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254B1 - 장애자용자동차의전자식핸들장치와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장애자용자동차의전자식핸들장치와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254B1
KR100373254B1 KR1019960054044A KR19960054044A KR100373254B1 KR 100373254 B1 KR100373254 B1 KR 100373254B1 KR 1019960054044 A KR1019960054044 A KR 1019960054044A KR 19960054044 A KR19960054044 A KR 19960054044A KR 100373254 B1 KR100373254 B1 KR 100373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echanism
steering operation
steering
vehicl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636A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54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254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2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22Alternative steering-control elements, e.g. for teach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조향 조작 기구와, 상기 조향 조작 기구의 위치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조향 조작 기구 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조향 조작 기구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각각의 감속 또는 가속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제어 장치와, 상기 전자 출력 신호가 감속에 해당하는 신호일 경우에는 자동차를 감속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브레이크 엑츄에이터와, 상기 출력 신호가 가속에 해당하는 신호일 경우에는 자동차를 가속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흡기 밸브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장애자용 자동차에 조향 조작 기구의 전, 후 조작에 의해 자동차의 가속 및 감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와 그 제어 방법.

Description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와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두다리를 이용할 수 없는 장애자용 자동차에 조향 조작 기구의 전, 후 또는 상, 하 조작에 의해 자동차의 가속 및 감속을 실시할 수 있게 하여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자동차의 주행을 제공할 수 있는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외의 자동차 업계에서는 장애자를 위하여 특별히 제작한 여러 가지 종류의 장애자용 자동차를 제작 및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 중에서도 두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장애자용 자동차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가속이나 감속 조작을 위하여 자동차의 주행 방향을 바꾸는 핸들의 양쪽에 가속 수단과 감속 수단의 손잡이를 장착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주행중에 자동차의 가속이나 감속을 수행하기 위해서 양손을 이용해 상기 가속 수단 손잡이 또는 감속 수단 손잡이를 작동시켰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장애자용 자동차의 구조하에서 주행중 장애자인 운전자가 양손으로 조작하여야 하는 것은 주행 방향의 전환을 위해 핸들을 조작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자동차의 가속 및 감속을 위해 가속 수단 손잡이 및 감속 수단 손잡이를 조작해야 하고, 또한 방향 전환시 그 전환 표시를 후방의 자동차에 알리기 위해 좌, 우회전 표시 스위치 등의 각종 스위치와 기어 변환을 위해 변속기 레버 등의 조작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많은 종류의 조작을 단순히 양손으로만 처리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조작 기구들이 존재하며 이로서 제시간에 상기 조작을 동시에 처리 할 수 없고 따라서 자동차의 사고 확률이 높아지며 안전한 자동차의 주행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두다리를 이용할 수 없는 장애자용 자동차에 조향 조작 기구의 전, 후 또는 상, 하 조작에 의해 자동차의 가속 및 감속을 실시할 수 있게 하여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와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의 기계적 작동 상황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조향 조작 기구 위치 감지 센서 200 ; 입력 인터페이스
300 ; 전자 제어 장치 400 ; 출력 인터페이스
500 ; 브레이크 엑츄에이터 600 ; 흡기 밸브 엑츄에이터
700 ; 핸들 750 ; 조향력 전달 기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 구성은, 자동차의 핸들과, 상기 핸들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핸들 조작력을 다음단에 전달하는 조향력 전달 기구로 이루어진 조향 조작 기구와, 상기 조향 조작 기구에 설치되어 그 조향 조작 기구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조향 조작 기구 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조향 조작 기구 위치 감지 센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 및 연산 처리하여 상기 조향 조작 기구가 운전자의 앞쪽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경우에는 감속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향 조작 기구가 운전자 쪽으로 끌어 당겨졌을 경우에는 가속에 해당하는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전자 제어 장치와, 상기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해 그 신호가 감속에 해당하는 신호일 경우에는 자동차를 감속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브레이크 엑츄에이터와, 상기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가속에 해당하는 신호일 경우에는 자동차를 가속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흡기 밸브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향 조작 기구에 설치된 조향 조작 기구 위치 감지 센서는 그 조향 조작 기구의 전,후 또는 상, 하 이동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한하여 출력하는 형태의 것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 제어 방법은,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이 시작되어, 모든 메모리 변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와, 조향 조작 기구 위치 감지 센서에 의해 현재 조향 조작 기구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조향 조작 기구의 위치가 운전자의 앞쪽으로 이동되었는지 운전자 쪽으로 끌어 당겨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의 결과 조향 조작 기구의 위치가 운전자의 앞쪽으로 이동되었을 경우 자동차를 감속시키기 위해 브레이크 엑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판단의 결과 조향 조작 기구의 위치가 운전자 쪽으로 끌어당겨졌을 경우 자동차를 가속시키기 위해 흡기 밸브 엑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 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와 그 제어 방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 구성은, 운전자가 자동차의 방향 전환을 위해 회전시켜 조작하는 핸들(700)과, 상기 핸들(700)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핸들(700) 조작력을 다음단에 전달하는 조향력 전달 기구(750)로 이루어진 조향 조작 기구에 그 조향 조작 기구의 전, 후 또는 상, 하 이동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조향 조작 기구 위치 감지 센서(100)가 상기 조향 조작 기구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향 조작 기구 위치 감지 센서(100)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곧 전자 제어 장치(300)의 입력 인터페이스(200)로 입력되며 이러한 입력 인터페이스(200)는 상기 조향 조작 기구 위치 감지 센서(100)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출력단에 연결된 입력 포트와, 이 입력 포트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여 비교, 연산,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와, 상기와 같은 비교, 연산, 제어 등의 모든 과정이 수행 되도록 한 일련의 프로그램과 조향 조작 기구의 위치에 대해 감속 및 가속을 결정하게 되는 기준 데이터가 상수로서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포트와, 상기 출력 포트로 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해 다음 단을 작동시키기 위해 신호 증폭 역할을 하는 출력 인터페이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출력 인터 페이스(400)의 출력단은 그 출력 신호가 감속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자동차를 감속시키기 위해 브레이크 엑츄에이터(500)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그 출력 신호가 가속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자동차를 가속시키기 위해 흡기 밸브 엑츄에이터(600)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식 핸들 장치의 기계적 구조 및 작동 상황을 나타낸 것이도 2 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자동차의 방향 전환을 위해 회전력을 가함으로서 조작되는 핸들(700)과, 상기 핸들(700)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핸들(700) 조작력을 다음단에 전달하는 조향력 전달 기구(750)로 이루어진 조향 조작 기구에 그 조향 조작 기구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조향 조작 기구 위치 감지 센서(100)를 조향력 전달 기구(750)의 하단에 설치하였으며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A-A'방향 즉, 조향 조작 기구가 운전자의 앞쪽으로 이동되어 위치되었는지 운전자 쪽으로 끌어당겨져 위치되었는지를 감지하게 하거나, 또는 B-B'방향, 즉 조향 조작 기구가 상승되었는지 하강되었는지를 감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운전자는 주행중 상기 핸들(700)을 밀거나, 끌어당기거나 또는 잡아 당겨서 핸들(700)을 상승시키거나 밀어서 핸들(700)을 하강하는 식으로 자동차의 가속 및 감속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그 구성은,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이 시작되어, 모든 메모리 변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와, 조향 조작 기구 위치 감지 센서(100)에 의해 현재 조향 조작 기구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조향 조작 기구의 위치가 운전자의 앞쪽으로 이동되었는지 운전자 쪽으로 끌어 당겨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의 결과 조향 조작 기구의 위치가 운전자의 앞쪽으로 이동되었을 경우 자동차를 감속시키기 위해 브레이크 엑츄에이터(500)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판단의 결과 조향 조작 기구의 위치가 운전자 쪽으로 끌어당겨졌을 경우 자동차를 가속시키기 위해 흡기 밸브 엑츄에이터(600)를 작동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 와 그 제어 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 제어 장치(300)의 메모리에 내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도 3 의 동작 순서대로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가 작동되며, 최초로 메모리에 위치하는 모든 변수를 초기화시킨다(S1). 이어서 상기 전자 제어 장치(300)는 조향 조작 기구 위치 감지 센서(100)를 이용해 운전자가 조작한 조향 조작 기구의 위치를 감지한 후(S2), 상기 조향 조작 기구 위치가 감속의 위치에 있는지 가속의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3) 상기 판단의 결과 상기 조향 조작 기구의 위치가 감속의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전자 제어 장치(300)는 브레이크 엑츄에이터(500)를 작동시켜서 자동차를 정지시키게 되며(S4a), 상기 판단의 결과 상기 조향 조작 기구의 위치가 가속의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전자 제어 장치(300)는 흡기 밸브 엑츄에이터(600)를 작동시켜서 자동차를 가속시키게 되는 것이다(S4b).
본 발명은 비록 이상에서와 같은 예들에 한하여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에서 벗어남 없이 여러 가지의 변형과 수정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다리를 이용할 수 없는 장애자용 자동차에 조향 조작 기구의 전, 후 또는 상, 하 조작에 의해 자동차의 가속 및 감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하여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자동차의 주행을 제공할 수 있는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와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1. 자동차의 핸들과, 상기 핸들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핸들 조작력을 다음단에 전달하는 조향력 전달 기구로 이루어진 조향 조작 기구와, 상기 조향 조작 기구에 설치되어 그 조향 조작 기구의 전, 후 이동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조향 조작 기구 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조향 조작 기구 위치 감지 센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 및 연산 처리하여 상기 조향 조작 기구가 운전자의 앞쪽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경우에는 감속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향 조작 기구가 운전자 쪽으로 끌어 당겨졌을 경우에는 가속에 해당하는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전자 제어 장치와, 상기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해 그 신호가 감속에 해당하는 신호일 경우에는 자동차를 감속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브레이크 엑츄에이터와, 상기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가속에 해당하는 신호일 경우에는 자동차를 가속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흡기 밸브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조향 조작 기구에 설치된 조향 조작 기구 위치 감지 센서는 그 조향 조작 기구의 상, 하 이동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
  3.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이 시작되어, 모든 메모리 변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와, 조향 조작 기구 위치 감지 센서에 의해 현재 조향 조작 기구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조향 조작 기구의 위치가 운전자의 앞쪽으로 이동되었는지 운전자 쪽으로 끌어 당겨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의 결과 조향 조작 기구의 위치가 운전자의 앞쪽으로 이동되었을 경우 자동차를 감속시키기 위해 브레이크 엑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판단의 결과 조향 조작 기구의 위치가 운전자 쪽으로 끌어당겨졌을 경우 자동차를 가속시키기 위해 흡기 밸브 엑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자용 자동차의 전자식 핸들 장치 제어 방법.
KR1019960054044A 1996-11-14 1996-11-14 장애자용자동차의전자식핸들장치와그제어방법 KR100373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044A KR100373254B1 (ko) 1996-11-14 1996-11-14 장애자용자동차의전자식핸들장치와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044A KR100373254B1 (ko) 1996-11-14 1996-11-14 장애자용자동차의전자식핸들장치와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636A KR19980035636A (ko) 1998-08-05
KR100373254B1 true KR100373254B1 (ko) 2003-06-02

Family

ID=37416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044A KR100373254B1 (ko) 1996-11-14 1996-11-14 장애자용자동차의전자식핸들장치와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2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636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863B1 (ko) 협소 공간 차량 저속 이동 구현 장치 및 구현 방법
EP1060965A3 (en) Integrated electronic drive and brake control system for motor vehicles
JP2004025926A (ja) ハンドルスイッチ装置
EP0353876B1 (en) Parking brake apparatus
US200602458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torized vehicle travel in a pick state
KR100373254B1 (ko) 장애자용자동차의전자식핸들장치와그제어방법
JPH0718065U (ja) 電動オートチェンジ
JPH0624302A (ja) 自動予備制動システム
JP2585066Y2 (ja) 電動atチェンジ
EP0405550A3 (en)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CN212532190U (zh) 一种适用于工业车辆的操控装置
KR100204779B1 (ko) 4륜구동차의 구동 제어장치
KR100534312B1 (ko) 자동차의 도어 언래치 장치
KR19980055225U (ko) 장애자 차량용 가속/제동 시스템
KR960000850Y1 (ko) 장애자용 자동차의 케이블레스 가속 장치
CN111620272A (zh) 一种适用于工业车辆的操控装置
CN117962626A (zh) 车辆能量回收方法
JP3727779B2 (ja) 運転位置切換装置
JPH0645404Y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100220641B1 (ko) 차량의 실수로 인한 급가속 제어장치
KR100201095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자동 제어장치
JPH06293499A (ja) プッシュプル付き荷役車両の操作装置
KR20240082415A (ko) 햅틱 페달을 구비한 자율주행 차량의 수동운전모드 전환시 제어방법
JPH0718064U (ja) 電動オートチェンジ
CN116572917A (zh) 驻车制动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