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226B1 - 이동전화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226B1
KR100374226B1 KR10-2001-0004691A KR20010004691A KR100374226B1 KR 100374226 B1 KR100374226 B1 KR 100374226B1 KR 20010004691 A KR20010004691 A KR 20010004691A KR 100374226 B1 KR100374226 B1 KR 100374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ry
information
station
read
time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3645A (ko
Inventor
스미노모리히코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3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2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어느 국가에 배치되어 있는가를 알 수가 있으며, 그에 따라 배치된 국가에 적응한 조작을 조작하는 사람에게 알릴 수 있는 이동전화장치를 제공한다.
동작국 기억부(3)는, 복수의 국명을, 그 국가의 시차를 나타내는 시차정보에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있으며, 기지국에 의해 발신되는 Sync채널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지국이 설치된 지역에 있어서의 시차를 나타내는 LTM_OFF필드를, 수신한 Sync채널메시지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된 LTM_OFF필드에 가장 가까운 시차와 대응시켜서 기억되어 있는 국명을 동작국 기억부(3)로부터 판독하여 LCD(21)에 표시하게 한다.

Description

이동전화장치{MOBILE TELEPHON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전화시스템에 설치된 기지국을 통한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이동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휴대전화시스템의 하부구조는, 일본 및 구미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전세계의 여러 나라에서 정비되어 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시스템의 무선통신방식에는, 시분할 다원접속방식(TDMA방식), 주파수분할 다원접속방식(FDMA방식), 부호분할 다원접속방식(CDMA방식)이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CDMA방식의 휴대전화시스템은, 멀티패스 페이딩(multipath fading)대책에 있어서 뛰어나, 도시에서의 통신을 양호하게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장래성이 많이 기대되고 있다.
CDMA방식의 휴대전화시스템은, 미국의 퀄콤사가 개발한 방식이, 1993년에 미국의 표준방식의 하나(IS95)로 채용됨으로서 본격적인 운용이 개시되었으며, 그 이후, IS95방식의 휴대전화시스템은, 1995년9월에는 홍콩, 1996년1월에는 한국과 같이 전세계의 여러 나라에 보급되기에 이르렀다.
한편 IS95는, IS-95→IS-95A→IS-95B라는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일본국에서는, IS-95A를 베이스로 하여 책정된 ARIB STD-T53(일반적으로 T53이라고 한다.)에 준하여 휴대전화시스템이 운용되고 있다.
휴대전화시스템의 하부구조가 각국에 있어서 정비되어감에 따라, 국제 로밍(roaming)이 가능한 이동전화장치의 등장이 기대되고 있다.
국제 로밍이 가능한 이동전화장치란, 제1국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며, 그와 함께, 제1국으로부터 제2국으로 가지고 나간 경우에, 제2국에서의 동작도 가능하게 되는 이동전화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미국의 IS95방식의 휴대전화시스템으로 통화가 가능한 이동전화장치를, 홍콩이나 한국에서 사용하는 것, 소위 미국-홍콩, 미국-한국간의 국제 로밍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홍콩이나 한국에서는, 미국과 동일한 IS95방식의 휴대전화시스템이 운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동전화장치는 IS95에 준거하여 처리절차를 실행하는 한, 휴대전화시스템과 통신을 행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국제 로밍에 의해 이동전화장치가 제2국으로 반출되었을경우에, 그 제2국에서의 사용에 앞선 경고가 이동전화장치의 조작자에게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즉, 통신요금의 부과나, 전자메일이나 인터넷 등의 각종 통신서비스의 운용이 제1국과 제2국에 있어서 상이한 경우, 어떠한 방법으로든 동작국이 변경된 사실을 조작자에게 인식시켜, 제2국의 사용에 적응하도록 하는 설정을 조작자에게 실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전화장치는, 자기장치가 어느 나라에 배치되어 있는가를 알 수 있는 기술이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설정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조작자에게 경고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느 나라에 배치되어 있는가를 알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배치된 나라에 적응한 조작을 조작자에게 알릴 수가 있는 이동전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전화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국명사서(國名辭書)기억부(2)의 기억내용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이동전화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이동전화장치에 있어서의 상태천이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Sync채널메시지의 데이터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국가변경의 검출과, 동작국 갱신과, 동작국 표시를 행하는 경우의 처리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이동전화장치가 미국으로 반입된 경우의 표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의(a),(b)는, 동작국의 후보를 일람표시하는 경우의 표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의(a),(b)는, 일람표시 된 동작국 후보를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동작국이 표시된 경우의 표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DMA 처리부 2 : 국명사서 기억부
3 : 동작국 기억부 4 : 사용자 인터페이스
5 : 메시지 처리부 11 : 수신계통
12 : 송신계통 13 : PN부호 발생회로
14 : 역(逆)확산회로 15 : 복조회로
16 : 필터 17 : 타이밍 변경회로
18 : PN부호 발생회로 19 : 변조기
20 : 확산회로 21 : LCD
22 : 키보드 부 23 : 스피커
24 : 마이크 25 : 커서 키(cursor ke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어느 지역을 기준으로 한 복수 국가의 시차를, 각국에 대한 국가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국가정보 기억수단과, 기지국에 의해 발신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기지국이 설치된 지역에 있어서의 시차를 나타내는 로컬 옵셋(local offset)을, 수신한 메시지로부터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판독된 로컬 옵셋에 가장 가까운 시차와 대응시켜 기억되어 있는 국가정보를 국가정보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이동전화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전화장치는 CDMA처리부(1)와, 국명사서 기억부(2)와, 동작국 기억부(3)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와, 메시지처리부(5)를 구비한다.
CDMA처리부(1)는 4,5개의 CDMA방식의 수신계통(11)과 송신계통(12)을 포함하여,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메시지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CDMA방식의 수신계통(11)은, PN부호계열이 발생하는 PN부호 발생회로(13)와, 안테나에 유기된 수신신호에, 발생한 PN부호계열을 곱하는 것에 의하여, 수신신호의 역확산을 실행하는 역확산회로(14)와, 역확산된 수신신호를 1차 복조하여, 기지국이 발신한 메시지를 얻는 복조회로(15)와, 복조신호 가운데, 특정의 주파대의 성분만을 투과시키는 필터(16)와, 필터로부터의 출력신호의 진폭에 따라, 부호계열의 발생타이밍의 변경을 PN부호 발생회로(13)에 지시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의 동기포착을 행하는 타이밍변경회로(17)를 포함한다.
4,5개의 수신계통(11)의 집합은 Finger라고 불리며,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도래하는 전파나 멀티패스를 수신한다.
CDMA방식의 송신계통(12)은, PN부호계열을 발생시키는 PN부호 발생회로(18)와, 기지국에 출력해야할 출력신호(메시지)를 1차 변조하는 변조기(19)와, 발생한 PN부호계열을 곱하는 것에 의하여, 1차 변조된 출력신호의 확산을 행하며, 안테나를 통해서 기지국에 송신시키는 확산회로(20)를 포함한다.
국명사서 기억부(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기로서 복수의 국가에 대한 국가정보와 그 국가의 시차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다.
상술한 국가정보란, 국가의 명칭, 약칭, 기호 등 각국을 표현할 수 있는 정보이며(본 실시형태에서는, 간략화를 기하기 위하여, 국가정보를 국명으로 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에 국가정보(국명)가 기술된 복수의 국가 중에는, CDMA의 휴대전화시스템이 운용되고 있는 국가가 존재한다.
그와 같은 국가에 본 이동전화장치가 배치되면, 상술한 CDMA처리부(1)는, 그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는 휴대전화시스템과 메시지의 송수신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후자의 시차정보는, 그들 복수국가의 시차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인 해석에 의한「시차」는, 어느 국가의 표준시각과 그리니치 표준시각의 시간차이며, 예를 들면 일본의 경우를 예시하는 시차는, 일본표준시각과 그리니치 표준시각과의 시간차「9:00」을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국명사서 기억부(2)는 일본 이외의「독일」「프랑스」「이란」등과 같은 국가들의 국명과, 그들 국가에 관한 시차정보「+1:00」「+1:00」「+3:30」을 기억하고 있으며, 어떤 시차로부터 그 국가의 국명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검색된 국명은 동작국으로서 동작국 기억부(3)에 설정되게 된다.
또, 국명사서 기억부(2)는, 도 2의「일본」「한국」과 같이 거의 동일한 경도에 있는 2개 이상의 국가의 국명을, 동일한 시차를 나타내는 시차정보「9:00」에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다.
이것은「중국」「필리핀」의 양국 국명을, 시차정보「8:00」에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도 명백하다.
그렇게 되면, 1개의 시차를 사용하여 국명사서 기억부(2)의 검색을 실행하면, 이들 거의 동일한 경도에 있는 2개의 국가의 국명이, 그 시차에 해당하는 것으로 되며, 그 가운데 어느 국가에 국제 로밍이 행하여졌는지 판명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국명사서 기억부(2)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국가 중, 거의 동일한 경도에 있는 2개 이상의 국가의 국명에 대해서는,「동작국의 후보」로서 취급하며, 이들을 일람표시하여, 이동전화장치가 이 가운데 어느 국가에 로밍하였는지를 조작자에 의해 선택하게 함으로서, 정확한 동작국을 선택시키고 있다.
동작국 기억부(3)는, 국명사서 기억부(2)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국가명 가운데, 어느 국가명을 동작국으로서 기억한다.
국제 로밍이 실시될 때마다, 동작국 기억부(3)에 동작국으로서 기억되어 있는 국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국명사서 기억부(2)의 검색을 거쳐서 갱신되는 것이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는, 문자열, 기호를 표시하는 액정디스플레이(LCD)(21), 조작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키보드부(22), 스피커(23), 마이크(24)를 포함한다.
도 3은, 이동전화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본 도면에 있어서,LCD(21)는, 국명사서 기억부(2)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국가명 가운데, 동작국으로 되어 있는 것(도면 중의 일본)과, 동작국이 변경된 사실(도면중의「동작국이 변경되었습니다」라는 취지의 문자열)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또, LCD(21)는, 국명사서 기억부(2)에 있어서, 동작국이 될 수 있는 국가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이들 국가를 동작국의 후보로서 일람표시할 때에 사용된다.
키보드(22)는, 십자(十字)형의 커서 키(25), 0∼9의 번호키, #기호키, *기호키 등 복수의 키를 포함한다.
커서 키(25)는 국명사서 기억부(2)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국명이 동작국의 후보로서 LCD(21)에 일람 표시된 경우, 어느 동작국 후보를 선택하는 용도에 사용된다.
또, 번호키, 기호키, 기호키의 어느 것은, 소위 Enter키로서 사용된다.
여기에서의 Enter키란, 복수의 동작국 후보 가운데 어느 것이 커서 키(25)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에, 그 후보를 동작국으로서 특정시키는 조작을 접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키이다.
스피커(23), 마이크(24)는, 이동전화장치가 조작자에 의해 파지된 경우에, 입과 귀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메시지처리부(5)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에 대한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 도 4에 나타내는 Init스테이트∼Traffic스테이트 사이의 상태천이를 실행하며, CDMA처리부(1)를 통한 메시지의 송수신 통합제어를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은, Init스테이트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5)가 Sync채널메시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사용하여 동작국 기억부(3)의 검색을 실행하며, 동작국 기억부(3)에 기억되어 있는, 동작국의 갱신을 실시하여, 새로운 동작국을 LCD(21)에 표시시키는 점이다.
Init스테이트란, 이동전화장치에 전파가 도래하는 기지국을 될 수 있는 대로 많이 발견하고, 그 가운데 수신전계(受信電界)의 강도가 일정레벨 이상의 것을 선택하는 스테이트이며, 이와 같은 기지국을 선택하면, 기지국으로부터 발신되는 Sync채널메시지를 사용하여 동기포착을 행한 후에, Idle스테이트로 이행한다.
Sync채널메시지의 보디포맷을 도 5에 나타낸다.
Sync채널은, SYS_TIME필드, LP_SEC필드, LTM_OFF필드를 비롯하여 각종의 정보필드를 포함한다.
SYS_TIME필드는, 이 필드에 시스템시각을 설정할 수가 있는 필드이다.
기지국은, 이 Sync채널메시지의 어느 것인가의 부분을 포함하는 최후의 슈퍼프레임의 끝에서부터, 4개의 슈퍼프레임의 경과시점에 있어서의 그리니치 표준시각을 SYS_TIME필드로 하여 80msec의 시간 정밀도로 설정하고 있다.
LP_SEC필드는, SYS_TIME필드의 시작에서의 리프시간[역조정(曆調整)을 위한 시각 옵셋]을 설정할 수가 있는 필드이다.
LTM_OFF필드는, SYS_TIME필드로부터의 옵셋을 30분 단위로 설정할 수가 있는 필드이다.
이들 SYS_TIME필드, LP_SEC필드, LTM_OFF필드를 사용하면, 기지국에 있어서의 로컬시각은, SYS_TIME-LP_SEC+LTM_OFF라는 연산을 실행함으로서, 얻을 수가 있다.
이들 정보 가운데 LTM_OFF필드는, 영국의 그리니치로부터 기지국이 설치되어있는 나라(지역)까지의 시차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LTM_OFF필드를, 이동전화장치의 현재의 위치에 있어서의 시차로서 국명사서 기억부(2)의 검색에 사용한다.
국명사서 기억부(2)의 검색으로부터, 동작국의 갱신, 동작국의 표시까지의 일련의 처리는, 도 6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절차에 따라 실행된다.
도 6은, Init스테이트에 있어서의 국가변경의 검출과, 동작국 갱신과, 동작국 표시를 실행하는 경우의 처리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동작국으로서 일본이 설정되어 있으며, Sync채널메시지의 LTM_OFF필드에,「-5:00」이라고 하는 옵셋시각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이하 케이스 1라고 함), 동일하게 동작국으로서 일본이 설정되어 있으며, Sync채널메시지의 LTM_OFF필드에,「9:00」이라고 하는 옵셋시각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이하 케이스 2라고 함)에, 본 메시지처리부(5)가 어떠한 처리를 실행하는가를,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스텝 S1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5)는,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 하향에 할당된 주파수대에 대하여, Sync채널의 채널스캔을 행하며, 스텝 S2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5)는 Sync채널의 포착을 행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5)는 Sync채널의 포착에 성공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포착성공이면 스텝 S5로 이행하며, 실패면 스텝 S4에 있어서 상향과 하향채널에 대한 주파수할당을 반전시키고 나서 재차 스텝 S1로 이행한다.
이후, Sync채널의 포착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은 주파수할당을 반전시키는 것은, 미국, 한국, 홍콩에서 운용되고 있는 IS95방식의 통신프로토콜과 일본에서 운용되고 있는 T53방식의 통신프로토콜의 사이에서, 상향-하향의 주파수할당이 역으로 되어 있는 점이다.
T53에 있어서 상향에 825.030MHz, 하향에 870.030MHz가 할당되어 있는 것이면, IS95에는, 상향에 870.030MHz, 하향에 825.030MHz가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그런데, T53의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술한 Sync채널메시지가 870.030MHz로 송신되고 있는 것이라면, IS95의 휴대전화시스템에서는, 상술한 Sync채널메시지가 825.030MHz로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스텝 S1∼S4에서는, 이들 양쪽의 주파수대의 채널에 대하여 스캔을 행하며, 국제 로밍시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포착을 확실하게 실행한다.
스텝 S5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5)는, Sync채널메시지로부터 LTM_OFF를 취득한다.
스텝 S6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5)는, 국명사서 기억부(2)에 있어서의 시차정보 가운데, LTM_OFF에 가장 가까운 것을 검출하며, 이에 대응하고 있는 국명을 판독한다.
케이스 1에서는, 스텝 S5에 있어서 취득한 Sync채널메시지의 LTM_OFF필드에「-5:00」이라는 옵셋시각이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국명사서 기억부(2)에 기억되어 있는 시차정보 가운데,「-5:00」의 시차정보가 이 LTM_OFF필드와 합치하는 것으로 되며,「-5:00」의 시차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미국의 국명이 판독되는 것으로 된다.
스텝 S7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5)는, 검출된 시차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국명이 단수인지, 복수인지를 판정한다.
케이스 1에서는, LTM_OFF필드에「-5:00」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명사서 기억부(2)에 있어서「-5:00」의 시차정보와 대응되어 있는 국명은, 미국 1개뿐이므로, 스텝 S7로부터 스텝 S8로 이행하게 된다.
스텝 S8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5)는, 검출된 시차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국명이 동작국과 동일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다른 것이라면, 스텝 S9로 이행하며, 동일하면 스텝 S9-스텝 S10의 처리를 건너뛰어 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케이스 1에서는, 동작국으로서 일본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검출된 시차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국명의「미국」은 불일치되어, 스텝 S9로 이행한다.
스텝 S9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5)는, 검출된 시차정보에 대응하는 국가를 동작국으로서 동작국 기억부(3)에 설정한다.
스텝 S10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5)는, 동작국이 변경되었다는 것과, 검출된 시차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국명을 LCD(21)에 표시하도록 한다.
도 7은, 이동전화장치가 미국에 반입되었을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국의 국명이,『동작국이 변경되었습니다』라는 문자열과 함께 표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케이스 1에 있어서의 국명의 표시는 완료하게 된다.
이어서, 케이스 2에 있어서의 국명표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스 2에서는, Sync채널메시지의 LTM_OFF필드에,「9:00」라는 옵셋시각이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국명사서 기억부(2)에 기억되어 있는 시차정보 가운데,「9:00」의 시차정보가 이 LTM_OFF필드에 합치하게 되며, 스텝 S6에서는,「9:00」의 시차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일본 또는 한국의 국명이 판독되는 것으로 된다.
스텝 S7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5)는, 검출된 시차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국명이 단수인지, 복수인지를 판정한다.
케이스 2에서는 복수가 됨으로, 스텝 S11로 이행하며, 검출된 시차정보에 대응된 복수의 국명을 일람표시한다.
도 8의(a)는,「9:00」의 시차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일본 및 한국을 일람표시한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표시예에 있어서 일람표시 된 국명은 동작국의 후보이며, 이들 국명가운데, 일본의 국명은 반전표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람표시를 실행한 후, 스텝 S12-스텝 S13의 조작대기 루프로 이행한다.
이동전화장치에 대하여 커서 키(25)의 조작이 실행되면, 스텝 S12가 Yes로 되며, 스텝 S14로 이행한다.
스텝 S14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5)는, 밀어 내려진 커서 키(25)에 따라 어느 국명을 반전표시한다.
도 8의(b)는, 도 8의(a)의 표시예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서 키(25)가 밀어 내려진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커서 키(25)가 밀어 내려지면, 일본의 반전표시는 해제되며, 그대신 한국이 반전표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텝 S12-스텝 S13의 조작대기 루프에 있어서, 이동전화장치에 대하여 Enter키의 조작이 행하여지면, 스텝 S13이 Yes가 되어 스텝 S15로 이행한다.
스텝 S15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5)는, 반전표시 되어 있는 국명이, 동작국과 동일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동일하면, 스텝 S16에 있어서 메시지처리부(5)는, 반전표시되어 있는 국가를 동작국으로서 동작국 기억부(3)에 설정하며, 스텝 S17에 있어서 LCD(21)는, 동작국이 변경된 것과, 동작국의 국명을 표시한다.
도 9의(a)는, 일본이 반전표시 되어 있는 상태로, Enter키가 눌려지는 것에 의해, 일본이 동작국으로서 선택된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경우와 동일하게, 일본의 국명이,『동작국이 변경되었습니다』라는 문자열과 함께 표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도 9의(b)는, 한국이 반전표시 되어 있는 상태에서, Enter키가 눌려지는 것에 의해, 한국이 동작국으로서 선택된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경우와 동일하게, 한국의 국명이,『동작국이 변경되었습니다』라는 문자열과 함께 표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Sync채널메시지에 나타내고 있는 LTM_OFF필드로부터, 일본, 미국, 한국 등의 각국에 설치되어 있는 휴대전화시스템의 기지국이 배치되어 있는 지역의 시차를 지득한다.
이 시차는, 이동전화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지역의 시차와 거의 동등하며, 제2국에 반입되었을 때에, 메시지처리부(5)가 이 시차에 의거하여 국명사서 기억부(2)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국명 가운데 어느 하나를 표시하면, 조작자는, 제2국에서의 사용에 필요한 적절한 설정을 실행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이 정확히 실행되면, 통신요금의 부과나, 전자메일, 인터넷 등의 각종 통신서비스의 운용이 제1국과 제2국에 있어서 상이한 경우라 하여도, 제2국에 있어서 이동전화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국제 로밍이 실현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국명사서 기억부(2)에 복수 국가의 국명을 기억시켜 두고, 이 국명을 표시시켰는 바, 국명 이외에도, 국가의 기장을 간략화 한 기호로 하여도 좋다.
또, 한국 같으면 KR, 미국 같으면 US, 일본 같으면 JP와 같이, 국명의 약칭을 표시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동전화장치는, 어느 지역을 기준으로 한 복수국가의 시차를 각국에 대한 국가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국가정보 기억수단과, 기지국에 의해 발신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기지국이 설치된 지역에 있어서의 시차를 나타내는 로컬 옵셋을, 수신한 메시지로부터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판독된 로컬 옵셋에 가장 가까운 시차와 대응시켜서 기억되어 있는 국가정보를 국가정보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자는, 제2국에서의 사용에 필요한 적절한 설정을 실행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이 정확하게 실행되면, 통신요금의 부과나, 전자메일, 인터넷 등의 각종 통신서비스의 운용이 제1국과 제2국에 있어서 상이한 경우라 하여도, 제2국에 있어서 이동전화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국제 로밍이 실현된다.
여기서 상기 국가정보 기억수단은, 복수의 국가 중에서 거의 동일한 경도에 있는 2개 이상의 국가에 대한 국가정보를, 동일한 시차에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제1표시부는, 판독된 로컬 옵셋에 가장 가까운 시차가, 2개 이상의 국가정보에 대응시켜져서 국가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 그들 2개 이상의 국가정보를 판독하여 이동전화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국가의 후보로서 표시하며, 상기 이동전화장치는 다시, 후보로서 표시된 국가정보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조작을 조작자로부터 접수하는 접수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동작국 기억수단은,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국가정보의 후보 가운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것을 새로운 동작국 정보로서 기억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전화장치에 의하면, 동일한 경도에 위치하는 국가가 복수로 존재하고, 이들 복수국가 가운데, 어느 국가에 이동전화장치가 배치되어 있는지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 조작자로부터 동작국의 설정을 바라는 것으로 되므로,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되는 국가정보의 신빙성을 높일 수가 있다.

Claims (4)

  1. 어느 지역을 기준으로 한 복수국가의 시차를, 각국에 대한 국가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국가정보 기억수단과,
    기지국에 의해 발신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기지국이 설치된 지역에 있어서의 시차를 나타내는 로컬 옵셋을, 수신한 메시지로부터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판독된 로컬 옵셋에 가장 가까운 시차와 대응시켜 기억되어 있는 국가정보를 국가정보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장치는,
    상기 복수의 국가정보 가운데 어느 것인가의 국가정보를 동작국 정보로서 기억하는 동작국 기억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수단은,
    국가정보 기억수단에 있어서,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로컬 옵셋에 가장 가까운 시차와 대응시켜 기억되어 있는 국가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판독된 국가정보가 동작국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동작국 정보와 일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동작국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국가정보를 표시하는 제1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동작국 기억수단은,
    동작국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국가정보를 새로운 동작국 정보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또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국가정보가 제1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면, 동작국이 변경된 사실을 표시하는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국가정보 기억수단은,
    복수의 국가 중에서 거의 동일한 경도에 있는 2개 이상의 국가에 대한 국가정보를, 동일한 시차에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제1표시부는,
    판독된 로컬 옵셋에 가장 가까운 시차가, 2개 이상의 국가정보에 대응시켜져서 국가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 그들 2개 이상의 국가정보를 판독하여 이동전화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국가의 후보로서 표시하며,
    상기 이동전화장치는 또한,
    후보로서 표시된 국가정보 가운데, 어느 것인가를 선택하는 조작을 조작자로부터 접수하는 접수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동작국 기억수단은,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국가정보의 후보 가운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것을 새로운 동작국 정보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장치.
KR10-2001-0004691A 2000-03-28 2001-01-31 이동전화장치 KR100374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89524A JP3416611B2 (ja) 2000-03-28 2000-03-28 移動電話装置
JP2000-89524 2000-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645A KR20010093645A (ko) 2001-10-29
KR100374226B1 true KR100374226B1 (ko) 2003-03-03

Family

ID=1860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691A KR100374226B1 (ko) 2000-03-28 2001-01-31 이동전화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78819B2 (ko)
JP (1) JP3416611B2 (ko)
KR (1) KR100374226B1 (ko)
CN (1) CN1227931C (ko)
CA (1) CA234236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546B1 (ko) * 2001-10-26 200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시간설정 방법
JP2003169376A (ja) * 2001-11-30 2003-06-13 Kddi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
JP3890290B2 (ja) * 2002-11-26 2007-03-07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無線lanシステム
JP2005164284A (ja) * 2003-11-28 2005-06-23 Sato Corp 電子機器
US20060211453A1 (en) * 2005-03-15 2006-09-21 Schick Andrew N System for dialing a telephone number stored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when the device is away from its home calling area
CN100340131C (zh) * 2005-10-14 2007-09-26 江苏高通科技实业有限公司 手机用户所在城市或地区的确定及提示方法
KR100744300B1 (ko) * 2006-02-10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각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US8855597B2 (en) * 2006-12-29 2014-10-07 Alcatel Lucent User equipment timestamps for offline charging in IMS networks
JP2008170230A (ja) * 2007-01-10 2008-07-24 Seiko Epson Corp 時刻修正装置、時刻修正装置付き計時装置及び時刻修正方法
JP4949099B2 (ja) * 2007-03-23 2012-06-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装置および操作確認方法
US8565765B2 (en) * 2008-10-17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ountry where a mobile device has acquired service
JP4743280B2 (ja) * 2009-01-09 2011-08-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時刻情報受信装置、電波時計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600249B (zh) * 2009-06-22 2011-12-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cdma系统夏令时的实现方法及装置
US20110096697A1 (en) * 2009-10-28 2011-04-28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Selection of Geographic Area Specific Behavior
US8204499B2 (en) * 2009-12-11 2012-06-19 Cellco Partnership Determining mobile station operating country to enable system selection or other location based device features without network assistance
CN101938694A (zh) * 2010-08-26 2011-01-0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设置信息更新方法和装置
JP2013165427A (ja) * 2012-02-13 2013-08-22 Nec Access Technica Ltd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設定方法および無線通信設定プログラム
KR101301895B1 (ko) * 2012-08-24 2013-08-29 주식회사 케이알파트너스 서버 및 상기 서버에서의 신용 카드 결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37A (ko) * 1997-02-26 1998-10-26 김광호 디지털 셀룰라 무선 복합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의 지역시각 표시방법
JP2001036966A (ja) * 1999-07-22 2001-02-09 Denso Corp 無線電話システム
KR20010029462A (ko) * 1996-09-04 2001-04-06 스위스콤 아게 로밍 방법 및 그 부속 장치
KR20020036862A (ko) * 2000-11-11 2002-05-17 구자홍 휴대전화기의 세계시간 표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7508A (en) * 1992-09-30 1996-03-05 Uniden Americ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monitoring a plurality of radio channels to detect message signals
US5818920A (en) * 1996-12-04 1998-10-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onnections based on local time
US6075992A (en) * 1997-10-22 2000-06-13 Ericss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handling initiation of a call by a portable intelligent communications device
JPH11243583A (ja) 1998-02-25 1999-09-07 Sony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移動端末
JP2972715B2 (ja) 1998-04-24 1999-11-08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4022793B2 (ja) * 1998-10-30 2007-12-19 富士通株式会社 時差補正時刻による通信付加サービスシステム
US6587688B1 (en) * 1999-12-09 2003-07-01 Lucent Technologies Inc. Providing telephone number data for international cellular roamer ser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462A (ko) * 1996-09-04 2001-04-06 스위스콤 아게 로밍 방법 및 그 부속 장치
KR19980069037A (ko) * 1997-02-26 1998-10-26 김광호 디지털 셀룰라 무선 복합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의 지역시각 표시방법
JP2001036966A (ja) * 1999-07-22 2001-02-09 Denso Corp 無線電話システム
KR20020036862A (ko) * 2000-11-11 2002-05-17 구자홍 휴대전화기의 세계시간 표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27108A1 (en) 2001-10-04
CA2342369A1 (en) 2001-09-28
CN1227931C (zh) 2005-11-16
KR20010093645A (ko) 2001-10-29
CA2342369C (en) 2011-02-15
US6778819B2 (en) 2004-08-17
CN1320006A (zh) 2001-10-31
JP3416611B2 (ja) 2003-06-16
JP2001285939A (ja) 200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4226B1 (ko) 이동전화장치
JP3811874B2 (ja) 時刻補正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携帯電話端末装置
US5920554A (en) Mobile station apparatus used in CDMA cellular radio system and spread code synchronization method therefor
KR20020055891A (ko) 이동단말에서의 정보 서비스 방법
US20100105381A1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cell return processing method
JP2003189346A (ja) 移動通信端末装置
JP2006229827A (ja) マルチモード発信制御方法及びマルチモード移動通信装置
CN101267633B (zh) 表示双模式移动终端的当前通信服务的类型的装置和方法
US747196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416610B2 (ja) 移動電話装置及び通信プロトコルの処理手順切り換え方法
JP2003032166A (ja) 移動局及び周波数帯域検出方法
JP2006020256A (ja) 携帯電話機
JP3780920B2 (ja) 移動通信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1999031824A1 (fr) Terminal de telecommunication
JP2006314037A (ja) 無線通信端末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検索方法
KR100703485B1 (ko)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비동기식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비동기식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3732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사진 위치 정보 저장 관리 방법
KR100434475B1 (ko) 휴대폰의 무선 정보 서비스 수신장치와 방법
CA2284289A1 (en) Portable terminal, character selectively inputting device, and character selectively inputting method
JPH07231478A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006340160A (ja) 放送受信装置及び受信チャンネル表示方法
JP3850300B2 (ja) 移動体通信機器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04320191A (ja) 情報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136394A (ja) 携帯電話機
KR20000043931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정의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