캠(42)이 그보다 큰 힘으로 반발할 때 링형 스프링(44)과 플레이트스프링(46)만이 회전하고 캠(42)은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플레이트스프링(46)은 사각형의 몸체(46a)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46a)의 중앙에 상기 샤프트(60)의 사각단면부(62)에 끼워 고정되도록 사각단면을 갖는 구멍(46b)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링형 스프링(44)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46a)의 어느 일측변과 그 변에 대응하는 타측변의 각각에 대한 양측에 연장편(47)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편(47)의 각각은 링형 스프링(44)쪽으로 절곡된 절곡단부(47a)를 형성하며, 이 절곡단부(47a)는 상기 링형 스프링(44)의 외표면부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변형된 오목부(44b)쪽으로 결합된다. 즉, 플레이트스프링(46)의 연장편(47)에 형성된 절곡단부(47a)의 각각이 링형 스프링(44)의 외표면부에 형성된 오목부(44b)의 각각을 통해 끼워짐으로써 플레이트스프링(46)과 링형 스프링(44)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거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드럼(20), 구동기어(30) 및 과토크방지수단(40)을 감싸도록 케이스(10)에 설치되는 커버(50)는 도7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그 표면, 적어도 가장자리부분에는 고무코팅(52)을 형성하고, 이 고무코팅(52)의 두께는 상기 커버(50)가 케이스(10)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커버(50)의 가장자리부분과 케이스(10) 사이에 형성되는 틈보다 더 크게 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커버(5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일측 단부가 케이스(10)의 일측에 끼워 고정된 상태로 상기 드럼(20), 구동기어(30) 및 과토크방지수단(40)들을 감싸면서 케이스(10)의 타측에 끼워 고정됨으로써 이들 드럼(20), 구동기어(30) 및 과토크방지수단(40)들을 외부와 완벽하게 차단하는 내수성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구멍(14)(15)을 통해 장착되는 샤프트(60)는 통상의 중실 또는 중공축으로 이루어지고, 후단의 적정부위에 사각단면을 가지는 사각단면부(62)를 형성하여 그 사각단면부(62)가 상기 구멍(15)을 관통하여 플레이트스프링(46)의 구멍(46b)에 끼워지게 하며, 샤프트조립체(64)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20)의 홈(27)에는 와이어(70)의 상측단부(72)가 끼워져 고정되는바, 이러한 와이어(70)는 상부가이드(74)를 매개로 케이스(10)의 홈(16)을 통해 서포트브라켓(80)에 연결된다.
상기 서포트브라켓(80)은 종래와 같이 상부서포트브라켓(82)과 하부서포트브라켓(84)으로 구성되고,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상부서포트브라켓(82)은 상부가 폐쇄된 대략의 중공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중앙에 하부가이드(76)를 장착함으로써 그 하부가이드(76)를 통해 와이어(70)가 관통하도록 하고, 하단부의 전체가 외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플랜지부(82a)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서포트브라켓(82)에 연결된 하부서포트브라켓(84)은 상기 상부서포트브라켓(82)의 하단 플랜지부(82a)의 상부면에 얹히도록 절곡된 절곡부(84a)와, 상기 절곡부(84a)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된 평판부(84b)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판부(84b)는 외표면이 이루는 경계가 대략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장변 사이의 거리가 타이어 중앙의 구멍 크기보다 작게 설정되며, 또한 상기 평판부(84b)에서 돌출된 절곡부(84a)를 포함하여 장변측 최대외경이 타이어 중앙의 구멍 크기보다 작게 설정된다. 즉, 상기 상부서포트브라켓(82)이 하부서포트브라켓(84)의 내부로 들어가게 한 상태에서 하부서포트브라켓(84)을 타이어 중앙의 구멍으로 끼울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서포트브라켓(84)의 평판부(84b)에는 상부 일측에 끼움브라켓(86)이 직립형성되는바, 상기 끼움브라켓(86)의 위치는 타이어 중앙의 구멍보다 더 외경측으로 형성된 구멍과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하고, 상기 끼움브라켓(86)의 상단부에는 리벳(87)을 매개로 회전판(88)이 장착되어 그 리벳(87)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70)의 하측 단부에는 스토퍼(90)가 코킹결합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바, 상기 스토퍼(90)는 도10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와이어(70)가 끼워질 수 있는 구멍(92)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하고,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부(94)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94)를 기준으로 한 상부가 6각 코킹이 가능한 상부스토퍼(96), 하부가 4각코킹이 가능한 하부스토퍼(9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70)에는 탄성코일스프링(99a)과 컵형 스프링(99b)이 끼워지는바, 상기 탄성코일스프링(99a)은 상부서포트브라켓(82)과 컵형 스프링(99b)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컵형 스프링(99b)은 탄성코일스프링(99a)과 스토퍼(9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1)는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상태로 조립되어 차량에 장착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를 차량에 탑재할 수 있는바, 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1)의 케이스(10) 상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12)가 볼트부재 등에 의해 차량의 차체에 고정된다.
이 상태로 스페어 타이어를 캐리어(1)에 의해 차량에 탑재하기 위하여는, 우선 스페어 타이어를 서포트브라켓(80)의 상부에 얹게 되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같이 상부서포트브라켓(84)을 하부서포트브라켓(82)에 밀어 넣은 후, 그 상태로 서포트브라켓(80)에 대한 단변의 일측부터 스페어 타이어의 중앙 구멍을 통해 들어가도록 밀어 넣는다.
이렇게 서포트브라켓(80) 전체가 스페어 타이어의 중앙 구멍을 관통하면 하부 서포트브라켓(80)의 절곡부(84a)에 대한 외표면이 스페어 타이어의 중앙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에 접촉할 수 있도록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부서포트브라켓(82)이 상부로 향하도록 서포트브라켓(80)과 스페어 타이어를 바닥에 내려놓는다. 물론, 이때 상기 서포트브라켓(80)의 끼움브라켓(86)이 스페어 타이어의 중앙 구멍에 대한 외경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끼워지고, 이렇게 끼워진 끼움브라켓(86)의 단부에서 회전판(88)을 십자형태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판(88)에 의해 스페어타이어가 서포트브라켓(8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상태로 스페어 타이어를 서포트브라켓(80)에 적치한 후, 샤프트조립체(64)를 통해 회전력을 가하여 샤프트(60)를 회전시키면, 그 샤프트(60)의 사각단면부(62)에 끼워진 플레이트스프링(46)을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고, 상기 플레이트스프링(46)에 일체로 고정된 링형 스프링(44)에도 회전력이 전달된다. 계속하여, 상기 링형 스프링(44)에 연결된 캠(42)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상기 캠(42)의 회전력은 구동기어(30)에 전달됨으로써 구동기어(30)가 회전된다.
상기 구동기어(30)의 회전은 외접기어(34)를 통해 드럼(20)의 내접기어(28)로 전달되어 드럼(20)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상기 드럼(20)이 회전함에 의해 그에 연결된 와이어(70)가 감겨지면서 가장 먼저 상기 와이어(70)의 하측 단부에 고정된 스토퍼(90)를 상승시키고, 상기 스토퍼(90)는 컵형 스프링(99b)의 하부에 힘을 가하여 상부서포트브라켓(84)을 상부로 들어올린다.
계속하여, 상기 상부서포트브라켓(84)에 의해 하부서포트브라켓(82)과 스페어 타이어가 상승하며, 와이어(70)의 감김은 계속된다.
상기 와이어(70)가 적정한 정도 감기게 되면, 상기 서포트브라켓(80)에 얹혀진 스페어 타이어가 차체의 구조물(미도시)에 근접하여 밀착되고, 설정된 밀착력에 도달하면 과토크방지수단(40)에 의해 와이어(70)의 감김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즉, 스페어 타이어가 차체의 구조물에 설정된 압력으로 밀착되면 그 힘은 와이어(70)를 통해 캠(42)에 전달되고, 따라서 상기 캠(42)을 더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와이어(70)를 통해 전달된 힘보다 더 큰 힘을 샤프트(60)에 제공하여야 하지만, 상기 샤프트(60)를 그러한 힘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그에 연결된 링형 스프링(44)이 변형되면서 캠(42)의 외표면에서 헛돌게 된다. 이는 스페어 타이어가 차체의 구조물에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되게 한다.
물론, 필요에 의해 상기 스페어 타이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순서의 역으로 스페어 타이어를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1)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에 의하면, 과토크방지수단에 의해 스페어타이어가 차체에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탑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와이어를 지지하는 드럼, 그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기어 등이 미리 설정된 부하 내에서 힘을 받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커버의 외표면에 코무코팅을 형성함에 의해 그 커버의 가장자리와 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제거함으로써 내수성을 확보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하부서포트브라켓의 끼움브라켓 상단에 회동가능한 회전판을 설치하여 타이어가 서포트브라켓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와이어가 스토퍼에 6각 코팅결합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서포트브라켓의 유동에 의한 와이어 절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Claims (5)

  1. 스페어 타이어를 적치하기 위한 서포트브라켓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기 위한 드럼과, 상기 드럼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샤프트를 갖추어 차체에 장착되는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30)에 연결된 캠(42)과, 상기 캠(42)의 요철형 외표면을 감싸도록 연결되어 설정토크에 부합하는 탄성력으로 그 캠(42)에 장착된 링형 스프링(44) 및, 상기 샤프트(6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링형 스프링(44)에 전달하는 플레이트스프링(46)으로 이루어진 과토크방지수단(4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20)은 제1원판(24), 제2원판(25) 및 상기 제1원판(24)과 제2원판(25) 사이에 위치하여 와이어를 감기 위한 원통부(26)를 일체로 하여 상기 샤프트(60)가 관통하는 중앙의 구멍(22)과 상기 와이어의 상측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홈(27)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70)의 하측단부에 연결되고 일측 상부에 상측으로 직립한 끼움브라켓(86)과 그 기움브라켓(86)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회전판(88)을 갖는 서포트브라켓(80)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70)의 하측단부에 6각 코킹으로 고정된 스토퍼(9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20)과 구동기어(30)를 내장하여 차체에 고정되는 케이스(10)를 갖추고;
    가장자리에 고무코팅(52)을 형성하여 상기 드럼(20)과 구동기어(30)를 감싸도록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된 커버(5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KR10-2000-0059223A 2000-10-09 2000-10-09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KR100376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223A KR100376437B1 (ko) 2000-10-09 2000-10-09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223A KR100376437B1 (ko) 2000-10-09 2000-10-09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291A KR20020028291A (ko) 2002-04-17
KR100376437B1 true KR100376437B1 (ko) 2003-03-15

Family

ID=19692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223A KR100376437B1 (ko) 2000-10-09 2000-10-09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4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112B1 (ko) * 2003-06-26 2005-11-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예비타이어의 권양기 샤프트
KR100761556B1 (ko) * 2006-09-18 2007-09-27 에스엘 주식회사 스패어 타이어 낙하 방지 장치
KR100835572B1 (ko) * 2008-01-09 2008-06-05 (주)삼풍하이텍 스페어 타이어 고정용 벨트 타입 캐리어
KR100835571B1 (ko) * 2008-01-09 2008-06-05 (주)삼풍하이텍 스페어 타이어 고정용 와이어 타입 캐리어
KR100849022B1 (ko) * 2008-05-15 2008-07-29 (주)삼풍하이텍 스페어 타이어 고정용 캐리어
KR200453481Y1 (ko) * 2009-07-10 2011-05-09 최정순 액상인출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2679U (ko) * 1979-01-16 1980-07-17
JPH01293282A (ja) * 1988-05-19 1989-11-27 Mannoh Co Ltd スペアタイヤキヤリア
US5524870A (en) * 1993-12-15 1996-06-11 Stant Manufacturing Inc. Torque-override winch
KR20010011263A (ko) * 1999-07-27 2001-02-15 정몽규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2679U (ko) * 1979-01-16 1980-07-17
JPH01293282A (ja) * 1988-05-19 1989-11-27 Mannoh Co Ltd スペアタイヤキヤリア
US5524870A (en) * 1993-12-15 1996-06-11 Stant Manufacturing Inc. Torque-override winch
KR20010011263A (ko) * 1999-07-27 2001-02-15 정몽규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291A (ko) 200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0252A (en) One-way rotary damper
KR100376437B1 (ko)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KR100686484B1 (ko)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JPH0516838A (ja) タイヤリフト装置
JPH04502607A (ja) タイヤリフト/キャリヤーウインチのための綱車アセンブリー
US6094868A (en) Handle unit of a manual window apparatus
JP5753065B2 (ja) ギヤードモータ
KR20200055525A (ko) 휠옵셋 가변형 휠 조립체
JP2002147322A (ja) 自動車等のためのスタータホイール
KR20100019160A (ko)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과토크 방지장치
FR2717543A1 (fr) Fixation de segments de ressort de garniture sur le disque d'entraînement d'un disque d'embrayage.
KR101637258B1 (ko)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용 체결유닛
EP0200633B1 (fr)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friction d'embrayage pour véhicule automobile
EP1117946B1 (fr) Amortisseur de torsion pour embrayage,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KR100380438B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장치
JPH0582484B2 (ko)
JPH0124293Y2 (ko)
US7073779B1 (en) Winch assembly
JP3118486U (ja) 自動車用ホイールの取り付け構造
JP3922745B2 (ja) タイヤキャリヤ
JPH0544599Y2 (ko)
WO2000060252A1 (fr) Amortisseur de torsion pour embrayage et ensemble de rondelles de frottement pour cet amortisseur de torsion
JPS6397785A (ja) 自動車用窓上昇装置
JP3718068B2 (ja) 歯車
JP3890965B2 (ja) タイヤ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