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784B1 - 조각물과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각물과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784B1
KR100375784B1 KR1019960703926A KR19960703926A KR100375784B1 KR 100375784 B1 KR100375784 B1 KR 100375784B1 KR 1019960703926 A KR1019960703926 A KR 1019960703926A KR 19960703926 A KR19960703926 A KR 19960703926A KR 100375784 B1 KR100375784 B1 KR 100375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lpture
ratio
features
mold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야우
Original Assignee
라이팅 앤드 이미징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팅 앤드 이미징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라이팅 앤드 이미징 인코포레이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7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6Sculp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B44F1/10Changing, amusing, or secret pictures

Abstract

1:1로써 실 물체의 대응하는 비례:비율과 비교하여 다른 깊이:폭, 길이:폭, 높이:폭의 선택적으로의 비율의 선택적 생김새를 갖는 형태의 양각 음화 실제 물체를 표현하는 형태를 인상 (18) 을 수반하는 요면 (16) 이 공급된 조각물 (10). 조명하에서 이동하는 관찰자에 의한 조각물 (10) 의 관찰은 관찰자에게 이동의 3 차원적 가상 영역을 자아내고, 조각물 (10)이 관찰자의 이동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조각물 (10) 을 형성하는 과정은 그 형성의 조각된 복제품 형성 단계와, 형성의 음화 양각 인상을 수반하는 제 1 알기네이트/석고 주형 형성 단계와, 제 1 주형을 사용하여 제 2 알기네이트/석고 주형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2 주형을 사용한 주조가 조각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각물과 그 제조 방법
조각물은 피사체의 공간에 대한 관계를 묘사하는 물체를 형성하는 예술을 포함낸다. 통상적으로 조각물은 돌, 금속, 점토, 플라스틱 혹은 나무와 같은 단단한 물질을 새기고 조각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서 형성된다. 종래의 원형(原形)의 조각물은 그 자체가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써 고려되었다. 이것은 정적인 형태이며 많은 상이한 각도로 관찰될 수 있다. 관찰자는 작품의 주의를 이리저리 이동할 수 있으며 여러 각도의 관찰로 작품에 대한 상이한 인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관찰자가 그 예술 작품의 주위를 이동할 때에도, 그 작품은 여전히 정적인 상태이다. 관찰자에 대한 작품의 상대적인 위치는 특별히 다른 인상을 창조하지 못한다. 그 작품은 부동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작품의 음각 주형으로부터 제조된 작품의 복제품은 그 작품과 동일하며, 크기 조건과 비례 관계에 있어서 원형에 충실하다.
독창성과 새로움을 탐구하는데 있어서, 조각된 물체의 새로운 형태에 관한 탐구가 계속되고 있다. 새로움, 독창성 및 흥분은 그런 새로운 형태를 찾는 지표안에 포함된다. 가능한 새로운 형태중에서, 착시를 만들어 내는 형태는 많은 예술가들의 흥미를 차지하고 있다. 흥미로운 착시중의 하나가 2차원 디스플레이, 광학적 혹은 그밖의 것으로부터 3차원 상 혹은 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2차원 디스플레이로부터 3차원 상과 같은 환영을 생산하는 노력은 관람자에게 특별한 아이 커버링(eye-covering) 혹은 안경을 사용하게 했다. 입체광학 장치 또한 제안되었다. 크고 작게 개발된 컴퓨터 모니터 상에 3 차원 상을 투영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이 움직이는 환영을 제공하는 것 역시 광학적 목적으로 한정되어 왔다. 물체의 이동은 상을 극장 스크린에 공급하기 위한 영사기술이나 혹은 영화 제작을 위한 애니메이션 (animation)기술 및 특수효과 과학기술에 제공되는 영사기술에 의해서 얻어진다. 관계된 문제점에 대한 간단한 해결책은 출현되지 않고 있다.
미술은 새롭고 독특한 조각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오랜동안 탐구되었으며, 이와같이 그런 특별한 형상의 많은 복제품을 재생하기 위하여 개선되고 상업적으로 존속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왔다.
일반적으로, 예술 조각물의 복제품을 형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원형(原型) 조각물로부터 주형을 형성하고 그런 주형을 사용하여 복제품을 제조하는 주조 기술을 포함한다. 종종, 주조된 조형은 하나의 복제품을 제공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이 기술은 가격이 비싸고 상업적으로 제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주형이 다중 복제를 위하여 제공되는 기술이 요구되며, 특히 복제될 물체가 하나인 경우라면, 비교적 대량 생산을 기초로 하여 쉽게 시장성을 높일 수 있다.
주조 복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몇 가지 종래 방법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상당한 기술을 요구한다. 이 방법은 조각된 정밀한 모델로부터 석고 주형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원형의 조각된 모델은 언더컷 (undercut)부분, 복잡한 양각 구성 및 세부(細部)를 갖는 복잡한 양각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 기술은 석고, 점토 등의 물질로 주조할 때 조각된 모델(예를 들어, 실제 혹은 살아있는 얼굴에 있는 것과 같이 정밀한 비례 관계를 가지고 제작된 모델)로부터 약간 사이를 두고 주조하여야 한다. 젤라틴과 같은 젤라틴 형태의 물질을 사이의 빈 공간에 붓고, 경화시킨다. 젤라틴 물질이 굳어질 때, 석고 프레임을 반 혹은 작은 부분으로 잘라내어 원형의 조각 모델로부터 제거한다. 조각된 모델의 맑은 부분으로부터 굳어있는 젤라틴 형상의 전체를 제거하여야 한다. 이 과정은 특히 이 제저 부분의 깨지기 쉬운 점 때문에 시간이 소비된다.
이 잘라낸 부분을 분리한 후, 모체 주형을 형성하기 위하여 석고 주조 안에서 그 부분들을 다시 재조립하여 결과물인 주형의 내부면이 원형(原型)의 조각된 모델과 일치하도록 구성한다. 지금 소석고(plaster of Paris)와 물의 혼합물을 준비하고, 이것을 결과적으로 형성된 주형 안으로 부은 후 조금씩 깍아내고 젤라틴 모형을 제거한다. 또한 이 모든 과정은 단지 한 주형만이 제조되고 파괴되는 결과를 발생시키며, 원형 조각 모델의 단지 한 복제품만이 형성되며, 그 주형은 이 과정에서 파괴된다.
엘보겐 (Elbogen) 은 미국 특허 번호 1,902,627 에서, 조각된 점토 모델 위에 유액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형 제작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개시된 한 방법은 점토 모델 위에 유액 용액을 반복적으로 코팅하거나 담그거나 혹은 뿌림으로써 점토 모델 위에 유액을 도포하는 것이다. 여러번 반복적으로 도포한 후, 코팅을 건조시켜서, 점토 모델로 부터 벗겨낸다. 영구적으로 유액 주형을 덮어 씌우도록 소석고 혼합물을 도포한다. 엘보겐은 또한 유액 용액을 점토 모델에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많은 양을 공급한 후에, 그 결과물인 유액 코팅된 모델에 소석고를 전체적으로 뿌려서 부분적으로 굳어지게 한다. 밑에 있는 젖은 유액 코팅으로부터 물이 제거되고 모델 전체에 다시 유액을 뿌리고 다시 소석고를 뿌린다. 굳어진 다층 적층물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층마다 사용되는 유액과 소석고의 상대적인 양이 상이하도록 하여 유액과 소석고를 반복적으로 도포한다. 층마다 유액과 소석고의 상대적인 양이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다중층을 조심스럽게 쌓는 것은 지루하며 시간을 소비하는 일이다. 또한 기포의 제거, 매끄러운 표면의 획득 및 과도한 시간 소비의 단점을 지닌다.
엘보겐은 미국 특허 번호 1,902,627에서 점토 모델의 양화 혹은 음각의 상을 수반하는 주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또한 재사용될 수 있는 부재를 이용하여 양각 혹은 음각의 상을 제공하는 주형을 제공하거나 혹은 음각상 주조의 다수의 복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제 2 주형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 수반 주형을 제공하기 위한 주형을 형성하는 완전한 유액/석고 결과물을 사용하는 것에 실패했다.
존슨 (Johnson) 등은 미국 특허 번호 4,397,701에서 마스크(mask)를 만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주형 물질을 얼굴의 형태에 도포하여 얼굴의 형태와는 상이한 마스크의 윤곽선을 형성한다. 석고가 주입된 가제 스트립 (strip)을 주형 물질 안에 공급하고, 그 형태로 건조시킨 후 그 형태를 제거한다. 젖어 있는 동안, 가제층은 마스크 생산품의 바깥면을 형성하는 소정의 윤곽선 변형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솜씨있게 다루어져야 한다. 마스크 생산품은 존슨 등의 개념적 결과물이며, 주형으로써는 충분하지 않다. 주형을 형성하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재 사용할 수 있는 마스터(master) 주형의 형성을 위한 마스크 생산품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구상이나 상세 기술이 존슨 등의 특허에는 없다.
본 발명의 조각물은 조명 하에서 관찰자에 의해서 관찰될 때, 실제의 물체을 표현하는 가상의 3 차원 환영을 자아낼 수 있고, 그 조각물은 요면(凹面)을 갖는 성형체 형상으로서 특징지어 지는데, 그 요면은 상기 실제 물체를 나타내는 음각 상을 수반하는 내부면을 가지며, 상기 음각 상은 상기 실제 물체의 선택적으로 비례 변형된 외형을 가지고 음각 부조(浮彫) 형상을 가지며, 상기 실제 물체의 선택된 특징부에 대응하는 비례율과 상이한 비례:비율을 가지는 선택된 특징부를 가지며, 그 특징부는, 조명하에서 관찰자에 의해 관찰될 때, 상기 실제 물체의 가공의 3차원적 가상 형상으로 나타나고, 상기 선택된 특징부는 상기 조각물을 관찰하면서 관찰자가 이동할 때 관찰자의 이동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하에서 관찰될 때 이동하는 관찰자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보이는 선택된 특징부을 가지고 실제 물체의 가공의 3차원적 가상 형상을 만들어내는 조각물을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그 방법은 실제 물체와 다른 비례:비율을 갖는 선택된 특징부를 구비한 물체의 음각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1 주형을 형성하는 단계와; 재사용할 수 있는 마스터 주형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주형을 사용하여 상기 비례:비율의 변형을 수반하는 물체의 양각 상을 형성하고, 그 마스터 주형을 사용하여 상기 조각물을 주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특성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예들로써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조각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각물에 조명을 공급하는 광원하에서 이동하는 관찰자에 의해서 관찰될 때, 선택된 특징부가 이동하는 가상의 3차원 상을 관찰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제공하는 물체의 부조(浮彫) 음각(陰刻) 상(impression)을 수반하는 조각물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조각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제 1 도의 선 2-2를 따라서 얻어진 단면을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에서 관찰한 구조물의 확대 부분도이다.
도 3은 상기 조각물의 왼쪽에 위치한 관찰자에 의해서 관찰될 때, 본 발명을 구현하는 조각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조각물의 오른쪽에 위치한 관찰자에 의해서 관찰될 때, 본 발명을 구현하는 조각물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각에 의해서 나타나는 외곽선의 개략도로서, 얼굴 특징부의 깊이를 나타내고, 실제 혹은 살아있는 물체 혹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각물을 기초로 한 피사체의 특징부를 변형하여 만들어진 비례:비율의 변화로 초래되는 경험적인 깊이 치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B는 실제 혹은 살아있는 물체 혹은 피사체의 외곽선의 개략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각물의 변형된 비례:비율과 비교하기 위하여 1:1의 비례:비율을 나타내며, 수반된 음각 화상을 고려할 때, 대응하는 얼굴의 특징부의 깊이를 나타내는 경험적 깊이 치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제 6 도는 조각된 피사체의 길이:폭의 비례:비율을 선으로 나타낸 조각물의 얼굴 완성 정도를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제 7 도는 석고 주조 혼합물의 점성도에 대하여 플롯된 물:석고의 비율을 선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각물이 광원하에서 관찰될 때 관찰된 가상의 얼굴을 완성할 수 있는 상기 주조 물질의 바람직한 점성도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조각물의 형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형성된 마스터 주형의 절반부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형성된 완전한 마스터 주형의 사시도로써, 그 마스터 몰드는 개방 상태의 완전한 마스터 주형 부분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완전한 조각물에 의해서 예증될 때 벽에 베이스 (base)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완전한 마스터 주형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광원의 부재시 왼쪽 구석으로부터 관찰된 본 발명의 조각물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광원의 부재시 오른쪽 구석에서 얻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각물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조각물은 베이스(12)를 갖고 참고 번호 10 으로 지정된 주형체와, 프레임 부분(14) 및 정면 밖깥쪽으로 개방된 요면 (凹面) (16)을 구비한다. 상기 요면 (16)은 원형 (原型) 물체 혹은 살아있는 피사체의 비례:비율이 변형된 모델의 얼굴 특징부의 음각상의 함몰된 프리즈(frieze)와 같은 형태를 수반하는데, 머리 (20), 머리카락 (22), 이마 (24), 눈썹 형태 (26), 눈 형태 (28), 코 (30), 입술 (34 및 36)을 포함하는 입 형태 (32), 턱 (38), 목 (40) 및 셔츠의 칼라 (42)의 정면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피사체는 작곡가 울프강 아마데우스 모짜르트이다.
피사체의 실제 혹은 정확한 조각상은 일반적인 주조 기술에 의해서 복제될 수 있다. 요면 주형을 형성하기 위해, 피사체의 음각 상이 선택될 수도 있다. 이 주형은 피사체의 모든 특징부를 1:1 배율로 피사체를 정확히 복제하는 양각 주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조각물은 피사체의 정확한 복제와는 그 목적이 다르다.
용어 "비례:비율"은 여기서는 조각물의 피사체 혹은 물체의 선택된 특징부의 비례와 관련하여 선택적인 치수(measurement)들 사이의 관계를 묘사한다. 비례:비율은 길이에 대한 폭의 비율, 높이에 대한 폭의 비율, 높이에 대한 깊이의 비율 및 깊이에 대한 폭의 비율을 포함한다. 상이한 비례:비율은 피사체 혹은 실제 물체나 피사체의 대응하는 특징부와의 비교로써, 조각된 모델의 선택된 특징부에 가해진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들어 조각된 모델을 형성할 때 공간적으로 변형을 가한 조각된 모델 얼굴의 어느 특징부는 실제 혹은 살아있는 물체나 피사체의대응 특징부 보다 더 크거나, 더 좁거나, 더 길거나, 더 작거나, 더 깊게 된다. 이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례:비율"의 용어로 설명된다. 이 차이가, 본 발명에 따른 조각물에 의해 수행된 음각상을 광원 존재시 즉 조명 하에서 관찰할 때 나타나는 환영의 열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각물은 광원의 존재시 관찰자에 의해서 관찰될 때, 가상의 시각 환영을 보여준다. 이러한 가상의 3차원 시각적 환영은, 조각물을 정면에서 볼 때 또는 왼쪽이나 오른쪽에서 볼 때, 및/또는 위나 아래쪽에서 볼 때 나타난다. 이 가상의 3차원 시각 환영은 또한 피사체의 모발 경계선, 이마, 눈, 코, 입술(위 및 아래 입술) 및 턱과 같은 피사체의 얼굴 특징부 중에서 선택된 것들이 관찰자가 이동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이것은 각각의 얼굴 특징부 중 선택된 특징부가 실제의 피사체의 비례:비율과 비교하여 상이한 비례:비율을 갖고 형성될 때 관찰되는데, "입체" 물체 혹은 피사체의 3 차원 가상 환영은 광원 하에서 관찰할 때 관찰자에 나타난다. 관찰자가 변형된 물체 혹은 피사체에 대응하여 광원 하에서 이동할 때, 물체이나 혹은 피사체의 특징부는 관찰자의 이동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예를 들어, 눈은 관찰자의 이동을 따라가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관찰자가 물체나 피사체를 향해 내려다 보는 경우, 실재 혹은 피사체의 대응 특징부도 관찰자를 올려다 보는것으로 보인다. 물체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물체 혹은 피사체를 관찰할 때, 물체나 피사체는 관찰자를 아랫방향으로 볼 것이다. 관찰자가 조각물의 오른쪽으로 혹은 왼쪽으로 이동할 때, 물체 혹은 피사체는 오른쪽 혹은 왼쪽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나타날 것이다.
실제적 물체 혹은 피사체와 변형된 물체 혹은 피사체 사이의 비례:비율 차이가 작을 때, 그 이동은 즉시 관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하는 가상 환영을 뚜렷히 발생시키는 적절한 비례:비율의 차이가 있다. 경험적으로, 그 환영은 비례:비율이 1.3:1의 근처에 있을 때, 실제의 물체 혹은 피사체로부터의 어떤 변형도 볼 수 없이 "완벽"하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어두운 빛 하에서 관찰될 때, 상당히 변형된 상태로 나타날 수 있다. 비록 환영이 주위의 빛 하에서 뚜렷하게 볼 수 있다하더라도, 할로겐 램프와 같은 밝은 빛이 존재할 때 가장 잘 관찰된다. 조각물 (10) 의 베이스 (12) 는 베이스 (12) 전방 근처에 배치된 우물 (44)을 포함하고, 그 우물 (44)은 바닥 (46)과 베이스(12)의 상부면 (48)으로써 형성된 선반에 개구 및, 참조 번호 (50)으로 지정된 것처럼 요면 (16)이 확장된 내부를 갖는다. 얼굴 특징부의 음각 상은 내부의 측벽 (54 및 56)과, 내부 상부벽 (58)과 그리고 조각물(10) 의 요면 (16)을 형성하는 내부 뒷벽 (60)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갖는 개방된 통로(62)는 프레임부분(14)의 외부 뒷벽면(64)으로부터 우물 (44)을 향하게하여 베이스 (12) 안에 형성된다. 전기 소켓(68) 안에 놓인 램프(66)는 통로(62)를 통하여 우물 (44)로 들어가고, 베이스 (12)의 통로를 통하여 소켓 (68)으로부터 확장된 전기선 (70)은 전기 콘센트 혹은 코드 박스 (도시되지 않았음)에 연결시켜 적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술된 할로겐 램프뿐만 아니라 조도가 높은 충분히 밝은 램프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램프(66)는 관찰자가 이동할 때 나타나는 현상과 3 차원 환영을 관찰할 수 있도록 요면 (16)의 내부를 비추기 위하여 사용되는 광원으로작용한다. 높은 반사율 물질의 코팅 (72)을 우물 (44)의 경사진 내부 앞벽 (74)에 제공하여 광원 (66)으로부터의 직사광이 요면(16)의 내부로 더 잘 향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작은 거울 (도시되지 않았음)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반사 코팅 (72) 또는 거울로부터 반사된 빛이 더 양호하게 배향되도록, 우물 (44) 의 내부 앞벽 (74) 을 오목하게 굽힐 수도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요면 (16)의 측벽 (54 및 56) 뿐만아니라 상부 내부벽 (58)에 형성된 다양하게 굽은 융기선 (76)에 의해 머리카락(22)이 묘사되어 있는, 피사체의 윤곽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눈썹 형태 (26)를 형성하는 영역은 내부 뒷벽 (60)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올라와서 돌출되어 있다. 눈 형태(28)는 내부 뒷벽(60)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또한 돌출되며, 내부의 작고 얕은 요면(78)은 눈 형태 (28)의 눈동자를 묘사하기 위하여 형성되었다. 눈 형태 (28)는 코를 (30)를 묘사하는 삼각형의 비교적 깊은 요면 (80)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요면 (80)의 가장 내측 부분 (82)이 가장 깊다. 한 쌍의 돌출부 (84)는 피사체의 콧구멍 (86)으로써 작용하기 위하여 놓여졌다. 입술 (34 및 36)은, 동일하게 길게 뻗은 요면 (92)에 의해 요면 (80)으로부터 이격된 한 쌍의 융기부 (88 및 90)에 의해서 형성된다. 윗입술(34)은 융기부 (94)에 의해서 형성되며, 아랫 입술 (36)은 융기 (96)에 의해서 형성되며, 두 입술은 대체적으로 동일하게 길게 뻗은 함몰부 (98)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턱 (38)은 내부 뒷벽 (60)에 형성된 한 쌍의 굽은 면 (100 및 102)에 의해서 정의된다. 칼라 (42)와 목 (44)은 길고 상승된 불규칙한 부분 (106 및 108)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술된 것은 모차르트 피사체 구현에 관한 것이다. 다른 개개인의 얼굴, 가슴, 몸체까지도 그것의 음각 상에 의해 묘사될 수도 있으며, 각각은 실제 물체 혹은 피사체의 대응하는 특징부의 비례:비율과는 다른 비례:비율을 갖는 특징부 및 상이한 표면 형태를 갖는다.
빰 등과 같이 얼굴의 특징부를 형성하는 다양한 표면 형태와 다른 표면 형태는 도 2의 참고 번호 112에 의해서 정의된 작은 반점 혹은 점이 찍힌 부분에 의해서 묘사된다.
도 3 및 도 4를 보면, 도 3의 조각물 (10)은 왼쪽 옆에서 관찰자 (114)에 의해서 관찰될 때를 묘사한다. 이 피사체는 램프 (66)와 같은 광원으로부터의 조명이 존재할 때 관찰자에 의해 관찰된 가상의 3차원 환영의 전형으로써 설명된다. 관찰자가 오른쪽으로 이동할 때, 눈과 코가 관찰자(114)의 이동을 따라 가는 것처럼 보이면서 상기 관찰자의 이동에 따라서 전체 환영 피사체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것처럼 보인다. 제 4 도에서는, 관찰자 (114)가 제 3 도에 도시된 것처럼 왼쪽 위치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함으로써 관찰자의 시선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며, 이때 관찰자의 오른쪽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관찰자에 의해 관측된 피사체가 함께 오른쪽으로 향하는 것처럼 보인다. 피사체의 머리(20)는 우묵한 것이 아니라 입체적인 것으로 보이며, 3 차원적으로 보인다. 물론, 이것은 환영이다. 관찰자 (114)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할 때, 피사체의 눈 등은 그 관찰자가 피사체를 보는 것과 같이 관찰자를 따르는 것처럼 보이며 관찰자의 그런 이동과 동일하게 나타난다. 그런 이동은 환영이기 때문에 그것의 효과는 독특하고, 출원인의 경험과생각으로는, 지금까지는 실현되지 못한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되어진 것처럼, 이 실시예를 위한 실제 피사체 혹은 모델 (도 5B에서 참조 번호 10에 의해서 설명되어 있음)은 길이 대폭, 높이 대 깊이, 및 폭 대 길이의 비례:비율이 1 : 1 인을 얼굴의 특징부 및 얼굴을 가지는 울프강 아마데우스 모짜르트의 주형된 반신상이며, 여기서 전제 머리 부분 (하기 반신상)은 1:1의 비례:비율을 갖는다.
그러나, 변형된 모델 (도 5A 에서 참조 번호 10으로 묘사됨)은 실제 혹은 살아있는 모델의 손으로 조소된 점토 상으로서, 그 점토상은 1:1의 실제 혹은 살아있는 모델과 비교하여 길이 대 폭, 높이 대 폭, 높이 대 깊이 및 길이 대 폭의 비례:비율이 본 발명에 따라 1.3:1을 갖는다. 본 발명 조각물에서 선택된 상이한 특징부들 간에 비례:비율을 다르게 하였으며, 이는 다른 환영의 결과를 낳는다.
도 5B 및 도 5A의 다이어그램은 실제 혹은 살아있는 물체의 윤곽 (피사체 10) 과 변형되어 조소된 점토 모델 (10')를 설명한다. 이 다이어그램은 얻어진 경험적 치수를 반영함으로써, 실제 혹은 살아있는 모델 (도 5B)과 그 살아있는 모델을 참조로하여 비례적으로 변형되어 조소된 점토 모델 (도 5A)을 비교할 수 있다. 경험적 치수는, 실제 모델 및 변형된 점토 모델 각각에서 얻어진 음각 상의 내부로부터의 화살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선들을 따라서 행해졌다. 비교 치수는 표 I에서 보여진다.
살아있는 모델과 비례적으로 변형되어 조각된 점토 모델의 전체 머리의 높이와 깊이에 관한 비례적인 크기 간의 직접적인 비교 관계에 더하여, 실제 혹은 살아있는 모델과 비례적으로 변형되어 조각된 점토 모델의 각각의 특징부의 높이 사이의 수직적 간격으로써 묘사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경험적인 치수를 얻는다. 이 비교 치수는 다음처럼 다음의 표 II 에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택적으로 변형된 점토 모델의 전체 얼굴은 실제 혹은 살아있는 모델 보다 폭과 깊이가 1.3배 더 크다. 어떤 경우에, 모발 경계선, 코, 턱, 입술 및 눈 형태와 같은 영역은 실제 혹은 살아 있는 물체 혹은 피사체에 비해 1.3의 비례:비율로 반드시 직선적으로 증가되지는 않는다. 실험적으로, 선형 증가에 의해, 관찰자에게 보이는 가상적인 환영이 실제 혹은 살아있는 물체 혹은 피사체와 동일하게되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한 것처럼 조각물 (10)을 시각화하는 것은, 요면 (16)의 내부벽에 의해 이루어지는 음각 상이 각각의 묘사된 특징부의 각각의 깊이에 의해서 특징지어진다는 사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5A 및 도 5B에서, 변형된 피사체로부터 얻어진 인상의 요면의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코(30)의 끝부분처럼, 점토 모델에서 바깥 방향으로 뚜렷하게 연장된 그런 영역은 음각 상 (18)의 가장 깊은 요면부를 의미하는 반면, 변형된 조각 모델의 요면 영역은 음각 상 (18)의 가장 많이 바깥 방향으로 돌출한 영역이 된다. 도 10 및 도 11의 배치에서 조각물(10)을 보면, 음각 상(18)의 실제적인 요면화된 형태를 명확히 알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4 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것보다 더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결과적인 조각물의 특별한 특징부의 깊이와 상기 간격 높이는 조명 하에서 완성된 생산품을 관찰할 때 얻어지는 환영으로 발생시키는 독특한 시각 작용에 기여한다. 몇 몇 영역에서, 실제 혹은 살아있는 물체 혹은 피사체 모델에 대한 변형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개선된 결과를 가질 수도 있다. 이마는 선 A1 과 선 A2 사이의 윤곽에 의해 묘사되며, 코는 선 A2 와 선 A3 사이의 윤곽 그리고 선 A3와 선 A4 및, 선 A5 에 의해 묘사되며, 선 A5와 A6 사이의 윤곽으로 묘사된 입술은 실제 혹은 살아있는 모델의 특징부와 비교할 때 각각 밖으로 굽어지고, 안으로 그리고 밖으로 굽어지며 다시 밖으로 굽어지고, 밖으로 직진한다. 변형된 모델의 턱은 실제 혹은 살아있는 모델의 턱과 비교하여 밖으로 굽은 반면 모발 경계선 A1'에서 묘사된 머리카락은 실제 물체 혹은 피사체의 직선에 비해 밖으로 안으로 굽어졌다. 변형된 모델의 영역을 조절하여 나타낸 코, 입술, 및 턱의 영역은 관찰자에게 드러나는 환영을 개선하기 위하여 극단적인 곡면을 갖는다. 변형된 모델의 나머지 영역은 완만한 곡선들이다.
이하에서는,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공급되는 광원하에서 관찰될 때, 가상의 3 차원 가상 환영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조각물을 생산하기 위한 본 발명에따른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결과적인 조각물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 기초는 주형체 안에서 요면을 형성하고, 머리 특히 물체 혹은 피사체의 용모 혹은 얼굴 특징부의 음각 상을 수반하며, 얼굴 특징부중에 선택된 특징부가 원형 (原型)의 혹은 살아있는 피사체 혹은 물체의 대응하는 상기 특징부와는 다른 비례:비율을 갖는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제작자는 살아있는 피사체의 얼굴의 주조를 형성하기 위한 주조 과정으로서, 제일 먼저 상기 살아있는 피사체의 얼굴 혹은 실제의 3 차원적 재생품의 음각 상을 형성한다. 음각 상을 이용하여 원형과 비교하여 1:1의 비례 비율로써 묘사될 수 있는 살아있는 사람의 얼굴의 정확한 복제인 마스터 양각 재생 주조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각물은, 살아있는 피사체와 비교하여 1:1과는 다른 전체적인 비례:비율, 그리고 선택된 안면 특징부의 비례:비율을 재생된 물체나 피사체가 갖는다는 점에서 상기 결과와 다르다. 이것은 상술된 것처럼, 직접 혹은 간접적인 광원하에서 관찰자에 의해 관측될 때, 가상의 3 차원 환영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술된 3 차원 환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는, 먼저 조각가가 살아있는 사람의 얼굴을 조각하여야만 한다. 조각된 모델을 형성할 때, 조각가는 실제 피사체 혹은 살아있는 피사체의 전체 및 그 피사체의 얼굴의 특징부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그리고 선택된 안면 특징부들과 관련하여 원하는 비례:비율 차이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조각된 모델의 얼굴은 음각 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완만한 면을 가져야만 한다. 환영은 비례:비율의 약간의 변화에서조차도 바로 관찰될 수도있는데 특히, 비례:비율이 1:1보다 더 클때 바로 관찰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물체 혹은 피사체의 상의 동일한 재생으로써 정의되는 환영의 완성은 경험적으로 비례:비율이 1.3:1 이 되도록 결정할 때 얻어진다. 경험적으로 얻어진 도 6에 도시된 선은 조각된 모델:실제적으로 살아있는 모델의 비례:비율(길이:폭)에서 얻어진 얼굴 완성의 정도를 묘사한다. 경험적으로, 실제적으로 살아있는 모델로부터의 상의 변형없이 완전한 시각적 이동 환영을 얻기 위하여, 살아있는 물체 혹은 피사체의 얼굴과 비교하여 0.6 내지 1.6 사이의 비례:비율이 조각된 모델 안에서 얻어져야만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조각된 얼굴의 코는 살아있는 모델의 코보다 0.6 내지 1.8 만큼 커야한다. 조각된 얼굴의 눈은 살아있는 모델의 눈보다 0.6 내지 1.8 더 깊어야한다. 가장 좋은 결과는 각각의 경우에서 비례:비율이 1.3:1로 선택될 때 나타난다.
의도된 환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변형된 비례:비율을 갖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얼굴의 특징부를 포함하여 조각된 점토 모델이 형성될 때, 제 1 주형(이하 "모체" 주형이라 한다)은 조각된 점토 모델의 음각 상을 얻음으로써 형성된다. 소정의 바람직한 음각 상을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주형 물질은 알기네이트 (alginate) 와 차거운 물(약 60 °F 의 물)의 혼합물이다. 여러 가지 상표의 알기네이트를 구할 수 있으며 또 사용할 수 있다. 알기네이트는 알긴산의 젤라틴형의 염이며, 알긴은 알긴 산의 녹을 수 있는 염이며, 갈색 알긴의 자연 성분인 용해되지 않는 콜로이달 (colloidal) 산이다. 알기네이트의 화학적 성분 때문에, 이것은 따뜻한 물과 혼합될 때 빠르게 경화된다. 사람 손의 온기 조차로도 경화되는 과정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방 온도 또한 경화시키는 시간에 영향을 미친다. "모체" 주형의 형태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충분한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약 60 °F 온도의 차거운 물을 알기네이트에 혼합한다. 또한, 이 혼합물은 빠르게 경화되어서 오직 한번의 도포만을 할 수 있다. 상술된 것처럼 상기 알기네이트/차거운 물의 혼합물은 4분 안에 경화되는 것이 발견된다.
소정의 알기네이트/차거운 물의 혼합물의 형성과 조각된 모델 표면에 그것을 도포하기 전에, 음각상 주형, 즉 "모체" 주형을 조각된 모델 표면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페트로륨 젤리 (petroleum jelly)와 같은 주형 분리제 (release)를 조각된 모델의 표면 특히, 눈썹 형태의 표면, 속눈썹의 형태 그리고 이마에 얇은 코팅으로 도포한다.
알기네이트/차거운 물 혼합물은, 약 3 내지 5 cm 두께의 균일한 피복을 형성하도록, 만들어진 즉시 조각된 모델 표면에 한겹으로 도포한다. 코팅과 조각된 모델의 표면 사이의 계면에 공기 구멍이나 기포가 형성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조각된 얼굴를 손으로 가볍게 톡톡 쳐서 알기네이트를 도포함으로써, 그 도포층을 조각된 모델의 표면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알기네이트/차가운 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도포된 코팅의 경화는 일반적으로 약 4분이면 완성된다. 상기 코팅이 경화될 때, 이것은 여전히 젖은 상태로 남아있다. 면솜의 큰 조각을 젖은 코팅 표면에 덮는다. 이 면솜 조각을 코팅 표면으로부터 제거하면, 면 솜의 얇은 층이 상기 표면에 남는다.
이제, 부러진 뼈를 고정시키기는 것과 같은 정형외과적인 목적을 위한 주형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촉촉하게 젖은 석고 붕대(가아제)의 다수의 층을 결과적인 코팅 표면에 도포한다. 젖은 석고 붕대를 4층 혹은 5층이 되게 도포한다. 약 10 분안에, 석고 "붕대"는 고정되어 단단하게 되며, 음각상 주형, 즉 지금까지 상술된 "모체" 주형을 형성하게 된다. 부드럽게 흔들어주는 힘을 "마스크"에 가하여 음각 상의 결과물인 "마스트"를 조각된 모델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만약 분리과정 중에 붕대가 떨어진다면, 깨진 영역의 모서리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함께 유지되게 한다. 결과물인 "모체" 주형은 양각의 알기네이트 주형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된다.
다음으로, "모체" 주형 (도 8 및 도 9 를 참조)을 형성하기 위해 수행된 것처럼 양각 혹은 "마스터"주형을 형성하기 위해 같은 단계가 수행되나, 이때 조각된 모델 대신에 음각 "모체" 주형을 사용한다. "모체" 주형은 "마스터" 주형의 제작동안 외부에서 지지된다. "모체" 주형 주위에 배치된 폴리우레탄 경계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모체" 주형은 "모체" 주형의 가장 많이 밖으로향한 부분, 여기서는 코 (30)의 끝부분, 즉 "모체" 주형의 가장 깊은 부분까지 포장용 충진제로 가득 채워진 박스 안에서 지지되어서, "모체" 주형 제작 과정 중에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음각 상 알기네이트 주형의 얼굴 면을 덮는 젖은 종이나 수건을 사용함으로써 습기를 유지해야한다. 그렇지않으면, 음각 상 알기네이트 주형이 주저 앉거나 혹은 주형이 변형되어, 이어지는 양각 알기네이트 "마스터" 주형 제조에 사용할 수없게 된다. 결과적인 "마스터" 주형은 조각된 변형 모델의 완전한 복제품이다.
그 후, 양각 알기네이트 주형, 즉 "마스터" 주형에 기포가 존재하는지 조사해야하며, 본 발명에 따른 조각물을 구성하는 실제의 3 차원 석고 주조의 음각 상을 형성하는 양각 알기네이트 주형으로 석고를 붓기 전에 재수리 되어야할 찢어진 층이 있는지 조사하여야 한다. 발견된 임의의 찢어진 층 및/혹은 기포는 몇 스푼의 알기네이트를 물과 혼합하여 즉각적으로 경화시켜 쉽게 수리할 수 있다. 빠르게 경화되는 알기네이트/물의 혼합물의 적은 양을 찢어진 영역이나 기포 구멍이 있는 영역을 통과시킴으로써 이 결함 영역이 수리된다. "모체" 주형이 완성된 후에, 본 발명에 따른 조각물을 구성하는 3 차원 석고 주물이 형성될 수 있다. 양각 알기네이트 주형의 뒷면을 강화하기 위해, 양각 알기네이트를 지지하는 완만한 표면을 만든다. "마스터" 주형의 뒤는 석고로 가득 채워져서 알기네이트 양각 "마스터" 주형을 강화한다.
도 8 및 도 9 에서 설명된 것처럼, "모체" 주형을 형성하는데 수행된 같은 단계들이 양각 "마스터" 주형을 형성하는데 실시되며, 이때 조각된 모델 대신에 음각 알기네이트 "모체" 주형을 사용하는 것이 다르다. "마스터" 주형은 젖은 신문이나 혹은 수건을 그 위에 놓음으로써 사용중에 촉촉함을 유지시켜야 한다.
"마스터" 주형은, 도9 에서 보여진 것처럼, 각각의 위와 아래의 모서리를 따라서 결합된 한 쌍의 주형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양자 상" 부분 (116)는 도 8 에 도시된 "양각 상" 마스크 주형 (52)으로 구성된다. 그 부분 (116)은 상부 모서리를 따라서 결합되어, 베이스 (12) 와 벽 (44), 뿐만아니라 통로 (62)를 형성하는 석고-수용 요면(124) 을 제공한다. 폐쇄 부분 (122) 는 그 모서리 (120) 를 따라서결합되어, 본 발명 따른 가공되지 않은 조각물을 구성하는 석고 주물을 형성하기 위한 주형을 형성한다. 노치(notch)(128)와 고정구 (130)로 구성되는 적절한 잠금 상태는 도 9 에서 보여진 두 부분의 "마스터" 주형의 폐쇄를 보장하기 위하여 각각의 부분 (122,116)에 설치된다. 원형부 (132) 와 형상부(134) 는 서로 결합되어 통로 (62)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각물 (10) 은 "마스터" 주형을 사용하여 석고 주물을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마지막 주물을 위해 사용되는 석고 물질은 깁섬사 (Gypsum campany)에서 제조되고 ULTRACAL 30의 상표명으로 팔리는 높은 품질의 석고이다. 석고와 물의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ULTRCAL 30 과 물을 2:1의 비율로 혼합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가 되도록, 물에 대한 석고의 중량 혹은 부피의 비율이 0.5 내지 0.7 이 되게하여 상온의 깨끗한 용기에서 석고와 물을 혼합시킨다. 도 7 에서 도시된 차트 (chart)는 바람직한 주조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점성도와 바람직한 석고:물의 중량 혹은 부피의 비율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주물에서, 물 한컵 당 석고 두 컵의 혼합물이 만들어졌다. 석고의 총량은 물체의 크기와, 동시에 주조되는 물체의 량에 의해서 결정된다. 혼합물은 그 구성이 부드럽고 크림처럼 매끄러우며 기포와 덩어리가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혼합한 후 사용한다. 잘 혼합된 석고 합성물은 바로 사용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미리 경화되는 것을 피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조각물의 형성을 설명한다. "마스터" 주형은 작은 진동대 혹은 부드럽게 진동하는 바닥판과 연결된 정지된 바닥판 위에서 블록 (black)에 고정된다. 젖은 종이 혹은 수건을 "마스터" 주형으로부터 분리하고 잉여의 물도 상기 "마스터" 주형으로부터 제거한다. 준비된 석고의 제 1 층을 작고 부드러운 솔을 사용하여 "마스터" 주형의 음각상의 표면에 도포한다. 모든 구석, 갈라진 틈 및 모든 형태에 제1 석고층을 덮고, 이때 양각상 표면의 모든 세부(細部)가 석고층으로 덮힌다. 각각의 도포는 물과 솔을 헹군 후에 수행함으로써, 접촉면에서경화된 석고 기포가 성립되는 것을 방지한다.
석고 혼합물로 얇게 1차 코팅을 수행한 후, "마스터" 주형으로 특히, 알기네이트 표면과 석고 혼합물의 경계 사이로 적은 양의 석고 혼합물을 1차 주입한다. 진동기는 부드럽고 낮은 속도로 작동되어서 "마스터" 주형을 진동시킨다. 마스터 주형 표면의 약 1/2 cm의 깊이까지 석고층으로 덮일 때까지 석고 혼합물의 주입은 진행된다. 그 후, 나머지 석고 혼합물은 블록의 높이에 이를 때까지 "마스터" 주형으로 주입된다. 주입이 완성된 후, 물로 석고의 표면을 닦음으로써 그 위가 부드러운 표면으로 형성되게 한다. 석고 혼합물을 약 30분 동안 경화시키고 차게 한다.
분리하는 방향으로 약간의 힘을 가하여, 결과물인 석고 주물을 "마스터" 주형으로부터 조심스럽게 분리한다. "마스터" 주형으로부터 주물을 분리한 후, 약 30분 안에 모든 알기네이트 흔적과 석고 기포를 하나의 면도날 혹은 이쑤시개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완성된 주조를 완전히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약 7일 걸린다. 단일 면도날과 사포로 마무리를 한다. 마무리된 면이 나타난다. 조각물의 마무리 작업은 다양한 얼굴의 세부묘사를 위하여 적당한 색깔의 물질을 도포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마무리 작업은 표면에 유약을 도포하고 이어서 굽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 에서 도시된 형태의 "마스터" 주형이 사용될 때, 그 기술은 비슷하다. 도 9의 "마스터" 주형을 사용하여, 가득 채우고, 부분(116)을 포개 접고 고정하고, 그 후 결과적인 폐쇄 유닛의 내부에 석고 혼합물을 채운다.
음각 인상을 수반하는 요면(16)은 조각된 변형 모델에 "모체"(제 1) 주형을 형성함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최초 제작된 상기 모델의 음각 상을 수반하는 곡면을 상기 "모체" 주형에 제공한다. 제 1 및 제 2 "마스터" 주형이 곡면 상태로 유지되므로, 양각 상을 수반하는 요면을 "마스터" 주형이 수반한다. 그러므로 주조가 수행될 때, 결과적인 음각 상은 "마스터" 주형에서 형성된 요면(16)을 수반하며, 최종 주물에도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음각 상으로써 설명한 피사체는 동물의 얼굴 혹은 몸체와 같은 많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각물의 다른 부분과 다른 비례 관계를 가지고 형성된 선택된 특징부의 세부(細部)를 수반하는 추상적 형태 혹은 다른 공간적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차이의 정도는 직접 혹은 간접적인 광원의 지원하에서 얻어지는 3 차원적 환영 및 환영의 이동의 정도를 결정한다.
비록 광원이 어느 위치에 있을 수 있다 할지라도 빛이 비례적으로 변형된 얼굴의 요면 (12)에 직접 비출 때 가장 좋은 결과를 얻는다. 빛이 요면(12)을 향하도록 하여 광원을 우물(44)의 바닥 정면에 놓는것이 바람직하다. 광원이 바닥 정면에 놓여질 때, 변형된 모델의 얼굴 특징부의 높이(Y) 방향은 실제 물체보다 비례적으로 더 길며, 결과적으로 실제의 물체는 이동하는 관찰자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는실제의 물체의 정확한 상을 제공한다.
경험적으로, 큰 얼굴 영역의 경우 광원이 밝을수록 보다 양호한 상을 얻는다. 원하는 환영에 따라서, 상이한 특징부의 세부(細部)에 맞게 비례 차이의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궁극적으로 발생하는 음각 상을 수반하는 표면의 형태도(topography)가 요면을 구비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Claims (8)

  1. 관찰자가 조명하에서 관찰할 때 실제 물체의 가상의 3 차원 환영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음각(陰刻)의 3 차원 입체 조각물로서,
    외측으로 향하면서 외부로 개방된 함몰 요면을 구비한 주조된 3 차원의 입체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요면은 상기 실제 물체를 나타내는 음각 부조(浮彫) 상을 수반하는 한편, 상기 실제 물체의 다수의 특징부들 중에서 선택된 특징부들에 상응하는 음각 상의 특징부들은 상기 실제 물체의 선택된 특징부의 비례:비율에 비해 치수비로 0.6:1 내지 1.8:1의 비례:비율을 가짐으로써, 이동하는 관찰자가 상기 나타나는 음각 부조 상을 관찰할 때 상기 실제 물체를 3 차원적으로 나타내는 가상의 환영 입체물을 발생시키며, 상기 특징부들 중에서 선택되고 비례적으로 변형된 특징부들은 상기 관찰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된 본체는 베이스와; 직립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요면은 내부 뒷벽 및 측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음각 상은 상기 함몰된 요면의 내부 뒷벽 및 측벽에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된 본체는 내부 뒷벽 및 측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주조된 본체는 대체로 편평한 선반 및 베이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선반 표면에 인접한 상단 개방형 우물을 구비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벽까지 연장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선반 표면을 향하고 상기 우물의 내부에 형성되는 최종 반사 피복을 구비하며; 조명 수단이 상기 선반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우물에 배치되며; 상기 우물에 배치되는 조명 수단은 상기 음각 부조 상의 표면을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비례:비율은 폭 대 높이; 폭 대 깊이; 길이 대 폭; 및 깊이 대 길이를 기초로 한 비례:비율로 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변형된 비례:비율은, 실제 물체의 선택된 특징부중 1:1의 치수비로 취한 변형되지 않은 상응하는 특징부에 비해 0.8:1 내지 1.8: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특징부들 중에서 선택되어 변형된 특징부들의 하나 이상의 비례:비율은 1.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물.
  7. 다수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실제 물체를 조명하에서 가상의 환영 입체 부조로 재생할 수 있는 음각(陰刻)의 3 차원 입체 조각물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다수의 선택된 특징부들중 하나 이상은, 조명하에서, 이동하는 관찰자의 이동방향을 따라이동하는 것처림 관찰자에게 관찰되는 조각물 제조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실제 물체의 정밀한 3차원 부조 모델을 조소하는 단계로서, 상기 정밀한 물체 및 정밀한 부조 모델의 특징부를 치수비 1:1의 비례:비율로 취했을 때, 상기 정밀한 3 차원 부조 모델의 선택된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정밀한 물체의 비례 변형된 특징부를 가지는 조소 단계와;
    (2) 상기 음각 3 차원 입체 조각물이 생성될 수 있도록, 비례:비율이 1:1이 아니고 선택되어 비례 변형된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구비한 정밀한 3차원 부조 모델의 음각 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물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비율은 실질적으로 0.8:1 내지 1.8: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물 제조 방법.
KR1019960703926A 1994-11-22 1995-09-26 조각물과그제조방법 KR100375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4311294A 1994-11-22 1994-11-22
US08/343,112 1994-11-22
US08/431,909 1995-05-01
US08/431,909 US5763102A (en) 1994-11-22 1995-05-01 Method of making an intaglio three-dimensional solid sculp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5784B1 true KR100375784B1 (ko) 2003-06-18

Family

ID=2699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926A KR100375784B1 (ko) 1994-11-22 1995-09-26 조각물과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63102A (ko)
JP (1) JP3044187B2 (ko)
KR (1) KR100375784B1 (ko)
CN (1) CN1053863C (ko)
AU (1) AU702527B2 (ko)
CA (1) CA2182997C (ko)
TW (1) TW400286B (ko)
WO (1) WO199601591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088B1 (ko) * 2007-12-28 2010-01-13 허봉락 디스플레이용 음각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10566B1 (ko) 2013-04-11 2014-06-20 변성문 2 이상으로 분할된 복제 원형물을 이용한 유물의 복제 방법
KR101540110B1 (ko) * 2013-06-21 2015-07-30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사용자 간 아이콘택트를 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703335B1 (ko) * 2016-07-18 2017-02-06 구본준 부조장식 벽면형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1525B1 (en) * 1995-05-01 2001-06-26 Peter Yau Intaglio three-dimensioned solid molded sculpture
US6227935B1 (en) * 1997-05-06 2001-05-08 Magic Eye, Inc. Image invertible objec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010056309A1 (en) * 2000-06-22 2001-12-27 Prabhat Jain Three-dimensional replica creation process
CN1305016C (zh) * 2002-04-18 2007-03-14 乔康利 浮雕式有源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20040031176A1 (en) * 2002-08-15 2004-02-19 Mbacke Moustapha Three-dimensional article of manufacture presenting a near-normal view from a wide range of perspectives
US6769783B2 (en) * 2002-10-15 2004-08-03 Kuo-Pao Huang Visual angle-dependent imaging device
US20050035488A1 (en) * 2003-08-14 2005-02-17 Caivano Fernando Arturo Process for obtaining printed matter with embossed highlights
WO2011002659A2 (en) * 2009-07-01 2011-01-06 Facesme Llc Lighting fixture and method for creating visual effects and method for creating a distorted image
JP4815028B1 (ja) * 2010-06-22 2011-11-16 真澄 君島 立体造形体の製造方法、その製造キット、及びその成形型
US20120058836A1 (en) * 2010-09-02 2012-03-08 Menafra Michael S Golf club and method for use to improve golf game
TWI417819B (zh) * 2010-11-05 2013-12-01 Kuo Hua Yen 更換式之彩妝臨摹學習方法
CN102173267B (zh) * 2011-01-11 2012-12-19 东北电力大学 瓦楞纸板雕塑的制作方法
CN104147688A (zh) * 2014-07-31 2014-11-19 吉林大学 一种快速成型自适应近距离后装施源器及其制作方法
US9556999B2 (en) * 2014-11-12 2017-01-31 Frank J. Niemerg Hunting trophy and visual display presentation apparatus
CN106272898B (zh) * 2016-09-22 2019-04-09 王纪高 泥塑奇石底座的制作方法
CN106626922B (zh) * 2016-12-13 2019-01-01 滁州普立惠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用于雕刻容器内壁的雕刻机
CN108725065A (zh) * 2018-06-14 2018-11-02 冯雪松 一种布置凹面雕塑供人观赏的方法
CN110643171B (zh) * 2019-10-19 2021-10-12 上海麦艺文化艺术设计有限公司 一种硅胶雕塑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334A (en) * 1886-04-06 Peocess of maeihg a eeveesed profile patteen of the
US1902627A (en) * 1932-07-05 1933-03-21 George D Kratz Mol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334750A (en) * 1942-01-09 1943-11-23 Cerracchio Enrico Viewing device
US2663960A (en) * 1949-06-24 1953-12-29 Vincent J Scordley Illuminated illusion device
US4397701A (en) * 1981-02-20 1983-08-09 International Mask Research Foundation Method of making masks
CN1076161A (zh) * 1992-12-03 1993-09-15 周兵 硅橡胶仿真人物塑像及其制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088B1 (ko) * 2007-12-28 2010-01-13 허봉락 디스플레이용 음각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10566B1 (ko) 2013-04-11 2014-06-20 변성문 2 이상으로 분할된 복제 원형물을 이용한 유물의 복제 방법
KR101540110B1 (ko) * 2013-06-21 2015-07-30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사용자 간 아이콘택트를 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703335B1 (ko) * 2016-07-18 2017-02-06 구본준 부조장식 벽면형성방법
WO2018016801A1 (ko) * 2016-07-18 2018-01-25 구본준 부조장식 벽면형성방법
US10339842B2 (en) 2016-07-18 2019-07-02 Bon Joon Ku Method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decoration on wall surface, and three- dimensional decoration formed us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00286B (en) 2000-08-01
CN1130133A (zh) 1996-09-04
CN1053863C (zh) 2000-06-28
AU702527B2 (en) 1999-02-25
CA2182997A1 (en) 1996-05-30
US5763102A (en) 1998-06-09
AU3685295A (en) 1996-06-17
CA2182997C (en) 2002-04-30
JP3044187B2 (ja) 2000-05-22
JPH08230399A (ja) 1996-09-10
WO1996015914A1 (en) 199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5784B1 (ko) 조각물과그제조방법
US20080258339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Substrate Having a Holographic Appearance
AU2005299194A1 (en) Method for the automated production of three-dimensional objects and textured substrates from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objects
Walter et al. Integrating shape and pattern in mammalian models
US6251525B1 (en) Intaglio three-dimensioned solid molded sculpture
US6627271B1 (en) Overlaying replica, heaping replica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US20200108655A1 (en) Method for Creating a Three-Dimensional Decorative Sculpture
EP0216783B1 (en) Three dimensional image with picture covering and forming system
US6383429B1 (en) Method of making a sculpture
CN101347680A (zh) 一种真人立体头像大头娃娃制作系统及其实现方法
US4987615A (en) Method of constructing human-like costume heads
US4668457A (en) Method of making standard marbling models used for judging and grading beef
US2593150A (en) Artificial ey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948241A (en) Device for creating a variety of visual images
US3265796A (en) Method for fabricating human head replicas and the like having hair simulating filament embedded therein
US20190389243A1 (en) Optical illusion device
JP2003005656A (ja) 光利用の画像表示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532042A (ja) 視覚効果を創出するための照明器具及び方法並びに歪んだ像を創出するための方法
Burroughs New Illustrations of Rembrandt's Style
KR200305664Y1 (ko) 어린이용 조소학습 교구
JPH04102899U (ja) 石膏製レリーフ
JP2001315500A (ja) 立体装飾材の製造方法
JPH1035198A (ja) 実寸大形状の手形足形製造方法
JP2006345892A (ja) 顔面交換可能な人面基板および人面装飾体、ならびにメイクアップ練習装置およびメイクアップの練習方法
JPS6135299A (ja) 立体額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