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657B1 -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657B1
KR100373657B1 KR10-2001-0041332A KR20010041332A KR100373657B1 KR 100373657 B1 KR100373657 B1 KR 100373657B1 KR 20010041332 A KR20010041332 A KR 20010041332A KR 100373657 B1 KR100373657 B1 KR 100373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glass
tailgate
locking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5869A (ko
Inventor
손용희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1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657B1/ko
Publication of KR20030005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05B83/20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with two or more wings, which together close a singl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키이실린더(10)에 링크레버부(20)에 일측단부가 연결된 주로드(70)의 타측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링크레버부(20)에는 주로드(70)의 작동상태에 따라 테일게이트록킹장치(30) 및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40)를 록킹 및 언록킹되도록 작동시키는 실린더록콘틀롤러(90)가 설치되며, 상기 테일게이트록킹장치(30) 및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40)의 록킹 및 언록킹 상태에 따라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글래스를 실외에서 개폐시킬수 있도록 하는 테일게이트록아웃핸들(50)과 플립업글래스아웃핸들(60)이 보조로드(80)로 연결하여, 키이실린더(10)에 키이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시켜 주는 것에 의해 테일게이트록킹장치(30) 및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40)가 록킹 및 언록킹 됨으로서,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글래스가 록킹 및 언록킹되도록 하는 것이 한번에 이루어지게 되어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글래스를 록킹 및 언록킹 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성이 향상됨은 물론, 차량을 제작시 부품의 공용화가 이루어지게 되어 별도의 키이실린더(10)를 제작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제작단가가 저감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 시스템{Locking/unlocking system of tail gate and flip-up glass}
본 발명은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키이실린더에 키이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시켜 주는 것에 의해 테일게이트록킹장치 및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가 동시에 록킹 및 언록킹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치백타입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후측에는 플립업글래스가 온오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테일게이트가 테일게이트록킹장치에 의해 록킹 및 언록킹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40')가 록킹 및 언록킹되도록 하는 플립업글래스콘트롤러(45')가 키이실린더(10')에 제1로드(70')로 연결되고, 상기 제1로드(70')에 의해 플립업글래스콘트롤러(45')가 연결되어 있는 키이실린더(10')에는 테일게이트록킹장치(30')가 록킹 및 언록킹되도록 하는 테일게이트콘트롤러(35')가 제2로드(71')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 시스템은 키이실러더(10')에 키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키이를 일측으로 일정치 회전시키면 상기 키이의 회전력이 제2로드(71')를 통해 테일게이트콘트롤러(35')로 전달되고, 상기 테일게이트콘트롤러(35')로는 키이실린더(10')에서 전달된 키이의 회전력에 의해 테일게이트록킹장치(30')의 록킹력을 해제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테이게이트록킹장치의 록킹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키이를 계속해서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키이의 회전력이 제1로드(70')를 통해 플립업글래스콘트롤러(45')에 전달되고, 상기 플립업글래스콘트롤러(45')는 제1로드(70')를 통해 전달되는 키의 회전력에 의해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40')의 록킹력을 해제하여 언록킹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상기 키이실린더(1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키이를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키이의 회전력이 제1로드(70')와 제2로드(71')를 통해 플립업글래스콘트롤러(45')와 테일게이트콘트롤러(35')로 전달되어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40')와 테일게이트록킹장치(30')가 록킹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 시스템은 키이실린더(10')에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40')를 록킹 및 언록시키는 플립업글래스콘트롤러(45')와 테일게이트록킹장치(30')를 록킹 및 언록시키는 테일게이트콘트롤러(35')에 일측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제1로드(70')와 제2로드(71')의 타측단부를 연결시켜야 함은 물론, 상기 키이실린더(10')가 1차적으로 테일게이트록킹장치(30')가 언록되도록 하는 1차 회전점과 2차적으로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40')가 언록되도록 하는 2차 회전점을 갖도록 제작하여야 함으로서, 차량을 제작시 부품수가 증가하여 조립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키이실린더(10')와 같은 부품을 플립업글래스가 테일게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차량에는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관계로 모든 차량에 부품의 공용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키이실린더에 링크레버부에 일측단부가 연결된 주로드의 타측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링크레버부에는 주로드의 작동상태에 따라 테일게이트록킹장치 및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를 록킹 및 언록킹되도록 작동시키는 실린더록콘틀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테일게이트록킹장치 및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의 록킹 및 언록킹 상태에 따라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글래스를 실외에서 개폐시킬수 있도록 하는 테일게이트록아웃핸들과 플립업글래스아웃핸들이 보조로드로 연결하여, 키이실린더에 키이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시켜 주는 것에 의해 테일게이트록킹장치 및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가 록킹 및 언록킹 됨으로서,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글래스가 록킹 및 언록킹되도록 하는 것이 한번에 이루어지게 되어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글래스를 록킹 및 언록킹 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성이 향상됨은 물론, 차량을 제작시 부품의 공용화가 이루어지게 되어 별도의 키이실린더를 제작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제작단가가 저감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 시스템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 시스템을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키이실린더 20 : 링크레버부
30 : 테일게이트록킹장치 40 :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
50 : 테일게이트록아웃핸들 60 : 플립업글래스아웃핸들
70 : 주로드 80 : 보조로드
90 : 실린더록콘틀롤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 시스템은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키이실린더(10)에 링크레버부(20)에 일측단부가 연결된 주로드(70)의 타측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링크레버부(20)에는 주로드(70)의 작동상태에 따라 테일게이트록킹장치(30) 및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40)를 록킹 및 언록킹되도록 작동시키는 실린더록콘틀롤러(90)가 설치되며, 상기 테일게이트록킹장치(30) 및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40)의 록킹 및 언록킹 상태에 따라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글래스를 실외에서 개폐시킬수 있도록 하는 테일게이트록아웃핸들(50)과 플립업글래스아웃핸들(60)이 보조로드(80)로 연결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키이실러더(10)에 키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키이를 일측으로 일정치 회전시키면 상기 키이의 회전력이 주로드(70)를 통해 링크레버부(20)로 전달되고, 상기 링크레버부(20)로 전달된 키의 회전력은 보조로드(80)를 테일게이트록킹장치(30) 및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40)의 록킹력을 해제시켜 언록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테일게이트록아웃핸들(50)과 플립업글래스아웃핸들(60)을 조작하면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글래스가 열리게 된다.
또한, 상기 키이실린더(1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키이를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키이의 회전력이 주로드(70)를 통해 링크레버부(20)로 전달되고, 상기 링크레버부(20)로 전달된 키의 회전력은 보조로드(80)를 통해 테일게이트록킹장치(30) 및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40)가 록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테일게이트록아웃핸들(50)과 플립업글래스아웃핸들(60)을 조작하여도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글래스가 열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키이실린더(10)에 키이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시켜 주는 것에 의해 테일게이트록킹장치(30) 및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40)가 록킹 및 언록킹 됨으로서,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글래스가 록킹 및 언록킹되도록 하는 것이 한번에 이루어지게 되어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글래스를 록킹 및 언록킹 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성이 향상됨은 물론, 차량을 제작시 부품의 공용화가 이루어지게 되어 별도의 키이실린더(10)를 제작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제작단가가 저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키이실린더(10)에 링크레버부(20)에 일측단부가 연결된 주로드(70)의 타측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링크레버부(20)에는 주로드(70)의 작동상태에 따라 테일게이트록킹장치(30) 및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40)를 록킹 및 언록킹되도록 작동시키는 실린더록콘틀롤러(90)가 설치되며, 상기 테일게이트록킹장치(30) 및 플립업글래스록킹장치(40)의 록킹 및 언록킹 상태에 따라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글래스를 실외에서 개폐시킬수 있도록 하는 테일게이트록아웃핸들(50)과 플립업글래스아웃핸들(60)이 보조로드(80)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 시스템.
KR10-2001-0041332A 2001-07-10 2001-07-10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시스템 KR100373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332A KR100373657B1 (ko) 2001-07-10 2001-07-10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332A KR100373657B1 (ko) 2001-07-10 2001-07-10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869A KR20030005869A (ko) 2003-01-23
KR100373657B1 true KR100373657B1 (ko) 2003-02-26

Family

ID=27714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332A KR100373657B1 (ko) 2001-07-10 2001-07-10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6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239B1 (ko) * 2002-12-11 2005-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일체형의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 글래스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869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3825C2 (ru) Автомобиль и дверной замок для двери автомобиля
US5666834A (en) Anti-theft mechanism for a vehicle door lock device
GB2276194A (en) Motor vehicle door lock
KR100373657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시스템
KR100622727B1 (ko) 자동차용 트렁크리드 래치어셈블리
KR100320817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
US5971448A (en) Door lock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s
JP6561365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US6431618B1 (en) Locking device of tailgate for vehicle
KR100351359B1 (ko) 도난방지구조를 갖춘 차량용 도어
US20040094966A1 (en) Tail gate locking system
KR100444089B1 (ko)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도어 잠금장치
KR100444662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핀결합 연계형 래치 구조
KR20090102045A (ko) 자동차용 직결식 도어래치 장치
JP3847429B2 (ja) 扉体の施解錠装置
KR100503849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플립업 글래스
KR100384717B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록시스템
KR200342314Y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래치 장치
JP3909427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KR101035718B1 (ko) 2중 파워락 잠금장치
KR200334428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도어래치장치
KR100530399B1 (ko) 자동차용 도어 내부핸들 및 락킹노브 일체형 레버
KR20010076484A (ko) 자동차의 도어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14860Y1 (ko)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KR100431985B1 (ko) 차량의 운전석 도어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