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107B1 -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107B1
KR101423107B1 KR1020080032672A KR20080032672A KR101423107B1 KR 101423107 B1 KR101423107 B1 KR 101423107B1 KR 1020080032672 A KR1020080032672 A KR 1020080032672A KR 20080032672 A KR20080032672 A KR 20080032672A KR 101423107 B1 KR101423107 B1 KR 101423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body
operating
substrate
switching mean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3874A (ko
Inventor
시로 츠즈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3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3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the operating member being rotatable around wobbling axis for additional switching f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5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having a rotating dial around the operating member for additional switching f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025/048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separate central push, slide or tumbler button which is not integral with the operating part that surrounds it

Abstract

(목적)본 발명의 목적은 로터리 스위치의 외형을 소형화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구성)기판(200)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하 조작 가능한 조작체(300)와, 조작체(300) 주위에 기판(200)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환상(環狀) 부재로 4방향으로 경동 조작 가능함과 아울러 회전 조작 가능한 조작체(400)와, 조작체(300)에 대향 배치되는 스위칭 수단(500A)과, 조작체(400)에 대향 배치되는 4개의 스위칭 수단(500B)과, 판체(610)가 조작체(400)의 내벽부(420)에 부착되는 부착부재(600)와, 조작체(400)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700)을 구비하고, 회전 검출 수단(700)은 부착부재(600)의 2개의 암부(620)에 부착되고, 본체부(210) 상의 조작체(300)의 조작부(310) 아래쪽이며 또한 스위칭 수단(500B)의 내측 공간에 배치된다.
Figure R1020080032672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Description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COMPOUND OPERATION INPUT DEVICE}
본 발명은 누름 조작 입력, 경동(傾動) 조작 입력 및 회전 조작 입력이 가능한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로서는, 연직 방향으로 누름 조작 가능한 제 1 조작체와, 이 제 1 조작체 주위에 배치된 환상 부재이며, 경동 조작 및 둘레 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한 제 2 조작체와, 상기 제 1 조작체의 누름 이동에 의해 작동하는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2 조작체의 경동에 의해 작동하는 복수의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2 조작체에 부착되어 상기 제 2 조작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로터리 스위치와, 제 1, 제 2 스위칭 수단이 설치된 제 1 기판과, 로터리 스위치의 슬라이딩 접점 패턴이 형성된 제 2 기판을 구비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1-325859호 공보
상기 제 2 조작체는 상기 제 1 조작체 주위에 배치되는 환상 부재이다. 이 때문에, 상기 제 2 조작체 및 이에 부착되는 로터리 스위치의 외형이 상기 제 1 조작체의 외형에 의존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제 1 조작체의 외형을 작게 하면 상기 제 2 조작체 및 로터리 스위치의 외형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제 1 조작체는 누름 조작 입력용 조작체이다. 그 때문에, 상기 제 1 조작체의 외형을 작게 하면 제대로 조작할 수 없는 등의 불량이 생긴다. 이 때문에, 상기 장치의 외형을 작게 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제 1 조작체의 외형에 관계없이 로터리 스위치의 외형을 소형화할 수 있고, 그 결과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는, 기판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누름 조작 가능하며, 조작되는 제 1 면과 이 제 1 면의 반대측인 제 2 면을 갖는 제 1 조작체와, 이 제 1 조작체 주위에 상기 기판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환상 부재로서 그 평행 상태에서 주위의 임의 방향으로 경동 조작 가능함과 아울러 둘레 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한 제 2 조작체와, 상기 제 1 조작체의 누름 이동에 따라 작동하는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2 조작체의 경동에 따라 각각 작동하는 복수의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2 조작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과, 외측부가 상기 제 2 조작체에 설치되며 또한 내측부가 상기 제 1 조작체의 제 2 면에 대향하는 부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스위칭 수단이 상기 기판 상의 제 1 조작체 대향 영역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검출 수단은 상기 부착부재의 내측부에 부착되고, 상기 기판과 상기 제 1 조작체 사이이며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스위칭 수단의 내측 공간에 배치된다.
이렇게 상기 회전 검출 수단이 상기 부착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조작체에 부착되어 상기 기판과 상기 제 1 조작체 사이이며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스위칭 수단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 1 조작체의 외형에 관계없이 상기 회전 검출 수단의 외형을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조작체는 상기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조작부와, 이 조작부 제 2 면의 일부에 볼록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그 외형이 상기 조작부의 외형보다 작은 봉상(棒狀)의 조작축부를 갖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착부재의 내측부는 상기 조작부 제 2 면의 나머지 부분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기판과 상기 조작부 사이이며 또한 상기 조작축부의 주변 공간에 상기 부착부재의 내측부를 배치하고, 상기 공간에 상기 회전 검출 수단을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회전 검출 수단은 높이 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부착부재의 내측부에 부착되며 그 중심부에 상기 조작축부가 통과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회전체와, 이 회전체 높이 방향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접촉자와, 상기 기판 상의 상기 제 1 조작체 대향 영역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접촉자가 슬라이딩 가능한 접점 패턴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제 2 조작체에 부착되는 링형상의 판체와, 이 판체 내면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암부를 갖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암부의 선단부 양단에는 2개의 절곡편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의 일단부에는 상기 암부가 끼워지는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상기 암부가 상기 회전체의 노치부에 끼워짐으로써, 제 2 조작체의 회전에 따라 절곡편이 노치부 끝면을 눌러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는, 상기 제 2 조작체와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 사이에 상기 기판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환상 부재로서, 상기 제 2 조작체의 경동에 따라 경동하고,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을 각각 누르는 키 탑과, 상기 제 2 조작체의 키 탑 대향면에 설치되는 감촉자(感觸子)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키 탑의 감촉자 대향면은 요철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감촉자가 상기 키 탑의 감촉자 대향면 상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상기 키 탑이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을 누르는 기능과, 상기 감촉자와 함께 상기 제 2 조작체 회전 조작의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각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구성부품을 따로따로 구비하는 다른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와 비교해서 부품점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조작체는 조작되는 제 1 면과 이 제 1 면의 반대측인 제 2 면을 소유하는 링형상의 조작판과, 이 조작판의 제 2 면 바깥 가장자리부에 세워서 설치된 원통형상의 외벽부와, 상기 조작판 제 2 면의 안쪽 가장자리부에 세워서 설치된 원통형상의 내벽부를 갖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촉자는 상기 조작판 제 2 면의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 사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부착부재의 외측부는 그 외측 끝부가 상기 조작판 제 2 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내벽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키 탑은 상기 부착부재 외측부의 외측 끝부에 지지되고,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키 탑 및 감촉자를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 사이의 공간에 수용함으로써, 키 탑 및 감촉자 조립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장치 높이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에 의한 경우, 상기 회전 검출 수단이 상기 부착부재를 통해서 상기 제 2 조작체에 부착되고, 상기 기판과 상기 제 1 조작체 사이이며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스위칭 수단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조작체의 외형에 관계없이 상기 회전 검출 수단의 외형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이 회전 검출 수단을 상기 기판과 상기 제 1 조작체 사이이며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스위칭 수단의 내측 공간(즉 데드 스페이스)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장치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어 상기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가 개략적 평면도, (b)가 개략적 사시도, 도 2가 동 장치 의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이 동 장치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 도 4가 동 장치의 케이스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로서, (a)가 상측으로부터 나타낸 도면, (b)가 하측으로부터 나타낸 도면, 도 5는 동 장치의 제 2 조작체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로서, (a)가 상측으로부터 나타낸 도면, (b)가 하측으로부터 나타낸 도면, 도 6은 동 장치의 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가 개략적 평면도, (b)가 개략적 저면도이다.
여기에 게재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의 저판부 상면 상에 세팅되는 기판(200)과, 기판(200)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누름 조작 가능한 제 1 조작체(300)와, 이 제 1 조작체(300) 주위에 기판(200)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환상 부재로서 그 평행 상태에서 주위의 4방향으로 경동 조작 가능함과 아울러 둘레 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한 제 2 조작체(400)와, 제 1 조작체(300)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 1 스위칭 수단(500A)과, 제 2 조작체(400)의 4개의 경동 방향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 2 스위칭 수단(500B)과, 제 2 조작체(400)에 부착되는 부착부재(600)와, 이 부착부재(600)에 부착되어 제 2 조작체(400)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700)과, 제 2 조작체(400)와 제 2 스위칭 수단(500B) 사이에 배치되는 키 탑(800)과, 제 2 조작체(400)의 키 탑 대향면에 설치되는 감촉자(900)와, 케이스(100)의 저판부 하면에 부착되는 보강판(1000)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케이스(100)는,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형상의 수지성형품이며, 원형의 저판부와 이 저판부의 외주 가장자리부 상에 세워서 설치 된 원통형상의 벽부를 가지고 있다.
이 케이스(100) 저판부의 중심부에는 제 1 조작체(300)의 조작축부(320)가 통과되는 제 1 구멍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0) 저판부 상면의 제 1 구멍부(11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도 2, 도 3 및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지지부재(120)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120)는 외주면이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회전 검출 수단(700)의 회전체(710)의 회전 구멍부(712a)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710)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회전 검출 수단(700)의 회전체(710)의 걸림 구멍부(711a)에 걸리는 걸림 클로를 갖는다.
케이스(100) 저판부 하면의 제 1 구멍부(11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도 2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의 서브 기판(240) 및 제 1 스위칭 수단(500A)을 수용하는 오목형상의 수용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부(150)는 단면이 철(凸)자형상인 원형 오목부(151)와, 이 원형 오목부(151)에 연속하는 직사각형 오목부(152)를 갖는다. 직사각형 오목부(152)는 케이스(100) 저판부의 외주면을 향해서 개방되어 있다.
원형 오목부(151)의 하면에는, 도 2, 도 3,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제 1 맞물림 볼록부(161)가 제 1 구멍부(110) 주변에 90°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맞물림 볼록부(161)는 기판(200)의 서브 기판(240)의 4개 맞물림 구멍(241) 및 제 1 고정 시트(530A)의 4개 맞물림 구멍(531A)에 각각 맞물리며 또한 보강판(1000)의 4개의 수용 구멍부(1110)에 각각 끼워진다. 또한, 케이 스(100) 저판부 하면의 수용부(150) 주변에는 3개의 제 2 맞물림 볼록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맞물림 볼록부(162)가 보강판(1000)의 3개의 맞물림 구멍부(1120)에 각각 맞물린다.
케이스(100)의 벽부에는, 도 2, 도 3 및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의 도출부(220)를 외부로 도출하는 제 1 도출 구멍(131)과, 기판(200)의 되접음편(230)을 도출하는 제 2 도출 구멍(132)과, 키 탑(800)의 4개의 가이드 볼록부를 가이드하는 4개의 가이드 오목부(140)를 가지고 있다.
제 1 도출 구멍(131)은 2개의 가이드 오목부(14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도출 구멍(132)은 나머지 2개의 가이드 오목부(140) 사이이며 또한 수용부(150)의 직사각형 오목부(152) 위쪽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기판(200)은, 도 2,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이며, 케이스(100)의 저판부 상면에 세팅되는 원판형상의 메인 기판(210)과, 이 메인 기판(210) 외주부 일부에 설치되어 있는 판형상의 도출부(220)와, 메인 기판(210)의 외주부 다른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도출부(220)보다 폭이 좁은 판형상의 되접음편 (230)과, 이 되접음편(230)의 선단부에 설치된 원판형상의 서브 기판(240)을 가지고 있다.
메인 기판(210)의 중심부에는 3개의 지지부재(120)가 삽입되는 제 2 구멍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구멍부(211)는 메인 기판(210)이 케이스(100)의 저판부 상면에 세팅된 상태로, 제 1 구멍부(110)와 동심원형상으로 배치된다.
도출부(220)는 케이스(100)의 제 1 도출 구멍(131)으로부터 케이스(100) 밖 으로 도출되고, 도시하지 않은 전자기기에 접속된다.
되접음편(230)은 후단부가 케이스(100)의 제 2 도출 구멍(132)으로부터 케이스(100) 밖으로 도출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가로 방향으로 대략 U자형상으로 뒤집어 접어져, 선단부가 케이스(100)의 수용부(150)의 직사각형 오목부(152)에 수용된다.
서브 기판(240)은 되접음편(230)의 선단부가 수용부(150)의 직사각형 오목부(152)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수용부(150)의 원형 오목부(151)에 수용된다. 이 서브 기판(240)에는 4개의 제 1 맞물림 볼록부(161)가 통과되는 4개의 맞물림 구멍(241)이 90°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조작체(400)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00)에 씌워지는 컵형상의 수지성형품이다. 이 제 2 조작체(400)는 조작판(410)과, 이 조작판(410)의 하면 안쪽 가장자리부에 세워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내벽부(420)와, 조작판(410)의 하면 바깥 가장자리부에 세워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외벽부(430)를 가지고 있다.
조작판(410)은 중심부에 중심 구멍부(411)가 형성된 링형상의 판상체이다. 이 조작판(410)의 외경은 케이스(100)의 저판부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판(410)의 상면(제 1 면)은 조작되는 조작면이며, 조작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복수의 볼록부(412)가 상기 조작판(41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조작판(410)의 하면(제 2 면)에는 감촉자(900)의 2개 부착부(930)의 2개 구멍부(931)에 각각 삽입되어 용착되는 4개의 볼록부(413)가 형성되 어 있다.
내벽부(420)의 하면에는 부착부재(600)의 판체(610)의 복수 구멍부(611)에 각각 삽입되어 용착되는 복수의 볼록부(4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벽부(420)와 외벽부(430) 사이의 공간이 키 탑(800) 및 감촉자(900)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된다.
외벽부(430)는 제 2 조작체(400)가 케이스(100)에 씌워진 상태이며, 상기 케이스(100) 벽부의 외면을 따르도록 되어있다.
회전 검출 수단(700)은, 도 2, 도 3 및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710)와, 이 회전체(7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접촉자(720)와, 이 접촉자(720)가 슬라이딩 가능한 복수의 접점 패턴(730)을 갖는 로터리 스위치이다.
회전체(7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상단(711)과, 이 상단부(711) 하면에 설치되는 상기 상단부(711)보다 외경이 큰 원통형상의 하단부(712)를 가지고 있다.
하단부(712)의 중심부에는 케이스(100)의 3개의 지지부재(120)가 끼워지는 회전 구멍부(7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3개의 지지부재(120)에 하단부(71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회전체(710)가 케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렇게 하여 회전 검출 수단(700)이 기판(200)의 메인 기판(210)과 제 1 조작체(300)의 조작부(310) 사이(즉 메인 기판(210) 상의 제 1 조작체(300)의 조작부(310) 하측(즉 제 1 조작체(300)의 누름 이동 방향측))이며 또한 제 2 스위칭 수단(500B)의 내측 공간에 배치된다.
또한, 하단부(712)(즉 높이 방향의 타단부)의 하면에는 접촉자(720)를 수용하는 환상의 수용 오목부(712b)가 형성되어 있다.
상단부(711)의 중심부에는 하단부(712)의 회전 구멍부(712a)와 연통하는 걸림 구멍부(7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구멍부(711a)의 지름은 회전 구멍부(712a)의 지름보다 크게 되어 있다. 즉 케이스(100)의 3개의 지지부재(120)의 걸림 클로가 걸림 구멍부(711a)의 회전 구멍부(712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린다. 이에 의해 회전체(710)의 케이스(100)로부터의 빠짐방지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회전 구멍부(712a) 및 걸림 구멍부(711a)가 관통 구멍이 된다.
또한, 상단부(711)(즉 높이 방향의 일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개소에 2개의 노치부(711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711b)에 부착부재(600)의 2개의 암부(620)가 각각 끼워진다.
접촉자(72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형상의 베이스판(721)과, 이 베이스판(721)의 외주면에 연속해서 설치된 4개의 접촉 암(722)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판(721)은 수용 오목부(712b)의 저면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접촉 암(722)은 제 2 조작체(400)의 회전에 따른 회전체(710)의 회전에 따라 복수의 접점 패턴(730) 상을 슬라이딩한다.
복수의 접점 패턴(730)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의 메인 기판(210) 상면의 제 2 구멍부(211) 둘레 가장자리부(즉 메인 기판(210) 상의 제 1 조작체(300)의 조작부(310) 대향 영역)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부착부재(6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형상의 판체(610) (즉 외측부)와, 이 판체(610)의 내면에 연장되어 설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암부(620)(즉 내측부)를 갖는다.
판체(610)에는 제 2 조작체(400)의 복수의 볼록부(421)가 각각 삽입되어 용 착되는 복수의 구멍부(61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판체(610)가 제 2 조작체(400)의 내벽부(420) 하면에 용착 고정된다. 또한, 판체(610)의 외경은 내벽부(420)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판체(610)가 내벽부(420) 하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판체(610)의 바깥 가장자리부(즉 외측 끝부)가 내벽부(4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조작판(410)의 하면에 대향한다. 이 판체(610)의 바깥 가장자리부가 키 탑(800)의 제 1 돌기부(810)를 상기 수용 공간에서 지지하는 부위가 된다.
암부(620)는 직사각형상의 판상체이다. 이 암부(620)는 판체(610)가 내벽부(420)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 1 조작체(300)의 조작부(310) 저면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대향한다. 또한, 암부(620)는 회전 검출 수단(700)의 회전체(710)의 노치부(711b)에 약간 여유를 갖고 끼워진다. 이 암부(620) 선단부의 폭 방향의 양단에는 상기 암부(620)에 대하여 대략 직각 2개의 절곡편(621)이 설치되어 있다.
절곡편(621)은 암부(620)가 노치부(711b)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노치부(711b)의 끝면에 대향한다. 이 때문에, 제 2 조작체(400)의 회전에 따라 부착부재(600)가 회전하면 절곡편(621)이 노치부(711b)의 끝면에 접촉해 누른다. 이렇게하여 부착부재(600)의 2개의 암부(620)에 회전체(710)가 부착되어 상기 회전 체(710)를 제 2 조작체(400)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암부(620)는 노치부(711b)에 약간 여유를 갖고 끼워져 절곡편(621)이 노치부(711b)의 끝면에 대향하고 있을 뿐이다. 즉 암부(620)는 제 2 조작체(400)의 경동에 따른 부착부재(600)의 경동에 따라서 상기 암부(62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2방향 및 상기 암부(620)의 폭 방향을 따르는 2방향으로 노치부(711b) 내를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때, 2개의 절곡편(621)이 회전체(710)와 간섭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조작체(400)의 경동 방향은 암부(62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2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2방향이 된다.
감촉자(9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형상의 판스프링인 감촉자 본체(910)와, 감촉자 본체(910)의 서로 대향하는 2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원호형상으로 만곡되는 2개의 슬라이딩부(920)와, 감촉자 본체(910)의 2개의 슬라이딩부(920)와 각각 90° 위치 어긋난 2개소에 설치되는 2개의 부착부(930)를 가지고 있다.
부착부(930)에는 2개의 구멍부(9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구멍부(931)에 제 2 조작체(400) 조작판(410)의 2개의 볼록부(413)가 각각 삽입되어 용착된다. 이에 의해, 부착부(930)가 제 2 조작체(400)의 조작판(410) 하면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딩부(920)는 제 2 조작체(400)의 회전에 따라 키 탑(800)의 요철면 (830) 상을 슬라이딩한다. 이에 의해, 제 2 조작체(400)의 회전 조작에 조작감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키 탑(80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형상의 수지성형체이다. 이 키 탑(800)은 그 상면의 안쪽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 1 돌기부(810)와, 상기 상면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90°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4개의 제 2 돌기부(820)와, 상기 상면의 나머지 영역에 형성된 요철면(830)과, 하면에 제 2 돌기부(820)와 동간격으로 설치되는 4개의 누름부(840)와, 외주면의 제 2 돌기부(820) 및 누름부(840) 사이의 4개소에 외측을 향해 각각 볼록하게 형성되는 4개의 가이드 볼록부(850)를 가지고 있다.
제 1 돌기부(8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뿐 아니라 내측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어 있다. 이 제 1 돌기부(810) 내측의 볼록부가 제 2 조작체(400)의 내벽부(420)에 부착된 부착부재(600)의 판체(610) 바깥 가장자리부에 지지된다. 이에 의해, 키 탑(800)이 제 2 조작체(400)의 내벽부(420)와 외벽부(430)의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유지된다.
또한, 이 제 1 돌기부(810)의 내경은 제 2 조작체(400)의 내벽부(420) 외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돌기부(810)는 키 탑(800)이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유지된 상태에서 내벽부(420)의 외면을 따르도록 되어 있다.
제 2 돌기부(820)는 제 1 돌기부(810)보다 약간 더 높으며, 제 2 조작체(400)의 조작판(410) 하면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 2 돌기부(820)가 조작판(410) 하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조작판(410)과의 사이에 감촉자(90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 2 돌기부(820)는 제 2 조작체(400)의 경동에 의해 조작판(410)에 눌려진다. 이에 의해, 키 탑(800)이 제 2 조작체(400)의 경동에 따 라 경동한다.
또한, 제 2 돌기부(820)는 키 탑(800)이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유지된 상태에서 외벽부(430)와의 사이에 간극을 갖고 있다. 이 간극에 케이스(100)의 벽부가 삽입된다.
가이드 볼록부(850)는 케이스(100) 벽부의 가이드 오목부(140)에 상하동 가능하게 가이드된다. 이에 의해, 키 탑(800)의 경동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키 탑(800)의 둘레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누름부(840)는 아래 쪽을 향해 볼록한 원기둥형상의 돌기이다. 이 누름부(840)는 가이드 볼록부(850)가 가이드 오목부(140)에 가이드된 상태로 제 2 조작체(400)의 경동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 2 스위칭 수단(500B)의 4개의 제 2 가동 접점부(520B) 상에 적재된다. 이렇게 누름부(840)가 제 2 스위칭 수단(500B)의 4개의 제 2 가동 접점부(520B)에 지지됨으로써 키 탑(800) 및 제 2 조작체(400)가 기판(200)의 메인 기판(210)에 대략 평행한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누름부(840)는 제 2 조작체(400)의 경동에 따른 키 탑(800)의 경동에 따라 제 2 스위칭 수단(500B)의 제 2 가동 접점부(520B)를 누르도록 되어 있다.
제 2 스위칭 수단(500B)은, 도 3 및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의 메인 기판(210) 상면 상의 복수 접점 패턴(730) 주변의 제 2 조작체(400)의 4개의 경동 방향에 대응하는 4개소(즉 기판(200)의 메인 기판(210) 상의 제 1 조작체(300) 대향 영역의 주변 영역)에 각각 설치된 4개의 한쌍의 제 2 고정 접점부(510B)와, 4개의 한 쪽 제 2 고정 접점부(510B) 상에 각각 적재되는 단면이 대략 원호형상인 4개의 제 2 가동 접점부(520B)와, 이 제 2 가동 접점부(520B)를 메인 기판(210)에 고정하는 제 2 고정 테이프(530B)와, 제 2 가동 접점부(520B)의 최상부 상에 각각 적재되는 4개의 제 2 스페이서(540B)를 갖는다.
제 2 가동 접점부(520B)는 제 2 스페이서(540B)를 사이에 두고 키 탑(800)의 누름부(840)를 지지하고 있다. 이 제 2 가동 접점부(520B)의 최상부가 제 2 조작체(400)의 경동에 따라 키 탑(800)의 누름부(840)에 눌려지면, 상기 제 2 가동 접점부(520B)가 탄성 변형하여 다른 쪽의 고정 접점부(510B)에 접촉한다. 또한, 제 2 가동 접점부(520B)는 상기 누름으로부터 해방되면, 복원하여 누름부(840)를 밀어 올린다. 이에 의해, 제 2 조작체(400)가 평행 상태로 복귀된다.
한쌍의 제 2 고정 접점부(510B)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의 메인 기판(210), 도출부(220) 하면 상의 배선 패턴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 1 조작체(3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310)와, 이 조작부(310)의 저면(제 2 면) 중심부에 하방을 향해 세워서 설치된 기둥형상의 조작축부(320)를 갖고 있다.
조작부(310)는 원형의 하향 컵형상의 수지성형품으로 그 외경이 제 2 조작체(400)의 중심 구멍부(411)의 지름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즉 조작부(310)가 제 2 조작체(400)의 중심 구멍부(411)에 끼워지고, 그 외측으로 조작 가능하게 노출된다.
이 조작부(310)의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외측을 향해서 플랜지부(311)가 형성 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311)가 제 2 조작체(400)의 중심 구멍부(411) 안쪽 가장자리부에 접촉됨으로써 제 1 조작체(300)의 제 2 조작체(400)로부터의 빠짐방지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조작부(310)의 상면(제 1 면)은 조작되는 조작면이며, 조작되기 쉽게 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축부(320)는 케이스(100)의 3개의 지지부재(120) 사이 및 제 1 구멍부(110)에 통과되는 원기둥형상의 조작축부 본체(321)와, 이 조작축부 본체(321)의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볼록부(322)를 갖고 있다.
볼록부(322)는 3개의 지지부재(120) 중 2개의 지지부재(120) 사이에 끼워져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됨과 아울러 제 1 조작체(300) 둘레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한다.
조작축부 본체(321)는 3개의 지지부재(120) 사이 및 제 1 구멍부(110)를 통해서 케이스(100)의 수용부(150)의 원형 오목부(151)에 면하고, 제 1 스위칭 수단(500A) 상에 적재된다. 이에 의해, 제 1 조작체(300)가 초기 상태로 유지된다. 이 조작축부 본체(321)는 제 1 조작체(300)가 누름 조작됨으로써 제 1 스위칭 수단(500A)을 누른다.
제 1 스위칭 수단(500A)은 서브 기판(240)의 하면 상에 설치된 한쌍의 제 1 고정 접점부(510A)와, 한쪽의 제 1 고정 접점부(510A) 상에 적재되는 단면이 대략 원호형상인 제 1 가동 접점부(520A)와, 이 제 1 가동 접점부(520A)를 서브 기판(240)에 고정하는 제 1 고정 시트(530A)와, 제 1 가동 접점부(520A)의 최상부 상 에 적재되는 제 1 스페이서(540A)를 갖는다.
한쌍의 제 1 고정 접점부(510A)는 기판(200)의 되접음편(230), 메인 기판(210) 및 도출부(220)의 하면 상에 배선 패턴으로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 1 가동 접점부(520A)는 제 1 스페이서(540A)를 사이에 두고 제 1 조작체(300)의 조작축부(320)의 조작축부 본체(321)를 지지하고 있다. 이 제 1 가동 접점부(520A)의 최상부가 제 1 스페이서(540A)를 사이에 두고 조작축부 본체(321)에 눌려지면, 상기 제 1 가동 접점부(520A)가 탄성 변형하여 다른 쪽의 고정 접점부(510A)에 접촉된다. 또한, 제 1 가동 접점부(520A)는 상기 누름으로부터 해방되면, 복원하여 제 1 조작체(300)를 초기 상태로 밀어 올린다.
보강판(1000)은 절연성을 갖는 판상체이다. 이 보강판(1000) 중앙부에는 케이스(100)의 4개의 제 1 맞물림 볼록부(161)를 각각 수용하는 4개의 수용 구멍부(1110)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판(1000)의 4개의 수용 구멍부(1110) 주변에는 케이스(100)의 3개의 제 2 맞물림 볼록부(162)가 각각 맞물리는 3개의 맞물림 구멍부(1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 구멍부(1120)가 케이스(100)의 제 2 맞물림 볼록부(162)에 맞물림으로써 보강판(1000)이 케이스(100)의 저판부 하면에 부착된다.
이하, 이러한 구성의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의 조립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 2 조작체(400)의 조작판(410) 하면에 감촉자(900)의 부착부(930)를 부착한다. 그리고, 제 1 조작체(300)의 조작부(310)를 제 2 조작체(400)의 중심 구멍부(411)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제 2 조작체(400)의 내벽부(420)와 외벽부(430) 사이의 수용 공간에 키 탑(800)을 삽입한다. 그리고, 내벽부(420) 하면에 부착부재(600)의 판체(610)를 용착 고정한다. 이에 의해, 키 탑(800)의 제 1 돌기부(810)가 판체(610)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지지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 1 조작체(300), 제 2 조작체(400), 감촉자(900), 키 탑(800) 및 부착부재(600)를 유닛화한다.
그 다음, 4개의 제 2 가동 접점부(520B)를 기판(200)의 메인 기판(210) 상의 4개의 한쪽 제 2 고정 접점부(510B) 상에 각각 적재한다. 그리고, 제 2 고정 테이프(530B)로 기판(200)의 메인 기판(210) 상에 부착한다.
이 기판(200)의 도출부(220)를 케이스(100)의 제 1 도출 구멍(131)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이와 아울러 기판(200)의 되접음편(230) 후단부를 케이스(100)의 제 2 도출 구멍(132)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그러면, 케이스(100)의 저판부 상에 기판(200)의 메인 기판(210)이 세팅된다. 이때, 케이스(100)의 3개의 지지부재(120)가 메인 기판(210)의 제 2 구멍부(211)에 끼워진다.
그 후, 회전 검출 수단(700)의 회전체(710)의 수용 오목부(712b) 저면에 접촉자(720)의 베이스판(721)을 부착한다. 이 회전체(710)의 회전 구멍부(712a)에 케이스(100)의 3개의 지지부재(120)를 삽입한다. 그러면, 3개의 지지부재(120)의 걸림 클로가 회전체(710)의 회전 구멍부(712a) 내주면에 접촉하고, 상기 지지부재(120)의 지지부가 내측을 향해 탄성 변형한다. 그리고, 지지부재(120)의 걸림 클로가 회전체(710)의 걸림 구멍부(711a)의 회전 구멍부(712a)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 린다. 이와 같이 회전 검출 수단(700)이 메인 기판(210) 상의 제 1 조작체(300)의 조작축부(320) 주변의 공간(즉 메인 기판(210)과 제 1 조작체(300)의 조작부(310) 사이이며 또한 제 2 스위칭 수단(500B)의 내측 공간)에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그 후, 4개의 제 2 가동 접점부(520B) 상에 4개의 제 2 스페이서(540B)를 각각 적재한다. 그리고, 상술처럼 유닛화한 제 2 조작체(400)를 케이스(100)에 씌운다. 그러면, 케이스(100)의 벽부가 제 2 조작체(400)와 키 탑(800)의 제 2 돌기부(820) 사이의 간극에 삽입된다. 이와 어울러 4개의 제 2 스페이서(540B) 상에 키 탑(800)의 4개의 누름부(840)가 각각 적재된다. 이와 같이 4개의 제 2 스페이서(540B)가 4개의 제 2 가동 접점부(520B)와 키 탑(800)의 4개의 누름부(840) 사이에서 각각 유지된다.
이때, 제 1 조작체(300)의 조작축부 본체(321)를 케이스(100)의 3개의 지지부재(120) 사이 및 제 1 구멍부(110)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이에 의해, 제 1 조작체(300)의 볼록부(322)가 2개의 지지부재(120) 사이에 끼워진다.
그 후, 제 1 스페이서(540A)를 케이스(100)의 제 1 구멍부(110)에 케이스(100) 하면측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러면, 제 1 스페이서(540A)가 제 1 조작체(300)의 조작축부 본체(321) 선단면에 접촉된다.
그 후, 제 1 가동 접점부(520A)를 기판(200)의 서브 기판(240) 하면 상의 한쪽의 제 1 고정 접점부(510A) 상에 적재한다. 그리고, 제 1 고정 시트(530A)를 제 1 가동 접점부(520A)에 씌워 서브 기판(240) 하면 상에 세팅한다.
이 상태에서, 기판(200)의 되접음편(230) 후단부를 되접어 꺾어 상기 되접음편(230) 선단부를 케이스(100) 수용부(150)의 직사각형 오목부(152)에, 서브 기판(240), 제 1 가동 접점부(520A) 및 제 1 고정 시트(530A)를 원형 오목부(151)에 수용한다. 이때, 원형 오목부(151) 하면의 4개의 제 1 맞물림 볼록부(161)에 서브 기판(240)의 4개의 맞물림 구멍(241) 및 제 1 고정 시트(530A)의 4개의 맞물림 구멍(531A)이 각각 맞물린다. 이와 같이 해서 제 1 가동 접점부(520A)가 제 1 고정 시트(530A)와 서브 기판(240) 사이에서 유지된다. 또한, 제 1 스페이서(540A)가 제 1 조작체(300)의 조작축부 본체(321)와 제 1 가동 접점부(520A) 사이에서 유지된다.
그 후, 보강판(1000)의 3개의 맞물림 구멍부(1120)를 케이스(100) 저판부의 3개의 제 2 맞물림 볼록부(162)에 맞물리게 한다. 그러면, 보강판(1000)의 4개의 수용 구멍부(1110)에 케이스(100)의 4개의 제 1 맞물림 볼록부(161)가 끼워진다.
이하, 이와 같이 조립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의 사용 방법 및 각 부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 1 조작체(300)가 초기 상태에서 누름 조작되면, 제 1 조작체(300)의 볼록부(322)가 케이스(100)의 2개의 지지부재(120) 사이에서 가이드되어, 상기 제 1 조작체(300)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 1 조작체(300)의 조작축부 본체(321)가 제 1 스페이서(540A)를 사이에 두고 제 1 가동 접점부(520A)의 최상부를 누른다. 이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부(520A)가 탄성 변형하고, 상기 제 1 가동 접점부(520A)의 최상부가 다른 쪽의 고정 접점부(510A)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제 1 조작체(300)가 누름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기 판(200)을 통해서 상기 전자기기에 출력된다.
그 후, 제 1 조작체(300)가 해방되면 제 1 가동 접점부(520A)가 복원된다. 이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부(520A)가 제 1 스페이서(540A)를 사이에 두고 제 1 조 작체(300)의 조작축부 본체(321)를 밀어 올리고, 상기 제 1 조작체(300)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다.
제 2 조작체(400)가 평행 상태에서 암부(62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2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경동 조작되면, 제 2 조작체(400)의 조작판(410)이 키 탑(800)의 경동 방향측의 제 2 돌기부(820)를 누른다. 이에 의해, 키 탑(800)의 가이드 볼록부(850)가 케이스(100) 벽부의 가이드 오목부(140)에 가이드되면서, 제 2 조작체(400), 키 탑(800) 및 부착부재(600)가 경동한다. 그러면, 키 탑(800)의 경동 방향측 누름부(840)가 제 2 스페이서(540B)를 사이에 두고 제 2 가동 접점부(520B)의 최상부를 누른다. 그러면, 제 2 가동 접점부(520B)가 탄성 변형하여, 상기 제 2 가동 접점부(520B)의 최상부가 다른 쪽의 고정 접점부(510B)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 2 조작체(400)가 경동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기판(200)을 통해서 상기 전자기기에 출력된다.
이때, 부착부재(600)의 2개의 암부(620)가 회전체(710)의 2개의 노치부(711b) 내를 상기 암부(6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요동한다.
제 2 조작체(400)가 해방되면 경동 방향측의 제 2 가동 접점부(520B)가 복원된다. 이에 의해, 경동 방향측의 제 2 가동 접점부(520B)가 제 1 스페이서(540A)를 사이에 두고 경동 방향측의 누름부(840)를 밀어 올린다. 이에 의해, 제 2 조작 체(400)가 평행 상태로 복귀된다.
한편, 제 2 조작체(400)가 평행 상태에서 암부(620)의 폭 방향을 따르는 2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경동 조작되면 상기 경동 조작과 마찬가지로 제 2 조작체(400), 키 탑(800) 및 부착부재(600)가 경동하고, 제 2 조작체(400)가 경동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기판(200)을 통해서 상기 전자기기에 출력된다.
이때, 부착부재(600)의 2개의 암부(620)가 회전체(710)의 2개의 노치부(711b) 내를 상기 암부(620)의 폭 방향을 따라 요동한다.
제 2 조작체(400)가 해방되면 상기 경동 조작과 마찬가지로 제 2 조작체(400)가 평행 상태로 복귀된다.
제 2 조작체(400)가 회전 조작되면, 상기 제 2 조작체(400), 감촉자(900) 및 부착부재(600)가 회전한다. 그러면, 부착부재(600)의 2개의 암부(620)의 한쪽 절곡편(621)이 회전체(710)의 2개의 노치부(711b)의 한쪽 끝면에 각각 접촉해 누른다. 이에 의해, 회전체(710) 및 접촉자(720)가 제 2 조작체(40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그러면, 접촉자(720)의 4개의 접촉 암(722)이 기판(200)의 메인 기판(10) 상의 복수의 접점 패턴(730) 상을 슬라이딩한다. 이에 의해, 제 2 조작체(400)의 회전량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가 기판(200)을 통해서 상기 전자기기에 출력된다.
이때, 감촉자(900)의 2개의 슬라이딩부(920)가 키 탑(800)의 요철면(830) 상을 슬라이딩한다. 이에 의해, 제 2 조작체(400)의 회전 조작의 조작감이 생긴다.
이러한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에 의한 경우, 회전 검출 수단(700)이 부착부재(600)를 통해서 제 2 조작체(400)의 내벽부(420) 하면에 부착되어, 기판(200)의 메인 기판(210)과 제 1 조작체(300)의 조작부(310) 사이이며 또한 제 2 스위칭 수단(500B)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 검출 수단(700)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회전 검출 수단(700)을 데드 스페이스인 상기 공간에 배치하도록 했으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키 탑(800)에 4개의 제 2 스위칭 수단(500B)을 누르는 기능과, 감촉자(900)와 함께 제 2 조작체(400)의 회전 조작의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게 하였기 때문에, 각 기능을 따로따로 실현하기 위한 구성부품을 구비하는 다른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와 비교해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키 탑(800) 및 감촉자(900)가 제 2 조작체(400)의 내벽부(420)와 외벽부(43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점에서도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 구성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식으로 설계 변경해도 관계없다. 따라서, 제 1 스위칭 수단을 상기 케이스에 수용시키도록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판(200)의 형상에 대해서도, 스위칭 수단의 접점 및 회전 검출 수단의 접점 패턴 등이 형성되는 것이면 어떤 형상의 것을 이용해도 관계없다.
제 1 조작체(300)의 형상에 대해서는, 기판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하 이동 가능하며 또한 제 1 스위칭 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는 형상의 것이라면 좋다. 제 1 조작체(300)가 조작부와, 조작축부를 갖는 형상일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의 형상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며, 상기 조작축부의 형상은 상기 조작부 제 2 면의 일 부에 볼록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그 외형이 상기 조작부의 외형보다 작은 봉상이면 된다.
제 2 조작체(400)의 형상에 대해서는, 제 1 조작체 주위에 상기 기판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환상 부재이면 좋다. 이 제 2 조작체는 4방향으로 경동 조작 가능하다고 했지만, 주위의 임의 방향으로 경동 조작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키 탑(800)에 대해서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적어도 누름부(840)에 상당하는 부재를 상기 제 2 조작체의 제 2 면에 설치한다. 또한, 키 탑(800)을 생략하고 상기 제 2 조작체의 회전 조작의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실현할 경우에는, 제 2 면에 요철면(830)을 형성하고, 감촉자(900)를 상기 케이스 등에 고정하여 요철면 상을 슬라이딩시킨다.
감촉자(900)에 대해서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감촉자(900)를 생략하고 상기 제 2 조작체의 회전 조작의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실현할 경우에는, 상기 제 2 조작체의 제 2 면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키 탑(800)의 요철면(830) 상을 슬라이딩시킨다.
부착부재(600)에 대해서는, 외측부가 상기 제 2 조작체에 설치되며 또한 내측부가 상기 제 1 조작체의 제 2 면에 대향하고, 후술하듯이 회전 검출 수단을 부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을 이용해도 관계없다.
예를 들면, 상기 부착부재를 직사각형상의 판체로 하고, 복수의 상기 부착부재의 일단부(외측부)를 상기 제 2 조작체에 설치하는 한편, 타단부(내측부)를 제 1 조작체의 제 2 면에 대향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제 2 조 작체에 부착하도록 해도 좋고, 일체적으로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회전 검출 수단과 부착부재 내측부의 부착이라는 개념은 완전히 고정되는 상태의 물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실시예와 같이 암부(620)가 노치부(711b)에 끼워지는 걸림 상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회전 검출 수단(700)에 대해서는 로터리 스위치라고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접점 패턴(730)을 저항 패턴으로 바꾸어 가변 저항기로 할 수도 있고, 접점 패턴(730)을 자기 검출 소자로 바꿈과 아울러 접촉자(720)를 자석으로 바꾸어 로터리 인코더로 할 수도 있다. 그 외에 광학식 로터리 인코더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체(710)에 대해서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접촉자(720)를 부착부재(600)에 부착하도록 하면 좋다.
제 1 스위칭 수단(500A)에 대해서는 제 1 조작체의 압하 이동에 따라 작동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을 이용해도 관계없다. 예를 들면, 제 1 조작체 제 2 면에 가동 접점을 설치하여 고정 접점부에 접촉하게 해도 좋다.
제 2 스위칭 수단(500B)에 대해서도 제 1 스위칭 수단(500A)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 제 2 스위칭 수단은 상기 기판 상의 상기 제 1 조작체 대향 영역의 주변 영역의 제 2 조작체의 경동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좋다. 따라서,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은 상기 실시예의 4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가 개략적 평면도, (b)가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장치의 도 1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동 장치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동 장치의 케이스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며, (a)가 위쪽에서 나타낸 도면, (b)가 아래쪽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동 장치의 제 2 조작체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며, (a)가 위쪽에서 나타낸 도면, (b)가 아래쪽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동 장치의 기판을 나타내는 도이며, (a)가 개략적 평면도, (b)가 개략적 저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200 : 기판 300 : 제 1 조작체
310 : 조작부 320 : 조작축부
400 : 제 2 조작체 410 : 조작판
420 : 내벽부 430 : 외벽부
500A : 제 1 스위칭 수단 500B : 제 2 스위칭 수단
600 : 부착부재 610 : 판체
620 : 암부 621 : 절곡부
700 : 회전 검출 수단 710 : 회전체
711b : 노치부 720 : 접촉자
730 : 접점 패턴 800 : 키 탑
830 : 요철면 900 : 감촉자

Claims (6)

  1. 기판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하 조작 가능하며, 조작되는 제 1 면과 이 제 1 면의 반대측인 제 2 면을 갖는 제 1 조작체;
    이 제 1 조작체 주위에 상기 기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환상 부재로서, 그 평행 상태에서 주위의 임의 방향으로 경동 조작 가능함과 아울러 둘레 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한 제 2 조작체;
    상기 제 1 조작체의 압하 이동에 따라 작동하는 제 1 스위칭 수단;
    상기 제 2 조작체의 경동에 따라 각각 작동하는 복수의 제 2 스위칭 수단;
    상기 제 2 조작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 및
    외측부가 상기 제 2 조작체에 설치되며 또한 내측부가 상기 제 1 조작체의 제 2 면에 대향하는 부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스위칭 수단은 상기 기판 상의 제 1 조작체 대향 영역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검출 수단은 상기 부착부재의 내측부에 부착되고, 상기 기판과 상기 제 1 조작체 사이이며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스위칭 수단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체는 상기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조작부와, 이 조작부의 제 2 면의 일부에 볼록하게 형성되며 또한 그 외형이 상기 조 작부의 외형보다 작은 봉상의 조작축부를 갖고;
    상기 부착부재의 내측부는 상기 조작부 제 2 면의 나머지의 부분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검출 수단은 높이 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부착부재의 내측부에 부착되고 그 중심부에 상기 조작축부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회전체와, 이 회전체 높이 방향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접촉자와, 상기 기판 상의 상기 제 1 조작체 대향 영역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접촉자가 슬라이딩 가능한 접점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제 2 조작체에 부착되는 링형상의 판체와, 이 판체 내면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암부를 갖고, 이 암부의 선단부 양 끝에는 2개의 절곡편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의 일단부에는 상기 암부가 끼워지는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체와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 사이에 상기 기판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환상 부재로서, 상기 제 2 조작체의 경동에 따라 경동하고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을 각각 압하하는 키 탑과, 상기 제 2 조작체의 키 탑 대향면에 설치되는 감촉자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키 탑의 감촉자 대향면은 요철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감촉자가 상기 키 탑의 감촉자 대향면 상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체는 조작되는 제 1 면과 이 제 1 면의 반대측인 제 2 면을 갖는 링형상의 조작판과, 이 조작판 제 2 면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세워서 설치된 원통형상의 외벽부와, 상기 조작판 제 2 면의 안쪽 가장자리부에 세워서 설치된 원통형상의 내벽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감촉자는 상기 조작판 제 2 면의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 사이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부재의 외측부는 그 외측 끝부가 상기 조작판 제 2 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내벽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키 탑은 상기 부착부재 외측부의 외측 끝부에 지지되고,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KR1020080032672A 2007-04-18 2008-04-08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KR101423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09098A JP4695620B2 (ja) 2007-04-18 2007-04-18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JP-P-2007-00109098 2007-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874A KR20080093874A (ko) 2008-10-22
KR101423107B1 true KR101423107B1 (ko) 2014-07-25

Family

ID=39679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672A KR101423107B1 (ko) 2007-04-18 2008-04-08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50685B2 (ko)
EP (1) EP1983536B1 (ko)
JP (1) JP4695620B2 (ko)
KR (1) KR101423107B1 (ko)
CN (1) CN101290843B (ko)
CA (1) CA2627125A1 (ko)
TW (1) TW2009035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944A (ko) * 2007-09-17 2009-03-20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입력장치
JP4990811B2 (ja) * 2008-02-08 2012-08-01 ホシデン株式会社 回転スイッチ
CN101752137A (zh) * 2008-11-27 2010-06-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按键装置
US20100133073A1 (en) * 2008-12-03 2010-06-03 Tsui-Jung Su Control structure for multi-instruction switches
CN102034630B (zh) * 2009-09-29 2013-08-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开关装置及使用该开关装置的主机
JP5725924B2 (ja) * 2011-03-25 2015-05-27 ホシデン株式会社 配線基板及びこれを備えた入力装置
JP5734065B2 (ja) * 2011-04-12 2015-06-10 東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US8796566B2 (en) 2012-02-28 2014-08-05 Grayhill, Inc. Rotary pushbutton and touchpad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otary movement, axial displacement and touchpad gestures
JP6166165B2 (ja) * 2013-12-04 2017-07-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EP3961995A1 (en) * 2013-12-11 2022-03-02 Ademco Inc. Building automation control systems
US10091400B2 (en) 2015-11-02 2018-10-02 Canon Kabushiki Kaisha Rotatable-swingabl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9881752B2 (en) * 2015-12-02 2018-01-30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Rotary-type switch
US10635214B1 (en) * 2018-10-03 2020-04-28 Jen-Wen SUN Press-touch-control device having screen display
JP7191702B2 (ja) * 2019-01-09 202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回転操作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7307473B2 (ja) * 2019-10-24 2023-07-12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押圧スイッチ付き回転式電子部品
CN115210836A (zh) * 2020-04-23 2022-10-18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多方向输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9319A (ja) * 2005-03-25 2006-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2006285743A (ja) * 2005-04-01 2006-10-19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7066635A (ja) * 2005-08-30 2007-03-15 Mitsumi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859A (ja) 2000-05-16 2001-11-22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3820548B2 (ja) * 2001-06-01 2006-09-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338364B2 (ja) * 2002-07-02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携帯情報通信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NO20034167D0 (no) * 2003-01-20 2003-09-19 Telenostra As Vippeanordning i forbindelse med multifunksjonelle brytere
JP2006073311A (ja) * 2004-09-01 2006-03-16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FR2878646B1 (fr) * 2004-11-26 2007-02-09 Itt Mfg Enterprises Inc Commutateur electrique a voies de commutation multiples
JP2006179258A (ja) * 2004-12-22 2006-07-06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スイッチ
JP4551274B2 (ja) * 2005-05-16 2010-09-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US7368673B2 (en) * 2005-08-05 2008-05-06 Niles Co., Ltd. Multi directional input apparatus
JP2007066637A (ja) * 2005-08-30 2007-03-15 Mitsumi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スイッチ
JP4819518B2 (ja) * 2006-02-09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7442886B2 (en) * 2006-03-07 2008-10-28 Alps Electric Co., Ltd. Multi-directional input unit
JP4353964B2 (ja) * 2006-06-26 2009-10-28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KR20090069959A (ko) * 2007-12-26 2009-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입력 장치
JP4601718B2 (ja) * 2010-06-03 2010-12-22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多機能型電子部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9319A (ja) * 2005-03-25 2006-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2006285743A (ja) * 2005-04-01 2006-10-19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7066635A (ja) * 2005-08-30 2007-03-15 Mitsumi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3536A2 (en) 2008-10-22
CA2627125A1 (en) 2008-10-18
JP4695620B2 (ja) 2011-06-08
US20080257704A1 (en) 2008-10-23
CN101290843A (zh) 2008-10-22
EP1983536A3 (en) 2010-07-07
KR20080093874A (ko) 2008-10-22
JP2008269871A (ja) 2008-11-06
TWI343067B (ko) 2011-06-01
CN101290843B (zh) 2012-07-25
TW200903546A (en) 2009-01-16
EP1983536B1 (en) 2013-01-16
US7550685B2 (en) 2009-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107B1 (ko)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EP1873803B1 (en) Compound operation input device
EP0724278B1 (en) Rotatively-operated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EP1814130B1 (en) Slide switch
JP2002025394A (ja) 複合操作スイッチ
JP2007200707A (ja) 多方向入力装置
JP4624306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14175194A (ja) 入力装置
JP2001345031A (ja) 複合操作型電子部品
WO2020105437A1 (ja) 操作装置
KR101423145B1 (ko) 복합 조작형 스위치 장치
JP3763044B2 (ja) 多方向スイッチ
JP2000260264A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JP2002170461A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JP2003050667A (ja) 入力デバイス
EP0918344A2 (en) Switch device and electronic devices using the switch device
JP2002062985A (ja) 多方向入力装置
JP4699916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4937994B2 (ja) 多方向スライド式スイッチ
JP2005302348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2004265687A (ja) 回転型電気部品
KR100874648B1 (ko) 조그 다이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1283685A (ja)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1351473A (ja) 多方向操作型電子部品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302347A (ja) 複合操作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