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844B1 -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 - Google Patents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844B1
KR100394844B1 KR10-2001-0032969A KR20010032969A KR100394844B1 KR 100394844 B1 KR100394844 B1 KR 100394844B1 KR 20010032969 A KR20010032969 A KR 20010032969A KR 100394844 B1 KR100394844 B1 KR 100394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pline
motor
coupling
adsorption head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4633A (ko
Inventor
김동준
Original Assignee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2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844B1/ko
Priority to TW090130552A priority patent/TWI238683B/zh
Priority to US10/020,937 priority patent/US20020185875A1/en
Priority to JP2002007077A priority patent/JP3611821B2/ja
Publication of KR20020094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09Suc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회전력을 발생하여 회전중심축(11)에 전달하는 모터(10)와, 회전운동과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실시하는 볼스프라인부(20)와, 수직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회전하여 부품(도시 않음)을 흡착하거나 실장하는 회전샤프트부(30)와, 모터(10)의 회전중심축(11)과 볼스프라인부(20)의 일단을 결합시켜 모터(10)의 회전중심축(11)의 회전력을 볼스프라인부(20)로 전달함과 아울러 볼스프라인부(20)의 회전력을 회전샤프트부(30)로 전달되도록 볼스프라인부(20)의 타단과 회전샤프트부(30)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커플링(coupling)(41,42)으로 구성하여, 모터, 볼스프라인부 및 회전샤프트부를 결합시켜 부품흡착헤드를 조립함으로써 회전중심축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부품흡착헤드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Description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Part Adsorption Head of Surface Mount Device}
본 발명은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면실장기에서 부품을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으로 실장하는 부품흡착헤드를 복수개의 커플링을 이용하여 정밀성을 유지함과 아울러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부품흡착헤드에 관한 것이다.
표면실장기는 다수의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고속 및 정밀하게 실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고속 및 정밀하게 실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면실장기는 크게 X-Y 갠트리(gantry),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부품공급부 및 헤드유니트(head unit)로 구성된다. 헤드유니트는 X-Y 갠트리에 설치되어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에 의해 부품실장작업위치로 이송된 인쇄회로기판에 부품을 실장하게 된다. 헤드유니트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부품을 부품공급부에서 공급받는다.
부품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부품을 흡착하는 헤드유니트는 다수개의 부품흡착헤드로 구성되며 각각의 부품흡착헤드는 모터(motor), 볼스프라인(ball spline) 및 소켓(socket)부로 구성된다. 모터, 볼스프라인부 및 회전샤프트부로 구성된 부품흡착헤드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표면실장기에 적용된 종래의 부품흡착헤드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흡착헤드(100)는 모터(10), 볼스프라인부(20) 및 회전샤프트부(30)로 구성된다. 모터(10)의 회전중심축(11)은 볼스프라인부(20)의 일단과 결합되며, 볼스플라인부(20)의 타단은 회전샤프트부(30)와 결합된다. 회전샤프트부(30)와 결합되는 볼스프라인부(20)는 볼스프라인(21)과 볼스프라인 너트(ball spline nut)(22)로 구성되어 모터(1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운동을 함과 아울러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볼스프라인부(20)는 부품흡착헤드(100)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 모터(10)의 하중이 회전샤프트부(3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회전과 왕복운동을 실시하는 볼스프라인부(20)의 타단에 결합되는 회전샤프트부(30)는 회전샤프트(31), 소켓(32), LM 가이드(linear guide)(33), 이동블럭(34), 플랜지(flange)(35)로 구성된다. 회전샤프트(31)의 일단에는 소켓(32)이 구비되며, 외측으로 이동블럭(34)이 설치된다. 회전샤프트(31)가 내측으로 조립된 이동블럭(34)의 양단에는 플랜지(35)가 설치된다. 이동블럭(34)의 내측에 조립된 회전샤프트(31)를 수직으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해 이동블럭(34)의 배면에 LM 가이드(33)가 설치된다.
LM 가이드(33)는 이동부재(33a)와 고정부재(33b)로 구성되며, 이동부재(33a)는 이동블럭(34)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샤프트(31), 볼스프라인(21) 및 이동블럭(34)의 수직 왕복이동을 고정부재(33b)를 따라 가이드시켜 이동시켜 흡착된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게 된다.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부품이 정확하게 부품흡착헤드(100)에 정확하게 흡착되지 않는 경우에 모터(10)에 의해 소정반경으로 회전샤프트(31)를 회전시켜 부품의 흡착을 보정하게 된다.
부품공급부(도시 않음)로부터 공급된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종래의 부품흡착헤드(100)는 모터(10)의 회전중심축(11)과 볼스프라인부(20)가 커플링(coupling)(1)에 의해 결합되며, 볼스프라인부(20)와 회전샤프트부(30)는 직접 결합되어 하나의 부품흡착헤드(100)를 구성하게 된다.
모터, 볼스프라인부 및 회전샤프트부로 구성된 부품흡착헤드를 종래와 같이 하나의 커플링을 이용하여 조립시 부품을 흡착하고 흡착된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정밀하게 실장하기 위해 모터, 볼스프라인부 및 회전샤프트부의 각각의 중심축을 정밀하게 정렬시켜 조립해야됨으로 모터, 볼스프라인부 및 회전샤프트부 중 어느 하나에 가공오류가 발생되면 부품흡착헤드의 조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볼스프라인부 및 회전샤프트부로 구비되는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에서 복수개의 커플링을 이용하여 모터와 회전샤프트의 중심축 만을 정렬시켜 부품흡착헤드를 조립할 수 있는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와 회전샤프트의 중심축만을 정렬시켜 부품흡착헤드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흡착헤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표면실장기에 적용된 종래의 부품흡착헤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표면실장기에 적용된 부품흡착헤드의 분리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품흡착헤드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품흡착헤드의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부품흡착헤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모터 20: 볼스프라인부
21: 볼스프라인 22: 볼스프라인 너트
30: 회전샤프트부 31: 회전샤프트
32: 소켓 33: LM 가이드
34: 이동블럭 41: 제1커플링
42: 제2커플링
본 발명의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는 소정의 회전력을 발생하여 회전중심축에 전달하는 모터와, 회전운동과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실시하는 볼스프라인부와, 수직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회전하여 부품을 흡착하거나 실장하는 회전샤프트부와, 모터의 회전중심축과 볼스프라인부의 일단을 결합시켜 모터의 회전중심축의 회전력을 볼스프라인부로 전달함과 아울러 볼스프라인부의 회전력을 회전샤프트부로 전달되도록 볼스프라인부의 타단과 회전샤프트부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커플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표면실장기에 적용된 부품흡착헤드의 분리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품흡착헤드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품흡착헤드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회전력을 발생하여 회전중심축(11)에 전달하는 모터(10)와, 회전운동과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실시하는 볼스프라인부(20)와, 수직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회전하여 부품(도시 않음)을 흡착하거나 실장하는 회전샤프트부(30)와, 모터(10)의 회전중심축(11)과 볼스프라인부(20)의 일단을 결합시켜 모터(10)의 회전중심축(11)의 회전력을 볼스프라인부(20)로 전달함과 아울러 볼스프라인부(20)의 회전력을 회전샤프트부(30)로 전달되도록 볼스프라인부(20)의 타단과 회전샤프트부(30)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커플링(coupling)(41,42)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100)는 크게 모터(10), 볼스프라인부(20), 회전샤프트부(30) 및 복수개의 커플링(41,42)으로 구성된다.
모터(10)는 회전샤프트부(30)의 회전샤프트(31)를 회전시키기 위한 소정의 회전력을 발생하여 회전중심축(11)에 전달된 후 볼스프라인부(20)로 전달된다. 회전중심축(11)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은 전달받는 볼스프라인부(20)는 볼스프라인(21)과 볼스프라인 너트(22)로 구성되며, 볼스프라인(21)은 볼스프라인 너트(22)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모터(1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운동을 함과 아울러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볼스프라인부(20)는 또한, 부품흡착헤드(100)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 모터(10)의 하중이 회전샤프트부(3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회전과 왕복운동을 실시하는 볼스프라인부(20)의 타단에는 회전샤프트부(30)가 설치된다. 회전샤프트부(30)는 크게 회전샤프트(31), 소켓(32), LM 가이드(33), 이동블럭(34), 플랜지(35)로 구성된다. 회전샤프트(31)의 일단에는 소켓(32)이 구비되며, 외측으로 이동블럭(34)이 설치된다. 회전샤프트(31)가 내측으로 조립된 이동블럭(34)의 양단에는 플랜지(35)가 설치된다. 이동블럭(34)의 내측에 조립된 회전샤프트(31)를 수직으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해 이동블럭(34)의 배면에 LM 가이드(33)가 설치된다.
LM 가이드(33)는 이동부재(33a)와 고정부재(33b)로 구성되며, 이동부재(33a)는 이동블럭(34)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샤프트(31), 볼스프라인(21) 및 이동블럭(34)의 수직 왕복이동을 고정부재(33b)를 따라 가이드시켜 이동시켜 흡착된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게 된다.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부품이 정확하게 부품흡착헤드(100)에 정확하게 흡착되지 않는 경우에 모터(10)에 의해 소정반경으로 회전샤프트(31)를 회전시켜 부품의 흡착을 보정하게 된다.
부품의 흡착자세 및 위치를 보정하기 위해 회전샤프트(31)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샤프트부(30)는 먼저 볼스프라인부(20)와 결합되고, 볼스프라인부(20)를 연결부재로 하여 모터(10)의 회전중심축(11)과 연결된다. 모터(10)의 회전중심축(11)과 볼스프라인부(20)의 일단을 결합시키거나 볼스프라인부(20)의 회전력을 회전샤프트부(30)로 전달하기 위해 복수개의 커플링(41,42)이 사용된다.
복수개의 커플링(41,42)은 제1커플링(41)과 제2커플링(42)으로 구비되며, 제1커플링(41)은 모터(10)의 회전중심축(11)과 볼스프라인부(20)의 일단을 결합시키며, 제2커플링(42)은 볼스프라인부(20)의 타단과 회전샤프트부(30)를 결합시켜 모터(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회전샤프트(31)로 전달한다.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샤프로(31)의 회전반경을 제한하기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볼스프라인 너트(22)에 베어링(bearing)(23)이 설치된다.
모터(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회전샤프트(31)로 전달시키기 위한 제1커플링(41)은 도 5에서와 같이 모터(10)의 회전중심축(11)과 볼스프라인부(20)의 볼스프라인 너트(22)의 각각의 외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거리(m)로 이격되도록 결합시키며, 제2커플링(42)은 볼스프라인부(20)의 볼스프라인(21)의 타단과 회전샤프트부(30)의 회전샤프트(31)의 각각의 외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거리(m)로 이격되도록 결합시켜 볼스프라인부(20)는 단지 모터(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회전샤프트부(30)로 전달하거나, 모터(10)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회전샤프트부(3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모터, 볼스프라인부 및 회전샤프트부를 복수개의 커플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볼스플라인부의 회전중심축에 관계없이 모터와 회전샤프트부의 회전중심축만을 정렬시킴으로써 부품흡착헤드를 용이하게 조립함과 아울러 모터와 회전샤프트부의 회전샤프트의 회전중심축이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더라도 회전샤프트를 모터의 회전에 동기시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커플링을 이용하여 모터, 볼스프라인부 및 회전샤프트부를 결합시켜 부품흡착헤드를 조립함으로써 회전중심축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부품흡착헤드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표면실장기에서 부품을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헤드에 있어서,
    소정의 회전력을 발생하여 회전중심축에 전달하는 모터;
    회전운동과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실시하는 볼스프라인부;
    수직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회전하여 부품을 흡착하거나 실장하는 회전샤프트부; 및
    상기 모터의 회전중심축과 상기 볼스프라인부의 일단을 결합시켜 상기 모터의 회전중심축의 회전력을 상기 볼스프라인부로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볼스프라인부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샤프트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볼스프라인부의 타단과 상기 회전샤프트부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커플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커플링은 상기 모터의 회전중심축과 상기 볼스프라인부의 일단을 결합시키는 제1커플링; 및
    상기 볼스프라인부의 타단과 상기 회전샤프트부를 결합시키는 제2커플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플링은 상기 모터의 회전중심축과 상기 볼스프라인부의 볼스프라인 너트의 각각의 외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거리로 이격되도록 결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플링은 상기 볼스프라인부의 볼스프라인의 타단과 상기 회전샤프트부의 회전샤프트의 각각의 외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거리로 이격되도록 결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
KR10-2001-0032969A 2001-06-12 2001-06-12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 KR100394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969A KR100394844B1 (ko) 2001-06-12 2001-06-12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
TW090130552A TWI238683B (en) 2001-06-12 2001-12-10 Component suction head of surface mount machine
US10/020,937 US20020185875A1 (en) 2001-06-12 2001-12-19 Parts suction head of surface mount device
JP2002007077A JP3611821B2 (ja) 2001-06-12 2002-01-16 表面実装機の部品吸着ヘッ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969A KR100394844B1 (ko) 2001-06-12 2001-06-12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633A KR20020094633A (ko) 2002-12-18
KR100394844B1 true KR100394844B1 (ko) 2003-08-19

Family

ID=1971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969A KR100394844B1 (ko) 2001-06-12 2001-06-12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20185875A1 (ko)
JP (1) JP3611821B2 (ko)
KR (1) KR100394844B1 (ko)
TW (1) TWI2386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7272A (zh) * 2011-06-22 2012-12-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吸附装置
US10995568B2 (en) * 2011-08-09 2021-05-04 FinalRod IP, LLC Automated end fitting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US9451736B2 (en) * 2011-10-05 2016-09-20 Samick Precision Ind. Co., Ltd. High load and high precision polygonal guide
KR101970793B1 (ko) 2011-12-27 2019-04-22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표면 실장기의 흡착 헤드
US9258936B2 (en) * 2011-12-27 2016-02-09 Hanwha Techwin Co., Ltd. Adsorption head for surface mounting device
CN102843872A (zh) * 2012-08-22 2012-12-26 广东益翔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异型贴片机贴装头结构
CN104627454B (zh) * 2013-11-15 2017-01-1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吸头装置
JP6777688B2 (ja) * 2018-06-15 2020-10-2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用ハンドおよびハンド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034U (ko) * 1994-03-28 1995-10-20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전자부품의 이송용 헤드
KR19990079021A (ko) * 1998-02-11 1999-11-05 유무성 부품 실장 장치 헤드
KR20000009371A (ko) * 1998-07-23 2000-02-15 유무성 칩 마운터 헤드
JP2002151891A (ja) * 2000-11-15 2002-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実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1973A (en) * 1992-09-30 1994-12-13 Western Atlas Inc. Grinding machine utilizing multiple, parallel, abrasive belts simultaneously grinding surfaces on a workpiece
JPH08279697A (ja) * 1995-04-10 1996-10-22 Fuji Mach Mfg Co Ltd 電子部品装着ヘッド,電子部品装着装置および電子部品装着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034U (ko) * 1994-03-28 1995-10-20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전자부품의 이송용 헤드
KR19990079021A (ko) * 1998-02-11 1999-11-05 유무성 부품 실장 장치 헤드
KR20000009371A (ko) * 1998-07-23 2000-02-15 유무성 칩 마운터 헤드
JP2002151891A (ja) * 2000-11-15 2002-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実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70186A (ja) 2002-12-24
KR20020094633A (ko) 2002-12-18
TWI238683B (en) 2005-08-21
JP3611821B2 (ja) 2005-01-19
US20020185875A1 (en) 200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72808B2 (ja) 部品装着装置
KR100319820B1 (ko) 액츄에이터
KR100394844B1 (ko) 표면실장기의 부품흡착헤드
JP4219527B2 (ja) 部品実装機用ヘッド組立体及びこれを具備した部品実装機
KR100348400B1 (ko) 표면실장장치의 모듈헤드의 노즐회전장치
JPH0345916B2 (ko)
KR100405109B1 (ko) 표면실장기의 마운터 헤드
KR100493192B1 (ko) 칩마운터
KR100503049B1 (ko) 부품실장장치헤드
KR100363904B1 (ko) 표면실장기에서 노즐의 회전이 방지되는 노즐장치
KR100394224B1 (ko) 비접촉 실링구조를 갖는 부품흡착헤드
KR100307611B1 (ko) 멀티노즐 헤드
KR100399023B1 (ko) 복수개의 갠트리가 구비된 표면실장기
JPH07214483A (ja) 工業用ロボット
KR101091916B1 (ko) 부품 실장기용 헤드 어셈블리
KR100294913B1 (ko) 부품 실장기용 다중 노즐 헤드 장치
JP3099520B2 (ja) テーピング電子部品の位置決め装置
JPH11220295A (ja) 電子部品実装機のノズルユニット
JPH11284396A (ja) 電気部品撮像方法および電気部品装着システム
KR20020032869A (ko) 표면실장장치에서 피더스테이지의 위치조정장치
JP2002213565A (ja) 搬送位置決め装置
KR960000162Y1 (ko) 전자부품 표면실장기의 시각인식용 헤드
KR19990008578U (ko) 표면실장기의 헤드장치
KR100355601B1 (ko) 표면실장장치에서 원통형 선형전동기가 적용된 모듈헤드
KR20190015995A (ko) 축회전 리니어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