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065B1 - 다방향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065B1
KR100373065B1 KR10-2000-0043051A KR20000043051A KR100373065B1 KR 100373065 B1 KR100373065 B1 KR 100373065B1 KR 20000043051 A KR20000043051 A KR 20000043051A KR 100373065 B1 KR100373065 B1 KR 100373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input device
casing
rotat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890A (ko
Inventor
이시가와신지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21262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35310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2220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52572A/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9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0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5Electromechanical puls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5Electromechanical pulse generators
    • H01H2019/006Electromechanical pulse generators being rotation direction sensitive, e.g. the generated pulse or code depends o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01H2019/146Roller type actu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방향입력장치는 조작부재(4)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의해 조작되고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푸시스위치(P1)가 축선방향의 조작부재(4)의 끝부분측에 배치되었기 때문에 두께방향을 얇게 할 수 있어 박형의 다방향입력장치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다방향 입력장치{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등에 사용하기 적합한 다방향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방향입력장치를 도 13 내지 도 15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이 다방향입력장치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박스형의 케이싱부재(51)의 한쪽끝부에, 축부(52)를 가지며 펄스신호의 전기신호(회전량신호)를 발생하는 회전형 전기부품(53)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부재(51)내에 수납되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구동체(54)에는, 간격을 둔 한쌍의 지지벽(54a)을 가지며, 롤러형상의 조작부재(55)의 양쪽 끝부에 압입되어 설치된 슬리브형상의 베어링체(56)가 한 쌍의 지지벽(54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작부재(55)가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한쪽의 베어링체(56)의 중심부에 설치된 비원형의 구멍(56a)에는 축부 (52)가 삽입되어 조작부재(55)의 회전시에 베어링체(56)를 개재하여 축부(52)가 회전하여 회전형 전기부품(53)을 조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부재(55)를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구동체(54)는 케이싱부재(51)와 축부(52)를 가이드로 하여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드부(57)를 가지고, 가변저항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58)은 케이싱부재(51)의 하부에 겹쳐맞추어져 설치되어 있어, 슬라이드부(57)가구동체(54)의 구멍(54b)에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형 전기부품(58)은 변위량에 따른 위치정보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제 1과 제 2 구동판(59, 60)은 각각 중심부에 직사각형상의 구멍(59a, 60a)을 가지고 서로 겹쳐맞춰진 상태로 배치되고, 각각의 구멍(59a, 60a)에는, 슬라이드부(57)가 삽입되어 있다.
또 제 1 구동판(59)과 케이싱부재(51)의 사이에는, 스페이서(61)가 설치됨과동시에, 제 1 구동판(59)과 케이싱부재(51)의 사이 및 제 2 구동판(60)과 케이싱부재(51)와의 사이에는, 각각 스프링부재(62, 63)가 팽팽하게 가설되어 슬라이드부 (57)를 중립상태로 견인하고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종래의 다방향입력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조작부재 (55)를 화살표 X1방향으로 이동하면 구동체(54)가 슬라이드부(57) 및 제 1 구동판 (59)을 따라 스프링부재(62)에 저항하여 이동하고, 이에 의해 슬라이드형 전기부품(58)이 조작되고, 또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55)의 조작을 해제하면 스프링부재 (62)에 의해 제 1 구동판(59), 구동체(54) 및 조작부재(55)가 원래의 중립위치로 되돌아온다.
다음에 조작부재(55)를 화살표 X2방향으로 이동하면 구동체(54)가 슬라이드부(57) 및 제 2 구동판(60)을 따라 스프링부재(63)에 저항하여 이동하고, 이에 의해 슬라이드형 전기부품(58)이 조작되고, 또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55)의 조작을 해제하면 스프링부재(63)에 의해 제 2 구동판(60), 구동체(54) 및 조작부재(55)가 원래의 중립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조작부재(55)를 축선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그 변위량에 따른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화상 등의 이송속도를 결정한다.
다음에 조작부재(54)를 회전하면 베어링체(56)와 축부(52)를 개재하여 회전형 전기부품(53)이 조작되어 회전량신호가 발생한다.
그 결과 축선방향의 이동에 의해 결정된 이송속도에 따른 속도로 프레임이송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종래의 다방향입력장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58)이 케이싱부재(5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가 커져 박형화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 슬라이드형 전기부품(58)을 조작하기 위해 구동체(54)와 제 1, 제 2 구동판(59, 60) 및 2개의 스프링부재(62, 63)를 필요로 하여 부품수가 많고, 고비용이며 생산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박형화에 적합하고, 또 저렴하며 조립성이 양호한 다방향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방향입력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방향입력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3-3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방향입력장치에 관한 지지부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방향입력장치에 관한 지지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방향입력장치에 관한 회전부재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방향입력장치에 관한 회전부재의 이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방향입력장치에 관한 회전부재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방향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회전시에 있어서의 지지부재와 회전부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방향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역회전시에 있어서의 지지부재와 회전부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방향입력장치에 관한 푸시스위치를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방향입력장치에 관한 가동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요부 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다방향입력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14는 종래의 다방향입력장치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5는 종래의 다방향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부재 1a : 바닥벽
1b : 구멍 1c : 지지벽
1d : 오목부 1e : 구멍
1f : 설치부 2 : 케이싱부재
2a : 바닥벽 2b : 구멍
2c : 지지벽 2d : 오목부
2e : 구멍 2f : 설치부
2g : 관통구멍 3 : 결합부재
3a : 판형상부 3b : 설치다리
4 : 조작부재 4a : 조작부
4b, 4c : 축부 5 : 작동부재
5a : 구멍 6 : 가동접점
7 : 고정접점 8 : 지지부재
8a : 오목부 8b : 기초부
8c : 구멍 8d : 스토퍼부
8e : 돌기 8f : 걸어멈춤부
9a, 9b : 고정접점 10 : 회전부재
10a : 가동접점 10b : 구멍
10c : 통형상부 10d : 볼록부
11 : 와셔 12 : 탄성부재
13a, 13b : 고정접점 14 : 가동접점
15 : 덮개부 16 : 제 1 가동부재
16a : 제 1 아암부 16b : 제 2 아암부
16c : 축부 16d : 볼록부
17 : 제 2 가동부재 17a : 제 1 아암부
17b : 제 2 아암부 17c : 축부
17d : 볼록부 K : 회전형 전기부품
S : 스위치 P1, P2 : 푸시스위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의 해결수단으로서, 케이싱부재와, 이 케이싱부재에 지지되어 회전과 축선방향의 이동이 가능한 롤러형상의 조작부재와, 이 조작부재의 회전에 의해 조작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회전형 전기부품과, 상기 조작부재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의해 조작되는 푸시스위치를 구비하고, 축선방향의 상기 조작부재의 끝부분측에는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과 상기 푸시스위치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2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조작부재는 중앙부에 설치된 조작부와 이 조작부의 끝부에 설치된 축부를 가지고,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축부에서 상기 케이싱부재에 회전가가능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축부를 개재하여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과 상기 푸시스위치가 조작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3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이 상기 푸시스위치보다 상기 조작부측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4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케이싱부재에는 바닥벽을 설치하고, 이 바닥벽에 상기 푸시스위치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5의 해결수단으로서, 제 1과 제 2 아암부를 가지는 L자형상의 가동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축부에서 상기 제 1 아암부를 가압하여 상기 가동부재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 2 아암부로 상기 푸시스위치를 조작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6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조작부재의 양쪽 끝부측에 상기 푸시스위치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의해 상기 푸시스위치를 조작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7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으로 조작되는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스위치를 가지고, 이 스위치가 상기 조작부재의 한쪽 끝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이 상기 조작부재의 다른쪽 끝부측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8의 해결수단으로서, 케이싱부재와, 축부를 가지며 상기 케이싱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재와, 이 조작부재의 회전에 의해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회전형 전기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축부에 유지되어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에 의한 상기 축부의 회전시에 마찰력에 의해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소정각도를 함께 회전한 후에 스토퍼부에 의해 회전이 정지되어 공전하도록구성된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에 설치된 가동접점과 상기 케이싱부재에 설치된 고정 접점으로 구성되는 스위치를 가지고, 상기 조작부재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였을 때 상기 회전부재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고정접점에 대하여 접점의 전환을 행한 후, 상기 회전점부재가 상기 스토퍼부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정지하여 공전하도록 상기 스위치가 조작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으로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이 조작되어 전기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재의 축선방향의 끝부에 푸시스위치를 배치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상기 축선방향의 이동에 따라 상기 푸시스위치가 조작되어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9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케이싱부재에 상기 스토퍼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10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케이싱부재에 오목부를 설치하여 상기 스토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에 볼록부를 설치하고, 이 볼록부를 상기 오목부의 일부에 접촉시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11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고정접점이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이 지지부재를 상기 케이싱부재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고정접점을 상기 케이싱부재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12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스토퍼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13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지지부재에 오목부를 설치하여 상기 스토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에 볼록부를 설치하고, 이 볼록부를 상기 오목부의 일부에 접촉시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14의 해결수단으로서, 탄성부재를 가지고, 이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가지게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15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가동접점을 설치한 1매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접점판으로 상기 회동부재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16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조작부재는 중앙부에 설치된 롤러형상의 조작부와, 이 조작부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축부를 가지고, 한쪽의 상기 축부측에는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 또 다른쪽의 상기 축부측에는 상기 스위치가 배치된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를 도 1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12는 모두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평면도, 도 2는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3-3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는 지지부재의 정면도, 도 5는 지지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6은 회전부재의 정면도, 도 7은 회전부재의 이면도, 도 8은 회전부재의 측면도, 도 9와 도 10은 지지부재와 회전부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푸시스위치를 나타내는 요부평면도, 도 12는 가동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를 도 1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하면한쌍의 대략 T 형을 이루는 케이싱부재(1, 2)는 모두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형성되고, 한쪽의 케이싱부재(1)는 바닥벽(1a)과 간격을 두고 바닥벽(1a)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축 삽입용 구멍(1b)을 가지는 한쌍의 지지벽(1c)과, 바닥벽(1a)에 설치된 오목부(1d)와, 바닥벽(1a)에 설치된 설치용 구멍(1e)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쌍의 L자형상의 설치부(1f)를 가진다.
또 다른 한쪽의 케이싱부재(2)는 바닥벽(2a)과, 바닥벽(2a)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축 삽입용 구멍(2b)을 가지는 지지벽(2c)과, 바닥벽(2a)에 설치된 오목부(2d)와, 바닥벽(2a)에 설치된 설치용 구멍(2e)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쌍의 L자형상의 설치부(2f)와, 오목부(2d) 근방의 바닥벽(2a)에 설치된 관통구멍(2g)을 가진다.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3)는 판형상부(3a)와, 판형상부(3a)의 대향하는 끝면으로부터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복수개의 설치다리(3b)를 가지고, 이 결합부재(3)는 그 설치다리(3b)를 케이싱부재(1, 2)의 설치용 구멍(1e, 2e)에 삽입하여 설치다리(3b)의 선단부를 벌림으로써 2개의 케이싱부재(1, 2)를 일체로 결합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롤러형상의 조작부재(4)는 중앙부에 설치된 롤러형상의 조작부(4a)와, 조작부(4a)의 중심부에서 축선방향으로 조작부(4a)의 양쪽 끝부로부터 연장된 축부(4b, 4c)를 가진다.
그리고 이 조작부재(4)는 한쪽의 비원주형상을 이루는 축부(4b)가 케이싱부재(1)의 지지벽(1c)의 구멍(1b)을 관통하여 설치됨과 동시에, 다른쪽의 원주형상을 이루는 축부(4c)가 케이싱부재(2)의 지지벽(2c)의 구멍(2b)을 관통하여 설치되어조작부재(4)는 회전과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작동부재(5)는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 등의 성형품으로 기어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 비원형의 구멍(5a)을 가지고, 이 작동부재(5)는 케이싱부재(1)의 한쌍의 지지벽(1c)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멍(5a)에 축부(4b)가 삽입되어 작동부재(4)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성 있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접점(6)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자형상을 이루고, 이 가동접점(6)은 케이싱부재(1)의 바닥벽(1a)에 압입되어 설치됨과 동시에, 바닥벽(1a)에 설치된 고정접점(7)에 대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부재(5)가 회전하면 작동부재(5)의 요철부에 의해 가동접점(6)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선위치와 점선위치로 이동하여 고정접점(7)에 접촉이탈하여 펄스신호인 전기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즉 작동부재(5), 가동접점(6) 및 고정접점(7)으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회전형 전기부품(K)이 구성되어 있다.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8)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8a)를 가지는 기초부(8b)와, 기초부(8b)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 구멍 (8c)과, 기초부(8b)의 오목벽에 설치된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스토퍼부(8d)와, 기초부(8b)의 하부에 설치된 한쌍의 돌기(8e)와 한쌍의 걸어멈춤부(8f)를 가진다.
또 한쌍의 고정접점(9a, 9b)은 지지부재(8)에 매설되고 구멍(8c)을 둘러싸 도록 오목부(8a)의 바닥부에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8)는 한쌍의 돌기(8e)를 케이싱부재(2)의 바닥벽(2a)의구멍(도시 생략)에 삽입한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부(8f)를 바닥벽(2a)에 걸어멈추어 케이싱부재(2)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8)가 설치되었을 때 구멍(8c)에는 축부(4c)가 관통함과 동시에, 고정접점(9a, 9b)의 단자부가 관통구멍(2g)을 지나 하부에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회전부재(10)는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접점(10a)을 가지는 1매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접점판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원형의 구멍(11Ob)이 설치된 통형상부(10c)와 바깥 둘레부에 설치된 볼록부(10d)를 가지고, 이 회전부재(10)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8)의 오목부(8a) 내에 배치되어 가동접점(10a)이 고정접점(9a, 9b)에 접촉 이탈함과 동시에, 볼록부 (10d)가 지지부재(8)의 오목부내에 위치하여 스토퍼부(8d)와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회전부재(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10c) 내에 축부(4c)를 삽입하여 설치되어 있다.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원판형상의 와셔(1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4c)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또 고무재의 O 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1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4c)에 삽입됨과 함께 회전부재(10)의 통형상부 (10c)상에 위치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12)가 설치되었을 때 탄성부재(12)의 탄성에 의해 가동접점 (10a)을 고정접점(9a, 9b)에 탄압함과 동시에, 와셔(11)를 지지벽(2c)에 탄압하고,다시 회전부재(10)의 통형상부(10c)를 축부(4c)에 탄압하여 회전부재(10)와 축부 (4c)와의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부(4a)를 회전하여 축부(4c)가 회전하면 축부(4c)와 회전부재 (1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부재(1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한다.
이 회전부재(10)가 회전하면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 (10)의 볼록부(10d)가 스토퍼부(8d)에 접촉할 때까지 축부(4c)와 함께 회전하여 가동접점(10a)에 의해 고정접점(9a, 9b)사이를 온상태로 하거나 오프상태로 하여, 정회전방향신호 또는 역회전방향신호를 발생한다.
다시 조작부(4a)의 회전을 계속하면 회전부재(10)는 스토퍼부(8d)에 의해 회전이 정지하여 공전하게 된다.
즉, 회전부재(10)에 설치된 가동접점(10a)과 고정접점(9a, 9b)에 의해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스위치(S)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부재(1, 2)의 오목부(1d, 2d)에는 도 2,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고정접점(13a, 13b)이 매설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오목부(1d, 2d)내에는 돔형상의 가동접점(14)이 수납되어 덮개부(15)로 가동접점(14)의 빠짐방지를 행하고 있다.
그리고 덮개부(15)를 개재하여 가동접점(14)을 가압하면 가동접점(14)이 반전되어 고정접점(13a, 13b) 사이를 온상태로 하고, 가압을 해제하면 가동접점(14)이 반전되어 원래로 돌아와 고정접점(13a, 13b) 사이를 오프상태로 한다.
즉, 가동접점(14)과 고정접점(13a, 13b)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푸시스위치(P1, P2)가 각각 케이싱부재(1, 2)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 제 2 푸시스위치(P1, P2)는 각각 조작부재(4)의 축선방향에서 조작부재(4)의 양쪽 끝부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제 1, 제 2 푸시스위치(P1, P2)는 회전형 전기부품(K) 및 스위치(S)보다도 바깥쪽, 즉 회전형 전기부품(K) 및 스위치(S)보다도 조작부(4a)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L자형상의 제 1 가동부재(16)는 제 1 및 제 2 아암부(16a, 16b)와, 제 1 및 제 2 아암부(16a, 16b)의 결합부의 측부에 설치된 축부(16c)와, 제 2 아암부(16b)의 하면에 설치된 볼록부(16d)를 가지고, 또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L자형상의 제 2 가동부재(17)는 제 1 및 제 2 아암부(17a, 17b)와, 제 1 및 제 2 아암부(17a, 17b)의 결합부의 측부에 설치된 축부 (17c)와, 제 2 아암부(17b)의 하면에 설치된 볼록부(17d)를 가진다.
그리고 이 제 1, 제 2 가동부재(16, 17)는 특히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16c, 17c)를 케이싱부재(1, 2)에 설치한 L자형상의 한쌍의 설치부(1f, 2f)에 걸어멈추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한쪽의 회동부재(16)가 설치되었을 때, 제 1 아암부(16a)는 지지벽(1c)으로부터 돌출한 축부(4b)와 대향하고, 또 제 2 아암부(16b)의 볼록부 (16d)가 가동접점(14)상의 덮개부(15)에 대향하고, 볼록부(16d)가 가동접점(14)의 스프링성에 의해 눌러져 제 1 아암부(16a)가 축부(4b)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다른쪽의 회동부재(17)가 설치되었을 때, 제 1 아암부(17a)는 지지부재 (8)로부터 돌출한 축부(4c)와 대향하고, 또 제 2 아암부(17b)의 볼록부(17d)가 가동접점(14)상의 덮개부(15)에 대향하고, 볼록부(17d)가 가동접점(14)의 스프링성에 의해 눌러져 제 1 아암부(17a)가 축부(4c)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방향 입력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조작부재(4)를 축선방향인 화살표(A1)방향으로 이동하면 축부(4b)가 제 1 푸시스위치(P1)의 가동접점(14)의 스프링성에 저항하여 제 1 가동부재(16)의 제 1아암부(16a)를 가압한다.
그러면 제 1 가동부재(16)는 축부(16c)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제 2 아암부(16b)의 볼록부(16d)가 가동접점(14)의 상부를 가압하여 가동접점(14)이 반전되어 고정접점(13a, 13b)이 도통하여 제 1 푸시스위치(P1)가 온이 된다.
이때 제 2 푸시스위치(P2)는 제 2 가동부재(17)가 가압되지 않으므로 오프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조작부재(4)의 화살표(A1)방향의 이동을 해제하면 가동접점(14)이 반전되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제 1 푸시스위치(P1)는 오프상태로 됨과 동시에, 이 가동접점(14)의 반전동작에 의해 제 2 아암부(16b)가 눌려 되돌려져 제 1 아암부 (16a)가 축부(4b)를 눌러 되돌려 조작부재(4)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중립위치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조작부재(4)를 축선방향인 화살표(A2)방향으로 이동하면 축부(4c)가 제 2 푸시스위치(P1)의 가동접점(14)의 스프링성에 저항하여 제 2 가동부재(17)의 제 1 아암부(17a)를 가압한다.
그러면 제 2 가동부재(17)는 축부(17c)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제 2 아암부(17b)의 볼록부(17d)가 가동접점(14)의 상부를 가압하여 가동접점(14)이 반전되고, 고정접점(13a, 13b)이 도통하여 제 1 푸시스위치(P2)가 온이 된다.
이때 제 1 푸시스위치(P1)는 제 1 가동부재(16)가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오프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조작부재(4)의 화살표(A2)방향의 이동을 해제하면 가동접점(14)이 반전되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제 2 푸시스위치(P2)는 오프상태로 됨과 동시에, 이 가동접점(14)의 반전동작에 의해 제 2 아암부(17b)가 눌려 되돌려져 제 1 아암부 (17a)가 축부(4b)를 눌러 되돌려 조작부재(4)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중립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다방향 입력장치를 휴대전화기에 사용하였을 때, 예를 들어 제 1 푸시스위치(P1)가 조작되었을 때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1화면씩 밑으로부터 위로 순차적으로 스크롤되고, 또 제 2 푸시스위치(P2)가 조작되었을 때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1화면씩 위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스크롤되는 등의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음에 도 2에 있어서 조작부재(4)를 화살표(B1)방향으로 정회전하면 축부 (4c)와 회전부재(1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 (10)는 스토퍼부(8d)에 접촉할 때까지 함께 회전한다.
그 결과 가동접점(10a)이 고정접점(9a, 9b)에 도통하여 ON 상태가 되고, 스위치(S)에 의해 정회전 방향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조작부재(4)의 화살표(B1)방향의 회전을 계속하면 ON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부재(10)가 공전한다.
또 다른쪽에 있어서는 조작부재(4)의 회전에 따라 축부(4b)를 개재하여 작동부재(5)가 회전하고, 그 결과 가동접점(6)이 고정접점(7)에 접촉과 이탈을 반복하여 펄스신호를 발생하여 회전형 전기부품(K)에 의해 회전량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다음에 도 2에 있어서 조작부재(4)를 화살표(B2)방향으로 역회전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축부(4c)와 회전부재(10)와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10)는 스토퍼부(8d)에 접촉할 때까지 함께 회전한다.
그 결과 가동접점(10a)에 의한 고정접점(9a, 9b)의 사이가 오프상태가 되고, 스위치(S)에 의해 역회전 방향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조작부재(4)의 화살표(B2)방향의 회전을 계속하면 오프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부재(10)가 공전한다.
또 다른쪽에 있어서는 조작부재(4)의 회전에 따라 축부(4b)를 개재하여 작동부재(5)가 회전하고, 그 결과 가동접점(6)이 고정접점(7)에 접촉과 이탈을 반복하여 펄스신호를 발생하고, 회전형 전기부품(K)에 의해 회전량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다방향 입력장치를 휴대전화기에 사용하였을 때, 예를 들어 조작부재(4)를 정회전인 화살표(B1)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표시부의 커서 위치가 밑으로부터 위로 순차적으로 변하고, 또 조작부재(4)를 역회전 인 화살표(B2)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표시부의 커서위치가 위로부터 밑으로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다방향 입력장치가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위치(S)는 2개의 고정접점(9a, 9b)을 사용한것으로 설명하였으나, 3개 이상의 고정접점을 사용한 것이어도 되고, 또 고정접점 (9a, 9b)은 지지부재(8)에 설치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케이싱부재(2)에 직립벽을 설치하여 이 직립벽에 고정접점을 설치하여도 된다.
또 스토퍼부(8d)는 지지부재(8)에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케이싱부재 (2)에 스토퍼부를 형성하여도 되고, 또한 푸시스위치는 1개인 것이라도 된다.
또 L자형상의 가동부재(16, 17)를 사용한 경우는 구석부의 공간부가 생겨 그 공간부에 다른부품을 배치할 수 있어 특히 소형화, 박형화가 요구되는 것에 있어서 유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는 조작부재(4)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의해 조작되며,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푸시스위치(P1)가 축선방향의 조작부재(4)의 끝부측에 배치되었기 때문에 두께방향을 얇게 할 수 있어 박형의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조작부재(4)는 중앙부에 설치된 조작부(4a)와, 이 조작부(4a)의 끝부에 설치된 축부(4b, 4c)를 가지고, 조작부재(4)는 축부(4b, 4c)에서 케이싱부재(1, 2)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축부(4b)를 개재하여 푸시스위치(P1)가 조작되 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다수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저렴하고 조립성이 양호한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회전형 전기부품(K)이 푸시스위치(P1)보다도 조작부(4a)측에 배치되었기 때문에 조작부재(4)의 축부(4b)에서 회전형 전기부품(K)과 푸시스위치(P1)의 조작을 겸용할 수 있어, 부품점수가 적고 콤팩트한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케이싱부재(1, 2)에는 바닥벽(1a, 2a)을 설치하고 이 바닥벽(1a)에 푸시스위치(P1)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푸시스위치(P1)의 설치가 간단함과 동시에 박형의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 아암부(16a, 16b)를 가지는 L자형상의 가동부재(16)가 회동가능하게 유지되고, 축부(4b)에서 제 1 아암부(16a)를 가압하여 가동부재(16)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가동부재(16)의 회동에 의해 제 2 아암부(16b)에서 푸시스위치 (P1)를 조작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푸시스위치(P1)의 조작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양호한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L자형상의 가동부재(16)의 사용에 의해 구석부의 공간부가 생겨 그 공간부에 다른부품을 배치할 수 있어 특히 소형화, 박형화가 요구되는 것에 있어서 유효하게 된다.
또 조작부재(4)의 양쪽 끝부측에 푸시스위치(P1, P2)를 각각 배치하고, 조작부재(4)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의해 푸시스위치(P1, P2)를 각각 조작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복수개의 푸시스위치(P1, P2)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조작도 간단하고, 박형으로 조작성이 양호한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조작부재(4)의 회전으로 조작되는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스위치(S)를 가지고, 이 스위치(S)가 조작부재(4)의 한쪽 끝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회전형 전기부품 (K)이 조작부재(4)의 다른쪽 끝부측에 배치된 구성이기 때문에, 다수의 입력부재를 콤팩트하고 박형으로 배치할 수 있어 특히 휴대전화기에 사용하는 데 적합한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는 푸시스위치(P1, P2)를 조작부재(4)의 축선방향의 끝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회전형 전기부품(K)의 회전부재(10)는 조작부재 (4)의 축부(4c)에 유지되고, 축부(4c)의 회전시에 마찰력에 의해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소정의 각도를 함께 회전한 후, 스토퍼부(8d)에 의하여 회전이 정지되어 공전하도록 구성되어 회전부재(10)에 의해 정, 역회전 방향신호를 발생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두께방향을 얇게 할 수 있고, 또 회전부재(10)는 축부(4c)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성이 양호하고 저렴한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회전부재(10)는 축부(4c)에 동축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지름방향으로 소형으로 할 수 있어 박형의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케이싱부재(2)에 스토퍼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구성이 간단하고 저렴한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케이싱부재(2)에 오목부를 설치하여 스토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회전부재(10)에 볼록부(10d)를 설치하고, 이 볼록부(10d)를 오목부의 일부에 접촉시켜 회전부재(10)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 구성이 간단하고 생산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회전부재(10)의 회전정지가 확실한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고정접점(9a, 9b)이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8)에 설치되고 이 지지부재(8)를 케이싱부재(2)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고정접점의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지지부재(8)를 적용할 수 있어 융통성이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지지부재(8)에 스토퍼부(8d)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지지부재(8)와 회전부재(10)를 조합시킨 상태로 조립할 수 있어 생산성이 양호하고 저렴한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지지부재(8)에 오목부를 설치하여 스토퍼부(8d)를 형성함과 동시에, 회전부재(10)에 볼록부(10d)를 설치하고, 이 볼록부(10d)를 오목부의 일부에 접촉시켜 회전부재(10)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 구성이 간단하고 생산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회전부재(10)의 회전정지가 확실한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탄성부재(12)에 의하여 회전부재(10)와 조작부재(4)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가지게 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작은 공간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소형의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가동접점(10a)을 설치한 1매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접점판으로 회전부재(10)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부품수가 적고 그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좋은 저렴한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조작부재(4)는 중앙부에 설치된 롤러형상의 조작부(4a)와, 이 조작부(4a)의 양쪽에 설치된 축부(4b, 4c)를 가지고, 한쪽의 축부(4b)측에는 회전형 전기부품 (K), 또 다른쪽의 축부(4c)측에는 스위치(S)가 배치된 것이기 때문에 박형의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케이싱부재와, 이 케이싱부재에 지지되어 회전과 축선방향의 이동이 가능한 롤러형상의 조작부재와, 이 조작부재의 회전에 의해 조작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회전형 전기부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방향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조작부재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의해 조작되는 푸시스위치를 더욱 구비하고, 축선방향의 상기 조작부재의 끝부측에는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과 상기 푸시스위치를 배치하여 상기 조작부재에 의하여 회전형 전기부품과 푸시스위치를 각각 조작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중앙부에 설치된 조작부와, 이 조작부의 끝부에 설치된 축부를 가지고,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축부에서 상기 케이싱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축부를 개재하여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과 상기 푸시스위치가 조작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이 상기 푸시스위치보다 상기 조작부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에는 바닥벽을 설치하고, 이 바닥벽에 상기 푸시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제 1과 제 2 아암부를 가지는 L자형상의 가동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축부에서 상기 제 1 아암부를 가압하여 상기 가동부재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 2 아암부에서 상기 푸시스위치를 조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양쪽 끝부측에 상기 푸시스위치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의해 상기 푸시스위치를 각각 조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으로 조작되는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스위치를 가지고, 이 스위치가 상기 조작부재의 한쪽 끝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이 상기 조작부재의 다른쪽 끝부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8. 케이싱부재와, 축부를 가지며 상기 케이싱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재와, 이 조작부재의 회전에 의해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회전형 전기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축부에 유지되어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에 의한 상기 축부의 회전시에 마찰력에 의해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소정의 각도를 함께 회전한 후에는 스토퍼부에 의해 회전이 정지되어 공전하도록 구성된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에 설치된 가동접점과 상기 케이싱부재에 설치된 고정접점으로 구성되는 스위치를 가지고, 상기 조작부재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였을 때 상기 회전부재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고정접점에 대하여 접점의 전환을 행한 후, 상기 회전접점부재가 상기 스토퍼부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정지하여 공전하도록 상기 스위치가 조작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으로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이 조작되어 전기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재의 축선방향의 끝부에 푸시스위치를 배치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상기 축선방향의 이동에 따라 상기 푸시스위치가 조작되어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에 상기 스토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에 오목부를 설치하여 상기 스토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에 볼록부를 설치하고, 이 볼록부를 상기 오목부의 일부에 접촉시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이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케이싱부재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고정접점을 상기 케이싱부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스토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오목부를 설치하여 상기 스토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에 볼록부를 설치하여 이 볼록부를 상기 오목부의 일부에 접촉시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탄성부재를 가지고, 이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사이에 마찰력을 가지게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을 설치한 1매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접점판으로, 상기 회전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중앙부에 설치된 롤러형상의 조작부와, 이 조작부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축부를 가지고, 한쪽의 상기 축부측에는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이, 또한 다른쪽의 상기 축부측에는 상기 스위치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KR10-2000-0043051A 1999-07-27 2000-07-26 다방향 입력장치 KR100373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12621A JP2001035310A (ja) 1999-07-27 1999-07-27 回転型信号発生器
JP11-212621 1999-07-27
JP11222026A JP2001052572A (ja) 1999-08-05 1999-08-05 多方向入力装置
JP11-222026 1999-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890A KR20010049890A (ko) 2001-06-15
KR100373065B1 true KR100373065B1 (ko) 2003-02-25

Family

ID=26519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051A KR100373065B1 (ko) 1999-07-27 2000-07-26 다방향 입력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91782B1 (ko)
EP (1) EP1073080B1 (ko)
KR (1) KR100373065B1 (ko)
CN (1) CN1139957C (ko)
DE (1) DE60024536T2 (ko)
TW (1) TW50860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860B1 (ko) 2005-03-03 2007-08-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엔코더 스위치와 택트 스위치를 갖는 다방향 키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9996B2 (ja) * 2000-03-10 2007-01-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EP1132855A3 (en) * 2000-03-10 2005-11-02 Alps Electric Co., Ltd. Input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1312942A (ja) * 2000-04-27 2001-11-09 Sony Corp 通信端末装置及びスイッチ装置
JP2002150894A (ja) * 2000-11-07 2002-05-24 Sony Corp スイッチ装置
JP2002208331A (ja) * 2001-01-12 2002-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方向操作スイッチ
US6809275B1 (en) * 2002-05-13 2004-10-26 Synaptics, Inc. Rotary and push type input device
US6967645B2 (en) * 2002-07-10 2005-11-22 Kye Systems Corp. Encoder device combined with a roller
DE10315721B4 (de) * 2003-04-04 2005-12-08 Siemens Ag Bedien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mit einer Anzeige, auf der Menüs, Funktionen und Funktionswerte darstellbar und mittels eines Bedienelementes anwählbar und auswählbar sind
US6930959B2 (en) * 2003-05-23 2005-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axis wheel scroller and selector
JP2005166460A (ja) * 2003-12-03 2005-06-23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KR100804790B1 (ko) * 2004-03-10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스크롤키
FR2874739B1 (fr) * 2004-09-01 2006-10-20 Itt Mfg Enterprises Inc Dispositif perfectionne de commande a tambour et a voies de commutation multiples
US20060290657A1 (en) * 2005-06-24 2006-12-28 Zippy Technology Corp. Multi-instruction transverse input device
US7728815B2 (en) * 2005-09-26 2010-06-01 Zippy Technology Corp. Multi-direction input device
US7996050B2 (en) * 2006-02-28 2011-08-09 Lg Electronics Inc.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7860538B2 (en) * 2006-02-28 2010-12-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1527214B (zh) * 2008-03-07 2011-02-16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键结构及具有该键结构的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95002B3 (fr) * 1986-02-21 1988-07-08 Itt Composants Instr Commutateur rotatif pour le reglage par paliers d'une grandeur analogique
JP3335249B2 (ja) 1993-05-14 2002-10-15 株式会社東芝 赤外線検知器コールド・シールドの製造方法
JP3594978B2 (ja) 1993-07-21 2004-12-02 新田ゼラチン株式会社 癌細胞増殖方法
JPH08167348A (ja) * 1994-12-14 1996-06-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3222714B2 (ja) * 1995-01-24 2001-10-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3536435B2 (ja) * 1995-06-22 2004-06-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回転操作型電子部品
DE29600631U1 (de) * 1996-01-16 1996-03-14 Loewe Opta GmbH, 96317 Kronach Drehsteller
JP3763169B2 (ja) * 1996-08-23 2006-04-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回転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20942B2 (ja) * 1997-03-13 2005-11-3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TW369658B (en) * 1997-03-13 1999-09-11 Alps Electric Co Ltd Rotary operation electric components and the coordinate input apparatus using the rotary operation electric components
JPH117865A (ja) * 1997-04-21 1999-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3549377B2 (ja) * 1997-10-08 2004-08-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型電気部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860B1 (ko) 2005-03-03 2007-08-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엔코더 스위치와 택트 스위치를 갖는 다방향 키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73080A2 (en) 2001-01-31
US6291782B1 (en) 2001-09-18
EP1073080A3 (en) 2002-09-04
EP1073080B1 (en) 2005-12-07
TW508606B (en) 2002-11-01
KR20010049890A (ko) 2001-06-15
CN1139957C (zh) 2004-02-25
DE60024536D1 (de) 2006-01-12
CN1282169A (zh) 2001-01-31
DE60024536T2 (de) 200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065B1 (ko) 다방향 입력장치
JP3763169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回転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122364A (ko)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KR100333433B1 (ko) 복합 조작형 전기부품
KR960008882A (ko) 회전조작형 스위치 및 다방향입력장치
KR20080093874A (ko)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US8378858B2 (en) Rotationally-operated input device
KR100420190B1 (ko)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KR100327733B1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JP2005158328A (ja) 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5338592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403431B1 (ko) 다방향 입력장치
JP4601583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
KR100475755B1 (ko) 개폐검출장치
JP2001052572A (ja) 多方向入力装置
CN219418864U (zh) 一种安装便捷的旋转开关
JP4703526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
JP2003109467A (ja) 回転操作型電子部品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JP3744638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3937526B2 (ja) プッシュ機能付回動操作型電子部品
JPH03127419A (ja) スイッチの切換装置
JP2001035310A (ja) 回転型信号発生器
JP2001160339A (ja) 複合操作型スイッチ
JP2005302348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2002015643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型エンコ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