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637B1 - 표면실장기의 노즐장치 - Google Patents

표면실장기의 노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637B1
KR100375637B1 KR10-2000-0063581A KR20000063581A KR100375637B1 KR 100375637 B1 KR100375637 B1 KR 100375637B1 KR 20000063581 A KR20000063581 A KR 20000063581A KR 100375637 B1 KR100375637 B1 KR 100375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nozzle
shaft
holder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2865A (ko
Inventor
김동준
Original Assignee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3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637B1/ko
Priority to US09/983,745 priority patent/US20020050537A1/en
Priority to JP2001328752A priority patent/JP2002178285A/ja
Priority to CNB011342307A priority patent/CN1183816C/zh
Priority to TW090126479A priority patent/TWI236322B/zh
Publication of KR2002003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2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6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09Su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Nozzl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실장기의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공샤프트(111)의 저면에 형성된 조립블럭(112)에 의해 접속블럭(113)이 고정 조립되고 접속블럭(113)의 양측면에 각각 소켓샤프트(114)가 조립됨과 아울러 소켓샤프트(114)의 양단에 각각 탄성부재(115)로 결합되어 조립되는 소켓부(110)와, 소켓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장착시에 소켓샤프트(114)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탄성부재(115)의 탄성력에 의해 소켓샤프트(114)에 밀착된 상태에서 밀려 올라가 소켓부(110)의 내측으로 장착되도록 양측면에 소정 각도로 제1경사면(121a)이 형성되며 제1경사면(121a)의 저면에 소정 각도로 제2경사면(121b)이 형성된 홀더(121)와 홀더(121)의 저면에 형성되어 부품(도시 않음)을 흡착하는 노즐이 장착되는 홀더샤프트(122)를 구비한 노즐부(120)로 구성하여, 수직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함으로써 발생되는 소켓부의 반복오차와 과도현상에 관계없이 소켓부에 노즐부를 안정되게 교체시켜 장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Description

표면실장기의 노즐장치{Nozzle Apparatus of Surface Mount Device}
본 발명은 표면실장기의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면실장기에서 표면실장용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으로 이송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실장시에 부품을 흡착하는 노즐부를 정밀하게 교체할 수 있는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면실장기는 다수의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고속 및 정밀하게 실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고속 및 정밀하게 실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면실장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표면실장기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실장장치(10)는 X-Y 갠트리(gantry)(11),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12), 모듈헤드(module head)(13) 및 노즐교환장치(14)로 구성된다.
X-Y 갠트리(11)는 모듈헤드(13)를 X-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X-Y 갠트리(11)에 의해 X-Y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모듈헤드(13)는 부품을 인쇄회로기판(1)으로 이송한다. 인쇄회로기판(1)은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12)에 의해 실장작업위치(A)로 이송된다.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12)에 의해 실장작업위치(A)로 인쇄회로기판(1)이 이송되면 모듈헤드(13)는 부품을 흡착한 후 부품을 인쇄회로기판(1)으로 이송시켜 실장하게 된다.
부품을 흡착한 후 인쇄회로기판으로 흡착된 부품을 이송하는 모듈헤드(13)는 다수개의 노즐장치(20)가 구비된다. 노즐장치(2)의 구성을 첨부된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노즐장치(20)는 소켓(socket)부(21)와 노즐부(22)로 구성되며 소켓부(21)는 중공샤프트(21a), 조립블럭(21b), 접속블럭(21c), 소켓샤프트(21d) 및 탄성부재(21e)로 구성되고, 노즐부(22)는홀더(holder)(22a) 및 홀더샤프트(22b)로 구성된다.
소켓부(21)의 중공샤프트(21a)는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저면에 형성된 조립블럭(21b)에 의해 접속블럭(21c)이 조립된다. 조립블럭(21b)에 의해 조립되는 접속블럭(21c)의 내측으로 노즐부(22)의 홀더(22a)가 조립된다. 접속블럭(21c)의 내측으로 조립되는 홀더(22a)를 견고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접속블럭(21c)의 저면에는 소켓샤프트(21d)와 탄성부재(21e)가 구비된다.
접속블럭(21c)에 구비되는 소켓샤프트(21d)는 접속블럭(21c)의 양측면에 탄성부재(21e)에 의해 지지되도록 조립된다. 탄성부재(21e)에 의해 지지되어 접속블럭(21c)의 양측면에 조립되는 소켓샤프트(21d)는 노즐부(22)의 홀더(22a)가 조립시에 홀더(22a)의 양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소켓샤프트(21d)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는 홀더(22a)의 저면에는 홀더샤프트(22b)가 형성된다.
접속블럭(21c)의 내측으로 홀더(22a)가 삽입되면 홀더샤프트(22b)에 노즐(도시 않음)을 장착되고 이 상태에서 노즐을 통해 부품을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1)으로 부품을 이송시켜 실장하게 된다. 노즐부(22)의 교환시에 소켓부(21)는 노즐교환장치(14: 도 1에 도시됨)로 이동한 후 노즐교환장치(14)에 장착된 노즐부(22)를 집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하여 노즐부(22)를 장착하여 교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노즐장치에서 노즐부를 교체시에 소켓부는 수직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하여 노즐부를 교환하는 경우에 소켓부의 수직방향으로 고속이동시 과도현상(overshoot)이 발생되거나 노즐부의 잦은 교체로 인한 반복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반복오차와 과도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노즐부의 교환시에 소켓부가 반복오차나 과도현상에 의해 노즐교환장치와 충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실장기에서 부품을 흡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노즐부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소켓부에서 노즐부의 홀더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대칭인 경사면을 형성하여 반복정밀도를 유지함과 아울러 노즐부의 교체시에 노즐부가 소켓부의 내측으로 밀착되어 장착될 수 있는 노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즐부의 교체시에 반복정밀도를 유지함과 아울러 소켓부의 내측으로 노즐부가 밀착되어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노즐부를 보다 정밀하고 안정되게 교체할 수 있는 노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표면실장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노즐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노즐장치의 사시도,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노즐장치의 종단면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접속블럭과 홀더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노즐장치 110: 소켓부
111: 중공샤프트 112: 조립블럭
113: 접속블럭 114: 소켓샤프트
115: 탄성부재 120: 노즐부
121: 홀더 121a: 제1경사면
121b: 중간경사면 121c: 제2경사면
122: 홀더샤프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샤프트의 저면에 형성된 조립블럭에 의해 접속블럭이 고정 조립되고 접속블럭의 양측면에 각각 소켓샤프트가 조립됨과 아울러 소켓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탄성부재로 결합되어 조립되는 소켓부 및 소켓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장착시에 소켓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소켓샤프트에 밀착된 상태에서 밀려 올라가 소켓부의 내측으로 장착되도록 양측면에 소정 각도로 제1경사면이 형성되며 제1경사면의 저면에 소정 각도로 제2경사면이 형성된 홀더와 홀더의 저면에 형성되어 부품을 흡착하는 노즐이 장착되는 홀더샤프트를 구비한 노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노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노즐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접속블럭과 홀더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샤프트(111)의 저면에 형성된 조립블럭(112)에 의해 접속블럭(113)이 고정 조립되고 접속블럭(113)의 양측면에 각각 소켓샤프트(114)가 조립됨과 아울러 소켓샤프트(114)의 양단에 각각 탄성부재(115)로 결합되어 조립되는 소켓부(110)와, 소켓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장착시에 소켓샤프트(114)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탄성부재(115)의 탄성력에 의해 소켓샤프트(114)에 밀착된 상태에서 밀려 올라가 소켓부(110)의 내측으로 장착되도록 양측면에 소정 각도로 제1경사면(121a)이 형성되며 제1경사면(121a)의 저면에 소정 각도로 제2경사면(121b)이 형성된 홀더(121)와 홀더(121)의 저면에 형성되어 부품(도시 않음)을 흡착하는 노즐(도시 않음)이 장착되는 홀더샤프트(122)를 구비한 노즐부(1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노즐장치(100)는 소켓부(110)와 노즐부(120)로 구성된다. 소켓부(110)는 노즐부(120)의 교체시에 노즐부(120)가 구비된 노즐교환장치(14: 도 1에 도시됨)로 이동한 후 고속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노즐부(120)를 교체하게 된다.
노즐부(120)를 교체하기 위해 고속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소켓부(110)는 중공샤프트(111)의 저면에 형성된 조립블럭(112)에 의해 접속블럭(113)이 고정 조립되고 접속블럭(113)의 양측면에 각각 소켓샤프트(114)를 조립됨과 아울러 소켓샤프트(114)의 양단에 각각 탄성부재(115)로 결합되어 조립된다. 여기서, 중공샤프트(111)의 내측에는 관통홈(111a)이 형성되며 탄성부재(115)는 압축스프링이 사용된다.
압축스프링이 사용되는 탄성부재(115)에 의해 양단이 조립되는 소켓샤프트(114)가 접속블럭(113)의 내측으로 노즐부(120)가 조립된다. 노즐부(120)는 홀더(121)와 홀더샤프트(122)로 구성된다. 홀더(121)는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직육면체로 형성된 홀더(121)의 양측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제1경사면(121a)과 제2경사면(121c)이 형성되고, 홀더샤프트(122)는 부품을 흡착하는 노즐(도시 않음)이 장착된다.
홀더(121)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경사면(121a)과 제2경사면(121c)은 홀더(121)가 접속블럭(113)의 내측으로 장착시에 소켓샤프트(114)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탄성부재(115)의 탄성력에 의해 소켓샤프트(114)에 밀착된 상태에서 접속블럭(113)의 내측으로 홀더(121)가 밀려 올려가 접속블럭(113)의 내측으로 조립되도록 한다.
접속블럭(113)의 내측으로 탄성부재(115)의 탄성력에 홀더(121)가 밀려 올라가 장착되도록 홀더(121)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경사면(121a)의 경사각도(α)는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홀더(121)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10 내지 50°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1경사면(121a)의 저면에 형성된 제2경사면(121c)은 홀더(121)의수직축을 기준으로 30 내지 55°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경사면(121a)과 제2경사면(121c) 사이의 중간면(121b)은 홀더(121)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경사면(121a)이 소켓샤프트(114)를 통과한 상태에서 탄성부재(115)에 의해 상호 밀착되는 소켓샤프트(114)에 의해 고정시키기 위해 중간경사면(121b)이 형성된다. 중간경사면(121b)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2경사면(121c)은 즉, 도 4b에서와 같이 홀더(121)의 모서리부분(B)이 소켓샤프트(114)의 중심(C) 보다 낮은 위치에서 홀더(121)가 접속블럭(113)의 내측으로 밀려 삽입되어 장착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홀더부의 양측면에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을 각각 대칭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소켓부에 홀더를 장착시 탄성부재에 의해 상호 밀착되는 소켓샤프트에 밀리는 힘에 의해 장착시킴으로써 수직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함으로써 발생되는 소켓부의 반복오차와 과도현상(overshoot)에 관계없이 소켓부에 노즐부를 안정되게 교체시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즐장치는 홀더부의 양측면에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형성하여 소켓부에 홀더를 장착시에 탄성부재에 의해 상호 밀착되는 소켓샤프트에 의해 밀려 올라가 장착시킴으로써 수직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되어 발생되는 소켓부의 반복오차와 과도현상에 관계없이 소켓부에 노즐부를 안정되게 교체시켜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표면실장기에서 부품을 흡착하기 위한 노즐장치에 있어서,
    중공샤프트의 저면에 형성된 조립블럭에 의해 접속블럭이 고정 조립되고 접속블럭이 양측면에 각각 소켓샤프트가 조립됨과 아울러 소켓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탄성부재로 결합되어 조립되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장착시에 상기 소켓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소켓샤프트에 밀착된 상태에서 밀려 올라가 소켓부의 내측으로 장착되도록 양측면에 10 ~ 50°의 각도로 제1경사면이 형성되며 제1경사면의 저면에 30 ~ 55°의 각도로 제2경사면이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의 저면에 형성되어 부품을 흡착하기 위한 노즐이 장착되는 홀더샤프트를 구비한 노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노즐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0-0063581A 2000-10-27 2000-10-27 표면실장기의 노즐장치 KR100375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581A KR100375637B1 (ko) 2000-10-27 2000-10-27 표면실장기의 노즐장치
US09/983,745 US20020050537A1 (en) 2000-10-27 2001-10-25 Nozzle apparatus of surface mounting device
JP2001328752A JP2002178285A (ja) 2000-10-27 2001-10-26 表面実装機のノズル装置
CNB011342307A CN1183816C (zh) 2000-10-27 2001-10-26 表面组装机的喷嘴装置
TW090126479A TWI236322B (en) 2000-10-27 2001-10-26 Nozzle apparatus of surface mou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581A KR100375637B1 (ko) 2000-10-27 2000-10-27 표면실장기의 노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865A KR20020032865A (ko) 2002-05-04
KR100375637B1 true KR100375637B1 (ko) 2003-03-10

Family

ID=3664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581A KR100375637B1 (ko) 2000-10-27 2000-10-27 표면실장기의 노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20050537A1 (ko)
JP (1) JP2002178285A (ko)
KR (1) KR100375637B1 (ko)
CN (1) CN1183816C (ko)
TW (1) TWI2363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2101833U1 (de) 2012-05-18 2013-08-20 Kuka Systems Gmbh Mehrteiliges Werkzeug
CN105252540A (zh) * 2015-10-23 2016-01-20 苏州达程祥电子科技有限公司 机械手快换装置以及带有快换装置的机械手设备
CN105538330B (zh) * 2015-12-08 2018-05-25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电磁体吸附抓取装置
CN105881568B (zh) * 2016-05-23 2017-11-17 重庆市灵龙自动化设备有限公司 真空快换夹具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3230A (en) * 1975-11-10 1977-03-22 Gondek John T Shower head
US4482174A (en) * 1980-09-15 1984-11-13 Lok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tube connection
JP3048711B2 (ja) * 1991-11-25 2000-06-05 三洋電機株式会社 部品装着装置における外力測定回路
JPH07186081A (ja) * 1993-12-27 1995-07-25 Citizen Watch Co Ltd 電子部品装着装置におけるメカニカルチャック
JP3242519B2 (ja) * 1994-01-24 2001-12-25 山形カシオ株式会社 電子部品装着装置
US5575409A (en) * 1995-02-23 1996-11-19 Terry A. Horner Static mixer nozzle configuration that removably receives a locking hub thereon
US6398128B1 (en) * 2000-01-26 2002-06-04 Spraying Systems Co. Quick disconnect nozzle assembly
US6692040B1 (en) * 2000-10-03 2004-02-17 Lokring Technology Corporation Lokring fitting having improved anti-torsion cap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50537A1 (en) 2002-05-02
JP2002178285A (ja) 2002-06-25
CN1183816C (zh) 2005-01-05
KR20020032865A (ko) 2002-05-04
TWI236322B (en) 2005-07-11
CN1351467A (zh) 2002-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9159B1 (en) Method of support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CN1265206C (zh) 处理装置和使用该处理装置的试验设备
KR20020049490A (ko) 표면실장기의 노즐장치
KR100375637B1 (ko) 표면실장기의 노즐장치
KR100371227B1 (ko) 표면실장기에 적용된 이형부품 그립퍼의 그립팁
US5197888A (en) Method of positioning flexible circuit members on a common circuit member
KR100371226B1 (ko) 표면실장기에 적용된 이형부품 그립퍼
KR100363904B1 (ko) 표면실장기에서 노즐의 회전이 방지되는 노즐장치
CN109526143B (zh) 一种贴片机
KR100363901B1 (ko) 표면실장기에서 홀더의 회전이 방지되는 노즐장치
KR100394844B1 (ko)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
JP5996298B2 (ja) 部品実装装置
KR100493627B1 (ko) 표면실장기용 노즐장치
KR100363900B1 (ko) 표면실장기에서 노즐교체장치의 수직구동장치
CN112821108A (zh) 弹片式连接结构
CN1269273C (zh) 集成电路插座及用于该插座的吸附片
KR102284386B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수동형 부품 실장기
CN216450613U (zh) 一种吸嘴架和固晶机
CN212367634U (zh) 一种具有同步移动浮动脚的电路板打孔定位装置
CN219718996U (zh) 一种装配装置
US20040012891A1 (en) FPC mounting apparatus
KR100454894B1 (ko) 마운터 헤드의 노즐
KR100593378B1 (ko) 표면실장기의 이형부품 그립퍼
KR200242519Y1 (ko) 교체가 용이한 마운터 헤드의 노즐
KR100377115B1 (ko) 표면실장장치의 인쇄회로기판의 백업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