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289B1 -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이퀄라이저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이퀄라이저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289B1
KR100376289B1 KR10-2000-0065164A KR20000065164A KR100376289B1 KR 100376289 B1 KR100376289 B1 KR 100376289B1 KR 20000065164 A KR20000065164 A KR 20000065164A KR 100376289 B1 KR100376289 B1 KR 100376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brake
equalizer
pull wire
vehicl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4695A (ko
Inventor
이기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5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289B1/ko
Publication of KR20020034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6Equalis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이퀄라이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이퀄라이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핸드 브레이크 케이블(10)의 장력을 좌측 및 우측 풀 와이어(20, 30)로 동등하게 분배함으로써 핸드 브레이크의 조작력을 좌우 바퀴로 분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풀 와이어(20, 30) 중에서 일측 풀 와이어(20 또는 30)에 연결되는 핸드 브레이크 케이블(10)의 단부(11)가 장착되고, 타측 풀 와이어(30 또는 20)의 단부가 측부에 고정되는 터미널(41)과; 자동차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축상고정부(42)와; 상기 터미널(41)과 축상고정부(42)를 연결하는 링크(43)로 구성되어, 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하여 중심축을 고정할 공간만 확보되면 장착이 가능하므로, 장착을 위한 공간확보에 제약이 적고, 동등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이퀄라이저의 구조 {Structure for equalizer used in operation of hand brake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이퀄라이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여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하여 중심축을 고정할 공간만 확보되면 장착이 가능하므로, 장착을 위한 공간확보에 제약이 적고, 동등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이퀄라이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는 추진축에 장치한 브레이크 드럼을 제동하는 센터 브레이크식과 뒷바퀴를 제동하는 뒷바퀴 브레이크식이 있으며, 이중 상기 센터 브레이크식은 트럭이나 버스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뒷바퀴 브레이크식은 승용차에 많이 사용이 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핸드 브레이크의 조작기구를 나타내는 도식도로서, 일반적으로 풋 브레이크용 슈를 링크 및 와이어 등을 사용하여 벌어지게 하여 제동하는 형식으로, 좌우의 바퀴를 제동하는 관계상 브레이크 레버의 조작력을 좌우로 같게 배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와이어가 분기되기 이전에 이퀄라이저(1)를 사용한다.
상기 이퀄라이저(1)의 예로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의 도중에 설치한 형식으로서 좌우의 바퀴는 풀 와이어(pull wire: 2)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중앙을 이퀄라이저(1)를 거쳐서 풀 로드(3)가 당기는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드 브레이크 케이블(4)은 우측 풀 와이어(5)를 통하여 우측 바퀴의 브레이크에 연결되고, 좌측 바퀴의 브레이크에는 좌측 풀 와이어(6)를 통하여 이퀄라이저(1)의 몸체에 연결이 되어있어서, 핸드 브레이크 레버를 작동시키면 우측 풀 와이어(5)에 장력이 발생하고, 이 힘에 의해 이퀄라이저(1)와 좌측 풀 와이어(6)에 반력이 발생하여 상기 이퀄라이저(1)가 우측 방향으로 움직여서 양 바퀴의 브레이크에 제동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경우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풀 와이어와 이퀄라이저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며, 즉, 핸드 브레이크 케이블(4)이 좌측 풀 와이어(6)와 연결되고, 이퀄라이저(1)에는 우측 풀 와이어(5)가 연결되는 경우를 말하나, 이때에도 그 작용상태는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퀄라이저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그 길이가 길어서 차량에서 장착 공간의 확보에 많은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여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하여 중심축을 고정할 공간만 확보되면 장착이 가능하므로, 장착을 위한 공간확보에 제약이 적고, 동등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이퀄라이저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핸드 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을 좌측 및 우측 풀 와이어로 동등하게 분배함으로써 핸드 브레이크의 조작력을 좌우 바퀴로 분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풀 와이어 중에서 일측 풀 와이어에 연결되는 핸드 브레이크 케이블의 단부가 장착되고, 타측 풀 와이어의 단부가 측부에 고정되는 터미널과; 자동차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축상고정부와; 상기 터미널과 축상고정부를 연결하는 링크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핸드 브레이크의 조작기구를 나타내는 도식도,
도 2는 종래의 이퀄라이저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이퀄라이저 구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이퀄라이저의 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이퀄라이저의 구조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핸드 브레이크 케이블 20 : 좌측 풀 와이어
30 : 우측 풀 와이어 40 : 이퀄라이저
41 : 터미널 42 : 축상고정부
43 : 링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이퀄라이저의 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이퀄라이저의 구조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이퀄라이저(40)는 핸드 브레이크 케이블(10)의 장력을 좌측 및 우측 풀 와이어(20, 30)로 동등하게 분배함으로써 핸드 브레이크의 조작력을 좌우 바퀴로 분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풀 와이어(20, 30) 중에서 일측 풀 와이어(20 또는 30)에 연결되는 핸드 브레이크 케이블(10)의 단부(11)가 장착되고, 타측 풀 와이어(30 또는 20)의 단부가 측부에 고정되는 터미널(41)과; 자동차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축상고정부(42)와; 상기 터미널(41)과 축상고정부(42)를 연결하는 링크(43)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핸드 브레이크 케이블(10)의 단부(11)는 좌측 풀와이어(20)에 연결될 수도 있고 또한 우측 풀 와이어(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핸드 브레이크 케이블(10)의 단부(11)가 좌측 풀 와이어(20)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우측 풀 와이어(30)가 상기 좌측 풀 와이어(20)와 반대방향으로 위치하여 그 단부가 상기 터미널(41)에 고정 설치되게 되며, 또한 상기 핸드 브레이크 케이블(10)의 단부(11)가 우측 풀 와이어(30)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반대로 좌측 풀 와이어(20)의 단부가 상기 터미널(41)에 그 반대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 도 4 내지 도 5c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구성상태에서 핸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 먼저 상기 핸드 브레이크 케이블(10)에 연결된 일측 풀 와이어에 장력이 작용하게 된다(이하, 우측 풀 와이어(30)에 핸드 브레이크 케이블(10)이 연결된 경우.).
그러면 이때 발생하는 장력에 의하여 반대측 브레이크에 연결된 좌측 풀 와이어(20)에 반력이 발생한다.
이때, 이 작용한 힘의 평형을 이루기 위하여 차체에 축상고정부(42)로 고정되어 있는 이퀄라이저(40)가 우측으로 회전을 하면서 힘의 평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이 이퀄라이저(40)의 이동에 의하여 좌측 풀 와이어(20)에도 장력이 발생되게 되고, 결국 양측으로 동일한 장력이 작용되어 핸드 브레이크가 작동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하여 중심축을 고정할 공간만 확보되면 장착이 가능하므로, 장착을 위한 공간확보에 제약이 적고, 동등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핸드 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을 좌측 및 우측 풀 와이어로 동등하게 분배함으로써 핸드 브레이크의 조작력을 좌우 바퀴로 분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풀 와이어 중에서 일측 풀 와이어에 연결되는 핸드 브레이크 케이블의 단부가 장착되고, 타측 풀 와이어의 단부가 측부에 고정되는 터미널과;
    자동차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축상고정부와;
    상기 터미널과 축상고정부를 연결하는 링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이퀄라이저의 구조.
KR10-2000-0065164A 2000-11-03 2000-11-03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이퀄라이저의구조 KR100376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164A KR100376289B1 (ko) 2000-11-03 2000-11-03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이퀄라이저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164A KR100376289B1 (ko) 2000-11-03 2000-11-03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이퀄라이저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695A KR20020034695A (ko) 2002-05-09
KR100376289B1 true KR100376289B1 (ko) 2003-03-17

Family

ID=1969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164A KR100376289B1 (ko) 2000-11-03 2000-11-03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이퀄라이저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2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391B1 (ko) 2007-11-06 2009-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299U (ko) * 1995-12-06 1997-07-26 파킹 브레이크용 파킹 케이블의 이퀄라이저
KR19990031879U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의 이퀄라이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299U (ko) * 1995-12-06 1997-07-26 파킹 브레이크용 파킹 케이블의 이퀄라이저
KR19990031879U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의 이퀄라이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391B1 (ko) 2007-11-06 2009-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695A (ko) 200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9690B1 (en) Parking brake device
KR100376289B1 (ko)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이퀄라이저의구조
KR100191604B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KR100216825B1 (ko)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0154682B1 (ko) 주차 브레이크의 케이블 조립구조
KR100410917B1 (ko) 자동차용 주차제동 장치
KR100207220B1 (ko)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레버 작동시 소음 감소장치
KR200143569Y1 (ko) 자동차용 주차 케이블의 장착구조
JP3622326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
KR200256543Y1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케이블 설치장치
KR0177075B1 (ko) 주차 브레이크의 케이블 조립구조
KR0174416B1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레버
KR19990002236U (ko) 주차브레이크의 이퀄라이저 형상구조
KR100230204B1 (ko) 족답식 파킹 브레이크 중간레버장치
KR0140576B1 (ko) 개선된 주차 브레이크용 이퀄라이저 장착 조립체
KR19990018580A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9980042622U (ko) 주차브레이크 케이블 고정브라킷
KR200143572Y1 (ko) 자동차용 주차 케이블 장착구조
KR19980060230U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용 리어 케이블 이탈방지 클립
KR100324387B1 (ko) 자동차의 핸드브레이크용 케이블
KR101127801B1 (ko) 토글식 주차브레이크 장치
KR19980037357U (ko) 주차 브레이크의 케이블 조립구조
KR19980050736U (ko) 이퀼라이저겸용 중간레버장치
KR19980017365A (ko) 주차용 풋 브레이크
KR19990028516U (ko) 자동차의 이퀄라이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